KR102536547B1 - 환자용 변기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변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47B1
KR102536547B1 KR1020200130152A KR20200130152A KR102536547B1 KR 102536547 B1 KR102536547 B1 KR 102536547B1 KR 1020200130152 A KR1020200130152 A KR 1020200130152A KR 20200130152 A KR20200130152 A KR 20200130152A KR 102536547 B1 KR102536547 B1 KR 10253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efecation
toilet
bed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7432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주)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0013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4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8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6Knee, upper or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의식이 있고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물 저장수단내에 침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하여 배변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배변냄새로 인해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한 환자용 변기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환자의 침대에 설치되는 변기몸체를 포함하는 배변기수단; 상기 침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물 저장수단; 상기 물 저장수단의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제거하도록 상기 물 저장수단 내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고, 감지수단 및 제어부에 의거 동작되는 흡/배출수단; 및 일단은 변기몸체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흡/배출수단에 접속되어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흡/배출수단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을 포함하는 공기흡입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용 변기장치{Toilet bowl for patients}
본 발명은 환자용 변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식이 있고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물 저장수단내에 침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하여 배변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배변냄새로 인해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한 환자용 변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의 급증과 함께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자신의 신체를 스스로 제어하지 못함으로 인해 주변인에게 도움을 받아야 하며, 또 화장실 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하고 배설시에는 보호자나 간병인이 배설물을 처리해야만 한다.
그런데, 기저귀를 착용하면 배변을 볼 때마다 교체하는 번거로움과 바로 샤워를 하지 못할 경우 청결하지 못함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배설물의 처리는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낄 수 있는 민감한 사항이므로 환자는 물론 보호자에게도 정신적, 신체적, 경제적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경하기 위해 하기의 선행문헌과 같이 국내 등록특허 제10-0829525호(등록일:2008년 5월 7일, 명칭:자동 배변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으나,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제거할 수 없음으로, 환자는 배변냄새로 인해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게 되어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29525호(등록일:2008년 5월 7일, 명칭:자동 배변 처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식이 있고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물 저장수단내에 침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하여 배변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배변냄새로 인해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한 환자용 변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자용 변기장치는 환자의 침대에 놓여지는 변기몸체를 포함하는 배변기수단; 상기 침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물 저장수단; 상기 물 저장수단의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제거하도록 상기 물 저장수단 내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고, 감지수단 및 제어부에 의거 동작되는 흡/배출수단; 및 일단은 변기몸체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흡/배출수단에 접속되어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흡/배출수단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을 포함하는 공기흡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배출수단은: 상기 물 저장수단의 수조 내에 또는 변기와 수조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수단의 흡입관이 연결되는 흡입구 및 흡입구로부터 공급된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배출구는 수조 내에 저수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배출수단은 아스피레이터(Aspirator)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스피레이터에는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수조 내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배출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어느 일단은 변기몸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아스피레이터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자용 변기장치는 환자의 침대에 설치되는 변기몸체를 포함하는 배변기수단; 및 물이 저장된 수조내에 설치되며 흡입관이 변기몸체에 접속되어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과, 상기 흡입수단에 의거 흡입된 공기가 수조 내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단이 구비되는 아스피레이터(Aspirat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대에는, 환자의 등 부위에 배치되며 승강 및 각도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배변 중인 환자의 등을 세워줄 수 있는 등 받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 받침수단은, 상기 침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링크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링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승강 작동되는 승강판; 및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어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의 등을 세워줄 수 있는 각도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대에는, 환자의 허리 부위에 배치되며 배변을 위한 변기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부에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베개 형식으로 환자의 허리를 살짝 들어올려줄 수 있는 허리 받침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대에는, 환자의 다리 부위에 배치되어 배변 중인 환자의 다리를 받혀줄 수 있는 다리받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받침수단은, 환자의 종아리부위를 얹어 받혀줄 수 있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높낮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변기수단에는, 상기 변기몸체에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세척노즐; 상기 세척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함; 및 상기 세척수저장함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노즐을 통해 공급되어 분출되도록 설치되는 세척수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에 의하면, 의식이 있고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물 저장수단내에 침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하여 배변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배변냄새로 인해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받침수단이 승강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받침수단 및 등 받침수단이 승강 및 각도 조절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에 환자가 누워 있던 상태에서 다리 받침수단 및 등 받침수단에 의해 환자가 앉은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받침수단 및 허리 받침수단이 작동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받침수단 및 허리 받침수단이 작동된 상태에서 등받이조절수단이 각도조절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에서 등 받침수단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받침수단이 승강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받침수단 및 등 받침수단이 승강 및 각도 조절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에 환자가 누워 있던 상태에서 다리 받침수단 및 등 받침수단에 의해 환자가 앉은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받침수단 및 허리 받침수단이 작동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받침수단 및 허리 받침수단이 작동된 상태에서 등받이조절수단이 각도조절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에서 등 받침수단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에는 환자의 침대(100)에 설치되는 변기몸체(202)를 포함하는 배변기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변기수단(200)은 의식이 있고 침대(100)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100)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변기수단(200)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를 그대로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변기수단(200)에는 변기몸체(202)에 설치되어 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노즐(212)이 구비되고, 상기 세척노즐(212)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함(214)과, 상기 세척수저장함(214)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노즐(212)을 통해 공급되어 분출되도록 세척수공급펌프(21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가 배변을 마친 후에는 환자의 생기기 및 항문 부위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환자용 침대(100)는 환자가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보도록 변기몸체의 상부에 인접하여 등 받침수단(110) 혹은 허리 받침수단(1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변기몸체(202)의 하부에 인접하여 다리 받침수단(1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등 받침수단(110)과 허리 받침수단(130) 및 다리 받침수단(12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장치에는 배변냄새의 제거를 위한 물 저장수단(3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저장수단(310)은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침대(10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침대 옆에 이동가능한 받침대(302)를 설치한 후 상기 받침대(302)에 수조를 설치할 수 있다. 받침대(302)의 이동은 하부에 바퀴(304)를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변기장치에는 흡/배출수단(3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배출수단(320)은 물 저장수단(310)의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제거하도록 상기 물 저장수단 내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고, 감지수단 및 제어부에 의거 동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변기장치에는 상기 흡/배출수단(320)에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공기흡입수단(3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흡입수단(330)는 흡입관의 일단이 변기몸체(202)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흡/배출수단(320)에 접속되어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흡/배출수단(320)으로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흡입수단(330)는 변기본체 내에서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흡입관은 플랙시블 한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배출수단(320)에는 상기 물 저장수단(310)의 수조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수단(330)의 흡입관이 연결되는 흡입구(322) 및 흡입구(322)로부터 공급된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출구(324)는 수조 내에 저수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여 배변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324)는 항상 물에 잠겨 있는 상태여야 한다.
또한, 상기 흡/배출수단(320)은 아스피레이터(Aspir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스피레이터는 일종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유닛의 일반적인 총징으로, 흡입관을 통해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빨아들여 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물속에서 용해되도록 한다.
이러한 아스피레이터에서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수조 내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배출하도록 하고자 상기 흡입관의 어느 일단은 변기몸체(20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아스피레이터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배출수단의 몸체는 수조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에도 배출수단은 수조의 물에 침지되어 기체를 배출하여야 한다.
한편, 아스피레이터의 동작에 있어서, 동작을 위한 하나의 예로써 변기몸체의 일부에 악취를 검출하는 센서(이를테면, 특정 냄새를 풍기는 성분이 일정 이상되면 동작하도록 검출하는 일종의 냄새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거 on/off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가동되도록 회로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환자의 침대(100)에 설치되는 변기몸체를 포함하는 배변기수단(200) 및 물이 저장된 수조내에 설치되며 흡입관이 변기몸체에 접속되어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과, 상기 흡입수단에 의거 흡입된 공기가 수조 내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단이 구비되는 아스피레이터(Aspir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환자가 용변을 보는 동안에 아스피레이터 동작된다. 즉, 센서 혹은 스위치의 동작과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 아스피레이터가 동작 가능하다.
그러면, 변기몸체와 접속된 흡입관을 통해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구(322)로 흡입되며, 흡입된 배변냄새는 아스피레이터를 거쳐 배출구(324)를 통해 수조 내부의 저장된 물속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배변냄새는 편상의 버블 형태로 물속으로 방출되므로 표면적이 넓어 대부분은 순간적으로 용해되어 배변냄새가 제거되며, 이러한 동작은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 계속 작동된다.
따라서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배변냄새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어 위생상, 건강상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배변냄새로 인해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배변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변기장치에서 상기 침대(100)에는 등 받침수단(1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등 받침수단(110)은 침대에 누운 환자의 등 부위가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승강 및 각도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배변 중인 환자의 등을 세워줄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등 받침수단(110)에 의해 환자는 침대에서 등이 세워진 상태 즉, 앉은 상태로 배변을 볼 수 있으며, 상기 등 받침수단(110)의 구성은 지지판(112)과 승강판(114) 및 각도조절판(1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2)은 침대(10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판(112)의 상부에 승강판(11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판(114)은 링크(118)로 결합되어 링크의 작동에 의해 승강판(114)이 지지판(112)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승강되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승강판(114)의 승강 작동에 의해 환자의 등을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 환자의 엉덩이 부위가 자연스럽게 변기몸체의 상부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판(116)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환자의 등을 세워주어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판(116)의 회전은 회전축과 모터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도조절판(116)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바(117)를 설치하여 각도조절판(116)의 회전된 각도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링크의 작동 및 각도조절판의 회전을 위한 모터, 회전축의 구조를 통상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강판(114)을 소정 높이 만큼 승강시킨 상태에서 각도조절판(116)을 회전시켜 환자의 등을 세워주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던 상태에서 변기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환자가 변기를 사용시에는 변기가 환자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우선 승강판(114)에 의해 환자를 변기 높이만큼 들어올린 후 등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세워줌으로서 환자의 엉덩이부위가 변기에 위치되어 편안한 상태로 배변을 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변기장치에서 상기 침대(100)에는 다리 받침수단(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 받침수단(120)은 침대에서 환자의 다리 부위가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며, 배변 중인 환자의 종아리부위를 편안하게 받혀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다리받침수단(120)은 환자의 종아리부위를 얹어 받혀줄 수 있는 받침부재(122)와, 상기 받침부재(12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높낮이조절부재(12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조절부재(124)은 양단은 축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재(122)를 승강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을 위해서는 통상의 구조 즉, 모터 혹은 실린더 및 링크 구조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도중에 매우 편안한 자세로 배변을 볼 수 있다. 즉, 환자의 등부위와 다리를 받혀줌으로서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편안한 상태로 앉아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변기장치에서 상기 침대(100)에는 허리 받침수단(1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 받침수단(130)은 침대에서 환자의 허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배변을 보기 위한 환자의 허리를 들어올려 줄 수 있다.
상기 허리 받침수단(130)은 상부에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베개 형식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환자의 허리를 살짝 들어올려 줌으로써 배변을 위한 변기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허리받침수단에 인접하게 각도조절수단을 설치하여 환자가 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허리 받침수단(130)의 동작을 위해 실린더 혹은 모터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식이 있고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물 저장수단내에 침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하여 배변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자가 배변냄새로 인해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즉,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침대 110 - 등 받침수단
120 - 다리 받침수단 130 - 허리 받침수단
200 - 배변기수단 202 - 변기몸체
310 - 물 저장수단 320 - 흡/배출수단
330 - 공기흡입수단

Claims (10)

  1. 환자의 침대에 놓여지는 변기몸체를 포함하는 배변기수단;
    상기 침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물 저장수단;
    상기 물 저장수단의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제거하도록 상기 물 저장수단 내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고, 감지수단 및 제어부에 의거 동작되는 흡/배출수단; 및
    흡입관의 일단은 변기몸체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흡/배출수단에 접속되어 환자가 배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흡/배출수단으로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흡/배출수단은: 상기 물 저장수단의 수조 내에 또는 변기와 수조사이에 설치되고, 흡입관이 연결되는 흡입구 및 흡입구로부터 공급된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배출구는 수조 내에 저수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흡/배출수단은 아스피레이터(Aspirator)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스피레이터에는 변기몸체내의 배변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수조 내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배출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어느 일단은 변기몸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아스피레이터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침대에는, 환자의 등 부위에 배치되며 승강 및 각도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배변 중인 환자의 등을 세워줄 수 있는 등 받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등 받침수단은,
    상기 침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링크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링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승강 작동되는 승강판; 및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어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의 등을 세워줄 수 있는 각도조절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112)은 침대(10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판(112)의 상부에 승강판(114)이 설치되며, 이때, 상기 승강판(114)은 링크(118)로 결합되어 링크의 작동에 의해 승강판(114)이 지지판(112)으로부터 승강되도록 작동되고,
    이와 같이 승강판(114)의 승강 작동에 의해 환자의 등을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 환자의 엉덩이 부위가 자연스럽게 변기몸체의 상부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각도조절판(116)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환자의 등을 세워주어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판(116)의 회전은 회전축과 모터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도조절판(116)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바(117)를 설치하여 각도조절판(116)의 회전된 각도에서 고정시키도록 하며,

    상기 침대에는, 환자의 허리 부위에 배치되며 배변을 위한 변기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부에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베개 형식으로 환자의 허리를 살짝 들어올려줄 수 있는 허리 받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허리 받침수단에 접속된 각도조절수단을 설치하여 환자가 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침대에는, 환자의 다리 부위에 배치되어 배변 중인 환자의 다리를 받혀줄 수 있는 다리받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받침수단은, 환자의 종아리부위를 얹어 받혀줄 수 있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높낮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기수단에는,
    상기 변기몸체에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세척노즐;
    상기 세척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함; 및
    상기 세척수저장함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노즐을 통해 공급되어 분출되도록 설치되는 세척수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변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30152A 2020-10-08 2020-10-08 환자용 변기장치 KR10253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52A KR102536547B1 (ko) 2020-10-08 2020-10-08 환자용 변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52A KR102536547B1 (ko) 2020-10-08 2020-10-08 환자용 변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432A KR20220047432A (ko) 2022-04-18
KR102536547B1 true KR102536547B1 (ko) 2023-05-30

Family

ID=8139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152A KR102536547B1 (ko) 2020-10-08 2020-10-08 환자용 변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005B2 (ja) * 1994-08-18 2001-09-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1223510B1 (ko) * 2010-10-20 2013-01-22 이앤에이웰(주) 세정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KR102023643B1 (ko) * 2017-11-28 2019-09-23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043B2 (ja) * 1992-10-27 1995-05-31 清 高浦 療養ベッド
KR20070006303A (ko) * 2005-07-08 2007-01-11 이응재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100829525B1 (ko) 2006-06-28 2008-05-16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3209005U (ja) * 2016-12-03 2017-03-02 重義 善方 介護用エアリフ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005B2 (ja) * 1994-08-18 2001-09-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1223510B1 (ko) * 2010-10-20 2013-01-22 이앤에이웰(주) 세정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KR102023643B1 (ko) * 2017-11-28 2019-09-23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432A (ko)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751B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JP3097029B2 (ja) 水洗便器付き介護用ベッド
JP2007537791A (ja) 患者用寝台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9990029230A (ko)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의자겸용 침대
JP3080659B2 (ja) 水洗便器及びこれを備えた介護用ベッド装置
KR100800266B1 (ko)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CN111067732B (zh) 智能护理床
KR20070006303A (ko)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102320648B1 (ko)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JP2008119172A (ja) 介護用パンツ、介護用マット、介護用システム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102536547B1 (ko) 환자용 변기장치
CN113143627A (zh) 一种带有真空集便装置的轮椅及真空集便方法
CN211610418U (zh) 一种多功能护理床
JP2007301331A (ja) 病人用排便処理装置と排便可能な車椅子
CN108143554A (zh) 多功能护理床
KR102082972B1 (ko)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CN211485338U (zh) 智能护理床
JP2002017798A (ja) 電動採便器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KR100307722B1 (ko) 수세식변기가부착된피간호인용침대
JP3230279U (ja) 排泄物処理装置
KR102652047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102663949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