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083B1 - 환자용 비데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비데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083B1
KR102383083B1 KR1020200082577A KR20200082577A KR102383083B1 KR 102383083 B1 KR102383083 B1 KR 102383083B1 KR 1020200082577 A KR1020200082577 A KR 1020200082577A KR 20200082577 A KR20200082577 A KR 20200082577A KR 102383083 B1 KR102383083 B1 KR 10238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toilet
cover
be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134A (ko
Inventor
최성회
박정권
Original Assignee
(주)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티 filed Critical (주)엘티
Priority to KR102020008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3Holders, support devices for receptacles, e.g. for drainage or urine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서 직접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변 후,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할 수 있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비데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비데침대는 용변공이 형성된 엉덩이받침부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침대; 상기 용변공 아래에 배치되는 비데유닛; 상기 비데유닛에 연결되는 급수라인과 배수라인; 상기 용변공과 상기 비데유닛 사이에 개재되어서 이들을 격리시키는 커버; 상기 비데 및 커버를 승하강시키고, 상기 커버를 젖혀 개폐시켜서, 상기 비데유닛의 용변기가 용변공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환자용 비데침대{Bidet bed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서 직접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변 후,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할 수 있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비데침대에 관한 것이다.
혼자 거동할 수 없는 노약자나 환자 등의 형편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침대의 설치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취침 및 독서, 식사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체를 일으키거나 누을 수 있는 환자용 침대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근래에는 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를 위해서 등록특허 10-0671409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에서 보듯이, 환장가 침대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비데침대가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 10-0671409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는 침대 아래에 설치된 비데함체를 설치해 두고, 필요할 때마다 비데기를 침대로 가져와 비데함체에 투입하여 용변을 보고, 용변을 본 후에는 비데기를 비데함체에서 꺼내 가져가 용변을 비우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비데침대로서, 용변을 볼 때마다 비데기를 운반하여야 해서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그리고 구성품이 많고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고 생산성이 떨어져 경쟁력이 약하다.
본 발명은 용변 전후로 비데유닛을 운반해야 하는 불편이 없고, 구성이 간단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하고 생산성이 높아 제품 경쟁력이 우수한 환자용 비데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데유닛의 용변기를 덮개로 완벽하게 밀폐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세균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는 환자용 비데침대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비데침대는
용변공이 형성된 엉덩이받침부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침대;
상기 용변공 아래에 배치되는 비데유닛;
상기 비데유닛에 연결되는 급수라인과 배수라인;
상기 용변공과 상기 비데유닛 사이에 개재되어서 이들을 격리시키는 커버;
상기 비데 및 커버를 승하강시키고, 상기 커버를 젖혀 개폐시켜서, 상기 비데유닛의 용변기가 용변공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용변공을 메꿔서 침대와 높이를 맞추는 열림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데유닛의 용변기를 덮는 덮개;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 장착되어서 상기 덮개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상기 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용변기에 가압밀착되어서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폐링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와, 립부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재질의 쿼드링을 사용하고,
상기 끼움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와, 상기 탄성링부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보다 돌출되게 연결되고 상기 안착홈에 바닥에 놓이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비데침대는 비데유닛에 급수라인과 배수라인이 연결되어서 용변이 즉각 처리되어서 용변 전후로 비데유닛을 운반해야 하는 불편 없이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구성과 구조가 간단하면서 단순하여 저렴하며 생산성이 높아 제품 경쟁력이 우수하고, 용변기를 완벽하게 밀폐하여 용변에 따른 악취와 세균 번식을 예방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b,c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비데침대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2a,b,c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비데침대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링과 탄성 변형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비데침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비데침대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비데침대는 침대(10), 비데유닛(20), 급수라인(31)과 배수라인(33), 커버(40), 구동유닛(50), 덮개(60), 실린더(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면은 침대(10), 비데유닛(20), 구동유닛(50) 등을 단순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른 비데침대의 구성과 구조를 파악하는데 있어 단순화한 도면이 문제되지 않는다.
상기 침대(10)는 다리(11)와, 다리(11) 위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위에 놓이는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침대(10)의 다리(11)는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매트는 환자가 생활하는 영역으로서, 누워있는 환자의 엉덩이 부위를 받치는 엉덩이받침부(13), 등 부위를 받치는 등받이부(14), 다리 부위를 받치는 다리받침부(15)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부(14)와 다리받침부(15)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엉덩이받침부(13)에는 환자의 용변이 낙하되는 용변공(17)이 형성된다.
상기 비데유닛(20)은 상기 침대(10)의 용변공(17)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비데유닛(20)은 물이 일정 수위로 채워지고 낙하되는 용변이 담기는 용변기(21)와, 용변기(21) 내의 용변과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23)와, 용변을 본 환자의 생식기로 세정을 위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노즐(미도시)과, 건조를 위한 건풍을 분출하는 건풍노즐(미도시)과, 용변기(21)에 담긴 용변과 휴지 등을 분쇄하여 막힘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데유닛(20)에는 세정을 위한 급수라인(31)과, 용변 배출을 위한 배수라인(33)이 연결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비데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되어서 침대(10)의 용변공(17)과 비데유닛(20)을 격리시킨다.
상기 커버(40)의 상부면에는 상기 침대(10)의 용변공(17)을 메꾸는 열림매트(45)가 부착된다.
상기 구동유닛(50)은 상기 비데유닛(20)과 커버(40)를 함께 승하강시키고, 커버(40)를 위아래 젖혀서 개폐시킨다.
상기 구동유닛(50)은 상하에 배치되는 상판(51)과 하판(52), 상기 상판(51)과 하판(52)을 연결하는 로드(53)와, 상기 로드(53)를 따라 승하강하고 상기 비데유닛(20)과 커버(40)가 장착되는 승하강판(54)과, 상기 승하강판(54)을 승하강시키는 제1모터(미도시)와 상기 커버(40)를 젖히는 제2모터(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60)는 상기 비데유닛(20) 용변기(21)의 개구부를 덮어, 악취를 차단하고, 세균의 확산을 예방한다.
용변기(21) 내의 용변을 분쇄할 때와, 분쇄된 용변을 배출시킬 때 악취의 발생과 세균의 확산이 활발해진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상기 덮개(60)로 용변기(21)의 개구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60)는 상기 커버(40)의 하부면에 장착된 실린더(70)에 의해 승하강 된다.
상기 덮개(60)만으로 상기 용변기(21)의 개구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키기 어렵다. 그래서 상기 덮개(60)의 하부면에 안착홈(61)을 형성하고, 안착홈(61)에는 밀폐링(R)을 안착시켜서, 실린더(70)에 의해 하강한 덮개(60)에 구비된 상기 밀폐링(R)이 상기 용변기(21)를 가압밀착하여, 용변기(21)와 덮개(60)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밀폐링(R)이 용변기(21)와 덮개(60)의 틈새를 보다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밀폐링(R)으로 쿼드링(R)을 사용하고, 탄성 변형부재(E)를 도입하였다.
상기 쿼드링(R)은 고무나 실리콘 등처럼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부가 상기 안착홈(61) 표면 위로 돌출되어서, 덮개(60)가 하강시 상기 용변기(21)의 표면을 탄성으로 접촉가압한다.
상기 쿼드링(R)는 반복 사용에 따라 마모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탄성력이 자연적으로 약해지게 되는데, 쿼드링(R)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부재(E)를 도입하여서, 쿼드링(R)의 마모와 탄성력 약화에도 접촉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쿼드링(R)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R1)들과, 상기 립부(R1)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R2)과, 상기 끼움공(R2)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R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 변형부재(E)는 상기 끼움공(R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E1)와, 상기 탄성링부(E1)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R3)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E2)와, 상기 연결부(E2)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R1)보다 돌출되게 연결되며 안착홈(61)의 바닥에 놓이는 누름부(E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홈(61)에 안착된 상기 쿼드링(R)의 돌출부위가 상기 용변기(21)에 가압되면, 상기 안착홈(61)의 바닥이 상기 누름부(E4)를 누르면서 상기 탄성링부(E1)가 벌어져, 안착홈(61) 밖으로 돌출된 립부(R1)가 확장되면서 상기 용변기(21)의 표면에 보다 강력하게 가압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누름부(E4)가 눌리면, 'X'자형으로 교차된 연결부(E2)가 탄성링부(E1)를 벌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쿼드링(R)은 도3를 기준으로 상부가 가압되어 눌리면 좌우 옆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안착홈(61)에 안착된 상기 쿼드링(R)은 안착홈(61)의 벽면에 막혀 옆으로 눌어나지 못하고, 오히려 상기 쿼드링(R)은 옆으로 눌리는 힘이 안착홈(61)의 벽면에 막혀 오무려지는 힘으로 작용하여서 삽입홈(R3)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삽입홈(R3)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상기 탄성 변형부재(E)의 두 연장부(E3)도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탄성링부(E1)는 직경이 확장된다. 탄성링부(E1)의 직경이 확장되면 그 만큼 안착홈(61) 밖에 있는 립부(R1)도 확장된다.
상기 쿼드링(R)은 일측 립부(R1)들 사이의 오목부의 외면이 상기 삽입홈(R3)으로 절개되어 있어 상기 끼움공(R2)을 중심으로 립부(R1)들이 벌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홈(R3)은 상기 끼움공(R2)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다수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재(E)는 상기 쿼드링(R)과 대응하는 원형 링 형상의 탄성링부(E1)가 파이프 형태로 상기 끼움공(R2)에 끼워져 장착되며, 이때 탄성링부(E1)를 따라 상기 연결부(E2)와 누름부(E4)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E2)와 누름부(E4)는 끼움공(R2)의 내주면과 립부(R1)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연장부(E3)로 연결되어 있어, 탄성 변형부재(E)를 쿼드링(R)의 끼움공(R2)에 장착하면 삽입홈(R3)으로 노출되는 누름부(E4)가 립부(R1)의 외면보다 더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E4)가 립부(R1)의 외면보다 더 돌출되어서, 도3 기준으로 상부의 립부(R1)를 가압하는 때에 쿼드링(R)은 일시적으로 하강할 수 있지만, 눌림에 의해 하부의 립부(R1)가 오무려지고 탄성링부(E1)에 의해 상부의 립부(R1)가 확장됨에 의해 상부의 립부(R1)가 승강하는 범위가 더 크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용변을 보기 위한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는 도1과 같이 열림매트(45)가 침대의 용변공(17)을 메꾸고 있고, 덮개(60)가 쿼드링(R)과 탄성 변형부재(E)를 이용해 용변기(21)를 완벽하게 밀폐시키고 있다.
도2의 [A]를 참조하면, 구동유닛(50)이 비데유닛(20)과 커버(40)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열림매트(45)가 침대의 용변공(17)에서 분리된다.
도2의 [B]와 [C]를 참조하면, 구동유닛(50)이 커버(40)를 아래방향으로 젖혀 개방시킨다. 즉, 커버(40)를 열어 비데유닛(20)이 용변공(17) 아래에 노출되도록 한다.
도2의 [D]와 [E]를 참조하면, 침대의 등받이부(14)를 세우고 다리받침부(15)는 내려 환자가 앉는 자세가 되도록 하고, 구동유닛(50)이 비데유닛(20)을 승강시켜서 용변기(21) 위에 환자가 앉도록 한다.
이후 환자의 세정과 건풍 등의 용변이 완료되면, 위의 역순으로 작동하고 최종적으로 도1처럼 덮개(60)가 용변기(21)를 완전히 밀폐하여 덮은 후에, 분쇄기가 용변을 분쇄시키고 배수펌프가 분쇄된 용변을 배출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환자용 비데침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침대 13 : 엉덩입다침부
14 : 등받이부 15 : 다리받침부
17 : 용변공 20 : 비데유닛
21 : 용변기 23 : 배수펌프
31 : 급수라인 33 : 배수라인
40 : 커버 45 : 열림매트
50 : 구동유닛 51 : 상판
52 : 하판 53 : 로드
54 : 승하강판 55 : 모터
60 : 덮개 70 : 실린더
R : 쿼드링 E : 탄성 변형부재

Claims (4)

  1. 용변공이 형성된 엉덩이받침부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침대;
    상기 용변공 아래에 배치되는 비데유닛;
    상기 비데유닛에 연결되는 급수라인과 배수라인;
    상기 용변공과 상기 비데유닛 사이에 개재되어서 이들을 격리시키는 커버;
    상기 비데 및 커버를 승하강시키고, 상기 커버를 젖혀 개폐시켜서, 상기 비데유닛의 용변기가 용변공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동유닛;
    상기 비데유닛의 용변기를 덮는 덮개;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 장착되어서 상기 덮개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상기 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용변기에 가압밀착되어서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비데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용변공을 메꿔서 침대와 높이를 맞추는 열림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비데침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하에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따라 승하강하고 상기 비데유닛과 커버가 장착되는 승하강판과, 상기 승하강판을 승하강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커버를 젖히는 제2모터(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비데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와, 립부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재질의 쿼드링을 사용하고,
    상기 끼움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와, 상기 탄성링부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보다 돌출되게 연결되고 상기 안착홈에 바닥에 놓이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비데침대.
KR1020200082577A 2020-07-06 2020-07-06 환자용 비데침대 KR10238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77A KR102383083B1 (ko) 2020-07-06 2020-07-06 환자용 비데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77A KR102383083B1 (ko) 2020-07-06 2020-07-06 환자용 비데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34A KR20220005134A (ko) 2022-01-13
KR102383083B1 true KR102383083B1 (ko) 2022-04-06

Family

ID=7934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77A KR102383083B1 (ko) 2020-07-06 2020-07-06 환자용 비데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0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456A (ja) * 2000-05-11 2001-11-13 Jitsuo Inagaki 便器付きベッド
JP2003225261A (ja) 2002-02-04 2003-08-12 Yoshio Yokota トイレを有するベッド
KR200343449Y1 (ko) 2003-11-25 2004-03-04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100844442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3A (ja) * 1974-06-24 1976-01-06 Yoshio Sugo Betsudo
JPS5623951A (en) * 1979-08-01 1981-03-06 Takuzou Teramae Bed for patient available in urine and excrement exhausion
JPH11239591A (ja) * 1998-02-24 1999-09-07 Akira Harad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KR20000058591A (ko)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KR100856669B1 (ko) * 2006-09-29 2008-09-26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KR101254199B1 (ko) * 2010-12-30 2013-04-30 이앤에이웰(주) 환자용 기능성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456A (ja) * 2000-05-11 2001-11-13 Jitsuo Inagaki 便器付きベッド
JP2003225261A (ja) 2002-02-04 2003-08-12 Yoshio Yokota トイレを有するベッド
KR200343449Y1 (ko) 2003-11-25 2004-03-04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100844442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34A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5582A (en) Body support pad
US4673605A (en) Body support pad
CN201088680Y (zh) 医疗护理床
KR102383083B1 (ko) 환자용 비데침대
CN205857318U (zh) 一种带升降功能的马桶
CN109820665B (zh) 可自动洗浴烘干的多功能护理床
KR102314802B1 (ko) 환자용 비데침대
CN201481287U (zh) 一种自立式坐便器
CN211596973U (zh) 一种坐圈角度可调的坐便器
CN215193225U (zh) 一种行动不便患者排泄物接收装置
KR20160004011U (ko) 욕창 예방 방석
KR20100087855A (ko) 다용도 매트리스
CN214968037U (zh) 一种多功能充气床垫
CN204840022U (zh) 一种护理床
CN209059750U (zh) 一种护理床坐垫及护理床
CN209059749U (zh) 一种护理床坐垫及护理床
CN218484437U (zh) 一种新式马桶防臭盖
CN216318517U (zh) 一种病人自理床
DE10126668B4 (de) Toiletteneinrichtung
CN212015982U (zh) 一种医疗用防滑坐椅
CN215132094U (zh) 一种卧床老人专用护理架
CN215994615U (zh) 一种护理用充气便盆
CN201147435Y (zh) 一种新型便盆
CN211408841U (zh) 一种多功能坐便凳
CN210433667U (zh) 一种充气式便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