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793A -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793A
KR20220150793A KR1020210058184A KR20210058184A KR20220150793A KR 20220150793 A KR20220150793 A KR 20220150793A KR 1020210058184 A KR1020210058184 A KR 1020210058184A KR 20210058184 A KR20210058184 A KR 20210058184A KR 20220150793 A KR20220150793 A KR 20220150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t
pipe
patients
bed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록
Original Assignee
김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록 filed Critical 김용록
Priority to KR102021005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793A/ko
Publication of KR2022015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00)에 의해 지지되며 관통된 용변구(201)가 형성된 매트부(200)와, 상기 매트부(20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변구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배변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변장치(300)는, 상기 용변구(201)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받기위한 배출공(311)을 구비하는 배변기 본체(310)와, 상기 배출공(31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외부로 버리기 위한 배관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Multipurpose bed system for patients}
본 발명은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하고 본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없는 중증 환자 및 치매 환자 등이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용변의 배변활동이 가능하며, 침대에서 목욕이 가능한 욕조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에는 홀로 거동이 어려운 노약자 및 환자 등이 눕거나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가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자용 침대는 취침이나 독서 또는 식사 등의 사용 목적에 다라 침대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상체를 일부분 일으키거나, 상체를 누이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환자용 침대는 단순히 취침을 하거나 치료를 받도록 함에 주안점이 있어 거동이 불편한 중증환자나 신체장애자들의 용변이나 신체 청결을 위해 사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즉, 환자의 머리를 감거나 목욕 또는 대, 소변 등의 용변을 배변하려 할 경우 화장실까지 이동하거나, 또는 간이 변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침대 하부에 위치시킨 후 환자의 배변 시 간이 변기를 사용하여 용변을 해결하였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용변을 배변하기 위해서는 항시 다른 사람의 도움이 절실히 요구되고, 도움을 줄 사람이 항시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간이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되며, 환자들에게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295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911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474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81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용 침대에 배변장치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환자가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변장치에 건물 내의 수도관과 하수관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환자용 침대의 매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욕조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아서 목욕할 수 있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대의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00)에 의해 지지되며 관통된 용변구(201)가 형성된 매트부(200)와, 상기 매트부(20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변구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배변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변장치(300)는, 상기 용변구(201)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받기위한 배출공(311)을 구비하는 배변기 본체(310)와, 상기 배출공(31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외부로 버리기 위한 배관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관부(320)는 상기 배변기 본체(31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321)과, 상기 공급배관(321)으로 공급된 물에 의해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배관(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배관(321)은 건물 내의 수도관(10)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고, 상기 배출배관(322)은 건물 내의 하수관(20)과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매트부(220)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지면을 지지하며, 상기 배변장치(300)의 배변기 본체(310)가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용변구(201)와 연통되도록 관통구(111a)가 형성된 둔부받침부(111)와, 상기 둔부받침부(111)의 일측에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받침부(112)와, 상기 둔부받침부(111)의 타측에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허벅지받침부(113)와, 상기 허벅지받침부(113)와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종아리받침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매트부(200)는, 상기 둔부받침부(111)와 상기 등받침부(112)와 상기 허벅지받침부(113) 및 상기 종아리받침부(114)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둔부받침매트(210)와 등받침매트(220)와 허벅지받침매트(230) 및 종아리받침매트(240)를 구비하고, 상기 둔부받침매트(210)에는 상기 용변구(201)가 형성되어 환자가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매트부(200)는, 상기 매트부(200)를 감싸는 방수커버가 구비되되, 욕조기능을 갖는 제1시트부(250)와, 상기 제1시트부(250)의 하부측에 일체로 적층 형성되어 난방기능을 갖는 제2시트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시트부(250)는, 상기 제1시트부(250)의 상부측 테두리에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 물막이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막이돌출부(251) 내측 상부면은 상기 용변구를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배수경사면(252)이 형성되어 상기 용변구(201) 쪽으로 원활하게 배수되어 상기 매트부(200)가 욕조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은 별도의 온수기(400)를 구비하되, 상기 온수기(400)는 건물 내의 수도관(10)과 연결되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며, 상기 온수기(400)에는 샤워기(600)와 연결되는 목욕용배관(410)이 설치됨으로써 환자가 매트부(200)에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목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변장치에 건물 내의 수도관과 하수관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욕 후 매트부에 남은 오염수가 기울어진 배수경사면을 통해 용변구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용 침대에 배변장치와 욕조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고 침대에 눕거나 앉아서 용변 또는 목욕을 할 수 있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침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다용도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변기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부의 단면도 및 B-B`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부 내의 제1시트부와 제2시트부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부에 내장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다용도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변기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부의 단면도 및 B-B`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부 내의 제1시트부와 제2시트부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부에 내장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대(1)의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00)에 의해 지지되며 관통된 용변구(201)가 형성된 매트부(200)와, 상기 매트부(20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변구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배변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변장치(300)는 상기 용변구(201)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받기위한 배출공(311)을 구비하는 배변기 본체(310)와, 상기 배출공(31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외부로 버리기 위한 배관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용변구(210)를 막도록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부(320)는 상기 배변기 본체(31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321)과, 상기 공급배관(321)으로 공급된 물에 의해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배관(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급배관(321)은 건물 내의 수도관(10)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고, 상기 배출배관(322)은 건물 내의 하수관(20)과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322)은 건물 내의 화장실 변기통에 직접 설치되어 외부 하수구로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322)은 건물 외부 하수구로 배출되는 배관에 직접 설치되어 외부 하수구로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도관(10)은 수돗물을 보내는 관으로써 병원이나 건물 등에서 수돗물을 공급하는 관을 말한다.
또한, 상기 하수관(20)은 병원이나 건물 등에서 사용한 더러운 물을 외부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말한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331)은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에서 'U' 형상의 배관을 구비하여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배변장치(300)에 건물 내의 수도관(10)과 하수관(20)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에는 상단부에 상기 배출공(311)을 이루는 호퍼(313)가 설치되며, 상기 호퍼(313)는 상단부의 직경보다 하단부의 직경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호퍼(313)의 측벽은 기울어져 있거나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호퍼(313)의 상단부는 상기 배출공(311)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상기 공급배관(321)이 설치되어 호퍼(313) 내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호퍼(313)의 하단부는 상기 배출배관(322)이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배출배관(322)으로 용변이 흘러내려진다.
또한, 상기 호퍼(313)와 배출배관(322) 배관 사이의 이음 부분에는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마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풋 페달 스위치를 통해 마개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풋 페달 스위치를 이용한 마개 개폐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의 자세한 설명과 도면의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배변기 본체(310)는 상기 배출공(311)을 덮는 뚜껑(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변기 본체(310)에는 비데 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비데 장치는 환자가 용변을 본 후 밸브를 누르면 상기 호퍼(313)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분사구에서 물이 나와 환자의 항문을 닦아 준다.
또한, 상기 분사구는 상기 공급배관(32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배관(321)에 별도의 배관(파이프)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8을 참조하면 상기 배변기 본체에는 용변이나 대변을 모아 버릴 수 있는 오물수거통(3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오물 수거통(360)는 배출배관을 설치할 수 없을 경우에 별도로 설치하여 용변이나 대변을 모아두었다가 분리하여 처리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물수거통(360)에는 오물배관(361)이 배변기본체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배변을 상기 오물수거통(36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매트부(220)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지면을 지지하며, 상기 배변장치(300)의 배변기 본체(310)가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선반 프레임(121)의 상부에 상기 배변기 본체(3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용변구(201)와 연통되도록 관통구(111a)가 형성된 둔부받침부(111)와, 상기 둔부받침부(111)의 일측에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받침부(112)와, 상기 둔부받침부(111)의 타측에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허벅지받침부(113)와, 상기 허벅지받침부(113)와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종아리받침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둔부받침부(111)와 상기 등받침부(112)와 상기 허벅지받침부(113) 및 상기 종아리받침부(114)의 각각의 연결부위는 힌지(h)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둔부받침부(111)는 고정되며, 상기 둔부받침부(111)를 기준으로 상기 등받침부(112)와 상기 허벅지 받침부(113)가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종아리받침부(114)의 끝단을 상기 프레임부(110)에 슬라이드(slide)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실시예로써 상기 종아리받침부(114)의 끝단부와 프레임부(110)는 가이드레일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매트부(200)는 상기 둔부받침부(111)와 상기 등받침부(112)와 상기 허벅지받침부(113) 및 상기 종아리받침부(114)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둔부받침매트(210)와 등받침매트(220)와 허벅지받침매트(230) 및 종아리받침매트(2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둔부받침매트(210)에는 상기 용변구(201)가 형성되어 환자가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배변장치(300)는 상기 배출공(311)과 상기 용변구(201)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상기 배변기본체(310)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둔부받침부(111)의 하부측 소정위치에 결합 형성된 하나 이상의 후크부와, 상기 배변기본체(310)의 상부측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후크부 각각에 대응 형성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배변기본체(3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의 소정위치는 상기 고리부가 상기 후크부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배출공(311)과 상기 용변구(201)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배변기본체(3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변장치(300)는 상기 배출공(31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변기본체(310)의 위치를 조정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배변기본체(31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승, 하강 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부(200)는 상기 매트부(200)를 감싸는 방수커버가 구비되되, 욕조기능을 갖는 제1시트부(250)와, 상기 제1시트부(250)의 하부측에 일체로 적층 형성되어 난방기능을 갖는 제2시트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시트부(250)는 상기 제1시트부(250)의 상부측 테두리에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 물막이돌출부(2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막이돌출부(251) 내측 상부면은 상기 용변구를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배수경사면(252)이 형성되어 상기 용변구(201) 쪽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은 별도의 온수기(400)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기(400)는 건물 내의 수도관(10)과 연결되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온수기(400)에는 샤워기(600)와 연결되는 목욕용배관(410)이 설치됨으로써 환자가 매트부(200)에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온수기(400)에는 온수용배관(420)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매트부(200)의 제2시트부(260) 내부에는 내장호스(261)가 일정간격으로 폐합 곡선을 유지하면서 설치된다.
상기 매트부(200)의 제2시트부(260)에 매트용 온수보일러(500)에 의해 온수가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온수기(400)에서 온수가 공급될 수도 있지만 매트용 온수보일러(500)에 의해 온수가 공급됨에 따라 제품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매트용 온수보일러(500)에서 제2시트부(260)로는 온수공급용배관(261a)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2시트부(260)에서 다 사용된 온수는 온수배출용배관(261b)를 통해 다시 매트용 온수보일러(500)에 배출되며 상기 배출된 온수는 재가열되어 다시 제2시트부(260)로 공급된다(도 9 및 10 참조)
또한, 상기 제2시트부(260)의 하부측에는 단열층이 일체로 더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온수용배관(420)과 상기 내장호스(261)가 연결되어 상기 내장호스(261)에 온수가 순환됨으로써 상기 매트부(200)는 온수매트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장호스(261)와 온수용배관(420)은 온수매트조절기(500)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수매트조절기(500)는 상기 온수용배관(42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저장수조와, 상기 물저장수조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내장호스(261) 내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온수매트조절기(500)의 외부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on/off)할 수 있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매트조절기(500)로부터 상기 내장호스(261)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510)와, 상기 내장호스(261)의 반대쪽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온수매트조절기(500)로 회수하는 회수호스(5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호스(520)는 상기 온수매트조절기(500)를 거쳐 상기 배변기 본체(310)의 호퍼(313)에 결합됨으로써 내장호스(261)에 사용된 물은 상기 배출배관(322)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부(200)는 안마기능을 갖는 안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마수단은, 상기 제1시트부(250)와 제2시트부(260) 사이에 다수의 안마용 솔레노이드 진동기(2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진동기(270)의 진동에 의해 매트부(200)에 누운 환자에게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진동기(270)의 작동법과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면의 기재는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프레임부 110 : 메인프레임
111 : 둔부받침부 111a : 관통구
111b : 후크부 112 : 등받침부
113 : 허벅지받침부 114 : 종아리받침부
120 : 하부프레임 200 : 매트부
201 : 용변구 210 : 둔부받침매트
220 : 등받침매트 230 : 허벅지받침매트
240 : 종아리받침매트 250 : 제1시트부
251 : 물막이돌출부 252 : 배수경사면
260 : 제2시트부 261 : 내장호스
270 : 솔레노이드 진동기
300 : 배변장치 310 : 배변기본체
311 : 배출공 313 : 호퍼
320 : 배관부 321 : 공급배관
322 : 배출배관 400 : 온수기
410 : 목욕용배관 420 : 온수용배관

Claims (6)

  1.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00)에 의해 지지되며 관통된 용변구(201)가 형성된 매트부(200)와,
    상기 매트부(20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변구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배변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변장치(300)는,
    상기 용변구(201)로부터 배출되는 용변을 받기위한 배출공(311)을 구비하는 배변기 본체(310)와,
    상기 배출공(31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외부로 버리기 위한 배관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320)는 상기 배변기 본체(31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321)과,
    상기 공급배관(321)으로 공급된 물에 의해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배관(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배관(321)은 건물 내의 수도관(10)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고,
    상기 배출배관(322)은 건물 내의 하수관(20)과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본체(310) 내의 용변을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매트부(220)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지면을 지지하며, 상기 배변장치(300)의 배변기 본체(310)가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용변구(201)와 연통되도록 관통구(111a)가 형성된 둔부받침부(111)와,
    상기 둔부받침부(111)의 일측에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받침부(112)와,
    상기 둔부받침부(111)의 타측에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허벅지받침부(113)와,
    상기 허벅지받침부(113)와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종아리받침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200)는,
    상기 둔부받침부(111)와 상기 등받침부(112)와 상기 허벅지받침부(113) 및 상기 종아리받침부(114)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둔부받침매트(210)와 등받침매트(220)와 허벅지받침매트(230) 및 종아리받침매트(240)를 구비하되,
    상기 둔부받침매트(210)에는 상기 용변구(201)가 형성되어 환자가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200)는,
    상기 매트부(200)를 감싸는 방수커버가 구비되되,
    욕조기능을 갖는 제1시트부(250)와,
    상기 제1시트부(250)의 하부측에 일체로 적층 형성되어 난방기능을 갖는 제2시트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부(250)는,
    상기 제1시트부(250)의 상부측 테두리에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 물막이돌출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물막이돌출부(251) 내측 상부면은 상기 용변구를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배수경사면(252)이 형성되어,
    상기 용변구(201) 쪽으로 원활하게 배수되어 상기 매트부(200)가 욕조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KR1020210058184A 2021-05-04 2021-05-04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KR20220150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84A KR20220150793A (ko) 2021-05-04 2021-05-04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84A KR20220150793A (ko) 2021-05-04 2021-05-04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793A true KR20220150793A (ko) 2022-11-11

Family

ID=8404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84A KR20220150793A (ko) 2021-05-04 2021-05-04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79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65Y1 (ko) 2004-02-17 2004-11-17 김영식 욕조 기능을 갖는 침대
KR20080029590A (ko) 2006-09-29 2008-04-03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KR101144747B1 (ko) 2011-09-30 2012-05-24 김기준 욕조가 구비된 침대
KR102091146B1 (ko) 2019-06-25 2020-03-19 송영수 회전식 배출구를 구비한 비데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65Y1 (ko) 2004-02-17 2004-11-17 김영식 욕조 기능을 갖는 침대
KR20080029590A (ko) 2006-09-29 2008-04-03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KR101144747B1 (ko) 2011-09-30 2012-05-24 김기준 욕조가 구비된 침대
KR102091146B1 (ko) 2019-06-25 2020-03-19 송영수 회전식 배출구를 구비한 비데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2112C1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варианты)
KR101592963B1 (ko) 환자용 침대 시스템
RU2483701C2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варианты)
US5241712A (en) Invalid toliet seat
JP2014226537A (ja) トイレの神様
JP7121379B2 (ja) 便器付ベッド
US5060325A (en) Integrated mattress and commode with integrated bathing section
JP3209782U (ja) 介護用ベッド
KR20220150793A (ko) 환자용 다용도 침대 시스템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20050006639A (ko) 위생변기 일체형 이동식 침대
WO2001070162A1 (en) All-purpose care bed
WO2004062545A1 (en) Multi-functional bed for patient
KR10260687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KR100307722B1 (ko) 수세식변기가부착된피간호인용침대
KR20040064576A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JP3741988B2 (ja) 介護用浴槽装置
CN211962425U (zh) 护理床及其气囊折叠浴盆
KR20200002062A (ko)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JP3927588B2 (ja) 浴室汚物処理設備
US20020088056A1 (en) Lying arrangement
KR200422803Y1 (ko) 거동이 불편한 환자용 침대
JPH09103452A (ja) 重度障害者用排便ベッドおよび排便ユニット
WO2023196318A1 (en) Assistive hygiene station
WO2023106946A1 (en) Rehabilitation and sanitation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