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963B1 - 환자용 침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963B1
KR101592963B1 KR1020140078063A KR20140078063A KR101592963B1 KR 101592963 B1 KR101592963 B1 KR 101592963B1 KR 1020140078063 A KR1020140078063 A KR 1020140078063A KR 20140078063 A KR20140078063 A KR 20140078063A KR 101592963 B1 KR101592963 B1 KR 10159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ed
toilet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654A (ko
Inventor
박찬호
Original Assignee
박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호 filed Critical 박찬호
Priority to KR102014007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9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3Aids for getting into, or out of, bed, e.g. steps, chairs, cane-lik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용 침대에 배변장치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의식이 없는 치매 환자, 항문 괄약근 약화 등의 신체의 병적을 갖는 환자, 중증 환자가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 없이 스스로 대, 소변 등의 용변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용변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회전판이 구비되어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휠체어 또는 환자용 침대로 이동이 원활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받침부와, 등받침부에 연결되는 둔부받침부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그 단부에 발받침부가 연결구비되는 다리받침부를 포함하되, 프레임 형상체로 형성되는 침대; 침대의 둔부받침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용변을 해결하는 용변장치; 용변장치에 공급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 용변장치에 구비되되, 급수장치에 공급되는 공급수로 세정하는 세정장치; 다리받침부가 구비되는 침대의 단부에 구비되어 환자를 회동시키는 환자 이동장치; 침대의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안전장치; 및 침대와 용변장치 및 급수장치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용 침대 시스템{Bed system for serious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본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없는 증증 환자 및 치매 환자 등이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환자 스스로 대, 소변 등 용변의 배변활동이 가능하고, 악취 발생없이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용변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동이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 또는 침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요양시설 등에는 홀로 거동이 어려운 노약자, 환자 등이 눕거나,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환자용 침재가 구비된다.
이러한 환자용 침대는 취침, 독서 또는 식사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침대의 등받이가 수직을 향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상체를 일정부분 일으키거나, 침대의 등받이가 수평을 향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상체를 누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를 사용하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본인 스스로 대, 소변 등의 용변을 배변하러 이동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환자용 침대에서 이동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 대, 소변 등의 용변을 배변할 경우,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도움이 요구된다.
이렇게 환자의 용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로 화장실까지 이동하거나, 간이변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침대 하부에 위치시킨 후 환자의 배변 시 간이변기를 사용하여 대, 소변 등 용변을 해결하였으나, 대, 소변 등 용변의 배변 시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도움이 요구되고,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환자의 주변에서 항상 대기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간이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간이변기를 치워야 하는 등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어 중환자 또는 노약자를 이동하기 위한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고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인 스스로 대, 소변 등의 용변을 조절하기 어려운 노약자 또는 중증 환자의 경우, 화장실까지의 이동시간 또는 간이변기의 설치시간을 견디기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속옷 등에 용변을 해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수술 등을 통하여 부분적인 마취 또는 마비 등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대, 소변 등 용변을 처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용변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중요부위를 노출시키는 등 환자가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대, 소변 등의 용변을 배변하고자 할 경우, 간병인 또는 보호자 등에게 환자의 중요 부위를 보여줘야 하며, 이에 따라 환자가 심리적으로 부담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병인 또는 보호자 또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용 기저귀가 제안되어 환자의 대, 소변 등 용변을 위생적으로 처리 및 해결함으로써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불편함 등을 해소 및 해결하여 환자에게 편한함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환자용 기저귀의 사용 후 제거 시 티슈 또는 수건 등으로 환자의 둔부 등에 묻어 있는 용변을 제거해야 하는 등 환자이 자존심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환자용 기저귀의 반복적인 사용 시 환자의 둔부 등 취약한 부분의 피부가 손상됨과 동시에 습진, 욕창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환자용 기저귀가 합성섬유 재질의 1회용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 후 버려지는 환자용 기저귀 등의 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이러한 환자용 기저귀의 폐기 및 소각 시 이산화탄소(CO2)가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용 기저귀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증대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0-005859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1683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환자용 침대에 배변장치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의식이 없는 치매 환자, 항문 괄약근 약화 등의 신체의 병적을 갖는 환자, 중증 환자가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 없이 스스로 대, 소변 등의 용변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용변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회전판이 구비되어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휠체어 또는 환자용 침대로 이동이 원활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중증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 누운 상태로 용변을 해결하거나, 환자용 침대를 의자 형태로 변형한 후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해결할 수 있으며, 흡입장치에서 배변된 용변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용변탱크에 수거하고, 수거된 대, 소변 등은 용변탱크를 탈착하여 용변 제거 후 다시 장착함으로써 용변의 위생적인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악취가 발생되지 않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용변을 위해 환자의 치부 등 중요 부위를 노출시키지 않고 대, 소변 등의 용변을 볼 수 있어 환자의 자존심을 보호함과 동시에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간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 및 해결할 수 있고, 합성섬유 재질로 제조되는 환자용 기저귀 또는 티슈 등의 사용이 필요치 않아 환자의 둔부 등 취약한 부분의 피부를 보호하여 습진, 욕창 등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 및 방지하고, 이로 인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며, 환자용 기저귀 등의 1회용품 사용을 감소시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별도의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받침부와, 등받침부에 연결되는 둔부받침부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그 단부에 발받침부가 연결구비되는 다리받침부를 포함하되, 프레임 형상체로 형성되는 침대; 침대의 둔부받침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용변을 해결하는 용변장치; 용변장치에 공급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 용변장치에 구비되되, 급수장치에 공급되는 공급수로 세정하는 세정장치; 다리받침부가 구비되는 침대의 단부에 구비되어 환자를 회동시키는 환자 이동장치; 침대의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안전장치; 및 침대와 용변장치 및 급수장치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용변장치는 용변을 배변하기 위한 배변기와, 배변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변기 상의 용변을 배출하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밸브 및 밸브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용변을 수거 및 수집하되, 탈부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용변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급수장치는 내부에 공급수가 저장되는 공급수 저장탱크가 구비되되, 공급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급수는 급수 파이프를 통하여 용변장치에 공급된다.
이때, 배변기는 가장자리 내주연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격벽이 구비되어 공급수가 이동하는 공급수이동로가 형성되고, 격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홈이 형성되는 배변본체와, 가장자리 내주연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벽이 형성되는 배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배변본체에 배변커버의 결합 시 배변커버의 내벽이 배변본체의 격벽 내주연에 맞닿도록 결합되되, 격벽의 급수홈이 일정부분 노출되어 급수장치에서 공급수이동로로 공급되는 공급수가 급수홈을 통해 배변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세정장치는 배변기의 배변커버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되, 공급수 저장장치에 저장된 공급수가 공급되는 급수 연결부가 상부에 구비되는 분사본체와, 분사본체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되, 공급되는 공급수의 압력에 의해 상, 하로 수직이동되고, 그 하부에 공급수를 분사하는 분사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환자 이동장치는 발받침부의 중앙에 형성되되, 그 중심부에 베어링결합부가 형성되고, 베어링 결합부의 중심부에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회전홈과, 회전홈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하부면에 결합홈의 핀결합부에 삽입설치되기 위한 결합핀이 돌출형성되는 회전판 및 회전홈의 베어링결합부에 구비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안적으로는, 환자 이동장치는 발받침부의 중앙에 형성되되, 그 하부면 중심부에 톱니기어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톱니기어에 축기어로 연결되되,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감속기의 구동에 의해 축기어에 치합되는 톱니기어가 회전되면서 회전판이 자동으로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받침부가 구비되는 침대 단부에 힌지에 의해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리판이 구비되되, 다리판에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전장치는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프레임 형상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프레임 형상체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설치공을 통하여 내, 외부로 출입하는 지지판과, 프레임 형상체의 외측면에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조절공으로 일정부분 삽입설치되되, 그 일측 단부가 지지판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판의 출입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지판은 쐐기형상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되, 하부판의 단부는 프레임 형상체에 형성되는 설치공의 입구측 하부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판의 단부에 직교되게 절곡형성되는 걸림턱이 연장형성되어 회전 시 설치공의 외부로 지지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조절손잡이부는 하부판의 내측면에 연결구비된다.
한편, 조절손잡이부의 수직방향 조작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공을 통하여 프레임 형상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를 지지하거나, 지지판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공을 통하여 프레임 형상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어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의 지지를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중증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서 별도의 이동 없이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를 취한 후 대, 소변 등의 용변을 용이하게 해결함과 동시에 간병인 또는 가족 등의 도움 및 보조 없이 본인 스스로 배변이 가능하여 편리하고, 이로 인해 간병인 또는 보호자에게 환자 간병 중 가장 곤란한 간병인 환자의 용변처리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환자용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시 본인 스스로가 휠체어에서 환자용 침대로 이동이 용이함과 동시에 환자용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환자를 안아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용변탱크에 저장되는 대, 소변 등의 용변의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변을 위해 환자의 치부 등 중요 부위를 노출시키지 않고 대, 소변 등의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변이 위생적으로 처리됨으로써 악취를 방지하고, 환자를 수치심 또는 자존심을 보호함과 동시에 간병인 또는 간병가족의 불편함을 해소 및 해결할 수 있으며, 환자의 둔부 등 취약한 부분의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습진, 욕창 등의 발생을 예방 및 방지하고, 환자용 기저귀 등이 필요치 않는 등 1회용품의 사용을 감소시켜 경제적일뿐만 아니라, 별도로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아 폐기 및 소각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고령화 시대 및 고령화 사회에서 치매, 와상 장애인, 중증 환자 등 배뇨, 배변 처리에 장애를 갖는 환자들이 용이하게 배변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품적인 가치를 증대 및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용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회전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세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통한 환자가 용변 시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통한 환자의 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회전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용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회전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세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통한 환자가 용변 시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통한 환자의 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회전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침대에서 매트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하에서 매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1)은 침대(10)와 용변장치(30)와 급수장치(50)와 세정장치(60)와 환자 이동장치(70)와 안전장치(9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침대(10)는 환자의 등이 위치하는 등받침부(11)와 상기 등받침부(11)에 연결되어 환자의 둔부가 위치하는 둔부받침부(12) 및 환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다리받침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침대(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형상체(도번 미도시)의 연결로 이루어지며, 이는 일반적인 환자용 침대에 적용되는 주지된 기술 구성이므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는 환자와 맞닿는 부위가 메쉬형태로 이루어지되, 침대(10) 상에서 일정각도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일측 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둔부받침부(12)에 브라켓(미도시)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각 브라켓과 둔부받침부(12)의 각 브라켓에 실린더(미도시)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 시 상기 둔부받침부(12)를 기준으로 상기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가 일정각도로 각도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등받침부(11)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둔부받침부(12)를 기준으로 상방향을 향하여 일정각도로 각도조절되고, 상기 다리받침부(13)는 둔부받침부(12)를 기준으로 하방향을 향하여 일정각도로 각도조절되어 침대(10)가 의자형태로 변환되며, 이러한 각도조절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가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다면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각도조절 구조가 기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다리받침부(13)의 단부에는 환자의 발이 위치하기 위한 발받침부(14)가 구비되되, 상기 발받침부(14)는 그 단부에 구비되는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일정각도 이내에서 회전범위가 제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는 회전 및 회동 시 대략 "ㄴ"자 형태로 동작되며, 상기 침대(10)의 등받침부(11)와 다리받침부(13) 및 발받침부(14)는 일정각도로 각도조절 시 의자형태로 변환된다.
상기 용변장치(30)는 상기 침대(10)의 둔부받침부(12)에 구비되어 환자의 용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변을 배변하기 위한 배변기(31)와 상기 배변기(31)의 하부에 연결되되, 배변기(31) 상의 용변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밸브(33) 및 상기 밸브(33)에 연결되되, 배출되는 용변을 수거 및 수집한 후 저장하기 위한 용변저장탱크(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침대(10)의 둔부받침부(12)에는 상기 배변기(31)가 삽입설치되기 위하여 배변기(31)의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배변홀(미도시)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31)의 하부 중심측에는 배변기(31)의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31a)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배출공(31a)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변 등의 오물은 밸브(33)를 통하여 이동되면서 배출되어 용변저장탱크(35)에 수거 및 수집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배변기(31)는 용변용으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 배변기(3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변덮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배변기(31)의 용변이 용변저장탱크(35)로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33)의 일측에는 손잡이부(37)가 구비되고, 환자 또는 보호자 등이 상기 손잡이부(37)를 파지한 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밸브(33)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밸브(33)는 환자가 배변기(31)를 통하여 용변의 배변 중일 경우에는 폐쇄하고, 배변 완료 시 손잡이부(37)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33)를 개방함으로써 배변기(31) 상의 용변이 자연적으로 낙하되면서 밸브(33)를 통하여 용변저장탱크(35) 내로 수거되며, 상기 용변저장탱크(35)로 용변의 수거가 완료되면 다시 손잡이부(37)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33)를 폐쇄함으로써 용변저장탱크(35)에 수거 및 저장된 용변의 악취가 배변기(31)로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변장치(30)에 구비되는 밸브(33)는 볼 밸브(Ball Valve)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용변장치(30)의 배변기(31)에 대, 소변 등의 용변을 배변한 후 개방에 의해 배변기(31)와 용변저장탱크(35)를 연결하여 배변기(31) 내의 공급수와 용변 등의 오물을 용변저장탱크(35)로 배출시키고, 배출이 완료된 후 배변기(31)와 용변저장탱크(35)의 연결을 폐쇄하여 용변저장탱크(35) 내의 냄새 등 악취가 배변기(31)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변장치(30)에 구비되는 밸브(33)는 볼 밸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변장치(30)의 배변기(31)에 구비되는 밸브(33)가 볼 밸브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배변기(31) 상의 용변 등의 오물을 용변저장탱크(35)로 배출하기 용이하고, 용변의 배출이 완료된 후 용변저장탱크(35)의 밀봉 및 밀폐가 용이하다면, 상기 밸브(33)는 기타 다양한 구조의 밸브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33)가 손잡이부(37)에 의해 수동으로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밸브(33)가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용변장치(30)에 구비되는 배변기(31) 내의 용변이 수거 및 저장되는 용변저장탱크(35)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변저장탱크(35) 내의 수거용량 및 저장용량이 일정수준에 도달할 경우, 간병인 또는 보호자 등이 상기 밸브(33)에 연결되는 용변저장탱크(35)를 제거한 후 제거된 용변저장탱크(35) 내에 수거 및 저장된 용변을 제거 및 세척하고, 용변이 제거 및 세척된 용변저장탱크(35)는 다시 밸브(33)에 설치하여 재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용변저장탱크(35)는 용변장치(30)의 밸브(33)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그 내부에 수거 및 저장된 용변의 제거가 용이하고, 용변의 제거한 다음, 세정 및 세척한 후 다시 설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용변저장탱크(35)의 지속적 및 반복적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변기(31)는 배변본체(38)와 배변커버(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변본체(38)는 그 가장자리 내주연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격벽(38a)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38a)에 의해 배변본체(38)의 내주연과 격벽(38a) 사이에 공급수가 이동하는 공급수이동로(38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38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홈(38c)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변커버(39)는 상기 배변본체(38)의 상부에 결합되되, 그 가장자리 내주연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내벽(39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변커버(39)에 형성되는 내벽(39a)이 상기 배변본체(38)에 형성되는 격벽(38a)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배변커버(39)를 배변본체(38)에 결합 시 급수장치(50)에서 배변본체(38)의 공급수이동로(38b)를 통하여 이동하는 공급수를 배변본체(38)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각 급수홈(38c)이 폐색되지 않도록 상기 배변커버(39)에 형성되는 내벽(39a)의 깊이가 상기 배변본체(38)의 격벽(38a)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배변커버(39)를 상기 배변본체(38)의 상부에 결합 시 상기 배변커버(39)의 내벽(39a)이 상기 배변본체(38)의 격벽(38a) 내주연에 맞닿도록 결합되되, 상기 격벽(38a)에 형성되는 급수홈(38c)이 일정부분 노출되어 상기 급수장치에서 공급수이동로(38b)로 공급되는 공급수가 급수홈(38c)을 통해 배변본체(38)의 내부로 배출 및 공급된다.
상기 급수장치(50)는 상기 용변장치(30)에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급수가 저장되는 공급수 저장탱크(5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급수 저장탱크(51)에 저장되는 공급수는 급수 파이프(52)를 통하여 용변장치(30)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수 저장탱크(51)에 저장되는 공급수를 용변장치(30)로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52)는 상기 배변본체(38)의 공급수이동로(38b)에 연결되어 공급수 저장탱크(51)의 공급수를 배변본체(38) 내로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급수장치(50)의 공급수 저장탱크(51)에 저장된 공급수가 급수 파이프(52)를 통하여 배변기(31)의 배변본체(38)에 형성되는 공급수이동로(38b)로 공급되고, 상기 배변본체(38)의 공급수이동로(38b)로 공급되는 공급수는 격벽(38a)에 형성되는 각 급수홈(38c)을 통하여 배변본체(38)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공급수 저장탱크(51)에서 배변기(31)의 배변본체(38) 내부로 공급되는 공급수는 용변장치(30)의 밸브(33) 폐쇄 시 배변본체(38) 내에 저장되고, 밸브(33)의 개방 시 대, 소변 등의 용변과 함께 배변본체(38)에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공(31a) 및 밸브(33)를 통하여 용변저장탱크(35)로 수거 및 저장된다.
한편, 상기 급수장치(50)의 공급수 저장탱크(51)에 저장된 공급수를 용변장치(30)의 배변기(31)에 형성되는 공급수이동로(38b)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장치(50)에는 공급수 공급펌프(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장치(50)의 공급수 저장탱크(51)에는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덮개(51a)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수 저장탱크(51)에 공급수의 공급 및 완료 시 덮개(51a)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급수장치(50)의 공급수 저장탱크(51)에 공급수의 공급 및 충전 시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 등이 물을 채워넣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정길이의 파이프(미도시)를 통하여 일반적인 수도전에 연결하고, 수도전을 통하여 상기 공급수 저장탱크(51)에 공급수를 공급 및 충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변기(31)의 배변커버(39)의 하부면 일측에 세정장치(60)가 구비되어 용변의 배변 후 환자의 특정부위를 세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변기(31)를 통하여 환자가 용변을 배변한 후 환자의 특정부위를 세정하기 위하여 배변커버(39)의 하부면 가장자리 일측에 공급수를 분사하는 세정장치(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장치(60)는 상기 배변커버(39)의 하부면에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는 분사본체(61)와 상기 분사본체(61) 상에서 상, 하로 이동되는 분사노즐(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사본체(61)의 상부에는 상기 급수장치(50)의 공급수 저장장치(51)에 세정 파이프(58)로 연결되어 공급수를 공급받는 급수 연결부(61a)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63)의 단부측에는 공급되는 공급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공(63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급수장치(50)의 공급수 저장장치(51)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급수는 세정장치(60)의 분사본체(61) 상에 형성되는 급수 연결부(61a)로 공급되고, 상기 급수 연결부(61a)로 공급되는 공급수는 분사본체(61)를 통하여 분사노즐(63)로 공급되되, 공급수의 압력에 의해 분사본체(61) 상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분사노즐(63)에 형성되는 분사공(63a)을 통하여 분사된다.
이렇게 상기 세정장치(60)의 분사노즐(63)에 형성되는 분사공(53a)을 통하여 분사되는 공급수로 환자의 특정부위에 세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정장치(60)가 세정 파이프(58)로 급수장치(50)의 공급수 저장장치(51)에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공급수 저장장치(51)에서 용변장치(30)로 공급수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52)를 분기형성하여 상기 세정장치(60)에 공급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세정장치(60)의 분사노즐(63)에서 분사되는 공급수로 환자의 세정뿐만 아니라, 배변기(31)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급수장치(50) 내에 히팅(Heating)장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공급수 저장탱크(51)에 저장된 공급수를 가열하여 일정온도로 유지하고, 일정온도로 가열된 공급수를 세정 파이프(58)를 통해 세정장치(60)로 공급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환자 이동장치(70)는 상기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에 구비되는 발받침부(14)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71a)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전홈(71) 및 상기 회전홈(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홈(71)에 삽입결합된 회전판(73)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홈(71)과 회전판(73) 사이에는 볼 베어링(74)이 개재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홈(71)의 중심부에는 볼 베어링(74)이 설치되어 고정되기 위한 베어링결합부(71b)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73)의 하부면 중심부에 결합핀(73a)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결합부(71b)의 중심에 상기 결합핀(73a)이 결합되기 위한 핀결합부(71c)가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홈(71)과 회전판(73) 사이에 볼 베어링(74)이 구비됨으로써 회전판(73)의 회전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회전홈(71)에 회전판(73)의 삽입설치 시 상기 회전홈(71)의 베어링결합부(71b)에 볼 베어링(74)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결합부(71b)의 중심에 형성되는 핀결합부(71c)에 그 하부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결합을 삽입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73)은 상기 회전홈(71)에 삽입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회전판(73)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회전홈(71)의 가장자리(71a) 내주연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렇게, 상기 발받침부(14)에 형성되는 회전홈(71)에 회전판(7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동이 어려워 휠체어(3)를 이용하는 환자의 이동이 용이해진다.
즉, 상기 침대(10)에 누워있는 환자가 휠체어(3)측으로 이동할 경우, 휠체어(3)를 침대(10)의 발받침부(14)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다리받침부(13)의 발받침부(14)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73) 상에 환자의 발을 위치시키고, 침대(10)의 좌, 우 측면 프레임(미도시)을 손으로 파지한 후 몸을 180°로 회전시켜 환자의 둔부가 침대(10)에서 휠체어(3)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휠체어(3)에 착석하여 이동한다.
이렇게 침대(10)에 누워있는 환자가 환자 이동장치(70)를 통하여 휠체어(3)로 스스로 이동함으로써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부축 및 도움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휠체어(3)를 이용한 환자가 다시 침대(10)로 이동할 경우, 먼저 휠체어(3)를 침대(10)의 발받침부(14)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다리받침부(13)의 발받침부(14)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73) 상에 환자의 발을 위치시키고, 침대(10)의 좌, 우 측면 프레임을 손으로 파지한 후 몸을 180°로 회전시켜 환자의 둔부가 휠체어(3)에서 침대(10)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침대(10)에 착석하거나 눕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침대(10)에서 휠체어(3)로 이동하거나, 상기 휠체어(3)에서 침대(10)로 이동 시 환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침대(10)의 양 측에 구비되는 머리판(미도시) 및 다리판(75) 중 침대(10)의 발받침부(14)측에 위치하는 다리판(75)은 개, 폐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침대(10)에 누워있는 환자가 휠체어(3)측으로 이동하거나, 휠체어(3)를 이용하는 환자가 침대(10)측으로 이동할 경우, 환자의 발이 회전판(73) 상에 위치하기 위하여 휠체어(3)가 침대(10)의 발받침부(14)측으로 일정부분 인입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침대(10)에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리판(7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침대(10)의 발받침부(14)측에 위치하되,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다리판(75)과 침대(10)를 구성하는 프레임 형상체(미도시)에는 잠금장치(도번 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일반적인 고리((83) 및 후크(84)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리(83)는 침대(10)의 프레임 형상체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84)는 다리판(75)의 개방단에 구비되며, 상기 침대(10)에서 다리판(75)의 개방 시 고리(83)에 결합된 후크(84)를 해제한 후 다리판(75)을 개폐하고, 상기 침대(10)에 다리판(75)의 폐쇄 시 고리(83)에 후크(84)를 결합하여 다리판(75)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침대(10)와 다리판(75)에 고리(83)와 후크(84)로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장금장치의 구조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발받침부(14)가 위치하는 침대(10)의 단부측에 다리판(75)이 개, 폐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휠체어(3)의 이용 시 침대(10)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83)에서 후크(84)의 잠금을 해제한 후 다리판(75)을 개방시키고, 상기 휠체어(3)를 침대(10)의 발받침부(14)측으로 일정부분 인입되게 위치시킨 다음, 회전판(73)을 이용하여 침대(10)에서 휠체어(3)로 이동하고, 침대(10)의 이용 시 다리판(75)을 개방시킨 후 휠체어(3)를 침대(10)의 발받침부(14)측으로 일정부분 인입되게 위치시킨 다음, 회전판(73)을 이용하여 휠체어(3)에서 침대(10)로 이동하는 등 환자 스스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발받침부(14)가 위치하는 침대(10)의 단부측은 휠체어(3)가 일정부분 인입되도록 개방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받침부(14)가 위치하는 침대(10)의 단부에 다리판(75)이 힌지(미도시)로 개, 폐가능하게 연결되되, 어느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다리판(75)이 침대(10)의 단부 양 측에 힌지로 개, 폐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2도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다리판(75)의 개폐구조는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자 이동장치(70)에 볼 베어링(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73) 상에 환자가 발을 위치시키고, 침대(10)의 좌, 우 측면 프레임 형상체를 손으로 파지한 후 환자 스스로 몸을 180°로 회전시켜 환자의 둔부가 휠체어(3) 또는 침대(10)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휠체어(3) 또는 침대(10)에 눕거나 착석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환자 이동장치(70')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환자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73')이 감속기(76)에 웜기어 형태로 연결 및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73')이 자동으로 회전되어 환자 스스로 몸을 180°로 회전시키기 어려운 중증 환자의 이동을 돕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73')의 하부에는 톱니기어(73'a)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기어(73'a)는 감속기(76)에 연결되는 축기어(76a)에 치합되며, 상기 감속기(76)의 동작에 의해 일정 속도 또는 속도를 가감하면서 회전판(73')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환자 이동장치(70')의 회전판(73') 상에 환자의 발을 위치시키고, 감속기(76)를 조작하여 회전판(73')을 회전시켜 환자의 둔부가 휠체어(3) 또는 침대(10)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휠체어(3) 또는 침대(10)에 눕거나 착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속기(76)는 제어부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조작패널(81)의 조작에 의해 동작 및 속도가 가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조작부(미도시)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환자,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조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자 이동장치(70')의 회전판(73')이 웜기어 형태로 감속기(76)에 연결되어 일정 속도 또는 속도를 가감하여 180°로 자동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회전판(73')이 자동으로 회전되기 용이하다면 상기 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안전장치(90)는 상기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프레임 형상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판(91)과 상기 지지판(91)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손잡이부(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91)은 상기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프레임 형상체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설치공(17)을 통하여 내, 외부로 출입하고, 상기 조절손잡이부(95)는 상기 프레임 형상체의 외측면에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조절공(18)으로 일정부분 삽입설치되되, 삽입설치되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판(91)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공(17) 상에서 지지판(91)의 출입을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판(91)은 상부판(91a)과 하부판(91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판(91a)과 하부판(91b)은 쐐기형상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판(91b)의 단부는 프레임 형상체에 형성되는 설치공(17)의 입구측에 힌지부(92)로 연결되어 상기 설치공(17)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91a)의 단부에는 직교되게 절곡형성되는 걸림턱(91c)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지판(91)의 회전 시 걸림턱(91c)이 설치공(17)의 내측 상부면에 맞닿아 지지판(9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조절손잡이부(95)는 상기 지지판(91)의 하부판(91b) 내측면에 그 일측 단부가 연결되되, 그 타측 단부는 상기 설치공(17)의 외부로 일정부분 노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조절손잡이부(95)를 수직방향으로 조작하되, 조절손잡이부(95)를 상방향으로 조작할 경우, 상부판(91a)과 하부판(91b)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91)이 힌지부(9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공(17)을 통하여 프레임 형상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를 지지하고, 조절손잡이부(95)를 하방향으로 조작할 경우, 상부판(91a)과 하부판(91b)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91)이 힌지부(9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공(17)을 통하여 프레임 형상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어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 지지를 해제한다.
즉, 상기 조작패널(81)을 조작하여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를 의자형태로 변환 시 먼저, 상기 조절손잡이부(95)를 하방향으로 조작하여 상부판(91a)과 하부판(91b)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91)을 힌지부(9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설치공(17)의 외부로 노출 및 돌출된 지지판(91)을 프레임 형상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시켜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 지지를 해제하고, 상기 조작패널(81)을 조작하여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시켜 침대형태로 변환 후 상기 조절손잡이부(95)를 상방향으로 조작하여 상부판(91a)과 하부판(91b)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91)을 힌지부(9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설치공(17)의 내부에 인입된 지지판(91)을 프레임 형상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 및 돌출시켜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의자형태로 변환된 침대(10)가 침대형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할 경우, 상기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가 지지판(91)을 가압하면서 하부판(91b)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판(91)이 힌지부(9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공(17)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전장치(90)는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 양 측에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침대(10)의 등받침부(11), 다리받침부(13) 및 발받침부(14)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용변장치(30)의 밸브(37) 동작, 급수장치(50) 및 세정장치(60)의 급수 공급, 환자 이동장치의 감속기를 제어하는 등 상기 환자용 침대 시스템(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침대(10)의 좌, 우 측면 프레임에 구비되는 조작패널(81)에 유선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작패널(81)의 키패드 조작에 의해 침대(10), 용변장치(30), 급수장치(50) 및 세정장치(6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침대(10)의 좌, 우 측면 프레임에 구비되는 조작패널(81)에 유선상으로 연결되고, 조작패널(81)의 키패드 조작에 의해 침대(10), 용변장치(30) 및 급수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제어부가 리모컨(Remote Controller)에 무선으로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제어부가 리모컨에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으로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통한 환자의 용변 시 동작과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1)의 침대(10)에서 생활하는 거동 및 이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중증 환자가 제어부(미도시)에 유선상으로 연결되는 조작패널(81)의 키패드를 조작 및 제어하여 침대(10) 등받침부(11)의 경사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다리받침부(13)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조작패널(81)의 조작 시 제어부(미도시)에서 침대(10)에 구비되는 각각의 실린더(미도시)를 제어하여 등받이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이렇게 상기 침대(10)의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침대(10)를 의자형태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침대(10)가 의자형태로 변환될 경우, 침대(10)에 누워있는 환자 또한 의자에 앉은 형태의 동작으로 변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침대(10)가 의자형태로 변환시키고, 환자가 의자형태로 변환된 침대(10)에 앉는 동작을 취한 후 둔부받침부(12)에 구비되는 용변장치(30)의 배변기(31)에 용변을 배변한다.
이때, 상기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 연결부위의 프레임 형상체에 구비되는 조절손잡이부(95)를 하방향으로 조작하여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가 위치하는 침대(10)의 프레임 형상체의 설치공(17)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 및 돌출되는 지지판(91)을 설치공(17)의 내부로 인입시켜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 연결부위의 지지를 해제한 후 침대(10)를 의자형태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환자가 용변을 해결하기 위하여 침대(10)의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각도를 조절하여 의자형태로 변환시킬 경우, 상기 용변장치(30)의 배변기(31) 상에 구비되는 배변덮개(미도시)는 미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변기(31) 시 용변이 배변기(31)의 내측면에 부착 및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작패널(81)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상기 공급수 저장장치(51)에서 급수 파이프(52)로 연결되는 배변기(31)의 배변본체(38) 내 격벽(38a)에 의해 형성되는 공급수이동로(38b)로 공급수를 공급하고, 상기 격벽(38a)에 형성되는 급수홈(38c)을 통하여 공급받은 일정량의 공급수를 배변본체(38) 내부에 충진한 후 용변을 배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렇게 상기 공급수이동로(38b)로 공급된 후 격벽(38a)에 형성되는 급수홈(38c)을 통하여 분사되어 일정량의 공급수가 충진 및 저장된 배변기(31)에 환자가 용변을 해결한 후 환자가 배변기(31)의 하부에 구비되는 밸브(33)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7)를 파지한 다음, 수동으로 상기 손잡이부(37)를 회전시켜 밸브(33)를 개방하고, 개방된 밸브(33)를 통하여 공급수와 대, 소변 등의 용변을 용변저장탱크(35)로 배출 및 수거한다.
한편, 상기 밸브(33)를 개방하여 용변 등의 오물을 용변저장탱크(35)로 배출 및 수거한 후 다시 손잡이부(37)를 파지한 다음, 회전시켜 밸브(33)를 폐쇄함으로써 용변저장탱크(35)에 배출 및 수거된 용변의 악취가 배변기(3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변저장탱크(35)의 냄새 발생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상기 배변기(31)의 배변커버(39) 하부면에 구비되는 세정장치(60)의 분사노즐(63)을 통하여 환자의 특정부위를 세정한다. 즉, 상기 공급수 저장장치(51)에서 세정 파이프(58)에 급수 연결부(61a)로 연결되되, 배변커버(39)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세정장치(60)의 분사본체(61)로 공급수가 공급되고, 공급수의 압력에 의해 분사본체(61)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는 분사노즐(63)이 하부를 향하여 수직이동된 후 상기 분사노즐(63)에 형성되는 분사공(63a)을 통하여 공급수가 분사되어 환자의 특정부위를 세정한다.
한편, 상기 용변저장탱크(35) 내에 수거 및 수집된 후 저장되는 용변 등의 오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 상기 용변장치(30)에서 용변저장탱크(35)를 분리한 후 상기 용변저장탱크(35) 내에 수거 및 수집된 오물을 제거 및 배출하고, 오물이 제거 및 배출된 용변저장탱크(35)는 세정 및 세척한 후 다시 용변장치(30)에 설치하여 재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1)을 통하여 노약자 또는 중증 환자가 용변을 수시로 해결하기 위하여 노약자 또는 중증 환자는 둔부 또는 항문 부위가 개방 및 노출되는 속옷 또는 환자복을 착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반적인 속옷 또는 환자복을 착복한 후 용변의 해결 시 탈의하는 것도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통한 환자의 이동과정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1)의 침대(10)에서 생활하는 거동 및 이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중증 환자가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조작패널(81)의 키패드를 조작 및 제어하여 침대(10)의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의자형태로 변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침대(10)의 등받침부(11) 및 다리받침부(13)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침대(10)를 의자형태로 변환함과 동시에 노약자 또는 환자가 앉은 자세를 취한다.
이때, 상기 다리판(75)과 침대(10)의 프레임 형상체에 구비되되, 고리(83) 및 후크(84)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미도시)를 해제하여 침대(10)의 단부에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다리판(75)을 개방한 후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휠체어(3)를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의 발받침부(14)측으로 일정부분 인입되게 위치시킨다.
이렇게 상기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측으로 일정부분 인입되게 휠체어(3)를 준비 및 위치시킨 다음,, 의자형태로 변환된 침대(10)에 앉은 자세를 취한 환자가 본인의 발을 다리받침부(13)의 발받침부(14) 중앙에 구비되는 회전판(73) 상에 위치시키고, 침대(10)의 좌, 우 측면 프레임 형상체(미도시)를 양 손으로 파지하면서 직립한 후 몸을 회전시켜 회전홈(71) 상에 볼 베어링(74)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73)을 180°로 회전시킨다.
즉, 환자의 둔부가 침대(10)에서 휠체어(3)를 향하도록 환자가 몸을 회전하여 위치시킨 후 휠체어(3)의 좌석에 환자가 착석한 다음,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환자용 침대 시스템(1)의 침대(10)에서 생활하는 환자가 환자 이동장치(70)를 통하여 침대(10)에서 휠체어(3)로의 이동이 본인 스스로 가능해짐으로써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도움이 요구되지 않는 등 환자의 이동이 간편용이하다.
한편, 휠체어(3)의 이용이 완료된 후 다시 침대(10)로 이동할 경우, 휠체어(3)를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의 발받침부(14)측으로 일정부분 인입되게 위치시키고, 환자가 본인의 발을 다리받침부(13)의 발받침부(14) 중앙에 구비되는 회전판(73) 상에 위치시키고, 침대(10)의 좌, 우 측면 프레임(미도시)을 양 손으로 파지하면서 직립한 후 몸을 회전시켜 회전판(73)을 180°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환자의 둔부가 휠체어(3)에서 침대(10)를 향하도록 환자가 몸을 회전하여 위치시킨 후 침대(10)에 눕거나, 착석한다.
이때에도, 상기 침대(10) 단부에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다리판(75)의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상기 다리판(75)을 개방한 후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휠체어(3)를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의 발받침부(14)측을 향하여 일정부분 인입되게 위치시킴으로써 환자가 휠체어(3)에서 침대(10)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휠체어(3)에서 침대(10)로 이동 후 의자형태의 침대(10)를 침대형태로 변환한 다음, 상기 침대(10)의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 연결부위의 프레임 형상체에 구비되는 조절손잡이부(95)를 상방향으로 조작하여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가 위치하는 침대(10)의 프레임 형상체에 형성되는 설치공(17) 내부에 인입된 지지판(91)을 프레임 형상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 및 돌출시켜 다리받침부(13)와 발받침부(14)의 연결부위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침대(10)에서 휠체어(3)로 이동이 불가하거나, 상기 휠체어(3)에서 침대(10)로의 이동이 불가하여 간병인의 보조가 요구되는 중증 환자의 경우,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감속기(76)에 웜기어 형태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회전하는 회전판(73') 상에 환자의 발을 위치시킨 후 환자 또는 간병인이 감속기(76)를 동작시켜 회전판(7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면서 몸을 180°로 회전시켜 환자의 둔부가 휠체어(3) 또는 침대(10)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휠체어(3) 또는 침대(10)에 착석하거나, 눕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중증 환자가 회전판(73') 상에 발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직립된 자세를 취할 필요 없이 앉은 자세 등 편한 자세를 취한 후 환자 또는 간병인이 감속기(76)를 동작시켜 상기 감속기(76)에 연결되는 축기어(76a)를 회전시키고, 상기 축기어(76a)에 회전가능하게 치합되는 톱니기어(73'a)를 회전시켜 상기 톱니기어(73'a)에 연결되는 회전판(73')을 자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환자 스스로 몸을 180°로 회전시키기 어려운 중증 환자의 둔부를 휠체어방향 또는 침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휠체어(3) 또는 침대(10)에 착석하거나 눕게할 수 있다.
이때, 환자 또는 간병인이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회전판(73')에 연결되는 감속기(76)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회전판(73')을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호사, 보호자 또는 간병인의 간호 및 보조가 요구되는 중증 환자의 경우, 환자를 회전판(73')에 위치시킨 후 조작부 또는 스위치 등의 간편한 조작으로 환자를 휠체어방향 또는 침대방향으로 자동 회전시킴으로써 환자를 부축 및 보조하는 간호사, 보호자 또는 간병인의 부담을 감소 및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환자용 침대 시스템, 3 : 휠체어,
10 : 침대, 11 : 등받침부,
12 : 둔부받침부, 13 : 다리받침부,
14 : 발받침부, 17 : 설치공,
18 : 조절공, 30 : 용변장치,
31 : 배변기, 31a : 배출공,
33 : 밸브, 35 : 용변저장탱크,
37 : 손잡이부, 38 : 배변본체,
38a : 격벽, 38b : 공급수이동로,
38c : 급수홈, 39 : 배변커머,
39a : 내벽, 50 : 급수장치,
51 : 공급수 저장장치, 51a : 덮개,
52 : 급수 파이프, 53 : 급수튜브,
54 : 급수공, 57 : 세척노즐,
58 : 세정 파이프, 60 : 세정장치,
61 : 급수본체, 61a : 급수 연결부,
63 : 분사노즐, 63a : 분사공,
70, 70' : 환자 이동장치, 71 : 회전홈,
71a : 가장자리, 71b : 베어링결합부,
71c : 핀결합부, 73, 73' : 회전판,
73a : 결합핀, 73'a : 톱니기어,
74 : 볼 베어링, 75 : 다리판,
76 : 감속기, 76a : 축기어,
81 : 조작패널, 83 : 고리,
84 : 후크, 90 : 안전장치,
91 : 지지판, 91a : 상부판,
91b : 하부판, 91c : 걸림턱,
92 : 힌지부, 95 : 조절손잡이부.

Claims (11)

  1.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받침부와, 상기 등받침부에 연결되는 둔부받침부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그 단부에 발받침부가 연결구비되는 다리받침부를 포함하되, 프레임 형상체로 형성되는 침대;
    상기 침대의 둔부받침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용변을 해결하는 용변장치;
    상기 용변장치에 공급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용변장치에 구비되되, 급수장치에 공급되는 공급수로 세정하는 세정장치;
    상기 다리받침부가 구비되는 침대의 단부에 구비되어 환자를 회동시키는 환자 이동장치;
    상기 침대의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안전장치; 및
    상기 침대와 용변장치 및 급수장치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변장치는 용변을 배변하기 위한 배변기와, 상기 배변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변기 상의 용변을 배출하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용변을 수거 및 수집하되, 탈부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용변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내부에 공급수가 저장되는 공급수 저장탱크가 구비되되, 상기 공급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급수는 급수 파이프를 통하여 용변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4. 청구항 2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가장자리 내주연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격벽이 구비되어 공급수가 이동하는 공급수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홈이 형성되는 배변본체와, 가장자리 내주연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벽이 형성되는 배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변본체에 배변커버의 결합 시 상기 배변커버의 내벽이 상기 배변본체의 격벽 내주연에 맞닿도록 결합되되, 상기 격벽의 급수홈이 일정부분 노출되어 상기 급수장치에서 공급수이동로로 공급되는 공급수가 급수홈을 통해 배변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정장치는 배변기의 배변커버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공급수 저장장치에 저장된 공급수가 공급되는 급수 연결부가 상부에 구비되는 분사본체와, 상기 분사본체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되, 공급되는 공급수의 압력에 의해 상, 하로 수직이동되고, 그 하부에 공급수를 분사하는 분사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 이동장치는 상기 발받침부의 중앙에 형성되되, 그 중심부에 베어링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결합부의 중심부에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하부면에 결합홈의 핀결합부에 삽입설치되기 위한 결합핀이 돌출형성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홈의 베어링결합부에 구비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 이동장치는 상기 발받침부의 중앙에 형성되되, 그 하부면 중심부에 톱니기어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톱니기어에 축기어로 연결되되,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의 구동에 의해 축기어에 치합되는 톱니기어가 회전되면서 회전판이 자동으로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8.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부가 구비되는 침대 단부에 힌지에 의해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리판이 구비되되, 상기 다리판에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프레임 형상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 형상체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설치공을 통하여 내, 외부로 출입하는 지지판과, 상기 프레임 형상체의 외측면에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조절공으로 일정부분 삽입설치되되,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출입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쐐기형상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판의 단부는 프레임 형상체에 형성되는 설치공의 입구측 하부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판의 단부에 직교되게 절곡형성되는 걸림턱이 연장형성되어 회전 시 설치공의 외부로 지지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조절손잡이부는 상기 하부판의 내측면에 연결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절손잡이부의 수직방향 조작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공을 통하여 프레임 형상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를 지지하거나, 상기 지지판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공을 통하여 프레임 형상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어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의 연결부위의 지지를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20140078063A 2014-06-25 2014-06-25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159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63A KR101592963B1 (ko) 2014-06-25 2014-06-25 환자용 침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63A KR101592963B1 (ko) 2014-06-25 2014-06-25 환자용 침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54A KR20160000654A (ko) 2016-01-05
KR101592963B1 true KR101592963B1 (ko) 2016-02-11

Family

ID=5516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063A KR101592963B1 (ko) 2014-06-25 2014-06-25 환자용 침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535A (ko) 2021-02-04 2022-08-11 박찬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KR20240016125A (ko) 2022-07-28 2024-02-06 임승재 요양 환자용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268B1 (ko) * 2017-03-09 2019-04-29 주식회사 마더스핸즈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CN110051482B (zh) * 2019-05-21 2024-01-12 营口春港康复辅助器具科技有限公司 一种二便自动打包盥洗护理床
KR102091146B1 (ko) * 2019-06-25 2020-03-19 송영수 회전식 배출구를 구비한 비데침대
CN111053662A (zh) * 2019-12-16 2020-04-24 上海健安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医疗床坐便器用随动排污设备
CN111449872A (zh) * 2020-02-21 2020-07-28 北方民族大学 用于重症患者及瘫痪患者的护理床
KR102314802B1 (ko) * 2021-06-28 2021-10-20 (주)엘티 환자용 비데침대
CN113829365B (zh) * 2021-09-27 2024-03-22 复旦大学 一种辅助清洁机构及护理机器人系统
CN114601651B (zh) * 2022-04-02 2023-06-06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重症监护用的清洁护理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398A (ja) 2000-03-27 2001-12-11 Shinsei:Kk ベッド
JP2002000665A (ja) 2000-06-26 2002-01-08 Manabu Kodaira 車椅子とベッドとの間の患者移乗方法及び装置
KR200345560Y1 (ko) 2003-12-31 2004-03-25 유지영 환자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175A (ja) * 1992-03-06 1993-09-24 Daiyamondo Bed Kk 介護ベッド
KR0168326B1 (ko) 1994-09-01 1999-01-15 스미요 가나이 환자용 침대에 조립된 배설장치
KR20000058591A (ko)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398A (ja) 2000-03-27 2001-12-11 Shinsei:Kk ベッド
JP2002000665A (ja) 2000-06-26 2002-01-08 Manabu Kodaira 車椅子とベッドとの間の患者移乗方法及び装置
KR200345560Y1 (ko) 2003-12-31 2004-03-25 유지영 환자용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535A (ko) 2021-02-04 2022-08-11 박찬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KR20240016125A (ko) 2022-07-28 2024-02-06 임승재 요양 환자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54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963B1 (ko)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1949268B1 (ko)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JP2016022371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RU2342112C1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варианты)
US11089923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RU2483701C2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варианты)
US11596279B2 (en) Swivel commode chair
US5241712A (en) Invalid toliet seat
JP5550663B2 (ja) 身体障害患者のための支持ユニット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JP3209782U (ja) 介護用ベッド
CN217744859U (zh) 一种具有自动护理如厕功能的护理床
KR20080101508A (ko) 환자용 침대
JP3183626B2 (ja) 介護用ベット
EP2213271A1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washing of a bedridden person
KR102110052B1 (ko) 와상 환자용 자동 배변장치
JPH08150180A (ja) 局部洗浄槽付ベッド
KR10260687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US9422705B2 (en) Movable flushable toilet bowl
JPH1014814A (ja) ポータブルトイレ自動収納装置
KR200359358Y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US20180353363A1 (en) Maryed healthcare solution bed
JP2000288035A (ja) 排便排尿全自動便器及びカプセル装置付寝台
JP2022032351A (ja) オムツ交換用椅子
WO2023037148A1 (en) Two-part bedpan equipped with systems for patient cleansing, smell-collector, aroma-diffuser, seat massaging and seat wa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