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560Y1 -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560Y1
KR200345560Y1 KR20-2003-0040837U KR20030040837U KR200345560Y1 KR 200345560 Y1 KR200345560 Y1 KR 200345560Y1 KR 20030040837 U KR20030040837 U KR 20030040837U KR 200345560 Y1 KR200345560 Y1 KR 200345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fixed
backrest
patien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영
Original Assignee
유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영 filed Critical 유지영
Priority to KR20-2003-0040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사를 하거나 앉아서 일을 볼 때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침대는, 사각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하부에 바퀴가 고정된 다수개의 다리가 고정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매트리스가 고정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하면서 몸체에 고정되는 등받이고정힌지를 중심으로 등받이작동수단에 의해서 몸체의 상부로 상승되는 등받이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등받이부의 일측에는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받침부가 몸체의 중간에 형성되고, 등받이부와 연결되는 엉덩이받침부의 반대쪽에는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면서 몸체에 고정되는 다리받침고정힌지를 중심으로 다리받침작동수단에 의해서 몸체의 하부로 하강되는 다리받침부가 형성되며, 엉덩이받침부와 연결되는 다리받침부의 반대쪽에는 다리받침부에 발받침고정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발받침부가 고정되고, 발받침부의 단부에는 발받침부가 하강할 때 발받침부를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보조다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용 침대{A patient bed}
본 고안은 몸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사를 하거나 앉아서 일을 볼 때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환자용 침대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이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하부에 바퀴가 고정된 다리의 상부에 일정한 크기의 매트리스를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환자의 편의성을 위해 등받이와 다리가 놓여지는 다리받침부가 상부로 상승되도록 형성하여 환자가 침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자용 침대는 등받이와 다리받침부가 모두 상부로만 상승되기 때문에 TV를 시청하거나, 침대에서 밥을 먹을 때 또는 배변을 할 때는 침대에서 앉은 자세로 있어야 하지만 환자가 침대에서 앉기 위해서는 등받이를 상승시켜 등받이를 수직인 상태로 고정하고 환자가 등받이이 등을 기댄 상태에서 다리는 곧게 뻗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식사를 하거나 배변을 할 때 불편한 문제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환자의 다리를 편안하게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환자가 앉아서 편리하게 볼일을 볼 수 있어 간병인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침대는, 사각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하부에 바퀴가 고정된 다수개의 다리가 고정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매트리스가 고정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하면서 몸체에 고정되는 등받이고정힌지를 중심으로 등받이작동수단에 의해서 몸체의 상부로 상승되는 등받이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등받이부의 일측에는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받침부가 몸체의 중간에 형성되고, 등받이부와 연결되는 엉덩이받침부의 반대쪽에는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면서 몸체에 고정되는 다리받침고정힌지를 중심으로 다리받침작동수단에 의해서 몸체의 하부로 하강되는 다리받침부가 형성되며, 엉덩이받침부와 연결되는 다리받침부의 반대쪽에는 다리받침부에 발받침고정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발받침부가 고정되고, 발받침부의 단부에는 발받침부가 하강할 때 발받침부를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보조다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작동수단에 의해서 등받이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작동수단에 의해서 등받이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리받침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리받침작동수단에 의해서 다리받침부가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리받침작동수단에 의해서 다리받침부가 하강될 때 발받침부의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으면서 꺾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리받침작동수단에 의해서 다리받침부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부와 다리받침부가 작동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게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지지다리
120 : 바퀴 200 : 등받이부
210 : 등받이고정힌지 220 : 등받이작동수단
221, 421 : 동력발생부재 222 : 회전축
223 : 연결대 300 : 엉덩이받침부
310 : 배변구 400 : 다리받침부
410 : 다리받침고정힌지 420 : 다리받침작동수단
430 : 돌출편 500 : 발받침부
510 : 보조다리 520 : 돌출부
530 : 발받침고정힌지 600 : 비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일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100)와 단부에 바퀴(120)가 형성되어 몸체(100)의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지지다리(110)로 형성된다.
하부에 다수개의 지지다리(110)가 고정되면서 지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몸체(100)의 안쪽 일측에는 몸체(100)에 등받이고정힌지(210)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등받이부(200)를 형성한다.
몸체(100)의 안쪽 일측에서 등받이고정힌지(210)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등받이부(2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고정힌지(210)를 몸체(100)의 단부쪽에 형성하지 않고 안쪽에 형성하여 몸체(100)와 근접되는 등받이부(200)의 단부가 등받이고정힌지(2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등받이부(200)의 일측이 상승되면서 등받이부(200)가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100)의 안쪽에서 등받이고정힌지(2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등받이부(200)는 몸체(100)의 안쪽 하부에 형성되는 등받이작동수단(220)에 의해서 몸체(100)의 상부로 상승되게 형성한다.
몸체(100)에 고정되어 등받이부(200)를 상승시키는 등받이작동수단(220)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인 모터로 형성되는 동력발생부재(221)를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동력발생부재(221)의 단부는 몸체에서 회전되는 회전축(222)에 고정하여 동력발생부재(221)에 의해서 회전축(222)이 회전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발생부재(221)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222)은연결대(223)로 등받이부(200)를 몸체(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등받이고정힌지(210)와 연결하여 등받이작동수단(220)의 동력발생부재(221)가 회전축(222)을 회전시키면 회전축(222)과 연결대(223)로 연결된 등받이고정힌지(210)가 회전하면서 등받이부(200)의 일측을 몸체(100)의 상부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등받이작동수단(220)을 전기적인 모터로 형성하여 등받이부(200)의 일측이 상승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수동으로 등받이부(200)가 이동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작동수단(220)에 의해 몸체(100)에서 일측 단부가 상승되게 고정되는 등받이부(200)의 일측에는 몸체(100)에 중간에 고정되는 엉덩이받침부(300)를 형성한다.
몸체(100)의 중간에 고정되는 엉덩이받침부(300)는 등받이부(200)가 등받이작동수단(220)에 의해서 상승되면서 환자가 등받이부(200)에 기대어 앉을 때 환자의 엉덩이부분을 지지하면서 환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등받이부(200)의 등받이고정힌지(210)가 고정되는 쪽에 형성한다.
등받이부(200)의 일측에서 몸체(100)에 고정되어 환자의 엉덩이부분을 지지하는 엉덩이받침부(300)의 중앙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환자가 배변할 수 있는 배변구(310)를 형성하며, 배변구(310)의 하부에는 비데(600)를 형성하여 환자가 항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엉덩이받침부(300)의 등받이부(200)가 형성되는 반대쪽에는 환자의 다리가 놓여지는 다리받침부(400)를 형성한다.
엉덩이받침부(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환자의 다리가 놓여지는 다리받침부(4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받침부(300) 쪽에 다리받침고정힌지(410)로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다리받침고정힌지(410)로 엉덩이받침부(300)의 일측에서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리받침부(400)의 하부에는 도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다리받침부(400)에 연결되어 다리받침고정힌지(410)가 고정되는 다리받침부(400)의 반대쪽을 몸체(100)의 하부로 하강시키는 다리받침작동수단(420)을 형성한다.
다리받침부(400)의 일측을 몸체(100)의 하부로 하강시키는 다리받침작동수단(420)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안쪽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력발생부재(421)를 형성하고, 다리받침부(400)의 하부에는 돌출편(430)을 돌출시켜 동력발생부재(421)와 연결하여 전기적인 모터로 형성되는 동력발생부재(421)의 작동에 의해서 다리받침부(400)가 다리받침고정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몸체(100)의 하부로 하강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다리받침작동수단(420)을 전기적인 모터로 형성하여 다리받침부(400)의 일측이 하강되도록 형성하였지만, 모터에 연결되며 표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이송축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수동으로 다리받침부(400)가 이동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부(200)가 형성되는 엉덩이받침부(300)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다리받침부(400)의 일측에는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받침부(500)를 형성한다.
엉덩이받침부(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리받침부(400)의 엉덩이받침부(300) 반대쪽에 형성되는 발받침부(500)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받침부(400)의 일측단부에 발받침고정힌지(530)로 다리받침부(4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다리받침부(400)에 발받침고정힌지(530)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발받침부(500)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받침고정힌지(530)를 중심으로 다리받침부(400) 쪽으로 돌출부(520)를 형성하여 돌출부(520)가 다리받침부(40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며, 발받침고정힌지(530)로 다리받침부(400)와 고정되는 반대쪽에는 발받침부(500)를 지면에서 지지하는 보조다리(51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다리받침부(400)에 발받침고정힌지(530)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발받침부(500)는 발받침고정힌지(530)에서 다리받침부(400) 쪽으로 돌출부(520)를 형성하여 발받침부(500)의 돌출부(520)가 다리받침부(400)의 하부에놓여지면서 돌출부(520)가 형성되는 반대쪽 방향의 발받침부(500)가 무게에 의해서 하부로 회전되면서 하강되는 것이 방지되며, 발받침부(500)가 다리받침부(400)와 함께 하강하면서 발받침부(500)에 형성된 보조다리(510)가 지면에 닿으면 발받침부(500)가 발받침고정힌지(5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다리받침부(400)와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일반 환자용 침대와 같이 몸체(100)의 상부에서 환자가 누워서 생활한다.
누워서 생활하는 중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배변을 하기 위해서 앉을 때는 몸체(100)에서 등받이부(200)의 일측을 상승시키면서 다리받침부(400)의 일측으로 몸체(100)의 하부로 하강시킨다.
등받이부(200)의 일측을 상승시킬 때는 몸체(100)에 고정된 등받이작동수단(220)의 동력발생부재(221)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222)을 회전시킨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작동수단(220)의 동력발생부재(221)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222)을 회전시키면 등받이부(200)를 몸체(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등받이고정힌지(210)가 회전축(222)과 연결된 연결대(223)에 회전하면서 등받이고정힌지(210)가 고정된 반대쪽 등받이부(200)가 회전하면서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부(200)가 상승될 때 다리받침부(400)는 몸체(100)의 안쪽에 형성된 다리받침작동수단(420)의 동력발생부재(421)에도 전원이 공급되면서 다리받침부(40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편(430)이 당겨지면서 다리받침부(400)가 몸체(100)에 고정된 다리받침고정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한다.
다리받침부(400)가 다리받침작동수단(420)에 의해서 하강할 때 다리받침부(400)의 일측에 형성된 발받침부(500)도 다리받침부(400)와 함께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다리받침부(400)와 함께 하강하는 발받침부(500)는 다리받침부(400)와 고정되는 발받침고정힌지(530)를 중심으로 무게에 의해서 회전되려는 힘이 있지만 발받침부(50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20)가 다리받침부(400)의 안쪽에서 지지되면서 발받침부(500)는 다리받침부(400)와 수평을 이루면서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발받침부(500)가 다리받침부(400)와 함께 하강하면서 다리받침부(400)와 연결되는 반대쪽 발받침부(500)에 형성되는 보조다리(510)가 지면에 닿으면 발받침부(500)가 다리받침부(400)에 고정된 발받침고정힌지(53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발받침부(500)가 보조다리(510)에 의해서 지면에 지지되면서다리받침부(400)가 계속 다리받침작동수단(420)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받침부(400)는 지면과 수직으로 고정되고, 발받침부(500)는 다리받침부(400)에서 발받침고정힌지(5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보조다리(510)에 의해서 지면과 수평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부(200)와 다리받침부(400)가 회전하면서 이동될 때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받침부(300)는 몸체(10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200)와 다리받침부(400)가 이동되어도 환자는 엉덩이받침부(300)에 의해서 지지된다.
발받침부(500)가 보조다리(510)에 의해서 지면과 수평으로 고정되면서 다리받침부(400)는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환자가 다리를 몸체(100)의 아래쪽으로 내릴 수 있게 되므로 등받이부(200)가 상승되도 환자가 의자에 앉는 것처럼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부(200)의 일측은 상승되고 다리받침부(400)의 일측은 하강되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게 되면 TV를 시청하거나 공지된 바와 같이 몸체(100)에 식탁을 고정하여 식사를 한다.
또한, 환자가 배변을 할 때는 엉덩이받침부(300)에 형성된 배변구(310)를 통해 배변을 하고 비데(600)를 이용하여 환자의 음부를 닦아준다.
앉은 자세에서 다시 눕고싶을 때는 등받이부(200)와 다리받침부(400)에 형성된 등받이작동수단(220)과 다리받침작동수단(420)을 작동시켜 등받이부(200)와 다리받침부(400)를 몸체(100)에서 회전시킨다.
등받이작동수단(220)으로 등받이부(200)를 하강시킬 때는 몸체에 고정된 등받이작동수단(220)의 동력발생부재(221)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222)을 회전시킨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작동수단(220)의 동력발생부재(221)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222)을 회전시키면 등받이부(200)를 몸체(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등받이고정힌지(210)가 회전축(222)과 연결된 연결대(223)에 회전하면서 등받이고정힌지(210)가 고정된 반대쪽 등받이부(200)가 회전하면서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부(200)가 하강될 때 다리받침부(400)는 몸체(100)의 안쪽에 형성된 다리받침작동수단(420)의 동력발생부재(421)에도 전원이 공급되면서 다리받침부(40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편(430)이 동력발생부재(421)에 의해서 밀리면서 다리받침부(400)가 몸체(100)에 고정된 다리받침고정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다리받침부(400)가 다리받침작동수단(420)의 동력발생부재(421)에 의해서 상승할 때 다리받침부(400)의 일측에 형성된 발받침부(500)는 보조다리(510)에 의해서 일측으로 밀린다.
상기와 같이 다리받침부(400)가 상승하면서 발받침부(500)는 보조다리(510)에 의해서 밀리면서 발받침부(500)가 다리받침부(400)에서 발받침고정힌지(53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발받침부(500)가 보조다리(510)에 의해서 밀리면서 다리받침고정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리받침부(400)와 일직선이 되면서 발받침부(500)의 돌출부(520)가 다리받침부(400)의 하부에 밀착되면 다리받침부(400)와 발받침부(50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다리받침부(400)와 함께 발받침부(500)가 함께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발받침부(500)가 다리받침부(400)와 함께 상승하는 이유는 다리받침부(400)와 연결된 발받침고정힌지(530)를 중심으로 발받침부(500)의 무게에 의해서 발받침부(500)가 회전하려고 하지만 발받침부(500)의 돌출부(520)가 다리받침부(400)의 하부에 놓여지면서 회전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발받침부(500)가 다리받침부(400)와 수평을 이루면서 상승되면서 등받이부(200)와 다리받침부(400) 및 발받침부(500)가 몸체(100)와 수평으로 고정되어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환자가 앉을 때 등받이는 상승시키면서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를 하강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침대에서 편리하게 앉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다리가 고정되는 부분을 다리받침부와 발받침부로 형성하여 환자가 발로 발받침부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환자가 앉아서 편리하게 식사를 하거나 배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6)

  1. 사각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하부에 바퀴가 고정된 다수개의 지지다리가 고정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매트리스가 고정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하면서 몸체에 고정되는 등받이고정힌지를 중심으로 등받이작동수단에 의해서 몸체의 상부로 상승되는 등받이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등받이부의 일측에는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받침부가 몸체의 중간에 형성되고, 등받이부와 연결되는 엉덩이받침부의 반대쪽에는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면서 몸체에 고정되는 다리받침고정힌지를 중심으로 다리받침작동수단에 의해서 몸체의 하부로 하강되는 다리받침부가 형성되며, 엉덩이받침부와 연결되는 다리받침부의 반대쪽에는 다리받침부에 발받침고정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발받침부가 고정되고, 발받침부의 단부에는 발받침부가 하강할 때 발받침부를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보조다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작동부재는,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회전축과 등받이를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등받이고정힌지에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력을 등받이고정힌지에 전달하는 연결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침작동수단은, 다리받침부의 하부에 돌출편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돌출편에는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서 돌출편을 밀거나 당기는 동력발생부재를 형성하여 다리받침부가 동력발생부재에 의해서 다리받침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4. 제 2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재는 전기적인 모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환자용 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부의 발받침고정힌지를 중심으로 다리받침부와 연결되는 방향에는 돌출부를 다리받침부의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다리받침부가 다리받침작동수단에 의해서 이동될 때 돌출부에 의해서 발받침부가 지지되면서 다리받침부와 수평으로 형성되고, 발받침부가 하강하면서 발받침부에 형성된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으면 발받침부가 발받침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중앙에는 배변구를 형성하고, 배변구의 하부에는 비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KR20-2003-0040837U 2003-12-31 2003-12-31 환자용 침대 KR200345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37U KR200345560Y1 (ko) 2003-12-31 2003-12-31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37U KR200345560Y1 (ko) 2003-12-31 2003-12-31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560Y1 true KR200345560Y1 (ko) 2004-03-25

Family

ID=4942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837U KR200345560Y1 (ko) 2003-12-31 2003-12-31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5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342B1 (ko) 2004-06-28 2006-09-14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각도 조절을 위한 프레임 구조
KR101104399B1 (ko) * 2009-10-21 2012-01-16 이대훈 접이식 침대
KR20160000654A (ko) * 2014-06-25 2016-01-05 박찬호 환자용 침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342B1 (ko) 2004-06-28 2006-09-14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각도 조절을 위한 프레임 구조
KR101104399B1 (ko) * 2009-10-21 2012-01-16 이대훈 접이식 침대
KR20160000654A (ko) * 2014-06-25 2016-01-05 박찬호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1592963B1 (ko) 2014-06-25 2016-02-11 박찬호 환자용 침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20284A (ja) 多機能車いす
CN108836674A (zh) 一种多功能电动护理床
US8876138B2 (en) Height adjustable wheelchair seat
CN110801356A (zh) 一种具有腿部支撑的多功能病床
CN209075234U (zh) 一种多功能电动护理床
JP4410845B2 (ja) ポ−タブルトイレ用フレ−ム
KR200345560Y1 (ko) 환자용 침대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JP2000279454A (ja) 自助介護用ベッド装置
KR101278222B1 (ko) 리프트 휠체어
JP4586038B2 (ja) 療養用ベッド
JP2002052048A (ja) シャワートイレ付介護ベッド
KR200336152Y1 (ko) 휠체어
JP2003175084A (ja) 介護用ベッド
JPH11226060A (ja) 介護支援用寝台
CN220608526U (zh) 自解小便的椅子
CN220423556U (zh) 一种用于居家安宁疗护的便利床
CN211512399U (zh) 一种全电动护理床
JP2004016370A (ja) 介護用ベッド
CN102772284A (zh) 多功能护理床
TWM369745U (en) Toilet with temperature and lifting controller
CN220404317U (zh) 一种病患提升转移设备
JPH11299838A (ja) 寝たきり状態者の介護支援用機器
CN219614269U (zh) 一种移位助行一体组合装置
CN213962570U (zh) 一种哺乳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