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399B1 - 접이식 침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399B1
KR101104399B1 KR1020090100435A KR20090100435A KR101104399B1 KR 101104399 B1 KR101104399 B1 KR 101104399B1 KR 1020090100435 A KR1020090100435 A KR 1020090100435A KR 20090100435 A KR20090100435 A KR 20090100435A KR 101104399 B1 KR101104399 B1 KR 10110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set
folded
b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357A (ko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이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102009010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3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로 분할 구성되는 접이식 침대의 상부프레임 세트를 제1실린더와 연결 설치된 제1절곡로드를 통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면서, 하측 중간프레임 세트 및 이와 힌지부로서 연결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세트를 제2 실린더와 연결 설치된 제2 절곡로드를 통해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자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허리 및 다리등과 같은 상,하 운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설치된 제3 및 제4 실린더 및 이와 연결 설치된 제3 및 제4 절곡로드를 통하여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면부를 각각 원하는 각도만큼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측면 자체를 좌측 및 우측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근육병 환자의 몸을 좌,우측으로 뒤집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근육병 환자의 신체 근육 운동을 환자가 온돌방등에 설치된 침대 프레임의 상측 라텍스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상기 침대 프레임을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한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접이식 침대(100)의 상부에 상부프레임 세트(110) 및 제1 및 제2 중간프레임 세트(130)(130'), 하부프레임 세트(140)가 각각 힌지부(120)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하측으로 제1 및 제2 실린더(160)(170)의 로드부(160')(170')가 제1 및 제2 절곡로드(190)(200)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절곡로드(190)의 단부는 상부프레임 세트(110)를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절곡로드(200)는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210')을 개재하여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대(230)를 개재하여 제3 및 제4 실린더(240)(25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실린더(240)(250)의 로드부(240')(250') 단부에는 제3 및 제4 절곡로드(270)(280)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절곡로드(270)(280)의 단부는 상부프레임 세트(110) 및 중간프레임 세트(130)(130') 하부에 각각 횡설되는 회전축(290)을 개재하여 접이식 침대의 양측 프레임의 측면부가 각각 일정각도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접이식 침대, 프레임, 제1 및 제2 실린더, 제3 및 제4 실린더, 절곡로드

Description

접이식 침대{A Foldable Type Bed}
본 발명은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다수개로 분할 구성되는 접이식 침대의 상부프레임 세트를 제1실린더와 연결 설치된 제1절곡로드를 통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면서, 하측 중간프레임 세트 및 이와 힌지부로서 연결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세트를 제2 실린더와 연결 설치된 제2 절곡로드를 통해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자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허리 및 다리등과 같은 상,하 운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설치된 제3 및 제4 실린더 및 이와 연결 설치된 제3 및 제4 절곡로드를 통하여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면부를 각각 원하는 각도만큼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측면 자체를 좌측 및 우측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근육병 환자의 몸을 좌,우측으로 뒤집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근육병 환자의 신체 근육 운동을 환자가 온돌방등에 설치된 침대 프레임의 상측 라텍스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상기 침대 프레임을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한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루게릭 병 등과 같은 신체의 장애를 가져와서 모든 일상 생활을 타인에게 의지하게 되는 만성적 질병인 근육병 환자의 경우, 침대에 누워서 타인이 일으켜 않히거나,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환자의 몸을 뒤집는 동작에 의해 가까스로 근육 운동을 수행하여 하는 관계로,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자체를 전후 및 좌우측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접었다 펼 수 있는 접이식 침대가 절실하게 요망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받침프레임에 설치된 회전 프레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받침프레임이 일정각도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접이식 침대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356761호에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단 양측 및 후면 중앙에 각각 캐스터(11)가 장착된 받침다리(12)가 후방에 설치되고, 내부 후방에 다단 회전프레임(13)이 설치되는 제1받침프레임(10)과, 역시 받침다리(22)가 양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받침프레임(20)이 힌지 연결판(31)을 통해 힌지 결합토록 중간프레임(30)이 연결 설치되고, 이때 상기 제1받침프레임(10)과 중간프레임(30) 사이 및 제2받침프레임(20)과 중간프레임(30) 사이의 내부에 인장스프링(40)이 탄설된 후, 상기 제1받침프레임(10)의 상측에는 제1쿠션패드(50) 및 제2쿠션패드(60)가 순차로 적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접이식 침대의 양 받침프레임(10)(20) 및 쿠션패드(50)(60)를 수평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제1받침프레임(10)에 설치된 회전 프레임(13)을 작동시킬 경우, 힌지 연결판(31)을 개재하여 상기 제1받침프레임(10)이 일정각도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와 일체로 제1쿠션패드(50)의 후방부 및 사용자의 상체가 일체로 일정각도로 들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접이식 침대는, 단순히 제1받침프레임(10)에 설치된 회전 프레임(1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받침프레임(10)이 일정각도 들어 올려지는 동작과, 상기 힌지 결합되는 중간프레임(30)을 기준으로 제1받침프레임(10)과 제2받침프레임(20)을 접어서 보관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같은 근육병 환자의 경우에는, 여전히 침대에 누워서 타인이 일으켜 앉히거나,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환자의 몸을 뒤집는 동작에 의해 가까스로 근육 운동을 수행하여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측으로 쿠션이 설치되는 접이식 침대의 상부에 상부프레임 세트 및 그 일측 단부에 중간프레임 세트과 하부프레임 세트가 힌지부를 개재하여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중간프레임 세트의 하측에는 지지대를 개재하여 제1실린더 및 제2 실린더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엇갈려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로드부 단부에는 양측으로 제1 및 제2 절곡로드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절곡로드의 단부는 상부프레임 세트의 하측에 횡설되는 회전축을 개재하여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절곡로드의 단부는 중간프레임 세트 하측에 횡설되는 회전축을 개재하여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 세트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대를 개재하여 제3 및 제4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프레임의 로드부 단부에는 힌지축을 개재하여 제3 및 제4 절곡로드 및 그 단부에는 하부 및 중간프레임 세트 하부에 각각 횡설되는 회전축을 개재하여 프레임의 측면부가 각각 일정각도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됨으로써, 다수개로 분할 구성되는 접이식 침대의 상부프레임 세트를 제1실린더와 연결 설치된 제1절곡로드를 통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면서, 하측 중간프레임 세트 및 이와 힌지부로서 연결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세트를 제2 실린더와 연결 설치된 제2 절곡로드를 통해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자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허리 및 다리등과 같은 상,하 운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설치된 제3 및 제4 실린더 및 이와 연결 설치된 제3 및 제4 절곡로드를 통하여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면부를 각각 원하는 각도만큼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측면 자체를 좌측 및 우측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근육병 환자의 몸을 좌,우측으로 뒤집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근육병 환자의 신체 근육 운동을 환자가 온돌방등에 설치된 침대 프레임의 상측 라텍스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상기 침대 프레임을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접이식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접이식 침대에 있어서,
상측으로 쿠션이 설치되는 접이식 침대의 상부에 상부프레임 세트가 힌지부를 개재하여 3개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의 일측에는 3개씩 2줄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중간프레임 세트가 힌지부를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중간프레임 세트의 후단에는 하부프레임 세트가 각각 힌지부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중간프레임 세트의 하측 중앙에는 지지대를 개재하여 제1실린더 및 제2 실린더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엇갈려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로드부 단부에는 힌지축을 개재하여 양측으로 제1 및 제2 절곡로드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절곡로드의 단부는 상부프레임 세트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을 개재하여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절곡로드의 단부는 중간프레임 세트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을 개재하여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 세트와 연결 설치되는 중간프레임 세트의 힌지부 하측에는 하부프레임 세트의 처짐을 방지토록 걸림턱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 세트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대를 개재하여 제3 및 제4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프레임의 로드부 단부에는 힌지축을 개재하여 제3 및 제4 절곡로드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절곡로드의 단부는 하부 및 중간프레임 세트 하부에 각각 횡설되는 회전축을 개재하여 프레임의 측면부가 각각 일정각도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와 중간프레임 세트, 하부프레임 세트가 각각 접힘 가능토록 설치되는 힌지부 일측에는, 상기 각 프레임의 수평방향 고정을 위한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이식 침대는, 상측으로 다수의 통기성층을 갖는 라텍스 매트리스가 설치되어 온돌방에 설치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에 의하면, 다수개로 분할 구성되는 접이식 침대의 상부프레임 세트를 제1실린더와 연결 설치된 제1절곡로드를 통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면서, 하측 중간프레임 세트 및 이와 힌지부로서 연결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세트를 제2 실린더와 연결 설치된 제2 절곡로드를 통해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자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허리 및 다리등과 같은 상,하 운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설치된 제3 및 제4 실린더 및 이와 연결 설치된 제3 및 제4 절곡로드를 통하여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면부를 각각 원하는 각도만큼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측면 자체를 좌측 및 우측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근육병 환자의 몸을 좌,우측으로 뒤집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근육병 환자의 신체 근육 운동을 환자가 온돌방등에 설치된 침대 프레임의 상측 라텍스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상기 침대 프레임을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하측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실린더 및 이와 연결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절곡로드의 설치상태 평면 구조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인 접이식 침대의 상부프레임 세트 및 하부프레임 세트의 접힘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측면부가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측면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측으로 쿠션이 설치되는 접이식 침대(100)의 상부에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중간 및 하부 프레임 세트 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상부프레임 세트(110)가 힌지부(120)를 개재하여 3개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일측에는 3개씩 2줄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중간프레임 세트(130)(130')가 힌지부(120)를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후단에는 하부프레임 세트(140)가 각각 힌지부(120)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하측 중앙에는 지지대(150)를 개재하여 제1실린더(160) 및 제2실린더(170)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엇갈려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160)(170)의 로드부(160')(170') 단부에는 힌지축(180)을 개재하여 양측으로 제1 및 제2 절곡로드(190)(200)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절곡로드(190)의 단부는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210)을 개재하여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절곡로드(200)의 단부는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210')을 개재하여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 세트(140)와 연결 설치되는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힌지부(120) 하측에는 하부프레임 세트(140)가 하측 방향으로 처짐을 방지토록 걸림턱(220)이 설치토록 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대(230)를 개재하여 제3 및 제4 실린더(240)(25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실린더(240)(250)의 로드부(240')(250') 단부에는 힌지축(260)을 개재하여 제3 및 제4 절곡로드(270)(280)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절곡로드(270)(280)의 단부는 상부프레임 세트(110) 및 중간프레임 세트(130)(130') 하부에 각각 횡설되는 회전축(290)을 개재하여 접이식 침대의 양측 프레임의 측면부가 각각 일정각도 접힘 가능토록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110)와 제1 및 제2 중간프레임 세트(130)(130'), 하부프레임 세트(140)가 각각 접힘 가능토록 설치되는 힌지부(120) 일측에는, 상기 각 프레임이 하측 방향으로 접힘을 방지되면서 수평방향 고정을 위한 걸림턱(300)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접이식 침대(100)는, 상측으로 다수의 통기성층을 갖는 라텍스 매트리스가 설치되어 온돌방에 설치토록 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측으로 쿠션이 설치되는 접이식 침대(100)의 상부 및 하부는 물론, 좌측면 및 우측면을 자유롭게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근육병 환자의 몸을 좌,우측으로 뒤집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경우, 상기 접이식 침대(100)의 상부에 상부프레임 세트(110)가 힌지부(120)를 개재하여 3개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일측에는 3개씩 2줄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중간프레임 세트(130)(130')와, 상기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후단에 하부프레임 세트(140)가 각각 힌지부(120)를 개재하여 상호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토록 된다.
이때, 상기 제1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하측 중앙에는 지지대(150)를 개재하여 서로 엇갈려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실린더(160) 및 제2실린더(170)는, 전원과 연결 설치된 리모콘등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실린더(160) 및 제2실린더(170)를 각각 작동시킬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160)(170)의 전방에 연결 설치된 각각의 로드부(160')(170')가 전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각각의 로드부(160')(170') 단부에 힌지축(180)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절곡로드(190)(200)의 단부가 각각 승강 작동을 수행하며, 바로 이때 상기 제1절곡로드(190)의 단부는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210)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110)를 90도 이상의 각도로 접혀주게 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긴 상부프레임 세트에는 환자가 등을 기대고 상체를 일으킬 수 있는 형상이 된다.
또한, 상기 제2절곡로드(200)의 단부는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210')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가 일정각도 경사지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고, 상기 하부프레임 세트(140)와 연결 설치되는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의 힌지부(120) 하측에는 걸림턱(220)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세트(14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상기 걸림턱(220)에 의하여 하부프레임 세트(140)와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가 이루는 각도는 자연스럽게 환자의 무릎을 굽힌 상태와 같다.
따라서, 접이식 침대(100)에 누워있는 근육병 환자는,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접힘 동작과 일체로 90도 이상의 각도로 허리를 접혀주게 되며, 또한 상기 근육병 환자의 다리부가 제2중간프레임 세트(130')의 접힘 동작에 의해, 일체로 접혀지게 되어, 상체 및 하체 근육운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대(230)를 개재하여 제3 및 제4 실린더(240)(250)가 각각 설치되는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 설치된 리모콘등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3 및 제4 실린더(240)(250)의 작동시킬 경우, 도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3 및 제4 실린더(240)(250) 전방에 연결 설치된 로드부(240')(250')가 전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각각의 로드부(240')(250') 단부에 힌지축(260)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3 및 제4 절곡로드(270)(280)의 단부가 각각 승강 작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3 및 제4 절곡로드(270)(280)의 단부는 상부프레임 세트(110) 및 중간프레임 세트(130)(130') 하부에 각각 횡설되는 회전축(290)과 연결 설치되어, 접이식 침대의 상부 및 중간, 하부프레임 세트의 양측 측면부를 선택적으로 각각 일정각도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접이식 침대(100)에 누워있는 근육병 환자는, 상부 및 중간, 하부프레임 세트의 양측 측면부가 선택적으로 각각 일정각도 접혀지는 동작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뒤척여 주는 근육운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 세트(110)와 제1 및 제2 중간프레임 세트(130)(130'), 하부프레임 세트(140)가 각각 접힘 가능토록 설치되는 힌지부(120)는, 그 일측으로 수평방향 고정을 위해 설치된 걸림턱(300)에 의해, 상기 각 프레임이 하측 방향으로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린더(240) 작동시 상기 상중하 프레임(110)(130)(130')(140) 세트 중 중간 프레임 열(列)(C) 및 좌측 프레임 열(列)(L)이 승하강하게 된다.
같은 원리로 상기 제4실린더(250) 작동시 상기 상중하 프레임(110)(130)(130')(140) 세트 중 중간 프레임 열(列)(C) 및 우측 프레임 열(列)(R)이 승하강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린더(240) 작동시 우측 프레임 열(列)(R)이 동반상승하며, 같은 원리로 상기 제4실린더(250) 작동시에는 좌측 프레임 열(列)(L)이 동반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근육병 환자의 신체 근육 운동을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전후 및 좌우 접힘 및 펴짐 동작에 의해 손쉽고,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접이식 침대(100)의 상측에는, 다수의 통기성층을 갖는 라텍스 매트리스가 설치되어 온돌방에 설치토록 됨으로써, 근육병 환자는 가일층 편안한 상태에서 몸을 좌,우측으로 뒤집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접이 침대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이 침대 프레임 상측으로 쿠션패드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하측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실린더 및 이와 연결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절곡로드의 설치상태 평면 구조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인 접이식 침대의 상부프레임 세트 및 하부프레임 세트의 접힘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측면부가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측면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접이식 침대 110...상부프레임 세트
120...힌지부 130,130'...제1 및 제2 중간프레임 세트
140...하부프레임 세트 150...지지대
160...제1실린더 170...제2 실린더
160',170'...로드부 180...힌지축
190,200...제1 및 제2 절곡로드 210,210'...회전축
220...걸림턱 230...지지대
240,250...제3 및 제4 실린더 240',250'...로드부
260...힌지축 270,280...제3 및 제4 절곡로드
290...회전축 300...걸림턱

Claims (3)

  1. 상측으로 쿠션이 설치되고 힌지부(120)를 각각 갖는 좌중우(左中右) 3개의 상부프레임 세트(110);
    상기 각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일측에 좌중우 3개씩 2줄로 배치되고 힌지부(120)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 설치된 제1 및 제2 중간프레임(130)(130') 세트;
    상기 각 제2중간프레임(130')의 후단에 배열되고 힌지부(120)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 설치되는 좌중우 3개의 하부프레임 세트(140);
    상부프레임 세트(110)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210)과 단부가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제1절곡로드(190), 힌지축(180)을 개재하여 상기 제1절곡로드(190)와 연결된 로드부(160')를 갖는 제1실린더(160);
    하부프레임 세트(140)의 하부 양측에 횡설되는 회전축(210')과 단부가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제2절곡로드(200), 힌지축(180)을 개재하여 상기 제2절곡로드(200)와 연결된 로드부(170')를 갖고, 제1실린더(160)와 엇갈려 설치된 제2실린더(170); 및
    상기 상중하 프레임 세트(110)(130)(130')(140) 중 중간 프레임 열(列)(C) 하부에 횡설된 회전축(290)을 개재하여 연결된 제3 및 제4 절곡로드(270)(280)와, 상기 제3 및 제4 절곡로드(270)(280)와 힌지축(260)을 개재하여 연결된 로드부(240')(250')를 갖는 제3 및 제4 실린더(240)(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실린더(240) 작동시 상기 상중하 프레임 세트(110)(130)(130')(140) 중 중간 프레임 열(列)(C) 및 좌측 프레임 열(列)(L)이 승하강하고,
    상기 제4실린더(250) 작동시 상기 상중하 프레임 세트(110)(130)(130')(140) 중 중간 프레임 열(列)(C) 및 우측 프레임 열(列)(R)이 승하강하며,
    상기 제3실린더(240) 또는 상기 제4실린더(250) 작동시 우측 프레임 열(列)(R) 또는 좌측 프레임 열(列)(L)이 동반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실린더(240) 또는 상기 제4실린더(250) 작동시 중간 프레임 열(列)(C) 및 좌측 프레임 열(列)(L) 또는 중간 프레임 열(列)(C) 및 우측 프레임 열(列)(R)의 연동 상승을 위하여
    상부프레임 세트(110)와 제1 및 제2 중간프레임 세트(130)(130'), 하부프레임 세트(140)가 각각 접힘 가능토록 설치되는 힌지부(120) 일측에는
    좌우 프레임 열(L)(R)이 하측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평방향 고정을 위한 걸림턱(30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세트(140)와 연결 설치되는 제2 중간 프레임(130')의 힌지부(120) 하측에는 하부 프레임(140)의 하측 방 처짐을 방지토록 걸림턱(22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KR1020090100435A 2009-10-21 2009-10-21 접이식 침대 KR10110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35A KR101104399B1 (ko) 2009-10-21 2009-10-21 접이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35A KR101104399B1 (ko) 2009-10-21 2009-10-21 접이식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357A KR20110043357A (ko) 2011-04-27
KR101104399B1 true KR101104399B1 (ko) 2012-01-16

Family

ID=4404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435A KR101104399B1 (ko) 2009-10-21 2009-10-21 접이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54B1 (ko) 2016-10-12 2018-07-24 이대훈 접이식 침대
KR102393823B1 (ko) * 2020-03-03 2022-05-04 (주)옵토닉스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KR102519950B1 (ko) * 2020-09-29 2023-04-11 (주)굿플 의료용 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969Y1 (ko) * 1992-12-31 1995-10-18 영 펭 홍 다기능 자동 병상
KR20030045560A (ko) * 2001-12-04 2003-06-11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섭동구조
KR20030093698A (ko) * 2002-06-05 2003-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물탱크의 물띠 생성을 방지하는 정수기
KR200345560Y1 (ko) * 2003-12-31 2004-03-25 유지영 환자용 침대
KR200393698Y1 (ko) * 2005-06-09 2005-08-30 이경복 온열을 투과하며 밀리지 않는 라텍스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969Y1 (ko) * 1992-12-31 1995-10-18 영 펭 홍 다기능 자동 병상
KR20030045560A (ko) * 2001-12-04 2003-06-11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섭동구조
KR20030093698A (ko) * 2002-06-05 2003-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물탱크의 물띠 생성을 방지하는 정수기
KR200345560Y1 (ko) * 2003-12-31 2004-03-25 유지영 환자용 침대
KR200393698Y1 (ko) * 2005-06-09 2005-08-30 이경복 온열을 투과하며 밀리지 않는 라텍스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357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6119B (zh) 轮椅以及组合床
JP2013545542A (ja) 医療用電動折り畳みベッド
JP6755477B2 (ja) ベッド装置
KR101104399B1 (ko) 접이식 침대
KR101216395B1 (ko) 접이식 침대
JP6797576B2 (ja) 電動ベッド
CN105266429B (zh) 躺椅以及具有该躺椅的按摩机
WO2012169871A1 (en) Mattress with adjustable structure
JP5138081B1 (ja) マットレス
JP4255112B2 (ja) 背上げ可能なベッド
KR101459661B1 (ko)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CN209595194U (zh) 电动辅助休闲起身椅
KR100700114B1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CN202136511U (zh) 具有五自由度支撑结构的护理床
JP3610451B2 (ja) ベッド
CN106821636B (zh)
JP6694730B2 (ja) 介護用補助器具
JP2009207559A (ja) ソファー兼用ベッド
JP2009039288A (ja) ベッド
CN109008361A (zh) 电动辅助休闲起身椅
CN219000941U (zh) 一种方便收纳的护理床
JP7472370B2 (ja) 寝台装置
JP7025516B2 (ja) 寝台装置
JP7000509B2 (ja) 寝台装置
EP1989969A1 (en) A bed base with/ without a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