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950B1 -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950B1
KR102519950B1 KR1020200127569A KR20200127569A KR102519950B1 KR 102519950 B1 KR102519950 B1 KR 102519950B1 KR 1020200127569 A KR1020200127569 A KR 1020200127569A KR 20200127569 A KR20200127569 A KR 20200127569A KR 102519950 B1 KR102519950 B1 KR 10251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motor
support
cylind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4064A (ko
Inventor
정치성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주)굿플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플,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주)굿플
Priority to KR102020012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9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6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61G7/0521Anti-pinching means to avoid injuries to body parts when moving side-rails or mattress supports, e.g. gap and grid covers, side-rail parts with special shape or electronic means for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 그리고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양 측에 위치되는 낙하 방지부를 가지는 매트리스;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에 결합되어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복수의 제1 실린더 모터; 낙하 방지부에 결합되어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양 측에서 낙하 방지부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복수의 제2 실린더 모터; 및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로부터 구동 전류를 감지하여 구동 전류의 이상 유무를 바탕으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에 대한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구동 전류의 이상 감지시 외부에 경고를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MEDICAL BED}
본 발명은, 매트리스(mattress) 상에 환자가 오랜 시간 동안 위치되는 때, 매트리스 상에서 환자의 신체에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매트리스의 변위를 적절하게 조절시키는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령화 인구의 가속화에 따른 요양 치료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차종에 대한 자가 운전 선호에 따은 교통 사고의 증가로 인하여 병원에 장기 환자수의 급증으로 연계되어서, 의료용 침대는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환자에 의해 기구적인 자세(姿勢)변환을 쉽게 해주고 환자의 체위(體位)에 적절히 반응하므로 병원에 장기간 입원하여 욕창을 걱정해야 하는 환자에게 선호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욕창(bedsore decubitus)은 병원 또는 가정에서 오랫동안의 부동자세로 인해 의료용 침대 또는 방바닥 상에서 신체 한 부위에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아 그 부위에 혈액순환 장애에 따른 산소와 영양의 공급부족으로 압력을 받는 부위의 피부, 피하지방, 근육의 허혈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부손상, 즉 궤양을 일컫는다.
한편, 상기 환자는 의료용 침대의 매트리스(mattress)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리프트(lift) 기구를 사용하여 매트리스 아래에 위치되는 프레임(frame)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매트리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에어 백(air bag) 또는 에어 펌프를 사용하여 매트리스를 팽창 또는 수축시켜 자신의 체위 변환을 통해 욕창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의료용 침대는 환자가 불시(不時)에 매트리스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거나 환자가 장기 입원으로 치료 조건 또는 건강 상태에 따라 매트리스에 대해 간헐적으로 불편함을 느낄 때 환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이지 않게 조절되는 기구적인 자세를 취한다.
상기 의료용 침대의 기구 자세는 환자의 신장과 체중을 고려함 없이 환자와 간호사와 의사에 따라 입원 경험과 돌봄 경험과 치료 경험과 같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환자의 체위를 다양하게 변경시킨다. 따라서, 상기 의료용 침대의 기구 자세는 환자의 심리적 상태와 관계없이 간호사 또는 의사에 의해 빈번하게 교정된다.
한편, 상기 의료용 침대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8724호에도 종래기술로써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8724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가 매트리스(mattress)에 대해 불편함을 느낄 때, 환자의 신장과 체중을 고려하고 환자와 간호사와 의사에 따라 입원 경험과 돌봄 경험과 치료 경험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매트리스 상에서 환자의 체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그리고 일관되게 배드의 기구적인 자세를 조절시키는데 적합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에 접촉되는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 그리고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 주변에서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양 측에 위치되는 낙하 방지부를 가지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에서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복수의 제1 실린더 모터; 상기 매트리스에서 상기 낙하 방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양 측에서 상기 낙하 방지부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복수의 제2 실린더 모터; 및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로부터 구동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 전류의 이상 유무를 바탕으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에 대한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상기 구동 전류의 이상 감지시 외부에 경고를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 보다 더 높은 이상 구동 전류를 감지시,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를 동일 레벨에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사이의 힌지 주위로 개별적으로 회전 절곡되고,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매트리스와 힌지 결합하는 안전 날개를 가지고,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해 상기 안전 날개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때,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로부터 욕창(bedsore)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에 대해 개별적으로 경사지게 움직이고,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상기 양 측에서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에 접촉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 중 상기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이상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때, 상기 매트리스에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의 끼임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도록 움직이고,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상기 양 측에서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여유를 줄 수 있다.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는,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아래에 위치되어서, 상기 다리 받침부의 단부에, 그리고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 사이에, 그리고 상기 등 방침부의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그리고 상기 머리 받침부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상부 힌지에 결합되고, 안착 프레임의 하부 힌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는,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의 상부 힌지에 회전 결합되는 제1 로더(loader); 및 상기 제1 로더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안착 프레임의 하부 힌지에 회전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1 모터의 구동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는,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 주변에서 상기 매트리스에 고정되어서, 상기 낙하 방지부에 위치된 힌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는, 상기 낙하 방지부의 안전 날개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실린더 로더; 및 상기 제2 실린더 로더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의 제1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제2 모터로부터 구동 전류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류 센서;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와 상기 낙하 방지부의 개별 구분 동작시, 상기 전류 센서의 상기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환자의 신장과 체중에 따른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 또는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를 저장하여 비교 및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 및 상기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에서 상기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 전류를 이상으로 판단시, 상기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외부에 경고음을 울리는 비상벨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구분 동작은, 다리 받침부 또는 등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 또는 낙하 방지부의 원 위치 및 최고 위치 사이에서 단계적 형상 변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은, 상기 전류 센서의 모터별 전기 신호를 체위 변경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1 저장유닛과,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에 대조되는 체위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저장유닛을 가지고,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와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를 상기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 또는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상기 신장과 상기 체중에 따라 모터별로 미리 측정되어 상기 제2 저장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는,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가 전기 신호 값의 크기 관점에서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보다 더 큰 값을 가지는 때,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정상 구동 전류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는,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가 전기 신호 값의 크기 관점에서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는 때,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구동 전류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의 제1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제2 모터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를 공급받은 때, 상기 낙하 방지부에서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상기 양 측에서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에 접촉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닫힌 상태(close state)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와 상기 낙하 방지부의 개별 구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의 제1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제2 모터로부터 이상 구동 전류를 공급받은 때, 상기 낙하 방지부에서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상기 양 측에서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여유를 주는 열린 상태(open state)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를 안착 프레임과 수평을 이루게 움직이고,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열린 상태에서 보다 닫힌 상태에서 더 느리게 안전 날개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침대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낙하 방지부에 위치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매트리스와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제어 상태, 그리고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구동 전류의 이상 유무 감지 상태를 외부에 확인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매트리스(mattress)에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와 낙하 방지부를 구비해서, 복수의 제1 실린더 모터를 사용하여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복수의 제2 실린더 모터를 사용하여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양 측에서 낙하 방지부를 개별적으로 움직이도록,
제어부에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제2 실린더 모터의 구동 전류를 감지한 후, 제어부에서 환자의 신장과 체중을 고려하여 구동 전류를 정상으로 판단 시, 매트리스에 대해 낙하 방지부를 상대적으로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를 개별 구분 동작을 시키거나,
제어부에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제2 실린더 모터의 구동 전류를 감지한 후, 제어부에서 환자의 신장과 체중을 고려하여 구동 전류를 이상으로 판단 시, 매트리스에 대해 낙하 방지부를 상대적으로 열린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를 동일 레벨에 수평으로 움직이게 하므로,
환자가 매트리스에 대해 불편함을 느낄 때, 환자의 신장과 체중을 고려하고 환자와 간호사와 의사에 따라 입원 경험과 돌봄 경험과 치료 경험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매트리스 상에서 환자의 체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그리고 일관되게 매트리스의 기구적인 자세를 조절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의료용 침대에서 매트리스(mattress)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료용 침대에서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 그리고 복수의 제1 실린더 모터의 물리적인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료용 침대에서 낙하 방지부 그리고 제2 실린더 모터의 물리적인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의료용 침대에서 매트리스와, 제1 및 제2 실린더 모터와, 제어부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의료용 침대의 개별 구분 동작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보여주는 이미지이고, 도 2는 도 1의 의료용 침대에서 매트리스(mattress)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의료용 침대에서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 그리고 복수의 제1 실린더 모터의 물리적인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료용 침대에서 낙하 방지부 그리고 제2 실린더 모터의 물리적인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의료용 침대에서 매트리스와, 제1 및 제2 실린더 모터와, 제어부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의료용 침대의 개별 구분 동작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180)는, 매트리스(도 1 또는 도 2 또는 도 3의 60)와, 복수의 제1 실린더 모터(도 1 또는 도 2 또는 도 3의 59)와, 복수의 제2 실린더 모터(도 4의 80)와, 제어부(도 1 또는 도 5의 160)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볼 때, 상기 매트리스(60)는,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다리 받침부(도 2 또는 도 3 또는 도 6의 30)와 등 받침부(도 2 또는 도 3 또는 도 6의 40)와 머리 받침부(도 2 또는 도 3 또는 도 6의 50), 그리고 환자의 신체 주변에서 다리 받침부(30) 또는 머리 받침부(50)의 양 측에 위치되는 낙하 방지부(도 1 또는 도 4의 90)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1 실린더 모터(59)는, 매트리스(60)에서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에 도 3과 같이 결합되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복수의 제2 실린더 모터(80)는, 매트리스(60)에서 낙하 방지부(90)에 도 4와 같이 결합되어 다리 받침부(30) 또는 머리 받침부(50)의 양 측에서 낙하 방지부(90)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의료용 침대(180)의 베이스 프레임(10)에 도 1과 같이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로부터 구동 전류를 감지하여 구동 전류의 이상 유무를 바탕으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에 대한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구동 전류의 이상 감지시 외부에 경고를 알린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 보다 더 높은 이상 구동 전류를 감지시,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를 동일 레벨에 수평하게 위치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는, 도 2 및 도 3을 고려해 볼 때,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를 통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 사이의 힌지(56) 주위로 개별적으로 회전 절곡되고, 도 3과 같이,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를 통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20)에 힌지(53) 결합된다.
상기 낙하 방지부(90)는, 도 1 또는 도 4를 고려해 볼 때, 상기 매트리스(60)와 힌지(70) 결합하는 안전 날개(W)를 가지고,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를 통해 매트리스(60)에 대해 안전 날개(W)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160)에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때, 상기 환자의 신체로부터 욕창(bedsore)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는, 도 2 또는 도 6을 고려해 볼 때,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를 통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20)에 대해 개별적으로 경사지게 움직인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에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때, 상기 환자의 신체로부터 욕창(bedsore)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낙하 방지부(90)는,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를 통해 다리 받침부(30) 또는 머리 받침부(50)의 양 측에서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160)에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상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때, 상기 매트리스(60)에 환자의 신체의 끼임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는,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를 통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20)과 수평을 이루도록 움직인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에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상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때, 상기 매트리스(60)에 환자의 신체의 끼임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낙하 방지부(90)는,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를 통해 다리 받침부(30) 또는 머리 받침부(50)의 양 측에서 환자의 신체로부터 이격되어 환자의 움직임에 여유를 준다.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는, 도 3과 같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 아래에 위치되어서, 다리 받침부(30)의 단부에, 그리고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 사이에, 그리고 등 방침부(40)의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도 1의 59 참조)에, 그리고 머리 받침부(50)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상부 힌지(56)에 결합되고, 안착 프레임(20)의 하부 힌지(53)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는, 도 3과 같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의 상부 힌지(56)에 회전 결합되는 제1 로더(loader)(L1), 및 제1 로더(L1)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안착 프레임(20)의 하부 힌지(53)에 회전 고정되고 제어부(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모터(M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터(M1)는, 제어부(160)에 제1 모터(M1)의 구동 전류를 전송한다.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는, 도 4와 같이, 다리 받침부(30) 또는 머리 받침부(50) 주변에서 매트리스(60)에 고정되어서, 낙하 방지부(90)에 위치된 힌지(7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는, 도 4와 같이, 낙하 방지부(90)의 안전 날개(W)에 힌지(70) 결합되는 제2 실린더 로더(L2), 및 제2 실린더 로더(L2)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제어부(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모터(M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모터(M2)는, 도 5를 고려해 볼 때, 제어부(160)에 제2 모터(M2)의 구동 전류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도 5와 같이, 전류 센서(100)와,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140)과, 비상벨(150)을 포함한다. 상기 전류 센서(100)는,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의 제1 모터(M1)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의 제2 모터(M2)로부터 구동 전류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140)은,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와 낙하 방지부(90)의 개별 구분 동작시, 전류 센서(100)의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환자의 신장과 체중에 따른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 또는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를 저장하여 비교 및 판단한다.
상기 비상벨(150)은,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140)에서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동 전류를 이상으로 판단시,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140)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외부에 경고음을 울린다. 여기서, 상기 개별 구분 동작은, 도 2 및 도 4 및 도 6을 고려해 볼 때, 다리 받침부(30) 또는 등 받침부(40) 또는 머리 받침부(50) 또는 낙하 방지부(90)의 원 위치 및 최고 위치 사이에서 단계적 형상 변형을 통해 구현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140)은, 전류 센서(100)의 모터별 전기 신호를 체위 변경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1 저장유닛(120)과, 체위 변경 데이터에 대조되는 체위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저장유닛(130)을 가지고, 체위 변경 데이터와 체위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체위 변경 데이터를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 또는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는, 환자의 신장과 체중에 따라 모터별로 미리 측정되어 제2 저장유닛(13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는, 체위 기준 데이터가 전기 신호 값의 크기 관점에서 체위 변경 데이터보다 더 큰 값을 가지는 때, 제1 모터(M1)와 제2 모터(M2)의 정상 구동 전류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는, 체위 기준 데이터가 전기 신호 값의 크기 관점에서 체위 변경 데이터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는 때, 제1 모터(M1)와 제2 모터(M2)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구동 전류로부터 형성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60)는,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의 제1 모터(M1)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의 제2 모터(M2)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를 공급받은 때, 낙하 방지부(90)에서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를 통해 다리 받침부(30) 또는 머리 받침부(50)의 양 측에서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닫힌 상태(close state)를 유지시키면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를 통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와 낙하 방지부(90)의 개별 구분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160)는,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의 제1 모터(M1)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의 제2 모터(M2)로부터 이상 구동 전류를 공급받은 때, 낙하 방지부(90)에서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를 통해 다리 받침부(30) 또는 머리 받침부(50)의 양 측에서 환자의 신체로부터 이격되어 환자의 움직임에 여유를 주는 열린 상태(open state)를 유지시키면서,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를 통해 다리 받침부(30)와 등 받침부(40)와 머리 받침부(50)를 안착 프레임(20)과 수평을 이루게 움직한다.
여기서, 상기 낙하 방지부(90)는,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를 통해 열린 상태에서 보다 닫힌 상태에서 더 느리게 안전 날개를 움직이게 한다. 한편, 상기 의료용 침대(180)는, 도 5와 같이, 제어부(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낙하 방지부(90)에 위치되는 모니터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부(170)는, 제어부(160)의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매트리스(60)와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의 제어 상태, 그리고 개별 제1 실린더 모터(59)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80)의 구동 전류의 이상 유무 감지 상태를 외부에 확인시켜 준다.
100; 전류 센서, 120; 제1 저장 유닛
130; 제2 저장 유닛, 140;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
150; 비상벨, 160; 제어부
170; 모니터부, 180; 의료용 침대
M1; 제1 모터, M2; 제 모터

Claims (16)

  1.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에 접촉되는 다리 받침부와 등 받침부와 머리 받침부, 그리고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 주변에서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양 측에 위치되는 낙하 방지부를 가지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에서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복수의 제1 실린더 모터;
    상기 매트리스에서 상기 낙하 방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양 측에서 상기 낙하 방지부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복수의 제2 실린더 모터; 및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로부터 구동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 전류의 이상 유무를 바탕으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에 대한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상기 구동 전류의 이상 감지시 외부에 경고를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 보다 더 높은 이상 구동 전류를 감지시,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를 동일 레벨에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매트리스와 힌지 결합하는 안전 날개를 가지고,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해 상기 안전 날개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의료용 침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사이의 힌지 주위로 개별적으로 회전 절곡되고,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의료용 침대.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때,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로부터 욕창(bedsore)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에 대해 개별적으로 경사지게 움직이고,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상기 양 측에서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에 접촉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의료용 침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 중 상기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이상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때,
    상기 매트리스에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의 끼임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안착 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도록 움직이고,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상기 양 측에서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여유를 주는, 의료용 침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는,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 아래에 위치되어서,
    상기 다리 받침부의 단부에, 그리고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 사이에, 그리고 상기 등 받침부의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그리고 상기 머리 받침부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상부 힌지에 결합되고,
    안착 프레임의 하부 힌지에 결합되는, 의료용 침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는,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의 상부 힌지에 회전 결합되는 제1 로더(loader); 및
    상기 제1 로더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안착 프레임의 하부 힌지에 회전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1 모터의 구동 전류를 전송하는, 의료용 침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는,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 주변에서 상기 매트리스에 고정되어서,
    상기 낙하 방지부에 위치된 힌지에 결합되는, 의료용 침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는,
    상기 낙하 방지부의 안전 날개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실린더 로더; 및
    상기 제2 실린더 로더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2 모터의 구동 전류를 전송하는, 의료용 침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의 제1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제2 모터로부터 구동 전류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류 센서;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와 상기 낙하 방지부의 개별 구분 동작시, 상기 전류 센서의 상기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환자의 신장과 체중에 따른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 또는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를 저장하여 비교 및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 및
    상기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에서 상기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 전류를 이상으로 판단시, 상기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외부에 경고음을 울리는 비상벨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구분 동작은,
    다리 받침부 또는 등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 또는 낙하 방지부의 원 위치 및 최고 위치 사이에서 단계적 형상 변형을 통해 구현되는, 의료용 침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은,
    상기 전류 센서의 모터별 전기 신호를 체위 변경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1 저장유닛과,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에 대조되는 체위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저장유닛을 가지고,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와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를 상기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 또는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상기 신장과 상기 체중에 따라 모터별로 미리 측정되어 상기 제2 저장유닛에 저장되는, 의료용 침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체위 변경 데이터는,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가 전기 신호 값의 크기 관점에서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보다 더 큰 값을 가지는 때,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정상 구동 전류로부터 형성되는, 의료용 침대.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체위 변경 데이터는,
    상기 체위 기준 데이터가 전기 신호 값의 크기 관점에서 상기 체위 변경 데이터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는 때,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구동 전류로부터 형성되는, 의료용 침대.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의 제1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제2 모터로부터 정상 구동 전류를 공급받은 때,
    상기 낙하 방지부에서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상기 양 측에서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에 접촉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닫힌 상태(close state)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와 상기 낙하 방지부의 개별 구분 동작을 제어하는, 의료용 침대.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의 제1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제2 모터로부터 이상 구동 전류를 공급받은 때,
    상기 낙하 방지부에서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 또는 머리 받침부의 상기 양 측에서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여유를 주는 열린 상태(open state)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다리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를 안착 프레임과 수평을 이루게 움직이고,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를 통해 상기 열린 상태에서 보다 닫힌 상태에서 더 느리게 안전 날개를 움직이게 하는, 의료용 침대.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낙하 방지부에 위치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 판단 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매트리스와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제어 상태, 그리고 상기 개별 제1 실린더 모터와 상기 개별 제2 실린더 모터의 구동 전류의 이상 유무 감지 상태를 외부에 확인시켜주는, 의료용 침대.

KR1020200127569A 2020-09-29 2020-09-29 의료용 침대 KR10251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569A KR102519950B1 (ko) 2020-09-29 2020-09-29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569A KR102519950B1 (ko) 2020-09-29 2020-09-29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064A KR20220044064A (ko) 2022-04-06
KR102519950B1 true KR102519950B1 (ko) 2023-04-11

Family

ID=8121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569A KR102519950B1 (ko) 2020-09-29 2020-09-29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95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409A (ja) 1999-10-12 2001-04-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介護リフト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129709A (ja) * 2002-10-08 2004-04-30 France Bed Co Ltd 背上げ式ベッド装置
KR100621349B1 (ko) 2006-05-12 2006-09-07 주식회사 해피베드 분할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환자용 침대
JP2009247426A (ja) 2008-04-02 2009-10-29 Shinano Kenshi Co Ltd 電動ベッド装置
JP2011005030A (ja) 2009-06-26 2011-01-13 Mitsuba Corp 在離床判別装置およびこの在離床判別装置を備える電動昇降ベッド
JP2013090845A (ja) 2011-10-26 2013-05-16 Toyota Motor Corp 移乗支援装置及び移乗支援装置制御方法
KR101485573B1 (ko) 2014-02-21 2015-01-22 백창현 의료용 침대
KR101680870B1 (ko) 2015-10-26 2016-11-29 박종석 의료용 침대
KR101895054B1 (ko) 2018-03-08 2018-10-04 서보미 욕창 방지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99B1 (ko) * 2009-10-21 2012-01-16 이대훈 접이식 침대
KR101224447B1 (ko) * 2011-02-25 2013-01-21 이정기 틸팅기능을 구비한 전동식 의료용침대
KR101318724B1 (ko) 2012-01-20 2013-10-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케어를 위한 가변 침상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409A (ja) 1999-10-12 2001-04-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介護リフト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129709A (ja) * 2002-10-08 2004-04-30 France Bed Co Ltd 背上げ式ベッド装置
KR100621349B1 (ko) 2006-05-12 2006-09-07 주식회사 해피베드 분할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환자용 침대
JP2009247426A (ja) 2008-04-02 2009-10-29 Shinano Kenshi Co Ltd 電動ベッド装置
JP2011005030A (ja) 2009-06-26 2011-01-13 Mitsuba Corp 在離床判別装置およびこの在離床判別装置を備える電動昇降ベッド
JP2013090845A (ja) 2011-10-26 2013-05-16 Toyota Motor Corp 移乗支援装置及び移乗支援装置制御方法
KR101485573B1 (ko) 2014-02-21 2015-01-22 백창현 의료용 침대
KR101680870B1 (ko) 2015-10-26 2016-11-29 박종석 의료용 침대
KR101895054B1 (ko) 2018-03-08 2018-10-04 서보미 욕창 방지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064A (ko) 202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3202B2 (en) Inflatable mattress and control methods
US20200214599A1 (en) Exit detection system with compensation
US20210007919A1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exit detection systems
US11071666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CN108261298B (zh) 具有尿引流袋锁定特征的患者支撑设备
EP2852361B1 (en) Adverse event mitig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WO2014030620A1 (ja) 寝姿勢制御ベッドシステム
US8732876B2 (en) Upper body support mechanism
US20160235610A1 (en) Using patient monitoring data to control a person support apparatus
EP2667313B1 (en) Adverse condition detection, assessment, and response system
KR101935232B1 (ko) 낙상 방지용 침대
CN103476336B (zh) 电致动器系统
WO2008088842A2 (en) Bed exit and patient detection system
KR20190100906A (ko) 병원 침대
CN114209303A (zh) 人体压力监测与自适应调整系统
US20180140492A1 (en) Health-care device
US10780008B2 (en) Oscillating hospital bed aimed at preventing decubitus ulcer
KR102519950B1 (ko) 의료용 침대
CA2997972C (en) Oscillating hospital bed aimed at preventing decubitus ulcer
KR100720715B1 (ko) 적응형 욕창방지 휠체어
DK2664315T3 (en) Inflatable mattress with integrated gyroscope
KR20210135214A (ko) 접촉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팽창가능한 관류 개선 장치를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