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906A - 병원 침대 - Google Patents

병원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906A
KR20190100906A KR1020197012849A KR20197012849A KR20190100906A KR 20190100906 A KR20190100906 A KR 20190100906A KR 1020197012849 A KR1020197012849 A KR 1020197012849A KR 20197012849 A KR20197012849 A KR 20197012849A KR 20190100906 A KR20190100906 A KR 20190100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upport structure
contour
control system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른 레프스나스
아이르베 볼드순드
카토 알렉산데르 브요르클리
레일라 요시프
셀 아레 푸르네스
Original Assignee
아블리 메디칼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1705426.3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705426D0/en
Application filed by 아블리 메디칼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아블리 메디칼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10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침대에 대한 지지 구조체 및 병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침대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는 신체의 각각의 부분을 지지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구획들, 지지 구조체의 상단부로부터 지지 구조체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들을 포함하고, 지지 구조체의 형상 및/또는 윤곽은 탄성 부재들의 형상 및/또는 윤곽에 의해 결정된다.

Description

병원 침대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병원과 같은 의학적 또는 치료적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침대를 위한 그리고 침대와 관련된 기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의료용, 예를 들어 병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침대 위에 실려 있는 환자의 편안한 움직임과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사용되는 침대 유형은 다양하며 조정 가능한 프레임과 매트리스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에서부터 많은 모터와 움직이는 부품이 통합된 매우 복잡한(및 값비싼) 구조에 까지 이를 수 있다. 전통적인 병원 침대의 많은 공통적인 피처나 특성은 환자에게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움직임을 위한 오직 하나의 옵션은, 즉 등받이의 올림 또는 내림이 제공된다. 더욱이, 환자가 도움 없이 침대에서 움직이고, 및/또는 그러한 움직임을 돕는 침대(예컨대, 팔걸이)의 고정된 피처를 조정하기가 어렵다. 추가 문제는 욕창일 수 있는데, 이는 침대에서 한 위치에 누워 있음으로 해서 야기되는 압력 때문에(예를 들어, 환자가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경우) 환자에 의해 발병된 종기이다.
병원과 같은 의학적 또는 치료적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침대 및 이러한 침대를 제어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침대를 위한 지지 구조체는 복수의 구획으로서, 각각의 구획은 다른 구획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사용시 신체의 개별 부분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구획 및 복수의 탄성 부재로서, 각각은 상기 침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침대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의 형상 및/또는 윤곽은 상기 탄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윤곽(profile)에 대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대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각각 침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침대가 복수의 이동가능한 구획으로 형성될 때, 침대 위에 누워있는 신체 형상에 맞는 침대의 능력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동 가능한 구획을 포함하지만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침대를 따라 연장되지 않는 탄성 부재를 갖는 종래의 침대는 침대 위에 누워 있는 신체의 형상에 덜 맞는다.
탄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윤곽은 신체, 예를 들어 인체의 형상 및 대신에 이동가능한 구획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에서 실질적으로 들어 맞을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신체의 형상에 용이하게 맞도록 길이방향으로 물결 형상 및 윤곽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윤곽은 복수의 구획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의 형상 및/또는 윤곽이 탄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윤곽에 대응하기 때문에, 이는 지지 구조체의 형상 및/또는 윤곽이 탄성 부재를 통해 그리고 복수의 구획의 움직임에 의해 통제되거나 제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의 구획은 횡방향 분리선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길이방향은 지지 구조체 또는 침대의 길이방향 또는 가장 긴 치수를 지칭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횡방향에 대한 지칭은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 및 횡단하는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각각은 횡방향 분리선 각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고, 복수의 구획 중 하나 이상의 구획이 회전할 때 각각의 탄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윤곽이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구획은 적어도 3 개의 구획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획은 사용시 신체의 각 부분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획 중 제 1 구획은, 예를 들어 등 및 어쩌면 머리를 포함하는 상체 부분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중 제 2 구획은 예를 들어 무릎 위의 상부 다리 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중 제 3 구획은 예를 들어 무릎 아래의 하부 다리 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체는 본 출원에서 지칭된 제 1, 제 2 및 제 3 구획들(즉, 인체에 대해 최적화 됨)만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특정 용도에 대해 필요하다면 더 많은 구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단지 두 개의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체(및 침대)의 형상 및/또는 윤곽을 변경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어 시스템이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결국 탄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윤곽을 변화시키며,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체(및 침대)의 형상 및/또는 윤곽이 또한 변화하게 된다.
본 출원에 개시된 임의의 양태 또는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탄성 부재는 상기 침대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단일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성 부재는 복수의 구획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탄성 부재가 형상 및/또는 윤곽을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각각의 횡방향 분리선에서 제 위치에 유지되거나 예를 들어, 부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체는 제 1 배치과 제 2 배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배치에서의 상기 지지 구조체의 형상 또는 윤곽은 상기 제 2 배치에서의 상기 지지 구조체의 형상 또는 윤곽과 상이하다.
상기 침대는 복수의 구획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배치과 상기 제 2 배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치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또는 누워 있는 배치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 2 배치는 수직으로 세워지거나(upright), 또는 좌식(seated) 배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체는 지지 구조체가 상기 제 1 배치과 상기 제 2 배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탄성 부재의 길이방향 윤곽을 바꾸도록 배치되는 제어 시스템(예를 들어, 상기에 언급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체의 길이방향 윤곽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배치로의 침대의 이동에 전반에 걸쳐 침대를 따른 길이방향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방향 윤곽에 대응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탄성 부재가 운동 범위 전반에 걸쳐 상기 침대 위에 누워 있는 신체의 형상에 맞도록 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부분 및/또는 볼록한 부분을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은 그것들이 신체의 형상에 용이하게 맞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평평한 배치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또한 평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이동가능한 구획의 적어도 하나의 배치에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좌식 배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부분 및/또는 볼록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예를 들어, 상기 지칭된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라 탄성 부재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특성의 분석에 기초하여 경보 또는 신호(flag)를 출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만약 상기 특성이
(i) 미리 결정된 양보다 더 많이 변화하거나, (ii)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범위 밖의 값을 유지하거나, 또는 (ⅲ)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값의 범위 내에 유지될 경우, 상기 경보 또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은 탄성 부재의 장력 및/또는 강성 및/또는 스트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머리에서 발끝까지 상기 지지 구조체 위에 누워 있는 환자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구조체 위에 누워 있는 환자에 대한 주요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윤곽은 복수의 구획 각각에서 다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구조체의 복수의 구획의 이동시 미리 정의된 형상 및/또는 윤곽을 형성하도록 편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침대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침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또는 침대의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침대는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지지 구조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지지 구조체에 통합될 수 있거나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지지 구조체의 상부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기에 추가로 부착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매트리스에 매립되거나 상기 매트리스가 탄성 부재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사용시에 신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침대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침대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침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예를 들어, 스프링)를 포함한다.
상기 침대는 평평한 배치와 좌식 배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평평한 배치와 좌식 배치 사이에서 침대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평한 배치에서, 스프링은 누운 위치에서 신체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맞도록 할 수 있고(또는 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은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상기 좌식 배치에서, 스플링은 좌식 위치에 신체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맞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평평한 및/또는 좌식 배치에서, 상기 스프링은 침대의 중심 부분에서 오목한 윤곽(예를 들어, 피트 또는 밸리)을 포함할 수 있고, 침대의 중심 부분에서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로 이동할 때 볼록한 윤곽을 포함할 수 있다. 침대가 평평한 위치에 있을 때 보다 침대가 좌식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의 오목함 및/또는 볼록함은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침대 위의 사람의 변화하는 자세 또는 윤곽에 적응하기 위해 평평한 배치와 좌식 배치 사이에서 침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방향 윤곽이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 윤곽은 침대에 따른 길이 방향으로 스프링의 윤곽으로 제한되거나 그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성 부재는 침대의 상단부에서 침대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단일 탄성 부재일 수 있다. 탄성 부재는 하나 이상의 이격된 부착 위치(예를 들어, 적어도 3, 4 또는 5 개의 부착 위치)에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된 침대의 피벗 지점에 위치할 수 있는 부착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은 침대 위에 누워 있는 사람쪽으로 또는 반대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것은 길이 방향으로 침대의 볼록한 부분 또는 오목한 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연장하는 탄성 부재를 사용하면 침대가 평평한 구성과 앉는 구성 사이에서 이동할 때 신체의 형상에 맞도록 침대의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침대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침대는 신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특정 신체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각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의 부분이 지정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각의 부분들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해당 부분에 대응하는 신체의 부분이 이동되는 경우 및/또는 이동될 때 상기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그것들의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어 시스템은 이동되는 구획에 대응하는 신체의 부분에 응답하여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 각각을 그것들의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은 복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부분은 사지, 상체, 하체 및 어깨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신체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윤곽 또는 자세) 및/또는 각 부분에 대응하는 신체의 일부분이 움직일 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부분은 그 자체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각각의 센서는 압력 또는 다른 위치 센서일 수 있다. 센서는 원격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신체가 특정 상태(예를 들어, 윤곽 또는 자세)에 있거나 그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및/또는 특정 부분에 대응하는 신체의 일부분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센서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특정 부분을 각각 지정된 방향으로 대신에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의 원리는 침대가 침대에서 사람의 움직임을 개시하기보다는 증폭시켜서 사람의 회복 및/또는 웰빙(well-being)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침대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침대는 신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특정 신체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각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의 부분이 지정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각의 부분들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의 각각에 대한 루틴을 저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루틴은 특정 반복 횟수에 대하여 그것의 지정된 방향에 침대의 움직임 및 명령 수신시 반복 횟수에 대하여 그것의 지정된 방향으로 각각의 부분을 이동시키는 것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신규하고 독창적인 것으로 보여지고 따라서,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태양에서, 상기 침대(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침대)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침대는 신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특정 신체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어, 복수의 구획들)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며, 상기 각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의 부분이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각의 부분들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욕창이 감지되는 경우 및/또는 감지될 때, 또는(대신에) 신체가 특정(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은 것이 검출될 시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이 그것들의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상기 장치는 일정 기간(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동일한 위치에 누워 있는 환자에 의해 야기된 압력을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예를 들어, 압력 센서의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환자에 의해 야기된 압력이 임계 압력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해당 센서에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했음을 센서가 검출할 때, 욕창이 감지되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어 시스템에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은 욕창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욕창의 위치 또는 욕창의 예상 위치(예를 들어,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에 기초하여 침대의 어느 부분이 이동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시스템은 욕창이 감지되거나 또는 왼쪽 다리에 대응하는 침대의 부분에서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는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 시스템은 욕창을 완화 시키거나 또는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왼쪽 다리에 대응하는 침대의 부분이 이동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침대의 해당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욕창이 감지된 곳 이외의 침대의 부분을 움직임으로써 욕창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환자가 일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량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정된 방향으로 단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침대(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침대) 위에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신체를 지지하고,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어, 복수의 구획들)으로 분리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부분에 대응하는 신체의 부분이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부분이 이동가능한 침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침대와 관련하여(예를 들어, 상기 침대에 연결되고/또는 상기 침대 내에 있는) 신체가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았음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신체가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았다는 것을 센서가 검출할 경우 및 검출하였을 때, 상기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감지되는 욕창에 응답하여 침대의 미리 결정된 부분 또는 부분들을 이동시키는 제어 시스템에 대한 명령을 포함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메모리)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욕창의 유형 및/또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왼쪽 다리에 대응하는 침대의 부분에 감지된 욕창은 침대의 해당 부분을 올리면 완화될 수 있다. 대신에, 허리에서 검출된 욕창은 양다리에 대응하는 침대의 부분을 상승시킴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상기 침대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제 1 상태인 가요성 상태와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다. 상기 제 1 상태인 가요성 상태에서, 상기 부재는 복수의 상이한 형상 또는 위치로 사용자에 의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로 스위칭할 때, 상기 지지 부재는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상이한 형상 또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상기 침대 위의 사람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사람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들(본 출원에서 설명된)과 통신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병원 침대에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 환자(또는 다른 사용자)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병원 침대가 부적절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거나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이다.
이들 실시예의 목적은 병원 직원(또는 다른 간병 종사자)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중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제 다양한 실시예가 단지 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침대에 부착된 지지 부재의 예를 도시한다; 및
도 3c-3g는 3a 및 3b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는 침대 또는 침대용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예를 들어 질병이나 수술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환자가 누워 있는 의료용(예를 들어, 병원) 침대일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침대에 대한 다른 용도들이 고려되며, 개시된 개선을 이용할 임의의 용도는 명시적으로 기술되지는 않았더라도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침대는 병원 환경에서의 사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특정 부상 또는 치료 환경에서의 회복을 돕는 물리 치료 클리닉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 의학적 용도들도 또한 본 출원에 설명된 본 발명의 가장 광범위한 양태에 포함되도록 고려되고 의도된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서 "환자" 및 "간병인"에 대한 지칭은 실시예를 의료 용도들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환자" 및 "간병인"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제어기" 또는 "운영자"와 같이 적절하게 침대에 누워 있거나, 사용하거나 또는 조작할 수 있는 사람을 지칭하는 임의의 용어와 상호 교환 가능하다.
본 출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탄성(resilient)"이라는 용어는 벤딩(bending), 연신 또는 압축된 후에 다시 형상으로 되돌아(또는 튀는) 갈 수 있는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침대 및 지지 구조체
침대(10)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침대(10)는 예를 들어 침대 지지체(12)를 조절함으로써 침대 지치체(12)가 침대(10) 위에 누워 있는 환자를 올리고 및/또는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장치를 통해 조절가능한 침재 지지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대 지지체(12)의 조절은 모터(미도시) 또는 덜 바람직하게는 레버와 같은 수동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침대(10)는 상단부(14) 및 하단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14)는 환자의 머리에 가장 가깝거나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침대(10)의 단부를 지칭할 수 있고, 반면 하단부(16)는 환자의 다리 또는 발에 가장 가깝거나 그것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침대(10)의 단부를 지칭할 수 있다. 침대(10)는 침대(10)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보조하도록 휠(18)을 포함할 수 있다.
침대(10)는 환자를 지지하고/지지하거나 사용중인 침대의 형상을 조절하는 지지 구조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복수의 구획(20a, 20b, 20c, 20d)을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구획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4 개의 구획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신체가 누워 있는 동안, 즉 무릎과 허리에 2 개의 주요 굴곡 지점(point of flexure)을 포함하기 때문에 적어도 3 개의 구획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부가적인(선택적) 굴곡 지점이 목에 제공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지지 구조체(20)는 바람직하게는 침대(10) 위에 누워 있는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 1 구획(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획(20a)은 회전 가능하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일 수 있어서(예를 들어, 상하로) 환자의 머리가 올려지고/올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다. 모터(미도시)가 제 1 구획(20a)를 예를 들어, 제 1 피벗 지점(pivot point)(22)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올리고/내리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 1 구획(20a)의 회전 또는 다른 움직임은 침대(10)에 누워 있는 환자의 머리를 올리고 및/또는 내리도록 동작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바람직하게는 침대(10) 위에 누워 있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 2 구획(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구획(20b)은 회전 가능하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일 수 있어서(예를 들어, 상하로) 환자의 상체, 몸통 또는 등이 올리고/올리거나 내려질 수 있다. 모터(미도시)가 제 2 구획(20b)를 예를 들어, 제 2 피벗 지점(pivot point)(24)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올리고/내리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 2 구획(20b)의 회전 또는 다른 움직임은 침대(10)에 누워있는 환자의 상체, 몸통 또는 등을 올리고/올리거나 내리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 2 구획(20b)은 제 1 구획(20a) 및 제 2 구획(20b)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 피벗 지점(22)에서 제 1 구획(20a)에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구획(20a)은 힌지를 통해 제 2 구획(20b)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바람직하게는 침대(10) 위에 누워 있는 환자의 상부 다리(예를 들어, 무릎과 허리 사이의 신체의 부분)를 지지하는 제 3 구획(20c)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한 부분(30)이 제 3 구획(20c)에서 생성되도록 제 3 구획(20c)은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중심 피벗 지점(25)는 일반적으로 제 3 구획(20c)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제 3 구획(20c)의 상부 절반 부 및 하부 절반(이는 중심 피벗 지점(25)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이 서로를 향해 회전되어 오목한 부분(30)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구획(20c)은 환자의 상부 다리가 제 3 구획의 하부 절반을 회전 시키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이는(예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거나) 올리고/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구획(20c)의 하부 절반을 예를 들어, 중심 피벗 지점(25)을 중심으로 회전 시키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모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제 3 구획(20c)의 하부 절반의 회전은 침대(10) 상에 누워있는 환자의 다리(구체적으로 상부 다리)를 올리고/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3 구획(20c)은 제 2 구획(20b) 및 제 3 구획(20c)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 피벗 지점(24)에서 제 2 구획(20b)에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2 구획(20b)은 힌지를 통해 제 3 구획(20c)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바람직하게는 침대(10) 상에 누워 있는 환자의 하부 다리(예를 들어, 발을 포함하여, 무릎 아래 신체의 부분)를 지지하는 제 4 구획(2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구획(20d)은 회전 가능하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일 수 있어서(예를 들어, 상하로) 환자의 하부 다리가 올려지고/올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다. 모터(미도시)가 제 4 구획(20d)를 예를 들어, 제 3 피벗 지점(26)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올리고/내리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 4 구획(20d)의 회전 또는 다른 움직임은 침대(10) 위에 누워 있는 환자의 다리(구체적으로 하부 다리)를 올리고/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4 구획(20d)은 제 3 구획(20c) 및 제 4 구획(20d)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3 피벗 지점(26)에서 제 3 구획(20c)에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3 구획(20c)은 힌지를 통해 제 4 구획(20d)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구획(20a, 20b, 20c, 20d) 각각은 회전 가능하거나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공통 모터가 구획들(20a, 20b, 20c, 20d) 각각을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도록 제공 및 배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모터가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구획(20a, 20b, 20c, 20d)의 각각의 구획은 그것의 개별 구획을 회 시키거나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전용 모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구획(20a, 20b, 20c, 20d) 각각은 예를 들어 힌지를 통해 인접한 구획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유닛으로서 착탈 가능하거나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단일 유닛으로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구획(20a, 20b, 20c, 20d) 모두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20)는 단일 유닛으로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지지 구조체(20)는 예를 들어, 침대 지지체(12)를 사용하여 단일 유닛으로서 올리거나 또는 내려질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중심 피벗 지점(25)을 중심으로 단일 유닛으로서 회전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구획(20a, 20b, 20c, 20d) 모두는 중앙 피벗 지점(25)을 중심으로 단일 유닛으로서 회전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인체의 몸 전체, 예를 들어 머리에서 발끝까지의 성인 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구조체(20)는 약 1.5 m, 약 1.6 m, 약 1.7 m, 약 1.8 m, 약 1.9 m, 약 2.0 m, 약 2.1 m, 약 2.2 m 또는 약 2.3 m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길이는 지지 구조체의 길이 방향 또는 최장 치수에 대응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침대(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약 0.8 m, 0.9 m, 약 1 m 또는 약 1.1 m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폭은 길이에 수직 또는 횡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약 0.1-1 m, 약 0.2-0.9 m, 약 0.3-0.9 m 또는 약 0.5-0.9 m의 높이만큼 지면으로부터 올려질 수 있다.
침대(10)는 침대의 영역, 예를 들어 상술한 제 3 구획(20c) 및/또는 사용 중에 환자의 엉덩이가 놓여지는 침대(10)의 영역에서 오목한 윤곽(30)(예를 들어, 피트(pit) 또는 밸리(valley))이 생성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중심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위치될 수 있지만, 침대(10)의 중심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중심 부분은 침대(10)의 길이를 따라서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상단부(14) 또는 하단부(16)로부터 측정된 것으로 지지 구조체(20) 또는 침대(10)의 길이의 약 0.35-0.65 배인 거리에 있는 위치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한 윤곽(30)은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하단부(16)로부터 측정된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길이의 약 0.4-0.5 배인 거리에 있는 침대의 길이에 따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오목한 윤곽(30)의 만곡 지점(32)은 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만곡 지점(32)은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하단부(16)로부터 측정된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길이의 약 0.45 배인 거리에 있는 침대의 길이에 따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침대(10)의 길이는,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20)의 각각의 구획(20a, 20b, 20c, 20d) 길이로 이루어진 지지 구조체(20)의 길이로 취해질 수 있다.
오목한 윤곽(30)은 두 개의 구획 사이에 오목하거나 또는 둔각이 형성되도록 침대의 두 구획(예를 들어, 제 3 구획(20c)의 상부 절반 및 하부 절반)을 회전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오목한 윤곽(30)은 지지 구조체(20)의 제 3 구획(20c)의 상부 절반 및 하부 절반을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되어서 오목하거나 또는 둔각이 그것들 사이에 형성된다.
오목한 윤곽(30)(예를 들어, 제 3 구획(20c))을 형성하는 구획들 중 하나가 지정된 방향으로 환자의 움직임에 저항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목한 윤곽(30)은 사용중에 환자가 침대(10)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20)의 하나 이상의 구획은 다리(예를 들어, 도 1의 제 3 구획(20c)의 하부 절반 및/또는 제 4 구획(20d)), 예를 들어 상부 다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구획은 환자의 움직임, 예를 들어 침대(10) 의 하단부(16)을 향한 움직임에 저항하기 위해 수평(예를 들어, 지면과 평행한 수평선) 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앉아 있을 때 환자가 등 및/또는 머리(예를 들어, 제 1 구획(20a) 및/또는 제 2 구획(20b))를 지지하는 침대의 구획을 올릴 때 환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의 예를 참조하여, 지지 구조체(20)는 누워 있을 때, 즉 무릎 및 허리에서의 인체의 2 개의 굴곡 지점에 대응하는 2 개(또는 적어도 2 개)의 피벗 지점(24, 26)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피벗 지점(22)이 굴곡의 제 3 지점, 예를 들어 목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의 복수의 구획(20a, 20b, 20c, 20d) 각각은 피벗 지점(22, 24, 25, 26)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벗 지점들 중 제 1 지점(22)은 예를 들어 침대(10)의 길이에 따른 위치, 대략 침대(10) 위에 있는 환자의 목 또는 어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상단부(14)로부터 측정된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길이의 약 0.10-0.35, 약 0.10-0.25, 약 0.10-0.20, 약 0.10-0.15 또는 약 0.125 배인 거리이다.
피벗 지점들 중 제 2 지점(24)은 예를 들어 침대(10)의 길이에 따른 위치, 대략 침대(10) 위에 있는 환자의 허리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상단부(14)로부터 측정된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길이의 약 0.35-0.65, 약 0.35-0.55, 약 0.40-0.45 또는 약 0.425 배인 거리이다.
피벗 지점들 중 제 3 지점(26)은 예를 들어 침대(10)의 길이에 따른 위치, 대략 침대(10) 위에 있는 환자의 무릎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상단부(16)로부터 측정된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길이의 약 0.65-0.90, 약 0.75-0.90, 약 0.80-0.90, 약 0.85-0.90 또는 약 0.875 배인 거리이다.
이들 치수는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형상으로 인해 개시된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침대(10) 및/또는 지지 구조체(20)는 인체의 길이와 일치할 수 있으며 대략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크기를 고려하기 위해 상단과 하단에 갭이 있다고 가정된다.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길이는 침대(10) 또는 지지 구조체(20)의 길이 방향 또는 가장 긴 치수일 수 있다.
피벗 지점(22, 24, 25, 26)은 측 방향 피벗 지점일 수 있고 피벗 지점(및 피벗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개별 구획)의 회전축은 침대(10)의 길이 방향 차원을 가로 지를 수 있다.
다른 회전축에 대한 침대(10)의 추가 이동은 본 개시의 가장 넓은 양태 내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구획(20a, 20b, 20c, 20d) 중 하나 이상은 침대(10)의 길이방향(즉, 길이 성분을 갖는 회전축)을 가로 지르지 않는 하나 이상의 회전 축 예를 들어 횡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추가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각도는 (i) 0° 내지 0°; (ii) 10° 내지 20°; (iii) 20° 내지 30°; (iv) 30° 내지 40°; (v) 40°내지 50°; (vi) 50° 내지 60°; (vii) 60° 내지 70°; (viii) 70° 내지 80°; 및 (iv) 80° 내지 9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회전축은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이 될 수 있거나 횡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회전축은 예를 들어 환자가 횡방향 회전축 주위로 침대를 회전시킴으로써 불가능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환자의 단일 사지(limb) 또는 신체 부분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한편, 대신에 나머지 사지 또는 신체 부분은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20)는 신체의 비틀림 운동을 수행하도록 다른 어깨와 독립적으로 어깨를 올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예를 들어 한 어깨에 대한 특정 부상의 회복을 도울 수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지지 구조체(20)의 제 1 구획(20a) 및/또는 제 2 구획(20b)은 길이 방향 성분, 예를 들어 횡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의 회전축을 갖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고; 상기 각도는 (i) 0° 내지 0°; (ii) 10° 내지 20°; (iii) 20° 내지 30°; (iv) 30° 내지 40°; (v) 40°내지 50°; (vi) 50° 내지 60°; (vii) 60° 내지 70°; (viii) 70° 내지 80°; 및 (iv) 80° 내지 9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예를 들어 제 1 구획(20a) 및/또는 제 2 구획(20b)의 일부가 길이 방향 성분을 갖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제 2 횡방향 피벗 지점(22)에 위치된 추가적인 힌지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구획(20a, 20b, 20c, 20d)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침대(10)의 중심, 길이 방향 축과 대략 동축인 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2 개의 아구획(sub section)으로 분할될 수 있다. 아구획의 각각은 전체적으로 구획의 횡방향 회전으로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성분을 갖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횡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고, 각도는 (i) 0° 내지 0°; (ii) 10° 내지 20°; (iii) 20° 내지 30°; (iv) 30° 내지 40°; (v) 40°내지 50°; (vi) 50° 내지 60°; (vii) 60° 내지 70°; (viii) 70° 내지 80°; 및 (iv) 80° 내지 9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구획들의 회전축은 횡방향의 회전축에 대략 수직일 수 있다.
상기 아구획의 독립적인 회전은 지지 구조체(20)의 피벗 지점(들)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힌지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20)는 복수의 구획(예를 들어, 적어도 3 개의 구획 및/또는 구획(20a, 20b, 20c, 20d)과 유사)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획의 전부 또는 일부는 예를 들어, 피벗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이외에 병진이동 수단(translating means)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획은 다른 구획과 독립적으로(예를 들어,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각각의 구획의 일부분은 나머지 구획과 독립적으로 및/또는 다른 구획과 독립적으로(예를 들어,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20)는 사용 동안에 환자가 매트리스(mattress)를 포함하거나 또는 매트리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신에, 매트리스는 지지 구조체(20)와 분리될 수 있고 지지 구조체(20)에 부착되거나 지지 구조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매트리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는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지지 구조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에 통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지지 구조체의 상부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해 상기 매트리스를 움직이는(예를 들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기에 추가로 부착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통합된 매트리스 및 지지 구조체(120)의 예가 이제 도 2a-2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지지 구조체(120)는 침대(10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지지 구조체(120)는 복수의 구획(120a, 120b, 120c)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은 환자의 신체의 개별 부분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도 2a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1 구획(120a)은 등 및 머리를 포함하는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제 2 구획(120b)은 환자의 상부 다리를 지지하도록 구배치되며, 제 3 구획(120c)은 환자의 하부 다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제 1 구획(120a)은 약 0.7-1.1 m, 선택적으로 약 0.8 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구획(120b)은 약 0.4-0.5 m, 선택적으로 약 0.45 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3 구획(120c)은 약 0.5-0.6 m, 선택적으로 약 0.55 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길이는 지지 구조체(120)의 길이 방향 또는 최장 치수에 대응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는 침대(10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구획은 횡방향 분리선(예를 들어, 피벗 지점)(122, 124)에 의해 인접 구획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 1 분리선(122)은 제 1 구획(120a)을 제 2 구획(120b)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제 2 분리선(124)은 제 2 구획(120b)을 제 3 구획(120c)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분리선 및 제 2 분리선(122, 1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의 주요 굴곡 지점, 즉 무릎 및 허리에 대응할 수 있다. 크로스빔(crossbeam) 또는 측 방향 지지 막대(support bar)가 제 1 분리선 및 제 2 분리선(122, 124) 각각에 위치될 수 있다.
중심 피벗 지점(126)은 침대(10)의 지지 구조체(20)가 전체로 중심 피벗 지점(12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침대 지지체(112)가 지지 구조체(120)와 만나는 지점에 침대(10)의 대략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중심 피벗 지점(126)은 굴곡 지점에 반드시 위치될 필요는 없으며/없거나 제 1 분리선 및 제 2 분리선(122, 124) 사이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는 약 1.5 m, 약 1.6 m, 약 1.7 m, 약 1.8 m, 약 1.9 m, 약 2.0 m, 약 2.1 m, 약 2.2 m 또는 약 2.3 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길이는 지지 구조체의 길이 방향 또는 최장 치수에 대응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는 침대(10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는 약 0.8 m, 0.9 m, 약 1 m 또는 약 1.1 m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폭은 길이에 수직 또는 횡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는 약 0.1-1 m, 약 0.2-0.9 m, 약 0.3-0.9 m 또는 약 0.5-0.9 m의 높이만큼 지면으로부터 올려질 수 있다.
매트리스는 복수의 탄성 부재(150),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120)의 상단부(114)로부터 지지 구조체(120)의 하단부(116)까지 길이방향(즉, 길이 방향 또는 가장 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상단 유지 부재(152)에 의해 상단부(114)에(예를 들어, 부착됨), 하단 유지 부재(154)에 의해 하단부(116)에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50)는 상단 유지 부재 및 하단 유지 부재(152, 154)에 부착 또는 연결(예를 들어, 용접)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각각의 분리선에서 추가적인 유지 부재(156)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50)는 추가적인 유지 부재(156), 예를 들어 그곳에 위치된 크로스빔 또는 측 방향 지지 막대(만일 제공된다면)에 부착 또는 연결(예를 들어, 용접)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지지 구조체(120) 위에 누워 있는 환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환자에 대한 주요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재료(예컨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지 않은 폼(foam) 또는 메모리 폼)가 탄성 부재(150)를 둘러쌀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매트리스의 형상 및/또는 윤곽은 도 2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50)의 형상 및 윤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의 다양한 구획들은 그것들의 개별 분리선들(122, 124)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예를 들어, 위 아래)/가능하거나 회전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의 다양한 구획들이 회전함에 따라, 탄성 부재(150)는 형상을 바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50)는 지지 구조체(120)의 다양한 구획의 회전시 미리 결정된 형상 및/또는 윤곽을 형성하도록 편향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의 형상 및/또는 윤곽(및 따라서, 매트리스 )는 각 구획마다 다를 수 있다.
도 2b의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리선(122)을 중심으로 제 1 구획(120a) 및/또는 제 2 분리선(124)을 중심으로 제 3 구획(120c)의 회전시, 탄성 부재(150)는 제 1 구획(120a) 및/또는 제 3 구획(120c)에 개별적으로 볼록한 윤곽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 2 구획(120b)에 오목한 윤곽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된 "오목한(concave)" 및 "볼록한(convex)"에 대한 지칭은 길이방향으로 침대 위에 누워서 있는 사람(예를 들어, 환자)을 향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오목한 윤곽은 길이방향에서 침대의 움푹 들어간(depressed) 부분(예를 들어, 딥(dip) 또는 밸리(valley))을 형성하고, 볼록한 윤곽은 길이방향으로 침대의 올라간 부분(예를 들어, 범프(bump) 또는 돌출부)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평평한 위치(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로부터 보다 수직으로 세워진 위치(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로 구획(120a 및 120b)이 회전할 때, 지지 구조체(120)는 자동으로 요추지지용 오목한 윤곽(130)(예를 들어, 피트 또는 밸리) 뿐만 아니라 볼록한 윤곽(135)을 제공한다. 길이 방향 탄성 부재(150)(수직 스프링 또는 측 방향 부재와는 대조적으로)의 사용은 이러한 윤곽링이 침대의 의도된 사용에 대해 보다 쉽게 맞춤화되게 한다.
탄성 부재(150)는 지지 구조체(120)의 평평한 위치 및 수직으로 세워진(upright) 위치에서 신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120)가 평평한 위치에 있을 때 탄성 부재(150)는 바람직하게는 누워 있는 위치에서 신체의 윤곽을 따르도록 물결 모양(undulate)일 수 있거나 덜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150)가 평평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위치에 있을 때, 지지 구조체(120)는 착석 위치에 있는 신체의 윤곽을 따르도록 물결 모양일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가 착석 위치에 있을 때의 탄성 부재(150)의 물결 모양은 지지 구조체(120)가 평평한 위치에 있을 때의 탄성 부재(150)의 물결 모양보다 더 두드러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지지 구조체(120)에 제공된 측 방향 탄성 부재 또는 스프링이 없을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약 1.5 m, 약 1.6 m, 약 1.7 m, 약 1.8 m, 약 1.9 m, 약 2.0 m, 약 2.1 m, 약 2.2 m 또는 약 2.3 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길이는 지지 구조체의 길이 방향 또는 최장 치수에 대응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는 적어도 5, 10, 15 또는 20개의 탄성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상기 탄성 부재는 침대(100) 위에 누워 있는 사람에 충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5, 10, 15 또는 20 cm 미만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가 예를 들어 그로부터 환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또는 모두의) 탄성 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탄성 부재(150)의 장력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환자가 침대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명백해지면, 예를 들어, 중심 탄성 부재의 장력이 감소하고 바깥쪽 탄성 부재의 장력이 증가하는 경우, 제어 시스템은 환자가 침대에서 곧 떨어질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그런 다음, 환자가 실제로 침대에서 떨어지기 전에 경보를 울리거나 다른 식으로, 간병인(또는 다른 사람)에게 경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침대가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대의 적당한 부분을 이동(예를 들어, 상승)시킬 수 있다. 이는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졌을 때 사전에 경고하지 않는 많은 전통적인 장치에 비해 개선된 것이다.
탄성 부재(150)의 장력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될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른 탄성 부재(150)의 장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 시스템은 환자의 움직임 패턴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경보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이 실질적으로 안정하다면, 제어 시스템은 환자가 정상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다. 장력이 미리 정해진 양보다 많이 변하면(예를 들어, 환자의 도리깨질(thrashing) 또는 몸부림(writhing)으로 인해), 제어 시스템은 경보음을 내거나 다른식으로 간병인(또는 다른 사람)에게 경고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의 스프링에 연결된 센서의 사용은 환자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방법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보여진다. 예를 들어, 스프링은 침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침대 위의 사람의 움직임의 증가된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20)의 다양한 부분은 제 1 분리선 및 제 2 분리선(122, 124) 및/또는 중심 피벗 지점(126)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외에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자동화된 움직임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120)의 상부 모서리(128)는 서로 및/또는 지지 구조체(120)의 다른 부분을 독립적으로 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의 어깨를 들어 올리도록 설정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달성하기 위해, 지지 막대(140)는 지지 구조체(120)의 상단부(114)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막대(140)는 좌측 암(142) 및 우측 암(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독립적으로 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다. 좌측 암(142) 및 우측 암(144) 각각을 올리고 내리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침대 위에 누워 있는 환자의 다리 또는 발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유사한 장치가 지지 구조체(120)의 하단부(116)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움직임도 예상된다. 지지 구조체(120)는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120)의 중심 종축과 같은 회전 종축을 중심으로 올리고 및/또는 내릴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분리선은 지지 막대(140)와 유사한 지지 막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 막대는 지지 구조체(120)의 절반이 상승하도록 우측 암 또는 좌측 암 모두를 동시에 올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환자를 돌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120)는 복수의 구획(예를 들어, 적어도 3 개의 구획 및/또는 구획(120a, 120b, 120c)과 유사)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획의 전부 또는 일부는 예를 들어, 피벗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이외에 병진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획은 다른 구획과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위아래로).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각각의 구획의 부분은 나머지 구획과 독립적으로 및/또는 다른 구획과 독립적으로(예를 들어,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각 구획의 부분은 각각의 탄성 부재(150)가 구획의 해당 부분 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부재(150)를 구비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획 내에서 또는 특정 구획의 일부분 내에서 탄성 부재(1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는 각각의 탄성 부재(150)에 별도의 액츄에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증폭된 또는 보조된 움직임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가 이제 설명될 것이며, 본 출원에 개시된 침대의 양태 또는 실시 양태 중 임의의 것과 결합될 수 있다.
사용중에 인체 또는 동물이 누워 있는 침대, 예를 들어 의학적(예를 들어, 병원) 침대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침대는 신체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다리 또는 팔 같은 사지, 어깨, 몸통 또는 하체 등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침대는 도 1 또는 도 2a-2b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침대일 수 있다.
침대는, 각각의 부분이 이동 가능하여, 각 부분에 대응하는 신체의 일부분이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가 앉아 있거나, 어깨 운동이나 다리 올리기와 같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움직임은 욕창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고, 침대의 부분에 대응하는 신체의 특정 부분이 이동되는 경우 및/또는 그럴 때 침대의 해당 부분을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신체의 일부분의 움직임을 검출한 후에 이런 움직임은 지정된 방향에 있을 수 있는 신체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침대의 부분을 지정된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신체의 일부분의 움직임을 증폭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신체 일부를 움직이기 위해(예를 들어, 앉아서) 제어 패널(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지만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침대의 움직임을 달성하지 않는 통상적인 배열과는 대조적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원리는 환자의 움직임을 개시하기 보다는 침대가 증폭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환자의 모든 움직임이 증폭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움직임의 개시와 반대로 증폭은 항상 원해지지 않은 것이 인식될 것이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환자 또는 간병인이 증폭 운동의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도록 스위칭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앉기를 원하지만 증폭된 움직임을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충분하지 않으면, 제어 시스템이 꺼질 수 있다. 환자는 그런 다음 침대에서 상체를 들어 올리기 위해 기존의 제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증폭된 움직임으로 앉아 있고 싶으면 제어 시스템이 켜질 수 있다. 이것은 환자의 움직임이 침대의 움직임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시스템은 환자가 문제의 신체 부위를 움직인 이후 주어진 시간이 경과 한 후에만 침대의 움직임을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원치 않는 피로를 예방할 수 있을 정도로 짧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경련에 대한 반응과 같이 불필요하거나 원하지 않는 침대의 움직임을 막기에 충분히 길 수 있다. 이 기능은 예를 들어 특정 움직임에 대하여 제어 시스템이 상기에서 설명한대로 스위칭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스위치가 눌려 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활성화되는 경우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만 증폭된 움직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제어 시스템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이 침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은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만 증폭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작동식 스위치 또는 특정 움직임(예를 들어, 팔 동작 또는 눈 움직임)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와 같은 다른 유형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원치 않는 움직임을 피하는데 도움이 되며 본 출원에서 설명된 원하지 않는 움직임을 피하는 다른 방법에 추가로 또는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수준의 보조 인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환자는 다른 환자보다 더 많은 보조 인자가 필요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예를 들어, 환자 또는 간호사/간병인)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조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인자는 예를 들어 0-1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0은 필요없음 또는 최소한의 보조에 상응하고, 1은 완전한 또는 최대한의 보조에 상응한다. 상기 인자는 예를 들어 선형으로 0-1에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보조 인자 중 하나에 기초하여 지정된 방향(예를 들어, 비례하여)으로 침대의 일부를 움직이는데 사용되는 파워를 변화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보조 인자가 높을수록 더 많은 파워가 침대의 일부분에 인가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또한 보조 인자 중 하나에 기초하여 움직임의 응답 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응답 시간은 환자가 움직이기 시작하거나 움직임을 시작하면 제어 시스템이 문제의 침대 부분의 움직임을 달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높은 보조 인자의 경우, 제어 시스템은 보다 짧은 응답 시간을 사용하거나 적용할 수 있으며, 낮은 보조 인자의 경우 제어 시스템이 더 긴 응답 시간을 사용하거나 적용할 수 있다.
특정 운동이 가능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루틴을 저장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에), 이것은 문제의 침대의 부분, 예를 들어 다리에 대응하는 신체의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신체 부분(예를 들어, 다리)의 움직임을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설정된 반복 횟수 및/또는 다수의 신체 부위(및 각 다리 또는 상체 및 하체와 같은 침대의 다수의 대응 부위)에 대해 이를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사용시 환자의 신체의 특정 부분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침대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대는 도 1 또는 도 2a-2b에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침대일 수 있고, 이 경우 침대의 각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은 침대 또는 지지 구조체의 구획 또는 아구획에 대응할 수 있으며, 해당 부분의 움직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지정된 방향으로 침대의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모터는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침대의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제어 시스템과 관련하여 전술한 제어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침대의 부분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개별적으로 침대 위에 누워 있는 환자의 상체 및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침대의 제 3 부분은 환자의 우측 어깨 또는 팔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침대의 제 4 부분은 환자의 좌측 어깨 또는 팔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은 제 1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제 1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을 제 5 부분과 제 6 부분으로 나누어 제 2 부분에 유사한 배열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침대는 사분면으로 분할될 수 있고, 사분면 뿐만 아니라 침대의 상부 절반 및 하부 절반이 각각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침대의 각 부분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터(미도시)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침대의 각 부분은 전용 모터를 가질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스위치는 침대의 일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모터 중 하나의 전송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관련 양태에서, 사람이 누워 있는 침대, 예를 들어 의학용(예를 들어, 병원)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침대는 신체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다리 또는 팔, 어깨, 몸통 또는 하체 등과 같은 사지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침대는, 각각의 부분이 이동 가능하여, 각 부분에 대응하는 신체의 일부분이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가 앉아 있거나, 어깨 운동이나 다리 올리기와 같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루틴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에), 이것은 문제의 침대의 부분, 예를 들어 다리에 대응하는 신체의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문제의 침대 부분을 특정 반복 횟수만큼 이동(예를 들어, 부분을 올리고 내리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복 횟수는 제어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예를 들어, 간병인)에 의해 미리 결정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침대는 증폭 움직임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침대와 유사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는 증폭 움직임 보다는 전용 및/또는 집속된 운동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분할된 움직이는 침대의 사용과 관련된다.
루틴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대신에(또는 추가적으로), 제어 시스템은 욕창이 검출되거나 예측될 때 및/또는 그럴 경우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욕창은 각 부분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의 사용을 통해(예를 들어, 센서들의 어레이, 대신에 침대를 가로 질러 균일하게 퍼짐) 검출되거나 예측될 수 있으며, 이 센서는 압력 또는 움직임, 예를 들어 환자가 오랜 기간 동안 한 위치에 누워 있거나 운동이 부족하여 야기되는 압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시간 기간(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환자가 신체의 특정 부분(및/또는 신체 전체)을 움직이지 않은 것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 시스템에 통지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 시스템은 욕창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것의 또는 그것들의 지정된 방향으로 침대의 선택된 부분 또는 해당 부분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된 부분/부분들은 시간 기간 동안 환자의 신체에 의해 가장 큰 압력이 가해지는 침대의 부분 및/또는 침대의 다른 부분에 대응하거나 또는 적어도 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기간(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30, 60, 120, 240 또는 480 분보다 긴 기간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시간 기간(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는 480, 240, 120 또는 60 분 보다 짧은 기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기간(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약 30-480 분, 대신에 60-240 분 또는 추가 대신에 60-120 분사이의 기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이 검출되거나 예측되는 욕창에 응답하여 침대의 미리 결정된 부분 또는 부분들을 이동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예를 들어, 메모리에)할 수 있다. 이것은 검출된 욕창 또는 압력 지점들의 위치 및/또는 유형에 의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왼쪽 다리에 대응하는 침대의 일부분에서 검출된 욕창 또는 압력 지점은 침대의 해당 부분을 올리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여 완화될 수 있다. 대신에, 양쪽 다리에 대응하는 침대 부분을 올리거나 다른 식으로 움직여 하단 허리에서 검출되는 욕창 또는 압력 지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압력 지점(pressure point)"은 상기에서 지칭된 센서(예를 들어, 압력 센서와 같은 센서의 어레이)에 의해 검출된 침대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높은 압력의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의 방법들에 대해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그리고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독립적으로 청구할 수 있는) 시간 기간 동안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되거나 미리 결정된 시간량 동안 환자가 이동하지 않으면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침대 또는 지지 구조체(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침대 또는 지지 구조체) 위에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신체를 지지하고 신체의 특정 부분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a, 도 2b의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침대 또는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은 신체의 특정 부분에 대응하고, 부분들의 각각은 각 부분에 대응하는 신체의 부분이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고, 침대와 관련된(예를 들어, 상기 침대에 연결되고/연결되거나 상기 침대 내부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센서가 일부 신체가 미리 정의되거나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것을 검출한 경우 그리고 그럴 때 하나 이상의 센서는 신체가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량 동안 움직이지 않았음을 검출하고, 침대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의 적어도 일부(또는 전부)를 지정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30, 60, 120, 240 또는 480 분보다 긴 기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480, 240, 120 또는 60 분보다 짧은 기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약 30-480 분, 선택적으로 60-240 분 또는 더욱 선택적으로 60-120 분의 기간일 수 있다.
다시, 침대는 증폭된 움직임 및/또는 전용 및/또는 집속된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침대와 유사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된 "오목한" 및 "볼록한"에 대한 지칭은 길이방향으로 침대 위에 누워서 있는 사람(예를 들어, 환자)을 향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오목한 윤곽은 길이방향에서 침대의 움푹 들어간 부분(예를 들어, 딥 또는 밸리)을 형성하고, 볼록한 윤곽은 길이방향에서 침대의 올라간 부분(예를 들어, 범프 또는 돌출부)을 형성한다.
침상 지지 부재(Bedside Support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가 이제 설명될 것이며, 본 출원에 개시된 침대의 양태 또는 실시 양태 중 임의의 것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침대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개시된다. 부재는 침대의 측면에 부착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및/또는 예를 들어, 침대 위에 누워있는 환자를 올리고 내리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지지 빔을 제공하기 위해 침대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침대는 도 1 또는 도 2a-2b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침대일 수 있다.
상기 부재는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재가 침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위치와, 예를 들어, 환자나 간병인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침대 위로 부재가 연장되는 제 2(다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상기 부재는 가요성일 수 있고, 제 2 상태에서 상기 부재는 강성일 수 있다. 상기 부재는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할 수 있어서 상기 부재는 제 1 상태인, 가요성 상태(flexible state)에서 어떤 위치로 이동하거나 조작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로 스위칭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환자 또는 간병인에 의해 상기 부재가 다양한 위치로 조작될 수 있게 한다. 본 출원에 사용되는, "가요성(flexible)"은 상이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고, "강성(rigid)"은 상기 부재 또는 그 일부가 실질적으로 제 위치에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재는 상기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에 있는 동안 제 1 위치에 고정된 다음, 가요성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 2 위치인, 상이한 위치로 이동되거나 조작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상기 부재를 그것의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제 2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공정은 환자 또는 간병인의 필요에 따라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상기 부재는 예를 들어, 환자가 침대에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항목으로부터 예를 들어, 혈압을 측정할 때 환자를 돕기 위해 또는 움직임을 돕기 위한 지지 메커니즘으로 전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환자의 재활을 돕기 위해, 상기 부재의 형상이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부재의 특징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재(200)가 침대(100)(이 경우, 침대(100)는 도 2a 및 도 2b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침대이다)와 관련하여 어떻게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는 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부재(200)는 부재(2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침대(100)의 측면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지만 분리선(122, 124) 상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침대(100)에 부착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부재(200)가 침대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환자의 허리에 위치하는, 특별히 적합한 영역이 제 1 분리선(122)에 또는 인접하여 있을 것이다(손이 위치될 것 같은 곳).
도 3b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부재의 특징을 갖고, 부착 위치(202)에서 침대(100)에 부착되는 단일 부재(200)가 제공된다. 부재(200)가 부착 위치들(202)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 부재(200)(미도시)가 이들 위치에서 침대(1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추가 부착 위치(202)가 제공될 수 있다.
부착 부재(200)는 부재(200)가 침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실선으로 도 3b에 도시되어 있고, 부재(200)의 일부분은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매트리스의 레벨 위치로 상승된다.
또한, 도 3B는 점선으로 된 부재(200)의 대안적인 위치(210, 212)를 도시하며, 부재(200)는 측 방향에 플랫폼 또는 지지체를 제공 하도록 부재가 침대(100)를 가로 질러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210)로 이동될 수 있다. 대신에, 부재(200)는 부재(200)가 환자의 머리 위로 실질적으로 상승된 위치(212)로 이동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환자가 부재(200)를 사용하여 스스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부재는 가요성 및 강성 상태 사이에서 전이할 수 있고,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많은 메커니즘이 예상된다.
도 3c는 네오프렌(neoprene)으로 제조될 수 있는 중공 튜브(300)를 사용하여 부재가 형성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하며, 이 튜브 내에는 유체 운반 튜브(304)에 의해 연결된 일련의 팽창 가능한 볼(302)이 유지된다. 유체 운반 튜브(304)에 유체는 선택적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 지점에서 볼은 팽창되어 제 위치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증가된 압력은 처음에 볼 위에 또는 내부에 위치된 요소(306)가 튜브(300)의 내부 표면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이는 부재(200)가 실질적으로 강성이 될 수 있고 부재가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다. 유체 운반 튜브(304) 내의 유체의 감압시, 볼은 수축할 수 있고(예를 들어, 요소(306)가 손상되어 더 이상 튜브(300)의 내부 표면을 향해 가압되지 않을 수 있음), 부재(200)는 제 1 상태인, 가요성 상태에 있을 것이다.
도 3d는 부재(200)가 일련의 포켓을 갖는 튜브(400)에 의해 형성되는 부재(20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e는 부재(200)가 튜브(5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팽창 장치(502)가 튜브(500) 내에 위치되는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팽창 장치(502)는 일련의 비-팽창가능한 링(506)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팽창 가능한(예를 들어, 고무) 튜브(504)로 형성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튜브(inflatable tube)(504)는 가압될 수 있고(예컨대, 공기를 사용하여), 가압시 팽창 가능한 튜브(504)는 비-팽창 가능한 링(506) 사이에서 팽창할 수 있다. 이는 팽창 가능한 튜브(504)가 튜브(500)의 내부 표면에 맞닿아 증가된 압력을 가하게 하고, 부재(200)가 실질적으로 강성이 되어 상기 부재가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에 있게 한다. 팽창 가능한 튜브(504)의 감압시, 그것은 수축되어, 튜브(500)의 내부 표면에 대해 거의 또는 전혀 압력을 가하지 않아서 부재(200)는 그것의 제 1 상태인, 가요성 상태가 될 것이다.
도 3f는 부재(200)가 튜브(600)에 의해 형성되고 팽창 장치(602)가 튜브(600) 내에 위치되는 도 3e의 것과 유사한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팽창 장치(602)는 일련의 비-팽창 가능한 링(606)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팽창 가능한(예를 들어, 고무) 튜브(604)로 형성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튜브(604)는 가압될 수 있고(예컨대, 공기를 사용하여), 가압시 팽창 가능한 튜브(604)는 비-팽창 가능한 링(606) 사이에서 팽창할 수 있다. 이는 팽창 가능한 튜브(604)가 튜브(600)의 내부 표면에 맞닿아 증가된 압력을 가하게 하고, 부재(200)가 실질적으로 강성이 되어 부재가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에 있게 한다. 팽창 가능한 튜브(604)의 감압시, 그것은 수축되어, 튜브(600)의 내부 표면에 대해 거의 또는 전혀 압력을 가하지 않아서 부재(200)는 그것의 제 1 상태인, 가요성 상태가 될 것이다.
도 3f의 실시예에서, 분말, 복수의 입자 또는 구(608)가 팽창 가능한 튜브(604)와 튜브(600)의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된다. 팽창 가능한 튜브(604)의 팽창시, 구(608)는 튜브(600)의 내부 표면에 맞닿아 가해지는 압력에 추가되고 팽창 가능한 튜브(604)의 가압시 튜브(600)가 실질적으로 강성 상태에 있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3g는 부재(200)가 튜브(700) 및 튜브(700) 내에 위치된 팽창 장치(70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팽창 장치(702)는 튜브(700)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복수의 와이어(70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잠금 부재(706)가 예를 들어 규칙적으로 이격된 간격으로 튜브(700)에 부착될 수 있다. 잠금 부재(706)가 튜브(700)에 대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서, 잠금 부재(706)는 튜브(700)를 따라 이동할 수 없다. 잠금 부재(706)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튜브(700)의 내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내부의 팽창 가능한 튜브(708)는 튜브(700) 내에 위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탄성 고정체(fixing)(710)를 통해 잠금 부재(706)에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와이어(704) 각각은 잠금 부재(706)의 개구부 또는 공동(712)을 통과할 수 있다. 잠금 부재(706)가 링 형태인 경우, 개구부(712)는 잠금 부재(706)의 둘레로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712) 내에 각각의 와이어(704)를 보유하도록 탄성 고정체(710)은 개구부(71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부분(714)(예를 들어, 핀)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부재(200)가 제 1 상태인, 가요성 상태에 있을 때, 내부 튜브(708)는 감압될 수 있고 와이어(708)는 부재(200)의 움직임 또는 조작시 개구부(712)를 통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이는 부재(200)가 임의의 원하는 위치로 조작되고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부재(200)를 제 2 상태인, 강성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내부 튜브(708)가 가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 고정체(710)가 개구부(712) 내로 가압되어 내부 와이어(704)를 트랩하고 잠금 부재(706)에 대한 그것들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는 와이어(706)가 제 위치에 고정된 것을 의미하고, 부재(200)의 조작 또는 이동을 방지한다.
모니터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병원 침대에 앉거나 누워 있을 때 환자(또는 다른 사용자)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병원 침대가 부적절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거나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이다. 이들 실시예의 목적은 병원 직원(또는 다른 간병 종사자)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중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침대 위의 사람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어 시스템은 사람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은 모니터링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센서들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다. 침대는 도 1 또는 도 2a-2b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침대일 수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중량 센서, 예를 들어 침대의 중량(침대 위에 사람을 포함) 뿐만 아니라 침대의 중량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침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계량 저울(weighing scale)을 사용하여 침대 위의 사람의 중량을 측정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계량 저울은 침대 지지체(12)에 연결되거나 휠(18) 사이의 침대 바닥에 위치될 수 있다. 침대에 누워있는 사람의 중량은 그 사람과 함께 침대의 중량에서 사람이 없는 침대의 중량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침대(및/또는 침대 위의 사람)의 중량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만약 이 중량이 미리 정의된 양 이상으로 벗어나면, 제어 시스템에 통지가 발송되어 경보를 울리고/울리거나 편차의 시간 및 중량 편차의 양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침대 위의 사람의 온도를 측정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온도 센서와 같은 원격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침대에 앉은 사람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적합한 센서 또는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침대 위의 사람의 길이 또는 높이를 측정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침대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침대에서 사람의 몸의 상단과 하단을 검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람의 길이를 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적절한 맥박 센서를 사용하여 환자의 침대에서의 맥박수를 측정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원격 및/또는 비컨택 센서일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침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환자의 맥박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만약 이 맥박이 미리 정의된 값 이상으로 벗어나면, 상기 제어 시스템에 통지가 발송되어 경보를 울리고/울리거나 편차의 시간 및 맥박 편차의 정도를 기록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통지 및/또는 경보를, 예를 들어, 추가 프로세싱, 모니터링 또는 기록을 위해 병원의 중앙 서버에 중계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적절한 컬러 센서를 사용하여 침대 위의 사람의 피부색 또는 색조(tone)를 측정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센서는 원격 및/또는 비컨택 센서일 수 있다. 침대 위에 사람의 피부색이나 색조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만약 피부색 또는 색조가 상당히 변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색조가 검출되면, 제어 시스템에 통지가 발송되어 경보를 울리거나 및/또는 편차의 시간 및 맥박 편차의 정도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통지 및/또는 경보를, 예를 들어, 추가 프로세싱, 모니터링 또는 기록을 위해 병원의 중앙 서버에 중계할 수도 있다.
침대 위의 사람의 움직임은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동작 검출기를 사용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검출기는 침대 위의 사람의 상대적으로 큰 움직임(예를 들어, 10 cm 이상의 크기)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움직임이 사람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내면 제어 시스템에 통지를 발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침대에서 떨어지려고 하는지(즉, 일어나기 전에)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통지가 발송되거나 예상되는 경우 경보가 울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가동 부분을 갖는 침대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침대의 몇몇 부분은 사람이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측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검출기는 전형적으로 불편 및 불안을 나타내는 침대 위의 사람의 비교적 작은 움직임(예를 들어, 10 cm 미만의 크기)을 검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적 작은 움직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침대 위의 사람이 심한 정도의 불편함(예를 들어, 욕창으로 인한)에 있는지 여부를 예측하고 이것이 예상되면 통지가 발송될 수 있고/있거나 경보가 울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부분을 갖는 침대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침대의 어떤 부분은 사람이 심각한 양의 불편함(예를 들어, 욕창)을 경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예측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침대 위의 사람의(즉, 삽관술한(intubated) 사람) 몸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튜브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튜브 내의 소리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운드 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 시스템은 불편함 또는 문제(예를 들어, 점액)를 나타내는 사운드와 같이 튜브의 특정 소리를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특정 음파(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를 검출하고 이러한 파가 검출되면 경보를 울리거나 및/또는 통지를 발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통지 및/또는 경보를, 예를 들어, 추가 프로세싱, 모니터링 또는 기록을 위해 병원의 중앙 서버에 중계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침대 위의 사람의 호흡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호흡률 및 패턴을 검출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임펄스 레이더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원격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에서 설명된 동작 센서와 결합하여 호흡 및 운동 데이터를 제어 시스템에 발송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그런 다음 이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침대 위의 사람이 잠을 자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침대 위의 사람이(호흡 및 운동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들어 있는지를 지속적으로(또는 주기적으로) 결정하고 사람의 상태(예를 들어, "깨어 있는"또는 "잠든 상태")를 연속적으로(또는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침대의 사람에 의해 미리 결정된 동작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경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동작은 필요에 따라 사람(또는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팔을 움직일 수 없다면, 미리 정의된 동작은 주어진 양보다 많이 다리를 들어 올리는 것일 수 있다. 다른 미리 결정된 동작이 음성 활성화 명령 또는 다른 사운드, 또는 눈 움직임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동작이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침대 위의 사람(또는 간병인 등)은 메뉴에서 적절한 미리 결정된 동작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것들은 경보를 울리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센서 뿐만 아니라 대신에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침대 위의 단일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데이터의 프로세싱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침대와 관련된 데이터를 프로세스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된 서버의 데이터 프로세싱 및/또는 저장 요건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프로세스하고 저장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고 유지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단지 특정 통지 및/또는 경보를 발송함으로써, 중앙 서버에 대한 요건이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상이한 센서, 예를 들어 상술한 센서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분석 모듈 또는 알고리즘에 입력하기 위해 이들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석 모듈 또는 알고리즘은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을 프로세스하고 결합된 건강 평가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알고리즘이 찾을 수 있는 데이터 상관 관계와 패턴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센서는 침대 위의 사람이 10 분 동안 적은 양으로 불안정하게 움직였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는 온도가 내려 가고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이 조합은 긴급한 주의가 필요한 특정 건강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지하면, 제어 시스템은 간병인(예를 들어, 간호사 또는 의사)이 사람을 급히 방문하도록 메시지를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5)

  1. 침대를 위한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각각의 구획(section)이 다른 구획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사용시 신체의 각 부분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 및
    상기 침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침대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체의 형상 및/또는 윤곽(profile)은 상기 탄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윤곽에 대응하는, 지지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신체의 형상에 맞는 물결 형상(wavy shape) 및/또는 윤곽을 갖는, 지지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의 형상 및/또는 윤곽은 상기 복수의 구획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지지 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은 횡방향 분리선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복수의 구획의 각각은 상기 횡방향 분리선 각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의 각각의 형상 및/또는 윤곽은 상기 복수의 구획 중 하나 이상의 구획의 회전시에 변하는, 지지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부재는 상기 침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침대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단일 탄성 부재이고, 각각의 탄성 부재는 상기 각각의 횡방향 분리선에서 제 위치에 유지되는, 지지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제 1 배치(configuration) 및 제 2 배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배치의 지지 구조체의 형상 또는 윤곽은 상기 제 2 배치의 지지 구조체의 형상 또는 윤곽과 다른, 지지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는 상기 복수의 구획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 1 배치와 상기 제 2 배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지지 구조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치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누운 배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배치는 수직으로 세워지거나(upright) 좌식(seated) 배치에 대응하는, 지지 구조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제 1 배치 및 상기 제 2 배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방향 윤곽을 변경 시키도록 배치되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의 길이방향 윤곽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배치로의 상기 침대의 이동 내내 상기 침대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방향 윤곽에 대응하는, 지지 구조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부분 및/또는 볼록한 부분을 나타내도록 배치되는, 지지 구조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 중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
  13. 제12항의 지지 구조체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 중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상기 특성의 분석에 기초하여 경보 또는 신호(flag)를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특성이 (i) 미리 결정된 양보다 더 많이 변화하거나, (ii)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범위 밖의 값을 유지하거나 또는 (ⅲ)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값의 범위 내에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경보 또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시스템.
  15. 제12항의 지지 구조체 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은 상기 탄성 부재의 장력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 또는 시스템.
KR1020197012849A 2016-11-04 2017-10-24 병원 침대 KR201901009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01618658 2016-11-04
GB1618658.7 2016-11-04
GBGB1705426.3A GB201705426D0 (en) 2017-04-04 2017-04-04 Monitoring methods for medical beds
GB1705426.3 2017-04-04
PCT/IB2017/056594 WO2018083566A1 (en) 2016-11-04 2017-10-24 Hospital b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906A true KR20190100906A (ko) 2019-08-29

Family

ID=6024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849A KR20190100906A (ko) 2016-11-04 2017-10-24 병원 침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197793B2 (ko)
EP (2) EP3534859A1 (ko)
JP (1) JP7137573B2 (ko)
KR (1) KR20190100906A (ko)
CN (1) CN109922771A (ko)
CA (2) CA3041765A1 (ko)
SG (1) SG11201903374RA (ko)
WO (2) WO2018083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4859A1 (en) 2016-11-04 2019-09-11 Ably Medical AS Monitoring methods for medical beds
WO2019033025A1 (en) * 2017-08-10 2019-02-14 Patrones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AUTONOMOUS OPERATIONS OF A MOTORIZED MOBILE SYSTEM
EP3768123A4 (en) * 2018-03-22 2021-12-29 Bussert Medical, Inc. Therapeutic seat cushion equipped for pressure monitoring and inflation system for same
GB201806938D0 (en) * 2018-04-27 2018-06-13 Ably Medical As Support structure
GB202001929D0 (en) * 2020-02-12 2020-03-25 Ably Medical As Bed wiht third party connectivity
US20220117489A1 (en) * 2020-10-16 2022-04-21 Kesavan Jagadeesan Console for Multiple Medical Diagnosi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I830992B (zh) * 2021-03-18 2024-02-01 洪順天 受力分析系統
WO2024006396A2 (en) * 2022-06-28 2024-01-04 Mhealthcare, Inc. Sensory medical data collection table
CN117257571B (zh) * 2023-09-12 2024-05-14 河北普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电动医疗床智能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60A (en) * 1866-08-28 Improved bed-bottom
US86120A (en) * 1869-01-26 Improved spring bed-bottom
US643208A (en) * 1899-08-23 1900-02-13 Richard Schmidt Bed-bottom.
US3380088A (en) 1966-03-09 1968-04-30 Pierre Y. D'adesky Combination floating mattress and beach pad
US3716875A (en) * 1970-05-13 1973-02-20 Trust A Three-dimensional upholstery element
DE2238675A1 (de) * 1972-08-05 1974-02-14 Porsche Ag Ruhemoebel
US4164356A (en) * 1977-12-19 1979-08-14 Knight Richard G Chair
JPS6013403Y2 (ja) * 1980-11-10 1985-04-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ベツドの床部構造
JPH0737615Y2 (ja) * 1992-12-25 1995-08-30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におけるボトム構造
GB9610900D0 (en) 1996-05-24 1996-07-31 Ljubomir Gnjatovic A bed
JPH1043008A (ja) * 1996-08-02 1998-02-17 Kakui Amenity Kea Kk マットレス及びマットレス用芯材
IL119721A (en) 1996-11-29 2005-08-31 Mindlife Lt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patient
US5926877A (en) * 1997-10-23 1999-07-27 Lin; Joe Adjustable supporting table
DE29917813U1 (de) * 1999-10-08 2001-02-22 Westmont Technik Gmbh & Co Kg Verstellvorrichtung für Betten, Matratzen, Sessel u.dgl.
JP2001293037A (ja) 2000-04-13 2001-10-23 Fukuju Sangyo Kk 可動ベッド
EP2181685B1 (en) * 2002-09-06 2014-05-14 Hill-Rom Services, Inc. Hospital bed with controlled inflatable portion of patient support
NL1028539C2 (nl) * 2005-03-14 2006-09-18 Hans Voorwinde Beheer B V Inrichting voor het voorkomen van decubitus.
DE102005041520B3 (de) * 2005-08-31 2006-12-07 Oped Ag Anti-Dekubitus-Unterlage sowie Bettauflagenaufbau umfassend eine Anti-Dekubitus-Unterlage
WO2008055173A2 (en) 2006-10-30 2008-05-08 Cox Paul G Methods and systems for non-invasive, internal hemorrhage detection
CN101541244A (zh) 2006-11-24 2009-09-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智能患者监测椅
US20080147442A1 (en) * 2006-12-18 2008-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Smart bed system and apparatus
DE202008018439U1 (de) * 2007-02-28 2013-11-05 Philips Deutschland Gmbh System zum Erfassen physiologischer Daten eines Patienten
US20130090763A1 (en) * 2008-01-25 2013-04-11 The Trustees Of Columi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The City Of New York Systems and methods for force sensing in a robot
KR101707924B1 (ko) 2008-02-06 2017-02-17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제동 능력을 가지고 있는 체절식 기구
WO2009135081A2 (en) 2008-04-30 2009-11-0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ntegrated patient bed system
CN201436920U (zh) * 2009-06-10 2010-04-14 许汉忠 主动支撑人体脊椎曲线的健康床
US20110301432A1 (en) 2010-06-07 2011-12-08 Riley Carl W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monitoring a person
US9295600B2 (en) * 2011-04-08 2016-03-29 Hill-Rom Services, Inc. Person support apparatus with activity and mobility sensing
WO2013123119A1 (en) * 2012-02-15 2013-08-22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and controls therefor
CN102697615B (zh) * 2012-05-07 2014-04-16 张其高 一种可躺可坐可大小便的病床
US9149190B2 (en) 2012-07-17 2015-10-06 Stryker Corporation Notification system of deviation from predefined conditions
AU2013292259B2 (en) * 2012-07-20 2017-04-06 Ergomotion, Inc. Articulating bed with flexible mattress support
US8943623B2 (en) * 2013-03-19 2015-02-03 David R Watkins Hammock with intermediate support
JP2017500109A (ja) 2013-12-12 2017-01-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再形成可能な位置付け装置
US9173492B1 (en) * 2014-06-06 2015-11-03 Jacques Fortin Self-reclining chair
CN203954044U (zh) * 2014-07-16 2014-11-26 乔福泡绵股份有限公司 复合式床垫
WO2016153917A1 (en) * 2015-03-23 2016-09-29 Miga Motor Company Body massager using shape memory alloy components
WO2016174596A1 (en) * 2015-04-27 2016-11-03 Fondazione Istituto Italiano Di Tecnologia A shape -keeping deployable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robotic systems of the continuum type
DE202015103036U1 (de) 2015-06-11 2016-10-07 Recticel Bedding (Schweiz) Ag Mehrteiliges Matratzenunterlager
EP3534859A1 (en) 2016-11-04 2019-09-11 Ably Medical AS Monitoring methods for medical be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3567A1 (en) 2018-05-11
US11197793B2 (en) 2021-12-14
US11554061B2 (en) 2023-01-17
CA3041765A1 (en) 2018-05-11
JP7137573B2 (ja) 2022-09-14
CA3041763A1 (en) 2018-05-11
US20190274906A1 (en) 2019-09-12
EP3568114A1 (en) 2019-11-20
SG11201903374RA (en) 2019-05-30
JP2019535468A (ja) 2019-12-12
CN109922771A (zh) 2019-06-21
US20190274905A1 (en) 2019-09-12
WO2018083566A1 (en) 2018-05-11
EP3534859A1 (en) 2019-09-11
US20230329930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9930A1 (en) Bed, hospital bed and resilient support structure for bed
JP6388979B2 (ja) 使用者保持面
EP2508128B1 (en) Person support apparatus with activity and mobility sensing
US8437876B2 (en) Patient health based support apparatus configuration
US9295600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 with activity and mobility sensing
US10391009B2 (en) Optimization of the operation of a patient-support apparatus based on patient response
US1066080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7740015B2 (en) Medical displaceable contouring mechanism
EP2433605B1 (en) Mattress of a bed-chair with variable length of seating area
US7789086B2 (en) Medical displaceable contouring mechanism
WO2014030620A1 (ja) 寝姿勢制御ベッドシステム
US20160235610A1 (en) Using patient monitoring data to control a person support apparatus
US8215311B2 (en) Medical displaceable contouring mechanism
JP6416984B1 (ja) 可動ベッドシステム
JP2022504915A (ja) スマート・ベッド・システム
CN114555026A (zh) 倾斜/升降椅
CN113456059A (zh) 使用雷达监测患者身体
KR102519950B1 (ko) 의료용 침대
US20170258654A1 (en) Novel bed system attachable to a hospital bed
JP2001149416A (ja) 背上げ機構付きベッ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