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454B1 - 접이식 침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침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454B1
KR101881454B1 KR1020160131758A KR20160131758A KR101881454B1 KR 101881454 B1 KR101881454 B1 KR 101881454B1 KR 1020160131758 A KR1020160131758 A KR 1020160131758A KR 20160131758 A KR20160131758 A KR 20160131758A KR 101881454 B1 KR101881454 B1 KR 10188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lding
contact surface
bracket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196A (ko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이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102016013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3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종방향변위수단이 제1결합구와, 롤러가 구비된 제2결합구와, 회동승강부재를 구비하여 제1회동브라켓을 통해 설치프레임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회전축부; 일측이 메인프레임에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승강회전축부의 제1결합구에 링크결합되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회전축부를 제1회동브라켓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패널부재의 제2패널을 접철시키는 작동수단; 제2회동브라켓을 통해 메인프레임 및 설치프레임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중심바과, 연결바를 통해 상기 회동중심바에 일체로 연결되어 패널부재의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을 접철시키는 폴딩받침바와, 상기 승강회전축부의 롤러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회동중심바에 일체로 구성되는 가압작동부로 이루어진 폴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폴딩수단의 가압작동부에 형성된 가이드는 안착홈과,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제1회동브라켓을 중심으로 종방향 회동하는 승강회전축부의 롤러가 안착홈에서 제1접촉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폴딩수단의 연동이 이루어져 패널부재의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이 폴딩 작동되고, 상기 롤러가 제1접촉면에서 제2접촉면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폴딩수단의 연동에 의해 폴딩되었던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이 언폴딩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침대{The folding bed}
본 발명은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승강회전축부에 의한 제2패널의 폴딩시 그에 대향되는 제1패널 또는 3패널이 폴딩되는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제2패널의 폴딩이 35° ~ 45°가 되었을 시에는 그에 대향되는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의 언폴딩 작동이 이루어져 종방향변위수단을 이용한 패널부재의 폴딩시에도 환자가 미끄러지거나 사이 공간이 끼이는 현상 없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동수단의 구동에 따른 승강회전축부의 회동시 롤러가 폴딩스단의 가압작동부를 가압하는 작동을 통해 회동중심바가 제2회동브라켓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와 같은 회동중심바의 회동력이 연결바에 의해 폴딩받침대로 전달되어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을 폴딩시키는 구조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어 폴딩수단의 내구성 증진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방향 변위의 힘 전달을 손쉽게 할 수 있어 누워있는 환자에게 떨림이나 충격을 전달하는 현상 없이 환자의 위치변경을 용하게 이룰 수 있으며, 하나의 가압작동부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구조가 간단해져 제작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환자용 특수 침대는 장기간 누워 생활할 수밖에 없는 중증환자나, 루게릭병과 같은 근육병 환자 등과 같이, 신체장애로 인해 주로 침대에서 생활하며 보호자 등의 타인의 도움으로 생활하는 환자가 욕창 등의 2차적인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침대 접촉 부위를 바꾸어 줌으로써, 환자의 통풍 및 혈액순환을 유도시키기 위한 침대이다.
이러한 특수 침대에 대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에는 주로 상체나 무릎을 접는 정도의 횡방향 폴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3357호와 같은 "접이식 침대"를 개발하여 환자를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기울여지게 함으로써 근육병 환자의 몸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뒤집어 주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근육병 환자의 신체 근육 운동을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KR 10-2011-0043357 A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접이식 침대의 종방향변위수단은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는 승강회전축부에 의해 연동되는 한 쌍의 가압작동부가 구비된 폴딩수단을 구성하여 패널부재의 타측 즉,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음과 더불어,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폴딩수단이 승강회전축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연동되는 가압작동부와, 패널부재의 하부에 복수 개로 분할 구성되는 회동중심바와, 연결바를 통해 상기 폴딩수단에 연결형성되는 폴딩받침바로 분할 구성되어 있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음과 동시에, 종방향 변위의 힘을 크게 전달하지 못하여 환자의 위치가 제대로 변경되지 않거나, 떨림과 같은 충격이 환자에게 전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불어, 승강회전축부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패널부재의 타측을 폴딩시키는 폴딩수단의 가압작동부가 구동실린더의 초기상태 복귀 전에는 언폴딩이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회전축부의 회동승강부재와 폴딩수단으로 인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폴딩된 제1, 2패널 또는 제2, 3패널의 사이 공간 즉, V자 홈에 환자가 끼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폴딩에 따른 종방향 변위시 환자가 불편한 상태로 있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종방향 변위시에도 환자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방향 변위를 떨림이나 충격 없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접이식 침대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수단에 구성된 가압작동부의 가이드가 안착홈과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인해, 승강회전축부에 의한 제2패널의 폴딩시 그에 대향되는 제1패널 또는 3패널이 폴딩되는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제2패널의 폴딩이 35° ~ 45°가 되었을 시에는 그에 대향되는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의 언폴딩 작동이 이루어져 종방향변위수단을 이용한 패널부재의 폴딩시에도 환자가 미끄러지거나 사이 공간이 끼이는 현상 없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접이식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따른 승강회전축부의 회동시 롤러가 폴딩스단의 가압작동부를 가압하는 작동을 통해 회동중심바가 제2회동브라켓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와 같은 회동중심바의 회동력이 연결바에 의해 폴딩받침대로 전달되어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을 폴딩시키는 구조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어 폴딩수단의 내구성 증진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방향 변위의 힘 전달을 손쉽게 할 수 있어 누워있는 환자에게 떨림이나 충격을 전달하는 현상 없이 환자의 위치변경을 용하게 이룰 수 있으며, 하나의 가압작동부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구조가 간단해져 제작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접이식 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이식 침대는 종방향변위수단이 제1결합구와, 롤러가 구비된 제2결합구와, 회동승강부재를 구비하여 제1회동브라켓을 통해 설치프레임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회전축부; 일측이 메인프레임에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승강회전축부의 제1결합구에 링크결합되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회전축부를 제1회동브라켓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패널부재의 제2패널을 접철시키는 작동수단; 제2회동브라켓을 통해 메인프레임 및 설치프레임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중심바과, 연결바를 통해 상기 회동중심바에 일체로 연결되어 패널부재의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을 접철시키는 폴딩받침바와, 상기 승강회전축부의 롤러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회동중심바에 일체로 구성되는 가압작동부로 이루어진 폴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폴딩수단의 가압작동부에 형성된 가이드는 안착홈과,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제1회동브라켓을 중심으로 종방향 회동하는 승강회전축부의 롤러가 안착홈에서 제1접촉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폴딩수단의 연동이 이루어져 패널부재의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이 폴딩 작동되고, 상기 롤러가 제1접촉면에서 제2접촉면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폴딩수단의 연동에 의해 폴딩되었던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이 언폴딩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를 이용하면, 폴딩수단에 구성된 가압작동부의 가이드가 안착홈과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인해, 승강회전축부에 의한 제2패널의 폴딩시 그에 대향되는 제1패널 또는 3패널이 폴딩되는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제2패널의 폴딩이 35° ~ 45°가 되었을 시에는 그에 대향되는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의 언폴딩 작동이 이루어져 종방향변위수단을 이용한 패널부재의 폴딩시에도 환자가 미끄러지거나 사이 공간이 끼이는 현상 없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따른 승강회전축부의 회동시 롤러가 폴딩스단의 가압작동부를 가압하는 작동을 통해 회동중심바가 제2회동브라켓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와 같은 회동중심바의 회동력이 연결바에 의해 폴딩받침대로 전달되어 제1패널 또는 제3패널을 폴딩시키는 구조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어 폴딩수단의 내구성 증진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방향 변위의 힘 전달을 손쉽게 할 수 있어 누워있는 환자에게 떨림이나 충격을 전달하는 현상 없이 환자의 위치변경을 용하게 이룰 수 있으며, 하나의 가압작동부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구조가 간단해져 제작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를 평면에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를 단면하여 도시한 상태도.
도 6a 내지 6e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가 작동하는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과,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종방향변위수단(100)을 각각 구비하여 메인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프레임(20)과, 상기 종방향변위수단(100)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제1, 2, 3패널(31, 32, 33)로 이루어진 패널부재(30)를 구성한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방향변위수단(100)이 제1결합구(111)와, 롤러(113)가 구비된 제2결합구(115)와, 회동승강부재(117)를 구비하여 제1회동브라켓(119)을 통해 설치프레임(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회전축부(110); 일측이 메인프레임(10)에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승강회전축부(110)의 제1결합구(111)에 링크결합되어 구동실린더(12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회전축부(110)를 제1회동브라켓(119)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패널부재의 제2패널(32)을 접철시키는 작동수단(120); 제2회동브라켓(131)을 통해 메인프레임(10) 및 설치프레임(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중심바(133)과, 연결바(135)를 통해 상기 회동중심바(133)에 일체로 연결되어 패널부재(30)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을 접철시키는 폴딩받침바(137)와,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138)를 형성하여 회동중심바(113)에 일체로 구성되는 가압작동부(139)로 이루어진 폴딩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폴딩수단(130)의 가압작동부(139)에 형성된 가이드(138)는 안착홈(138a)과, 제1접촉면(138b)과, 제2접촉면(138c)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121)의 작동에 따라 제1회동브라켓(119)을 중심으로 종방향 회동하는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가 안착홈(138a)에서 제1접촉면(138b)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폴딩수단(130)의 연동이 이루어져 패널부재(30)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폴딩 작동되고, 상기 롤러(113)가 제1접촉면(138b)에서 제2접촉면(138c)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폴딩수단(130)의 연동에 의해 폴딩되었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언폴딩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1)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메인프레임(10)은 본 발명의 설치를 위한 기본 구성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공지된 통상의 조절베이스(미도시)가 더 포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절베이스에는 공지된 통상의 승강수단(미도시)이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베이스의 하부에는 공지된 통상의 이송바퀴(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프레임(20)은 침대(1)의 매트리스(미도시) 일측을 종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종방향변위수단(100)을 각각 대응되는 구성한다.
아울러, 패널부재(30)는 상기 메인프레임(10) 및 설치프레임(20)의 상측에 이격배치되어 종방향변위수단(100)에 의해 연동되어 접철 즉, 폴딩 또는 언폴딩 되는 구성으로, 종방향 변위를 위하여 제1, 2, 3패널(31, 32, 33)로 분할구성되며, 분할구성된 상기 제1, 2, 3패널(31, 32, 33)은 공지된 통상의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는 공지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만 접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패널(32)의 폴딩 작동시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상기 제2패널(32)과 수평하게 연동 이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1)에는 횡방향변위수단(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패널부재(30) 즉, 매트리스를 횡방향으로도 변위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분할구성된 각각의 제1, 2, 3패널(31, 32, 33)이 횡방향으로 각각 다수로 분할되어 각각 힌지결합되어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이식 침대(1)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방향변위수단(100)의 구성을 개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같은 종방향변위수단(100)은 승강회전축부(110)와, 작동수단(120)과, 폴딩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종방향변위수단(100)의 승강회전축부(110)는 작동수단에 의해 회동작동하는 것을 통해 패널부재(30)에 구성된 제2패널(32)을 접철 즉,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는 구성을 함과 동시에, 폴딩수단(130)을 연동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접철되는 제2패널(32)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을 접철시키는 작동을 하는 구성으로, 제1회동브라켓(119)을 통해 상기 설치프레임(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술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외주에는 작동수단(120)이 결합되는 제1결합구(111)와, 폴딩수단(130)을 연동시키기 위한 제2결합구(115)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2결합구(115)의 끝단에는 폴딩수단(130)의 용이한 연동작동을 위하여 상기 폴딩수단(130)에 밀접하는 롤러(113)가 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에는 패널부재(30)에 구성된 제2패널(32)을 접철시키기 위한 공지된 회동승강부재(117)가 더 포함 구성되며, 상기 회동승강부재(117)의 끝단에는 제2패널(32)의 용이한 접철을 위하여 통상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작동수단(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회전축부(110)를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일측이 메인프레임(10)에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승강회전축부(110)의 제1결합구(111)에 링크결합되는 구동실린더(121)를 구성하며, 상기 구동실린더(121)의 일측에는 공지된 통상의 모터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121)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실린더(121)의 헤드와 연결합된 제1결합구(111)에 의해 승강회전축부(110)가 제1회동브라켓(119)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 회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승강회전축부(110)의 종방향 회동을 통해 회동승강부재(117)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하게 되어 패널부재(30)의 제2패널(32) 하부를 들어올리거나, 상기 제2패널(32)을 하강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패널(32)이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과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접철 즉, 폴딩 또는 언폴딩 작동되어 진다.
셋째, 폴딩수단(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회전축부(110)와의 연동작동을 통해 접철되는 제2패널(32)과 대향되는 위치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을 접철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제2회동브라켓(131)을 통해 메인프레임(10) 및 설치프레임(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중심바(133)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프레임(20)에 결합되는 제2회동브라켓(131)은, 일체형으로 길게 형성된 회동중심바(133)의 용이한 결합설치를 위하여 분리되어 조립되는 구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은 설치프레임(2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라켓(131b)과, 상기 고정브라켓(131b)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고정캡(131c)과, 상기 고정브라켓(131b)과 고정캡(131c)을 체결하는 체결볼트(131d)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회동브라켓(131)에 결합되는 회동중심바(133)의 원활한 회동작동을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31b)의 상부에는 폴딩수단(130)의 회동중심바(113)가 베어링결합되는 호형상의 안착홈(131a)이 더 포함구성되고, 상기 고정캡(131c)의 하부는 개구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131b)과 고정캡(131c)의 조립을 용이하게 이루어야 할 것이며, 상기 고정브라켓(131b)과 고정캡(131c)에는 체결볼트(131d)의 체결을 위해 서로 대응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폴딩수단(130)에는 연결바(135)를 통해 상기 회동중심바(133)에 일체로 연결되어 패널부재(30)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을 접철시키는 폴딩받침바(137)와,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하나의 가압작동부(139)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가압작동부(139)에는 승강회전축부(110)의 회동에 따라 회동중심바(133)의 회동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138)가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138)가 안착홈(138a)과, 제1접촉면(138b)과, 제2접촉면(138c)으로 구성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가이드(138)의 구성에 따르면, 회동중심바(113)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폴딩수단(130)에 의해 제2패널(32)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가 가이드(138)의 안착홈(138a)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폴딩수단(130)의 폴딩받침바(137)가 수평상태로 받쳐지게 되어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2접촉면(138b, 138c)은 환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없을 수 있도록 완만한 호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실린더(121)의 작동에 따라 제1회동브라켓(119)을 중심으로 승강회전축부(110)가 종방향 회동하게 되면,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에 구성된 회동승강부재(117)에 의해 제2패널(32)이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과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측 방향으로 들리는 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가 안착홈(138a)에서 제1접촉면(138b)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폴딩수단(130)의 연동이 이루어져, 폴딩되는 제2패널(32)의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상기 제2패널(32)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폴딩되는 작용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위치가 변동되는 환자는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1)의 아래로 미끄러져 낙하하는 현상 없이 안정적인 위치 변위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3패널(31, 33)의 폴딩은 제1접촉면(138b)이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승강회전축부(110)의 지속적인 회동에도 항상 동일한 각으로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회동에 따라 제2패널(32)이 일정각으로 경사를 형성하였을 때에 승강회전축부(110)에 구성된 롤러(113)가 제1접촉면(138b)에서 제2접촉면(138c)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하여 접철되는 제2패널(32)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을 언폴딩시킴으로써 환자가 제1, 2패널(31, 32) 또는 제2, 3패널(32, 33)의 사이공간 즉, V자 홈에 끼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패널(32)이 일정경사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환자를 받치는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수평상태로 변위된다 하더라도 환자의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에 의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환자가 제1, 2패널 (31, 32)또는 제2, 3패널(32, 33)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환자가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1)를 보다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접촉면(138c)의 형성 위치는 제2패널(32)의 횡 방향 변위가 35°~ 45°, 바람직하게는 40°의 경사로 횡 방향 변위를 이루어졌을 때에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가 제2접촉면(138c)에 접하게 하여 폴딩되었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을 수평한 상태로 언폴딩시키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2접촉면(138c)은 제1접촉면(138b)과 동일하게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승강회전축부(110)의 지속적인 회동에도 언폴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폴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패널부재(30)를 잠그는 록킹수단(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록킹수단(50)은 종래에 공지된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의 상태에서 작동수단(120)의 구동실린더(121)가 작동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회전축부(110)가 제1회동브라켓(119)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승강부재(11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승강부재(117)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록킹수단(50)이 패널부재(30)의 우측하부 즉, 제2, 3패널(32, 33)의 힌지축 록킹을 해제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에 의해 폴딩수단(130)에 구성된 가압작동부(139)의 가이드(138)가 가압되어 상기 폴딩수단(130)의 연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138)의 안착홈(138a)에 끼워져 있던 롤러(113)는 승강회전축부(110)의 반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가이드(138)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1접촉면(138b)에 접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138)가 구성된 회동중심바(133)는 롤러(113) 및 가이드(138)를 통해 큰 힘을 전달받아 제2회동브라켓(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을 함과 동시에, 연결바(135)를 통해 상기 회동중심바(133)에 일체로 연결된 폴딩받침바(113)로 그 힘을 그대로 전달하여 상기 폴딩받침바(113)가 시계방향으로 약 10° ~ 15°의 경사로 폴딩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 후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121)의 지속적인 작동을 통해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회동승강부재(117)가 제2패널(32)을 반시계방향으로 폴딩하는 작동이 연속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때, 시계방향 즉, 제2패널(32)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폴딩되어 있는 제1패널(31)은 제1접촉면(138b)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제2패널(32)의 반시계 방향 폴딩에도 항상 동일한 경사를 유지하고 있어, 종방향 변위에도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의 낙하현상 즉, 미끄러짐에 의한 낙하현상이 방지되어 진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회전축부(110)의 회동승강부재(117)에 의해 제2패널(32)이 약 40°의 경사로 폴딩되었을 때에는, 롤러(113)가 제1접촉면(138b)에서 제2접촉면(138c)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동중심바(1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패널(31)이 언폴딩되는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제1패널(31)의 언폴딩 작동은 제1, 2패널(31, 32)의 사이 공간 즉, 상기 제1, 2패널(31, 32)에 의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환자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루어지며, 이때에는, 환자가 제2패널(32)에 의해 약 40°의 경사로 횡방향 변위를 이룬 상태이므로, 환자의 어깨는 받치고 있던 제1패널(31)이 언폴딩된다 하더라도 환자가 침대에서 미끄러져 낙하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회전축부(110)의 완전한 회동으로 제1패널(31)이 언폴딩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제2패널(32)의 횡방향 변위 조절을 마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는 보다 편안한 상태로 접이식 침대(1)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폴딩된 제2패널(32)을 초기상태로 복구시키는 작동은 구동실린더(121)의 반대방향 작동을 통해 상술한 설명과 반대의 작용을 이루어지고, 제2패널(32)의 시계방향 폴딩에 따른 제3패널(33)의 반시계방향 폴딩 및 언폴딩은 상술한 설명을 통해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 접이식 침대 10 : 메인프레임 20 : 설치프레임 30 : 패널부재 31, 32, 33 : 제1, 2, 3패널 40 : 횡방향변위수단 50 : 록킹수단
100 : 종방향변위수단
110 : 승강회전축부 111 : 제1결합구 113 : 롤러 115 : 제2결합구 117 : 회동승강부재 119 : 제1회동브라켓
120 : 작동수단 121 : 구동실린더
130 : 폴딩수단 131 : 제2회동브라켓 131a : 안착홈 131b : 고정브라켓 131c : 고정캡 133 : 회동중심바 135 : 연결바 137 : 폴딩받침바 138 : 가이드 138a : 안착홈 138b, 138c : 제1, 2접촉면 139 : 가압작동부

Claims (3)

  1. 메인프레임(10)과,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종방향변위수단(100)을 각각 구비하여 메인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프레임(20)과, 상기 종방향변위수단(100)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제1, 2, 3패널(31, 32, 33)로 이루어진 패널부재(30)를 구성한 접이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변위수단(100)은,
    제1결합구(111)와, 롤러(113)가 구비된 제2결합구(115)와, 회동승강부재(117)를 구비하여 제1회동브라켓(119)을 통해 설치프레임(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회전축부(110);
    일측이 메인프레임(10)에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승강회전축부(110)의 제1결합구(111)에 링크결합되어 구동실린더(12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회전축부(110)를 제1회동브라켓(119)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패널부재(30)의 제2패널(32)을 접철시키는 작동수단(120);
    제2회동브라켓(131)을 통해 메인프레임(10) 및 설치프레임(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중심바(133)과, 연결바(135)를 통해 상기 회동중심바(133)에 일체로 연결되어 패널부재(30)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을 접철시키는 폴딩받침바(137)와, 상기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138)를 형성하여 회동중심바(113)에 일체로 구성되는 가압작동부(139)로 이루어진 폴딩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폴딩수단(130)의 가압작동부(139)에 형성된 가이드(138)는 안착홈(138a)과, 제1접촉면(138b)과, 제2접촉면(138c)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121)의 작동에 따라 제1회동브라켓(119)을 중심으로 종방향 회동하는 승강회전축부(110)의 롤러(113)가 안착홈(138a)에서 제1접촉면(138b)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폴딩수단(130)의 연동이 이루어져 패널부재(30)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폴딩 작동되고, 상기 롤러(113)가 제1접촉면(138b)에서 제2접촉면(138c)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폴딩수단(130)의 연동에 의해 폴딩되었던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언폴딩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20)에 결합되는 제2회동브라켓(131)은,
    상부에 폴딩수단(130)의 회동중심바(113)가 베어링결합되는 호형상의 안착홈(131a)을 형성하여 설치프레임(2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라켓(131b)과, 하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회동중심바(113)가 결합된 고정브라켓(131b)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고정캡(131c)과, 상기 고정브라켓(131b)과 고정캡(131c)을 체결하는 체결볼트(131d)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접이식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면(138c)은 승강회전축부(110)의 회동승강부재(117)에 의해 제2패널(32)이 35° ~ 45°의 경사로 폴딩된 상태에서 제1패널(31) 또는 제3패널(33)이 언폴딩 될 수 있도록 제1접촉면(138b)에 일체로 연결되어 가이드(13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KR1020160131758A 2016-10-12 2016-10-12 접이식 침대 KR101881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758A KR101881454B1 (ko) 2016-10-12 2016-10-12 접이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758A KR101881454B1 (ko) 2016-10-12 2016-10-12 접이식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196A KR20180040196A (ko) 2018-04-20
KR101881454B1 true KR101881454B1 (ko) 2018-07-24

Family

ID=6208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758A KR101881454B1 (ko) 2016-10-12 2016-10-12 접이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1809A (zh) * 2020-02-14 2021-08-17 嘉兴赛诺机械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21B1 (ko) 2011-07-25 2012-11-12 이대훈 자유 접이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99B1 (ko) 2009-10-21 2012-01-16 이대훈 접이식 침대
KR20130071599A (ko) * 2011-12-21 2013-07-01 이대훈 자유 접이 침대 및 이를 위한 변위수단
KR101585125B1 (ko) * 2014-04-24 2016-01-13 (주)정인이엔에스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21B1 (ko) 2011-07-25 2012-11-12 이대훈 자유 접이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196A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563A (en) Bed with dually positionable head support
US10881567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US9173795B2 (en) Brake pedal mechanism for hospital bed
US11317729B2 (en) Adjustable bed with folding mechanism
WO2012056595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機の制御方法
KR102220887B1 (ko) 사용자 맞춤형 척추 경혈 지압 침대
KR101881454B1 (ko) 접이식 침대
KR20210060031A (ko) 의료용 침대
CN110520092A (zh) 具有可展开/可缩回的脚部区段的医院椅子床
JP3764467B2 (ja) 着座型運動装置
BE1023824B1 (de) Lattenrost für liegemöbel
JPH08117293A (ja) 縦揺れ型揺動ベッド
KR100619432B1 (ko) 환자 이송 침대
WO2012128045A1 (ja) 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
JP3215472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1258952A (ja) 介護ベッド
JP4096965B2 (ja) マッサージ機
CN114795725B (zh) 一种护理床翻身机构及电动翻身护理床
KR200288282Y1 (ko) 메트리스 지지장치
KR200386992Y1 (ko) 피로회복용 매트리스 상하 회전식 침대
JPS6135094Y2 (ko)
KR102532369B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KR200324936Y1 (ko)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
GB2402616A (en) A bed convertible between a bunk bed and a convertible bed
CN210872862U (zh) 可翻转按摩椅小腿结构及按摩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