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062A -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062A
KR20200002062A KR1020180075118A KR20180075118A KR20200002062A KR 20200002062 A KR20200002062 A KR 20200002062A KR 1020180075118 A KR1020180075118 A KR 1020180075118A KR 20180075118 A KR20180075118 A KR 20180075118A KR 20200002062 A KR20200002062 A KR 20200002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ed
toilet
washing water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972B1 (ko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존
Priority to KR102018007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9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서 직접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변 후,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수단으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용변으로 인한 환자 피부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용변 및 세정수를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Patient bed with bide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서 직접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변 후,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수단으로 세정할 수 있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는 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기저귀를 이용하거나 침대 위에서 보호자, 간병인 또는 간호사의 도움을 받아 휴대용 변기에 용변을 보도록 하였다.
그러나 용변이 묻은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않을 경우 악취 유발 및 용변에 의한 피부 질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환자가 누운 자세에서 휴대용 변기에 용변을 볼 경우, 환자 및 보호자의 부주의에 의해 옷이나 침대시트 및 피부에 묻을 수 있으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8484호에 환자용 침대 형 좌변기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침실 또는 병실의 침대 곁에 침대형 좌변기를 위치시켜 간편한 조작으로 좌변기를 개폐시킨 후,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가 환자의 침대에서 침대형 좌변기로의 이동이 어려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변기에서의 용변 후,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할 수 없으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84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서 직접 용변을 볼 수 있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변 후,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수단으로 세정할 수 있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는,
시트에서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와;
상기 시트 내부에 관통된 용변구와;
상기 용변구 하부의 시트 저면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세정수단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할 때, 침대의 시트로 환자의 소변 또는 세정수의 분출을 방지하는 세정수 분출방지부와;
상기 용변구 하부에 환자의 용변 및 세정수를 수거하는 용변 수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시트 저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조장한 물통과, 상기 물통에 저장된 세정수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용변 수거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시트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하면서 용변 수거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승강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대 저면에 장착되는 승강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안내부재와 동일 선상으로 승강대 저면에 장착되면서 경사 프레임에 결합되어 승강대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보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 프레임의 상·하단 각각 설치되어 승강안내부재의 승강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서 직접 용변을 보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용변 후,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수단으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용변으로 인한 환자 피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변 및 세정수를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측면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측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100)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환자용 침대에서 용변을 보고, 용변 후,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구성으로, 침대(110), 용변구(120), 세정수단(130), 세정수 분출방지부(140), 용변 수거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침대(110)는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111)에 시트(112) 및 등받이(113)가 안착되고, 상기 등받이(113)는 나사축(114)의 정·역 방향 회전에 의해 하·상부부재(115)(115') 간격이 좁혀지거나 늘어나면서 경사지거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용변구(120)는 상기 시트(112) 내부에 관통된 홀이다.
상기 세정수단(130)은 상기 용변구(120) 하부에서 세정수를 분사하여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를 세정하는 구성으로, 분사노즐(131), 물통(132), 펌프(133)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131)은 상기 세정수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상기 물통(132)은 상기 세정수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펌프(133)는 상기 물통(132)에 저장된 세정수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여 분사노즐(131)로 분사되도록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세정수 분출방지부(140)는 환자의 소변 또는 둔부 및 생식기를 세정하는 세정수가 시트(112) 상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축(141), 연결부재(142), 분출방지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축(141)은 상기 침대(110)의 저면에 구비되어 분출방지부재(143)의 회전을 안내한다.
상기 연결부재(142)는 상기 축(141)과 분출방지부재(143)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부품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복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출방지부재(143)는 상기 연결부재(142)에 연결되어 상기 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용변구(120) 상단부로 돌출되어 세정수의 분출을 방지한다.
상기 용변 수거부재(150)는 상기 환자의 용변을 수거하는 구성으로, 상부로 개구된 수거몸체(151)와, 상기 수거몸체(151)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15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변 수거부재(150)를 승강시키도록 시트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수단(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160)은 지지대(161), 승강부(162), 승강대(16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61)는 상기 승강부(162)를 받쳐 지지하는 구성으로 수평 프레임(161a), 수직 프렐임(161b), 경사 프레임(161c)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162)는 상기 지지대(161)에 장착되어 승강대(163)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모터(162a), 회전축(162b), 승강안내부재(162c)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62a)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모터이다.
상기 회전축(162b)은 상기 모터(162a)에 연결되어 모터(162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축이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안내부재(162c)는 상기 회전축(162b)에 체결되면서 승강대(163) 저면에 고정되어 회전축(162b)의 회전으로 승강대(163)를 회전축(162b)의 상·하단부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승강대(163) 저면에 장착되면서 경사 프레임(161c)에 결합되어 승강대(163)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보조부재(162d)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대(163)는 상기 용변 수거부재(150)를 받쳐 지지하는 판상의 몸체이다.
또한, 상기 승강대(163)의 상승 및 승강보조부재(162d)의 하강을 제어하도록 경사 프레임(161c)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승강제어부재(16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제어부재(164)는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변 수거부재(15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도록 침대(110) 저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레일(170)을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세정수단(130)이 침대(110)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용변구(120)를 통해 세정수 분출방지부(140)의 분출방지부재(143)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분출방지부지(143) 상단부는 축(141)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용변구(120)를 경유하여 용변구(12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분출방지부재(143)는 복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142)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대(110) 내부에 승강수단(160)을 위치시키는데, 상기 승강수단(160)의 상단부가 침대(110)의 시트(112)에 관통된 용변구(120)와 수직선상에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승강수단(160)의 승강대(163)에 용변 수거부재(150)를 안착시키고 뚜껑(152)을 이탈시켜 내부가 개방된 수거몸체(151)를 용변구(120) 하부에 위치시키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부(162)의 모터(162a)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162a)에 연결된 회전축(162b)이 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162b)에 체결된 승강안내부재(162c)가 회전축(162b)의 상단부로 이동하고, 상기 승강안내부재(162c)가 장착된 지지대(163)를 상승시켜 용변 수거부재(150)의 수거몸체(151)가 용변구(120)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용변구(120) 하부에 수거몸체(151)가 위치하면 모터(162a)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지지대(163)가 상승할 때, 상기 지지대(163) 저면 양측에 고정된 승강보조부재(162d)는 수평 프레임(161a)과 수직 프레임(161b)에 경사지게 고정된 경사 프레임(161c)을 따라 상승하면서 지지대(163)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용변 수거부재(150)를 침대(110)의 저면에 장착된 레일(170)을 따라 이동시켜 용변 수거부재(150)의 수거몸체(151)가 용변구(120) 하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환자의 간병인 및 보호자는 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나사축(114)의 정방향 회전으로 상·하부부재(115)(115')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상부부재(115)에 단부가 고정된 등받이(113)는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게 한다.
또한, 환자의 등을 등받이(113)가 받쳐 지지하면, 환자의 바지를 내려 환자의 둔부가 용변구(120)와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시트(112)에 앉은 상태에서 환자는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환자의 용변은 용변구(120)를 통해 용변 수거부재(150)의 수거몸체(151) 내부로 낙하되어 수거되고, 환자의 용변이 완료되면, 환자의 간병인 또는 보호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세정수단(130)의 펌프(133)를 작동시킨다.
상기 펌프(133)의 작동으로 물통(132)에 저장된 세정수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노즐(미도시)을 통해 분사노즐(131)로 공급됨과 동시에 분사노즐(131)로 분사되는 세정수가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를 세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환자의 둔부를 세정한 세정수는 용변구(120)를 경유하여 수거몸체(151) 내부에 수거된다.
이때, 상기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를 세정하는 세정수의 일부가 용변구(120)를 통과하여도 세정수 분출방지부(140)의 분출방지부재(143)에 부딪힘과 동시에 분출방지부재(143) 내면을 따라 수거몸체(151) 내부로 흘러내리므로 세정수에 의한 시트(112)의 들어워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환자의 둔부 세정이 완료되면, 환자의 바지를 입히고, 나사축(114)의 역방향 회전으로 상·하부부재(115)(115')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부부재(115)에 단부가 고정된 등받이(113)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환자가 누워 쉴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부(162)의 모터(162a)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모터(162a)에 연결된 회전축(162b)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축(162b)에 체결된 승강안내부재(162c)가 회전축(162b)의 하단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승강안내부재(162c)가 장착된 지지대(163)를 하강시켜 용변 수거부재(150)의 수거몸체(151)가 침대(110)의 하단부로 이동하면, 제어부는 모터(162a)의 역방향 회전을 정지시켜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하고, 환자의 간병인 또는 보호자는 수거몸체(151)를 뚜껑(152)으로 덮어 수거몸체(151) 내부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화장실로 옮겨 세척하고, 다시 뚜껑(152)을 덮은 수거몸체(151)를 지지대(163)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63)는 모터(162a)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승강안내부재(162c)의 승강거리를 설정할 수 있으나, 경사 프레임(161c)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승강제어부재(164)에 의해 승강대(163)의 상승 감지 및 승강보조부재(162d)의 하강 감지로 지지대(163)의 승겅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환자의 간병인 및 보호자는 용변 수거부재(150)를 침대(110)의 저면에 장착된 한 쌍의 레일(170)을 따라 이동시킨 후, 화장실로 옮겨 세척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레일(170)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은 분출방지부(14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110: 침대
111: 프레임 112: 시트
113: 등받이 114: 나사축
120: 용변구 130: 세정수단
131: 분사노즐 132: 물통
133: 펌프 140: 세정수 분출방지부
141: 축 142: 연결부재
143: 분출방지부재 150: 용변 수거부재
160: 승강수단 161: 지지부
162: 승강부 163: 승강대

Claims (7)

  1. 시트에서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와;
    상기 시트 내부에 관통된 용변구와;
    상기 용변구 하부의 시트 저면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세정수단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환자의 생식기 및 둔부 주변을 세정할 때, 침대의 시트로 환자의 소변 또는 세정수의 분출을 방지하는 세정수 분출방지부와;
    상기 용변구 하부에 환자의 용변 및 세정수를 수거하는 용변 수거부재를 포함하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시트 저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조장한 물통과;
    상기 물통에 저장된 세정수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출방지부는,
    상기 침대 저면에 형성된 축과;
    상기 축과 분출방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용변구 상단부로 돌출되어 세정수의 분출을 방지하는 분출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변 수거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시트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하면서 용변 수거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승강대를 포함하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대 저면에 장착되는 승강안내부재를 포함하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부재와 동일 선상으로 승강대 저면에 장착되면서 경사 프레임에 결합되어 승강대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변 수거부재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도록 침대 저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비데를 구비한 침대.
KR1020180075118A 2018-06-29 2018-06-29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082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118A KR102082972B1 (ko) 2018-06-29 2018-06-29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118A KR102082972B1 (ko) 2018-06-29 2018-06-29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62A true KR20200002062A (ko) 2020-01-08
KR102082972B1 KR102082972B1 (ko) 2020-02-28

Family

ID=6915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118A KR102082972B1 (ko) 2018-06-29 2018-06-29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884B (zh) * 2020-06-30 2021-08-31 广州市焕思实业有限公司 一种护理床便池装置及护理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591A (ko)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KR100842565B1 (ko) * 2007-02-09 2008-07-01 이상준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KR101158484B1 (ko) 2008-09-19 2012-06-20 강성숙 환자용 침대 형 좌변기
JP2017144032A (ja) * 2016-02-17 2017-08-24 振標 ▲頼▼ 患者の自力排便を可能にする多機能介護ベッド
KR20180118303A (ko) * 2017-04-21 2018-10-31 장재호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591A (ko) * 2000-06-17 2000-10-05 홍길영 환자용 침대
KR100842565B1 (ko) * 2007-02-09 2008-07-01 이상준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KR101158484B1 (ko) 2008-09-19 2012-06-20 강성숙 환자용 침대 형 좌변기
JP2017144032A (ja) * 2016-02-17 2017-08-24 振標 ▲頼▼ 患者の自力排便を可能にする多機能介護ベッド
KR20180118303A (ko) * 2017-04-21 2018-10-31 장재호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의 하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884B (zh) * 2020-06-30 2021-08-31 广州市焕思实业有限公司 一种护理床便池装置及护理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972B1 (ko)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348A (en) Convertable bed and bathroom combination
KR101282765B1 (ko) 간병 침대
JP2016022371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CN106491292A (zh) 多功能床
CN111067732B (zh) 智能护理床
KR100800266B1 (ko)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JP3080659B2 (ja) 水洗便器及びこれを備えた介護用ベッド装置
US20080034494A1 (en) Invalid bathing seat assembly and system
KR20000058591A (ko) 환자용 침대
RU2483701C2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варианты)
KR20120040881A (ko) 세정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KR102082972B1 (ko)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JP3209782U (ja) 介護用ベッド
CN105919753A (zh) 卧床式解便装置
KR101208829B1 (ko) 배설물처리가 가능한 침대
CN101889930A (zh) 一种具有坐便和坐浴功能的病床
JP2007301331A (ja) 病人用排便処理装置と排便可能な車椅子
CN211485338U (zh) 智能护理床
CN205947966U (zh) 一种医用卧式解便器
KR200313187Y1 (ko) 환자용 침대
CN110881887A (zh) 一种老年患者集便护理装置
KR200313185Y1 (ko) 환자용 침대
KR20240071568A (ko) 세정식 배변리프트
KR200422803Y1 (ko) 거동이 불편한 환자용 침대
JP2001340398A (ja) 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