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40A -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 Google Patents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40A
KR20170001040A KR1020150090399A KR20150090399A KR20170001040A KR 20170001040 A KR20170001040 A KR 20170001040A KR 1020150090399 A KR1020150090399 A KR 1020150090399A KR 20150090399 A KR20150090399 A KR 20150090399A KR 20170001040 A KR20170001040 A KR 20170001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ovement
horizontal
rod
movement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414B1 (ko
Inventor
안현근
Original Assignee
안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근 filed Critical 안현근
Priority to KR102015009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4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07Eccentric shelves supports for shelves levelling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가구의 상측에 위치한 수납장이 사용자의 신장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HEIGHT ADJUSTABLE STORAGE FUNITURE USING AN EMPTY SPACE}
본 발명은 상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가구의 상측에 위치한 수납장이 사용자의 신장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조리 완료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각종 크기의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싱크대가 구비된다. 대개 싱크대는 그릇을 세척할 수 있는 개수대와 그 개수대의 일측에 조리기기와 함께 설치되는 하부장 및 상기 개수대와 하부장의 상측에 그릇이나 기타 주방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상부장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부장 및 상부장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도어를 개방시킨 후 하부장 및 상부장에 용기를 보관하거나 보관된 용기를 꺼낼 수 있도록 제작된다.
최근에는 수요자의 요구에 의해 주방에 수납공간이 확대됨에 따라서, 상부장의 크기가 증가하고 있으며, 상부장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부장은 주방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므로 인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장에 용기를 보관하거나 보관된 용기를 꺼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용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주방가구의 상부장은 보다 많은 주방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과 자유로운 요리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높은 곳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그릇이나 주방용품을 보관 또는 꺼내려 할 때 의자와 같은 별도의 받침대를 이용하여야 한다. 이때 그릇이 미끄러지면서 바닥으로 낙하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받침대에서의 사용자가 떨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별도의 받침대 등이 하부장에서 인출되도록 제작하는 기술이 공지되었으나,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하고, 키가 너무 작은 어린이 또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받침대를 이용하여도 상부장을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수납의 위치 등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제작된 주방가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7139호 '싱크대의 상부장 승장 장치' (공개일자 2008. 12.10)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6897호 '싱크대용 높낮이 조절장치' (공개일자 2010.03.10)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2564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공개일자 2003.1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장의 높이가 가족구성의 신장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장의 공용성을 향상시켜 쾌적한 요리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장의 상하이동시 이동이 신속하고 안전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는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는 물건이 수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측이 지지대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와 체결되는 승강장치(300); 상기 승강장치(300)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대(10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이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이동레일부(400);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하단에 위치하며, 물건이 수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레일부(40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레일부(400)에 체결되는 수평 이동 수용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하단에 이동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 이동 수용부(5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후, 외력에 의해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상기 승강장치(300)에 안내되어 상기 이동공간(S)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300)는 일측이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제1 로드(310);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로드(310)의 타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와 상기 지지대(100)를 연결하는 제2 로드(320); 상기 하방향으로 이동한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상기 지지대(10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상기 제1 로드(3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로드(320)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로드(310)와 상기 제2 로드(3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300)는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완충부(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340)는 상기 지지대(10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 브라켓(341); 내부에 유압 또는 공압이 충진되며,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실린더 브라켓(341)과 체결되는 실린더몸체(342); 및 일측이 상기 실린더몸체(342)에 삽입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로드(310)와 체결되어 상기 실린더몸체(342)의 내부에 수용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기 제1 로드(31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실린더로드(3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401)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레일(401)에는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좌우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이동 수용부(510)에 부착되는 가이드 플런저(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 이동 수용부(5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플런저(420)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41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부(400)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수평 이동 수용부(51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43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물건을 수납하고, 동일한 열의 제1 및 제2 행을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구비하는 제1 수납부(200); 및 상기 제2 행에 배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고,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510)를 구비하는 제2 수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510) 중 제1 수평 이동 수용부(511)는 상기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 중 제일 바깥의 제1 수직 이동 수용부(211)의 외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00)에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장치(300'); 및 상기 지지대(100)에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5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이동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 장치(400')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레일부(401')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5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수평 이동레일부(401')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300')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이동레일부(30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수직 이동레일부(30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한다.
본 발명은 최상측에 위치한 제1 수납부가 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신장이 작은 사용자도 수납된 주방용품을 쉽게 꺼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주방활동을 제공함과 동시에 낙하 및 추락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가 구비되어 제1 수납부가 상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납된 그릇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원공급 없이 실시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의 사용상태 및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주요구성과 제1 수납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주요구성을 측면에서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수납부의 이동경로와 스토퍼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레일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가이드 플런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벽걸이형 수납 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벽걸히영 수납 가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는 여러 장소에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용도로 설치될 수 있다. 실내 및 실외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가구는 하부장과 같이 설치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의 싱크대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의 사용상태 및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주요구성과 제1 수납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주요구성을 측면에서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수납부의 이동경로와 스토퍼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레일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가이드 플런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는 지지대(100), 제1 수납부(200), 제2 수납부(500), 및 승강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00)는 실내 또는 실외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100)는 벽면에 부착되는 측판(120)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측판(120)은 벽면 자체를 가리킬 수 있다. 지지대(100)는 측판(120)과 결합하는 상판(1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100)는 측판(120) 및 상판(110) 등으로 제1 및 제2 수납부(200, 200)을 감싸는 케이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납부(200, 500)는 측판(120)의 일 면에 배치되어, 그릇, 주방기구 등 여러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납부(200, 200)는 독립적으로 물건을 수납하며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수납 공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수납부(200)는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제2 수납부(500)는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51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부(200)는 제2 수납부(500) 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장치(300)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지지대(100) 내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대(100)에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승강장치(300)는 일측이 지지대(100)의 내측면, 즉 측판(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배면(뒷면)에 체결될 수 있다.
승강장치(300)는 상측에 위치한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직 이동 수용부(210)는 승강장치(300)에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직 이동 수용부(210)에 수용된 물건을 사용자가 쉽게 꺼내쓸 수 있다. 또한,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사용자가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직 이동 수용부(210)는 승강장치(300)에 안내되어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승강장치(300)가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기술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력의 힘으로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모터 등의 외부 장치의 힘을 이용하여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는 승강장치(300)의 하단에 위치하며, 지지대(100)의 내측면인 측판(120)에 고정되는 이동레일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레일부(400)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이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동레일부(400)은 하나 이상의 이동레일(401),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이동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평 이동 수용부(510)를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이동레일부(400)을 따라 수평 이동 수용부(51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 이동 수용부(510)가 이동레일부(40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하단에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공간(S)과 대응하는 위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사용자가 이동시키면 수직 이동 수용부(210)는 이동공간(S)으로 하강할 수 있다.
수평 이동 수용부(510)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하단에 이동공간(S)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형성되는 개수보다 같거나 적을 수 있다. 하나의 평면에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가 배치되는 경우,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개수가 수평 이동 수용부(510)의 개수 보다 적어도 하나,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 적은 것이 미관상 유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승강장치(300)는 제1 로드(310), 제2 로드(320) 및 탄성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310)의 일측은 지지대(100)의 상판(1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브라켓(30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로드(310)와 제1 브라켓(301)은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상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2 로드(320)의 일측은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배면(뒷면)에 형성되는 제2 브라켓(302)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회전되는 방향은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상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2 로드(320)의 타측과 제1 로드(310)의 타측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므로 수직 이동 수용부(210)는 지지대(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1 로드(310)와 제2 로드(320)가 상호 이루는 각도가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게 된다.
탄성부재(330)는 일측이 제1 로드(3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 로드(320)에 고정되어 제1 로드(310)와 제2 로드(3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330)는 압축력을 가지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제1 로드(310)와 제2 로드(320)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θ-1)을 이루도록 벌어지고, 탄성부재(330)는 일정간격 늘어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수직 이동 수용부(2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탄성부재(330)의 압축력에 의해 제1 로드(310)와 제2 로드(320)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θ-2)을 이루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탄성부재(330)의 압축력으로 인해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상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상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수직이동레일부(3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수직이동레일부(350)은 수직 이동 수용부(510)와 측판(120)에 배치되거나, 수직 이동 수용부(210)와 이웃한 수직 이동 수용부(210)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승강장치(300)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완충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340)는 실린더 브라켓(341), 실린더몸체(342) 및 실린더로드(34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브라켓(341)은 지지대(100)의 측판(1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실린더 몸체(342)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상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실린더 브라켓(341)과 체결되고, 내부에 유압 또는 공압이 충진될 수 있다.
실린더로드(343)는 일측이 실린더몸체(34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제1 로드(310)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로드(323)는 실린더몸체(342)의 내부 유압에 따라 인입 또는 인출 될 수 있다. 즉, 실린더몸체(342)의 내부에 수용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제1 로드(31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상하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고,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서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 이동 수용부(210)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이동레일부(400)는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좌우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동레일부(40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삽입홈(410)을 구비할 수 있다. 수평 이동 수용부(510)는 수평 이동 수용부(510)의 배면(뒷면)에 배치되어 수평 이동 수용부(510)가 이동함에 따라 삽입홈(410)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가이드 플런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이동 수용부(5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좌우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이동공간(S)을 확보하고, 이후 수직 이동 수용부(2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플런저(420)가 삽입홈(410)에 삽입되면 진동 또는 소리로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수평 이동 수용부(510)는 수평 이동 수용부(510)의 배면에 배치되어 이동레일부(400)에 삽입되는 이동롤러(5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동롤러(510)로 인해 수평 이동 수용부(510)가 이동레일부(400)에서 원활하게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레일부(400)는 그 양측에 배치되는 수평 이동 수용부(510)가 이동레일부(400)에서 과하게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벽걸이형 수납 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벽걸이형 수납 가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걸이형 수납 가구는 제1 수납부(200), 제2 수납부(500), 승강장치(300'), 및 수평 이동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번호 또는 구성요소의 이름에 대한 자세한 설명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제1 수납부(200)는 물건을 수납하고, 동일한 열의 제1 및 제2 행을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며,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되는 복수의 이동 수용부(211, 212, 213, ...; 2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부(500)는 제2 행에 배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고,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며,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되는 수평 이동 수용부(511, 512, 513, ...; 510)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이동 수용부의 개수는 실시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510) 중 제1 수평 이동 수용부(511)는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 중 제일 바깥의 제1 수직 이동 수용부(211)의 외곽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두 개의 평면 중 일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가 배치된 경우, 다른 면에 배치된 수납가구와의 교차하는 지점에 제1 수평 이동 수용부(5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공간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미관 상 유용할 수 있다.
승강장치(300')는 지지대(100)에 지지되어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수평 이동 장치(400')는 지지대(100)에 지지되어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5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수평 이동 장치(4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언급한 이동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이동 장치(400')는 제1 수직 이동 수용부(211)의 적어도 어느 한 외곽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레일부(401')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장치(300')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이동레일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이동레일부(301')는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 사이 또는 외곽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와 케이스 기능의 지지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 이동 수용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수직 이동 수용부(211)는 제1 수평 이동 수용부(511)가 일측으로 이동한 후 제1 수직 이동 수용부(211)의 하단에 일정한 공간(S)을 형성시키면 외력에 의해 수직 이동 레일부(301')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다. 외력은 사람의 힘, 중력, 또는 외부 에너지에 의한 장치(예를 들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는 신장이 작은 사용자도 수납된 용품을 쉽게 꺼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고, 수직 이동 수용부(210)의 상하 이동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340)가 구비되어 수직 이동 수용부(210)에 수납된 물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지지대 200 : 제1 수납부
210 : 수평 이동 수용부 300 : 승강장치
300' : 승강장치 301' : 이동레일부
310 : 제1 로드 320 : 제2 로드
330 : 탄성부재 340 : 완충부
341 : 실린더 브라켓 342 : 실린더몸체
343 : 실린더로드 400 : 이동레일부
400' : 수평 이동 장치 401' : 수평 이동레일부
410 : 삽입홈 420 : 가이드 플런저
430 : 스토퍼 500 : 수직 이동 수용부

Claims (11)

  1. 물건이 수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직 이동 수용부;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측이 지지대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와 체결되는 승강장치;
    상기 승강장치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의 이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이동레일부;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물건이 수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레일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레일부에 체결되는 수평 이동 수용부를 포함하는,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의 하단에 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 이동 수용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후, 외력에 의해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가 상기 승강장치에 안내되어 상기 이동공간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일측이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제1 로드(310);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로드의 타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 로드; 및
    상기 하방향으로 이동한 수직 이동 수용부를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상기 제1 로드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로드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 브라켓;
    내부에 유압 또는 공압이 충진되며,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실린더 브라켓과 체결되는 실린더몸체; 및
    일측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삽입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로드와 체결되어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기 제1 로드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하는,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레일에는 상기 수직 이동 수용부의 좌우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이동 수용부에 부착되는 가이드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이동 수용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플런저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하는,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수평 이동 수용부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는,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7. 물건을 수납하고, 동일한 열의 제1 및 제2 행을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행에 배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고,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 중 제1 수평 이동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 중 제일 바깥의 제1 수직 이동 수용부의 외곽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수납 가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지지대에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장치; 및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이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수납 가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장치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레일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 이동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수평 이동레일부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는, 벽걸이형 수납 가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이동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이동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수직 이동레일부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는, 벽걸이형 수납 가구.
KR1020150090399A 2015-06-25 2015-06-25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KR10174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99A KR101748414B1 (ko) 2015-06-25 2015-06-25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99A KR101748414B1 (ko) 2015-06-25 2015-06-25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40A true KR20170001040A (ko) 2017-01-04
KR101748414B1 KR101748414B1 (ko) 2017-06-16

Family

ID=5783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399A KR101748414B1 (ko) 2015-06-25 2015-06-25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4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232A (zh) * 2019-11-08 2020-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收纳装置及设有其的清洁设备
KR102585075B1 (ko) * 2022-10-26 2023-10-06 주식회사 에디피카 수납공간을 확장 가능한 주방 싱크대용 가구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180B1 (ko) 2019-11-07 2022-03-04 서은혜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KR102231495B1 (ko) 2019-11-07 2021-03-24 서문원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KR102370177B1 (ko) 2019-11-07 2022-03-04 서문원 브레이킹 시스템을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 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564A (ko) 2002-05-30 2003-12-06 주식회사에넥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KR20080107139A (ko) 2007-06-05 2008-12-10 김찬근 싱크대의 상부장 승강 장치
KR20100026897A (ko) 2008-08-29 2010-03-10 문재성 싱크대용 높낮이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605A (ja) * 2005-04-18 2006-11-02 Cleanup Corp 収納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564A (ko) 2002-05-30 2003-12-06 주식회사에넥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KR20080107139A (ko) 2007-06-05 2008-12-10 김찬근 싱크대의 상부장 승강 장치
KR20100026897A (ko) 2008-08-29 2010-03-10 문재성 싱크대용 높낮이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232A (zh) * 2019-11-08 2020-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收纳装置及设有其的清洁设备
KR102585075B1 (ko) * 2022-10-26 2023-10-06 주식회사 에디피카 수납공간을 확장 가능한 주방 싱크대용 가구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414B1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414B1 (ko)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US9693624B2 (en) Continuous force spring elevatable work platform
AU2014259528B2 (en) Pull-down shelf for furniture
US6755492B1 (en) Sliding cabinet
WO2014046574A1 (en) Dish rack
TWI484932B (zh) storage box
JP2010183989A (ja) 収納庫
CN109431118B (zh) 升降收纳厨架
JP2010183981A (ja) 収納庫
KR101735827B1 (ko) 수납고
CN210433058U (zh) 一种具有升降隐藏茶杯功能的茶桌
EP2205125B1 (en) S-box storage unit
JP2010172438A (ja) 昇降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水周り家具
FIU990124U0 (fi) Tukirunkorakenne, joka mahdollistaa keittiökalusteen ylä- ja alakaappien, sekä työtason korkeus- ja syvyyssuuntaisen portaattoman säädön
KR200414468Y1 (ko) 승강 가능한 싱크대의 찬장
CN108657825A (zh) 一种储碗装置
EP4154766A1 (en) A worktop unit
KR20100020508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벽면 고정용 수납장
JP5448483B2 (ja) 収納庫
KR101702714B1 (ko) 책상
US2996151A (en) Dumb waiter
CN221533250U (zh) 一种地柜升降机
CN213587733U (zh) 一种桌面可进行升降调节的餐桌
KR10242018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102294931B1 (ko) 높이 조절형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