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80B1 -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 Google Patents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80B1
KR102370180B1 KR1020190141684A KR20190141684A KR102370180B1 KR 102370180 B1 KR102370180 B1 KR 102370180B1 KR 1020190141684 A KR1020190141684 A KR 1020190141684A KR 20190141684 A KR20190141684 A KR 20190141684A KR 102370180 B1 KR102370180 B1 KR 10237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ydraulic cylinder
guide rod
height adjustm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350A (ko
Inventor
서은혜
Original Assignee
서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혜 filed Critical 서은혜
Priority to KR102019014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2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528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압실린더 홀;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에서 상하 구동되는 유압피스톤;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홀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유압피스톤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Oil pressure cylinder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including guide rod}
본 발명은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 등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이 책상, 테이블, 침대, 휠체어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주방의 씽크대 및 씽크대에 있어서도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이 도입된 바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4468호의 "승강 가능한 싱크대의 찬장"에 의하면 싱크대의 위쪽으로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수납실로 이루어진 찬장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수납실이 승강 유닛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유닛은, 구동원으로서의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봉과, 상기 스크루 봉에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수납실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찬장의 적어도 일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찬장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되기는 하지만, 단순하게 승하강되는 방식이므로 씽크대 상에 설치되는 찬장의 경우 장애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정도의 위치로 하강시키기 곤란하다.
반면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0918호의 "슬라이드 찬장"에 의하면 정,역 회전이 가능한 전동기와 웜 감속기를 구비한 리프트장치가 슬라이드 장치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링크에 고정된 찬장을 링크의 회전반경 만큼 앞으로 밀려나오게 하여 수직이동 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는 부착형 찬장 또는 수납장에 슬라이드 장치를 결합하여 상하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키가 작은 사람,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노약자 등을 위한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주기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점차 작동소음이 커지고 파단에 의한 추락사고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으로 높이를 조절하고 있어, 진동과 소음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 장치를 적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4468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0918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1-0137149호 한국 등록특허 제1549429호 한국 등록특허 제174841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실린더 홀과 함께, 고정프레임 내에 가이드 홀과 가이드 로드를 구비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한 높이 조절용 선반의 높이 조절시 수평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로드을 갖는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압실린더를 통해 높이 조절용 선반을 구동하는 상황에서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여, 높이 조절용 선반의 수평이 유지되며 안정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로드을 갖는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압실린더 홀;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에서 상하 구동되는 유압피스톤;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홀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유압피스톤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피스톤의 일측 끝단과 상기 가이드 로드 일측 끝단을 체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 로드 측면 일측과 상기 브라켓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에 높이 조절용 선반을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 홀에 유압이 제공되어 상기 유압피스톤의 상하 구동시 상기 가이드 로드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용 선반이 수평을 유지하며 상하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피스톤 타단에 구비되며 외면이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면과 형상맞춤되어 상기 유압피스톤에 의한 유압피스톤의 상하 구동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압연결유닛; 및 상기 가이드 로드 타단에 구비되며 외면이 상기 가이드 홀 내면과 형상 맞춤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의 상하 이동 가이드 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로드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실린더 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 홀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높이 조절용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되는 가구 또는 주방용 가구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을 갖는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에 따르면, 유압실린더 홀과 함께, 고정프레임 내에 가이드 홀과 가이드 로드를 구비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한 높이 조절용 선반의 높이 조절시 수평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을 갖는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에 따르면, 하나의 유압실린더를 통해 높이 조절용 선반을 구동하는 상황에서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여, 높이 조절용 선반의 수평이 유지되며 안정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가구의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높이 가변 본체와, 높이 가변 몸체가 하부측으로 이동되고, 높이조절용 선반이 하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가구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에서의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높이 가변 본체와, 높이 가변 몸체가 상부측으로 이동되고, 높이 조절용 선반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가구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서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평면도,
도 6a는 도 4a에서 가동피스톤과 가이드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
도 6b는 도 4b에서 가동피스톤과 가이드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측단면도,
도 8a는 도 7a에서 가동피스톤과 가이드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8b는 도 7b에서 가동피스톤과 가이드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이 적용된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면도,
도 9b는 도 9a에서 가동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이 적용된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단면도,
도 10b는 도 10a에서 가동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정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이 적용된 유압실린더 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 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선반의 정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선반의 측면도,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선반의 평면도,
도 13a는 도 12a에서 높이 조절용 선반이 하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
도 13b는 도 12b에서 높이 조절용 선반이 하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단면도,
도 14b는 도 14a에서 가이드 로드와 유압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평면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측단면도,
도 16b는 도 16a에서 가이드 로드와 유압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가구(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가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높이 가변 본체(조리대)와, 높이 가변 몸체(보조선반)가 하부측으로 이동되고, 높이조절용 선반이 하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가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b는 도 2a에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높이 가변 본체(조리대)와, 높이 가변 몸체(보조선반)가 상부측으로 이동되고, 높이 조절용 선반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가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도 3a에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가구(100)는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30)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10)와,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브레이킹 시스템(40)과,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가구(100)는 받침유닛(1)과, 높이 조절 조리대(2), 그리고 조리대(2) 상에 설치되는 보조 선반(3), 벽 등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선반(4)과, 이러한 고정선반(4)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높이 조절용 선반(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a와 도 3a,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에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30)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10)에 의해 높이 조절 조리대(2)는 받침유닛을 기준으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a와 도 3a,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에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50)를 통해 보조선반(3)이 조리대(2) 상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용 선반(5)이 고정선반(4)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30)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a는 도 4a에서 가동피스톤과 가이드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b는 도 4b에서 가동피스톤과 가이드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a는 도 7a에서 가동피스톤과 가이드피스톤(32)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b는 도 7b에서 가동피스톤과 가이드피스톤(32)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10)는 제1고정프레임(11)과, 유압실린더 유닛(20)과, 한 쌍의 가이드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고정프레임(11)은 받침 유닛 내부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21)는 이러한 제1고정프레임(11) 내부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 유닛(30)은 제1고정프레임(11) 내부에 구비되며, 유압실린더 유닛(20)의 양단 각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 유닛(20)은, 제1고정프레임(11) 내부에 형성되는 유압실린더(21)와, 이러한 유압실린더(21) 내에서 상하로 구동되는 가동피스톤(22)과, 유압실린더(21) 내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 유닛(20)은, 가동피스톤(22) 하단에 구비되며 외면이 유압실린더(21) 내면과 형상맞춤되어 가동피스톤(22)의 상하 구동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가동연결유닛(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30)은, 유압실린더(21)와 특정간격 이격되어 양단 각각에 형성되는 가이드 실린더와, 유압실린더 유닛(20)의 가동피스톤(22)의 구동과 동시에 가이드 실린더 내 각각에서 이동되는 가이드피스톤(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유닛(30)은 가이드피스톤(32) 하단에 구비되며 외면이 가이드 실린더 내면과 형상 맞춤되어 가이드피스톤(32)의 상하 이동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연결유닛(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10)는, 가동피스톤(22)의 상부 끝단과, 가이드피스톤(32) 상부 끝단 각각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대(2) 내부 일측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유압펌프에 의해 가동피스톤(22)의 상하 구동시 가이드피스톤(32)이 동시에 이동되어 조리대(2)가 수평을 유지하며 상하 구동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10)에 따르면, 하나의 유압실린더 유닛(20)을 통해 조리대(2)를 구동하는 상황에서 한 쌍의 가이드 유닛(30)을 포함하여, 조리대(2)의 수평이 유지되며 안정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10)는,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21) 사이에 구비되어 유압실린더(21)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와, 유압펌프와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여 조리대(2)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에 적용되는 브레이킹 시스템(4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이 적용된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도 9a에서 가동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이 적용된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b는 도 10a에서 가동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이 적용된 유압실린더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40)은 도 9a, 도 9b 및 도 10a 내지 더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1)와, 이러한 유압실린더(21) 내에서 상하로 구동되는 가동피스톤(22)과, 유압실린더(21) 내로 유압을 제공하는 제1유압펌프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10)에 적용되게 된다.
브레이킹시스템(40)은 브레이킹 본체(41)를 포함하며, 이러한 브레이킹 본체(41)는 가동피스톤(22)의 하부 끝단에 장착되며, 외면이 유압실린더(21) 내면과 형상맞춤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동피스톤(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홀(24)이 관통형성되어 정지용 오일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동피스톤(22)의 구동 정지시, 가동피스톤(22)의 유입홀(24)을 통해 정지용 오일이 브레이킹 본체(41)로 공급되어 브레이킹 본체(41)를 유압실린더(21) 내에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가동피스톤(22)의 구동 정지시, 유압실린더(21)로 공급되는 유압이 낮아지는 상태에서도, 정지용 오일의 공급을 통해 안정적으로 조리대(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 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피스톤(22)의 유입홀(24)로 정지용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제2유압펌프과, 제2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21) 사이에 구비되어 유압실린더(21)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정지시, 브레이킹 본체(41)에 공급되는 유압이 유지되도록 조절밸브와 제2유압펌프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킹 본체(4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홀(42)과, 오일공급공간(44), 공급홀(43), 오링(4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연결홀(42)은 유입홀(24)을 따라 공급되는 정지용 오일이 브레이킹 본체(4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브레이킹 본체(41) 외면 일측에 오일공급공간(44)이 형성되어 유입된 정지용 오일이 공급되어 유압에 의해 브레이킹 본체(41)를 유압실린더(21)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급홀(43)은 오일공급공간(44)과 연결홀(42)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오일공급공간(44) 일측에 복수의 오링(45)이 구비되어 브레이킹 본체(41)를 유압실린더(21)에 고정시키기 위한 유압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선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선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된 주방용 선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3a는 도 12a에서 높이 조절용 선반이 하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b는 도 12b에서 높이 조절용 선반이 하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50)는 벽 등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선반(4) 내에서 높이 조절용 선반(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선반(3)이 높이 조절 조리대(2) 상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50)가 설치되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4b는 도 14a에서 가이드 로드와 유압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b는 도 16a에서 가이드 로드와 유압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50)는, 제2고정프레임(51)과, 유압실린더 홀(52), 유압피스톤(53), 유압펌프, 가이드 홀(55), 가이드 로드(5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프레임(51)은 고정선반(4) 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 홀(52)은 제2고정프레임(51)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유압피스톤(53)은 유압실린더 홀(52) 내에서 상하 구동되도록 구성되며, 유압펌프는 유압실린더 홀(52) 내로 유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유압피스톤(53) 상부 끝단에 외면이 유압실린더 홀(52) 내면과 형상맞춤되도록 구성된 유압연결유닛(54)을 포함하여, 유압피스톤(53)의 상하 구동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55)은 제2고정프레임(51)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유압실린더 홀(52)과 평행하게 구비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로드(56)는 유압피스톤(53)의 구동과 동시에 가이드 홀(55) 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로드(56) 상부 끝단에 외면이 가이드 홀(55) 내면과 형상 맞춤되도록 구성되는 로드 연결유닛(57)을 포함하여, 가이드 로드(56)의 상하 이동 가이드 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50)는 유압피스톤(53)의 하부 끝단과 가이드 로드(56) 하부 끝단을 체결하는 브라켓(58)을 포함하며, 가이드 로드(56) 측면 일측과 브라켓(58) 각각에 체결수단(59)이 구비되어 가이드 로드(56)에 높이 조절용 선반(5)을 체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압펌프에 의해 유압실린더 홀(52)에 유압이 제공되어 유압피스톤(53)의 상하 구동시 가이드 로드(56)에 의해 높이 조절용 선반(5)이 수평을 유지하며 상하 구동되게 된다.
그리고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 홀(52) 사이에 구비되어 유압실린더 홀(52)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유압펌프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여 높이 조절용 선반(5)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받침유닛
2:조리대
3:보조선반
4:고정선반
5:높이조절용 선반
10:가이드 유닛을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11:제1고정프레임
20:유압실린더 유닛
21:유압실린더
22:가동피스톤
23:가동연결유닛
24:유입홀
30:가이드 유닛
31:가이드실린더
32:가이드피스톤
33:가이드연결유닛
40:브레이킹 시스템
41:브레이킹 본체
42:연결홀
43:공급홀
44:오일공급공간
45:오링
50: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51:제2고정프레임
52:유압실린더 홀
53:유압피스톤
54:유압연결유닛
55:가이드 홀
56:가이드 로드
57:로드연결유닛
58:브라켓
59:체결수단
100: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를 적용한 주방용 가구

Claims (5)

  1.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압실린더 홀;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에서 상하 구동되는 유압피스톤;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로 유압을 제공하는 제1유압펌프;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홀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홀; 상기 유압피스톤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 로드; 상기 유압피스톤의 일측 끝단과 상기 가이드 로드 일측 끝단을 체결하는 브라켓; 및상기 가이드 로드 측면 일측과 상기 브라켓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에 높이 조절용 선반을 체결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유압피스톤 타단에 구비되며 외면이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면과 형상맞춤되어 상기 유압피스톤에 의한 유압피스톤의 상하 구동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압연결유닛; 및 상기 가이드 로드 타단에 구비되며 외면이 상기 가이드 홀 내면과 형상 맞춤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의 상하 이동 가이드 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로드 연결유닛; 상기 제1유압펌프와 상기 유압실린더 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 홀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제1유압펌프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높이 조절용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압펌프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 홀에 유압이 제공되어 상기 유압피스톤의 상하 구동시 상기 가이드 로드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용 선반이 수평을 유지하며 상하 구동되며,
    상기 유압피스톤의 타단 끝부에 장착되며, 외면이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면과 형상맞춤되는 브레이킹본체와, 상기 유압피스톤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정지용 오일이 공급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 정지용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제2유압펌프와, 상기 유입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킹 본체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를 갖는 브레이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정지시 상기 브레이킹 본체에 공급되는 유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조절밸브와 제2유압펌프를 제어하고,
    높이 조절 후, 상기 유압피스톤의 구동 정지시, 상기 제1유압펌프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유압을 유지시키고, 동시에 상기 유입홀을 통해 정지용 오일이 상기 브레이킹 본체로 공급되어 상기 브레이킹 본체를 상기 유압실린더 홀 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따른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가 적용되는 주방용 가구.
KR1020190141684A 2019-11-07 2019-11-07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KR10237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84A KR102370180B1 (ko) 2019-11-07 2019-11-07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84A KR102370180B1 (ko) 2019-11-07 2019-11-07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50A KR20210055350A (ko) 2021-05-17
KR102370180B1 true KR102370180B1 (ko) 2022-03-04

Family

ID=7615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684A KR102370180B1 (ko) 2019-11-07 2019-11-07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411B (zh) * 2021-09-03 2022-12-06 江西远大保险设备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由调节的密集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988Y1 (ko) 2003-02-22 2003-06-02 안성일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JP2009133420A (ja) * 2007-11-30 2009-06-18 Ckd Corp ロッド付アクチュエータ
JP2010112463A (ja) 2008-11-06 2010-05-20 Taiyo Ltd 流体圧シリン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433U (ja) * 1984-08-24 1986-03-22 松下電工株式会社 昇降収納箱
US5320047A (en) * 1992-03-06 1994-06-14 Monarch Hydraulics, Inc. Desk having self-releveling height adjustment and hydraulic circuit therefor
JPH08228859A (ja) * 1995-02-27 1996-09-10 Okamura Corp 家具装置
JP3677111B2 (ja) * 1996-02-27 2005-07-27 株式会社コガネイ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KR100270918B1 (ko) 1998-09-07 2000-11-01 서평원 이동 통신 에치엘알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관리 방법
KR100414468B1 (ko) 2000-12-30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블루투스에서 회로자원을 공유하는 클럭 연산 장치 및 그방법
KR20110137149A (ko) 2010-06-16 2011-12-22 (주)엔텍 주방용 가구의 높이조절 기구
KR101549429B1 (ko) 2014-04-23 2015-09-03 주식회사목림 가구용 높이 조절장치
KR101748414B1 (ko) 2015-06-25 2017-06-16 안현근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988Y1 (ko) 2003-02-22 2003-06-02 안성일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JP2009133420A (ja) * 2007-11-30 2009-06-18 Ckd Corp ロッド付アクチュエータ
JP2010112463A (ja) 2008-11-06 2010-05-20 Taiyo Ltd 流体圧シリン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50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2038B1 (en) Automated portable personal lift
CA2535289C (en) Wall mounted elevating mechanism
US6213575B1 (en) Kitchen countertop assembly with multiple, vertically adjustable integrated work spaces
US6705239B2 (en) Adjustable table assembly
EP2967210B1 (en) Wall-mounted system for selectively positioning objects
KR102370180B1 (ko) 가이드 로드를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JP2010538709A (ja) 治療台、病院用ベッド、および介護用ベッドのための昇降支柱
MX2010002017A (es) Un soporte de colchon para bebe de altura ajustable continuamente y aparato para el mismo.
CN205108219U (zh) 一种医疗设备用多功能手术床
KR102370177B1 (ko) 브레이킹 시스템을 갖는 높이 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 가구
KR102231495B1 (ko) 가이드 유닛을 갖는 수평유지가 용이한 높이조절용 유압실린더 장치,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주방가구
WO2001032054A1 (en) Height controllable support column
JP2020182771A (ja) 多機能パソコンチェア
JP2017086436A (ja) 天板昇降式什器
EP3989902A1 (en) Adjustable pedestal structure of the bed
CA2263610C (en) Adjustable height sink module
KR100950499B1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KR200324307Y1 (ko) 물품 승강장치
KR100617503B1 (ko) 서류 작성 테이블
KR200324308Y1 (ko) 물품 승강장치
JPH11151280A (ja) 入浴装置
JP5822172B1 (ja) 昇降洗面台
JP3192588U (ja) 昇降洗面台
JP2017086445A (ja) 天板昇降式什器
JP3197699U (ja) 低床介護ベッドの昇降機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