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694B1 -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694B1
KR102124694B1 KR1020180083333A KR20180083333A KR102124694B1 KR 102124694 B1 KR102124694 B1 KR 102124694B1 KR 1020180083333 A KR1020180083333 A KR 1020180083333A KR 20180083333 A KR20180083333 A KR 20180083333A KR 102124694 B1 KR102124694 B1 KR 10212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height
base plate
vertical movement
sli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232A (ko
Inventor
최봉규
Original Assignee
최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규 filed Critical 최봉규
Priority to KR102018008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6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며 이동이 용이하고 키오스크 고유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가 개시된다. 상기 키오스크는 키오스크가 배치될 바닥면에 지지되며 하부면에 삽입 홈부가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 하부 고정 플레이트가 마련된 제1 슬라이딩 지지부와,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상하 이동수단과,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어 키오스크의 고정 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에 의해 상승되어 삽입 홈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키오스크의 이동 시에는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삽입 홈부 외부로 캐스터가 배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키오스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이동수단과, 상기 하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상하 이동수단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며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를 따라 승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제2 슬라이딩 지지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HEIGHT-ADJUSTABLE AND EASY-TO-MOVE KIOSK}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대중들에게 각종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일반적으로 백화점, 쇼핑몰, 극장, 전시관 등의 공공시설에는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안내데스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공공시설에 찾아오는 고객들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안내 데스크를 찾아가 안내 담당자에게 용건을 말한 뒤 해당정보를 습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내 데스크의 경우에는 안내 담당자가 직접 해당 정보를 전달해야 함으로써 인건비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시설 내에서 특정 장소에만 배치되어 있어 고객을 위한 안내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편리한 안내 서비스를 위해 안내 데스크 이외에도 고객의 출입이 빈번한 장소에 다수의 키오스크를 배치하여 고객들이 상기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키오스크는 대부분 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장치로서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단말기를 가리킨다.
즉, 고객들은 키오스크의 스크린을 통해 주변의 위치, 자신이 찾아가고자 하는 장소의 위치 등을 검색할 수 있고, 또한 해당 공공시설에서 판매하는 티켓을 키오스크를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치매센터와 같은 공공기관에도 키오스크가 설치되어 환자 본인이 직접 상기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본인 상태를 스스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며, 치매 환자의 경우 본인 상태를 키오스크를 통해 매일 스스로 체크해야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매센터에 많은 수의 키오스크가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키오스크의 경우에는 일반인의 체형에 맞추어 제작됨으로써 평균 신장에 비해 키가 너무 큰 사람이나 키가 작은 사람 등은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에 앉아 이동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키오스크를 이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거동이 불편하여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은 병원이나 치매센터 등과 같은 공공기관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이동해야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리하여, 병원이나 치매센터 등과 같은 공공기관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 하부에 캐스터 등과 같은 바퀴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키오스크 하부에 바퀴를 설치할 경우에는 키오스크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708호(2013.04.26.)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며 이동 시에는 바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완료되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후에는 외부에 바퀴가 노출되지 않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키오스크가 배치될 바닥면에 지지되며 하부면에 삽입 홈부가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 하부 고정 플레이트가 마련된 제1 슬라이딩 지지부와, 상기 하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상하 이동수단과,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어 키오스크의 고정 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에 의해 상승되어 삽입 홈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키오스크의 이동 시에는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삽입 홈부 외부로 캐스터가 배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키오스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이동수단과,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상하 이동수단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며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를 따라 승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제2 슬라이딩 지지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하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을 승강시키는 볼 스크루와, 상기 볼 스크루와 연결되어 상기 볼 스크루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와 연결되는 볼 스크루 및, 상기 볼 스크루와 연결되어 상기 볼 스크루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은 사용자의 얼굴 높이를 감지하는 얼굴 높이 감지센서 및, 상기 얼굴 높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된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따라 제2 상하 이동수단의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부 내부에 실장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키오스크 앞에 다가서게 되면 얼굴 높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제1 상하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제2 슬라이딩 지지부를 승강시켜 디스플레이부의 높이가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맞도록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직접 구동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1 상하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제2 슬라이딩 지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높이를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맞도록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는 키가 너무 큰 사용자나 어린이 등과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도 이용 상에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에 앉아 이동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의 얼굴 높이에 맞도록 디스플레이부의 높이가 조절되어 어려움 없이 키오스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는 이동 시에는 키오스크 이동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강되어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의 복수개의 캐스터에 의해 바닥면이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를 통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키오스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키오스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키오스크 이동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 홈부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승되어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키오스크가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현상 없이 바닥면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는 키오스크를 이동시킬 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어 있는 키오스크 이동수단이 하강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승되어 키오스크 이동수단의 복수개의 캐스터를 이용하여 키오스크를 원하는 위치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키오스크 이동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 홈부로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키오스크가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현상 없이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이동수단의 캐스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키오스크의 고유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키오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키오스크의 다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키오스크 이동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 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 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키오스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키오스크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키오스크 이동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1 슬라이딩 지지부(120), 제1 상하 이동수단(130), 키오스크 이동수단(140), 제2 상하 이동수단(150),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키오스크가 배치될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면에는 삽입 홈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면에 마련된 삽입 홈부(111)에는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120)는 내부가 빈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120)의 내부에는 상, 하부 고정 플레이트(121)(1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은 상기 하부 고정 플레이트(12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은 볼 스크루(131), 구동수단(132) 및, 구동 스위치(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스크루(131)는 상기 하부 고정 플레이트(122)에 설치되어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의 지지플레이트(14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32)은 상기 볼 스크루(131)와 연결되어 상기 볼 스크루(13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132)으로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치(133)는 상기 구동수단(132)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32)을 정역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은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삽입 홈부(11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은 키오스크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놓을 시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에 의해 상승되어 삽입 홈부(111)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은 상기 키오스크를 이동시킬 시에는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에 의해 하강되어 삽입 홈부(111) 외부로 캐스터(142)가 배출되어 바닥면에 상기 캐스터(142)가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바닥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이격시킴으로써 키오스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은 지지플레이트(141) 및, 복수개의 캐스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삽입 홈부(141)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의 볼 스크루(13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41)는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의 구동수단(132)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볼 스크루(131)에 의해 삽입 홈부(111) 외측으로 하강되거나 삽입 홈부(111)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4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캐스터(142)는 4개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하부면 코너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42)는 상기 볼 스크루(131)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41)가 승강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와 연동되어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42)는 키오스크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놓을 시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와 연동되어 상승됨으로써 삽입 홈부(11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42)는 상기 키오스크를 이동시킬 시에는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130)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와 연동되어 하강되어 삽입 홈부(111) 외부로 배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바닥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이격시킴으로써 키오스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은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12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은 볼 스크루(151) 및, 구동수단(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스크루(151)는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121)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52)은 상기 볼 스크루(151)와 연결되어 상기 볼 스크루(15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152)으로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은 구동 스위치(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치(153)는 상기 구동수단(152)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52)을 정역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은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실장된 제어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이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를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 스위치(153)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는 사용자의 얼굴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5)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70)와 마주하게 되면 사용자의 얼굴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5)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실장되어 디스플레이부(170)까지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된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따라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의 구동수단(152)을 작동시켜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의 높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70)가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는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120)에 슬라이딩 체결되며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의 볼 스크루(15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는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의 구동수단(152)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볼 스크루(151)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120)를 따라 승강되어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는 본체부(161), 상하 이동수단 연결부(162) 및, 디스플레이부 탑재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61)는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120)에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 이동수단 연결부(162)는 상기 본체부(161)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의 볼 스크루(151)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볼 스크루(151)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16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탑재부(163)는 상기 본체부(16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부면에 디스플레이부(170)를 탑재시킨 후 복수개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와 연동되어 승강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의 디스플레이부 탑재부(163)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의 작동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는 사용자의 얼굴 높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실장되어 있는 제어부(155)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얼굴 높이와 디스플레이부(170)의 높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얼굴 높이와 디스플레이부(170) 사이의 높이 차이를 산출한 후, 산출된 사용자의 얼굴 높이와 디스플레이부(170) 사이의 높이 차이에 기반하여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의 구동수단(152)을 작동시켜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디스플레이부(170)의 높이를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맞도록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150)에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가 마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의 구동 스위치(153)를 작동시켜 구동수단(15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볼 스크루(151)에 의해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수동으로 디스플레이부(170)의 높이를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맞도록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를 다른 위치를 이동시켜야 할 경우, 사용자는 제1 상하 이동수단(130)의 구동 스위치(133)를 통해 구동수단(132)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132)이 작동되면 상기 구동수단(132)과 연결되어 있는 볼 스크루(131)가 하강되어 상기 볼 스크루(131)와 함께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의 지지플레이트(141)가 바닥면 측으로 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1)가 바닥면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하강을 하게 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캐스터(142)가 바닥면에 지지된다.
이후, 상기 지지플레이트(141)가 바닥면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더 하강을 하게 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41)가 바닥면 측으로 더 하강한 거리만큼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으로부터 상승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면에 복수개의 캐스터(142)가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으로부터 상승되면, 사용자는 키오스크를 복수개의 캐스터(142)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매우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의 복수개의 캐스터(14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에는, 사용자는 다시 구동 스위치(133)를 이용하여 구동수단(132)을 작동시켜 볼 스크루(131)를 구동시킴으로써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이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볼 스크루(131)와 연동되어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이 상승되어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의 복수개의 캐스터(142)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면에 마련된 삽입 홈부(111)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키오스크(100)가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현상 없이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는 사용자가 키오스크 앞에 다가서게 되면 얼굴 높이 감지센서(154)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따라 제어부(155)에 의해 제2 상하 이동수단(150)을 작동시켜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를 승강시켜 디스플레이부(170)의 높이가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맞도록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는 사용자가 직접 구동 스위치(153)를 이용하여 제2 상하 구동수단(150)을 작동시켜 제2 슬라이딩 지지부(160)를 승강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70)의 높이를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맞도록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는 키가 너무 큰 사용자나 어린이 등과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도 이용 상에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에 앉아 이동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의 얼굴 높이에 맞도록 디스플레이부(170)의 높이가 조절되어 어려움 없이 키오스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는 이동 시에는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이 베이스 플레이트(110)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강되어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의 복수개의 캐스터(142)에 의해 바닥면이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42)를 통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키오스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키오스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삽입 홈부(111)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승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키오스크가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현상 없이 바닥면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100)는 키오스크를 이동시킬 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삽입 홈부(111)에 삽입되어 있는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이 하강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승되어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의 복수개의 캐스터(142)를 이용하여 키오스크를 원하는 위치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삽입 홈부(111)로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키오스크가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현상 없이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이동수단(140)의 캐스터(1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키오스크의 고유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제1 슬라이딩 지지부
(130) : 제1 상하 이동수단 (140) : 키오스크 이동수단
(150) : 제2 상하 이동수단 (160) : 제2 슬라이딩 지지부
(1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6)

  1. 키오스크가 배치될 바닥면에 지지되며 하부면에 삽입 홈부가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 하부고정 플레이트가 마련된 제1 슬라이딩 지지부;
    상기 하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상하 이동수단;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어 키오스크의 고정 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에 의해 상승되어 삽입 홈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키오스크의 이동 시에는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삽입 홈부 외부로 캐스터가 배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키오스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이동수단;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상하 이동수단;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며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부를 따라 승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제2 슬라이딩 지지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바닥면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하강하게 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가 바닥면에 지지되며, 이 후 지지플레이트가 바닥면 측으로 더 하강하게 되면 더 하강한 거리만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면으로 부터 상승하게 되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하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키오스크 이동수단을 승강시키는 볼 스크루;
    상기 볼 스크루와 연결되어 상기 볼 스크루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와 연결되는 볼 스크루; 및
    상기 볼 스크루와 연결되어 상기 볼 스크루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하 이동수단은,
    사용자의 얼굴 높이를 감지하는 얼굴 높이 감지센서; 및
    상기 얼굴 높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된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따라 제2 상하 이동수단의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제2 슬라이딩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부 내부에 실장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KR1020180083333A 2018-07-18 2018-07-18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KR10212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33A KR102124694B1 (ko) 2018-07-18 2018-07-18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33A KR102124694B1 (ko) 2018-07-18 2018-07-18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32A KR20200009232A (ko) 2020-01-30
KR102124694B1 true KR102124694B1 (ko) 2020-06-18

Family

ID=6932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333A KR102124694B1 (ko) 2018-07-18 2018-07-18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6024B (zh) * 2020-03-11 2021-10-29 湖南工艺美术职业学院 一种新型汉语言文学对照讲解板
KR102147050B1 (ko) * 2020-06-03 2020-08-21 주식회사이씨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KR102340156B1 (ko) * 2020-11-24 2021-12-17 박화영 고령자 체험형 안전학습용 키오스크 시스템
CN112748784A (zh) * 2020-12-17 2021-05-04 深圳市盛景基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技术的智慧医疗用自助机
KR102374931B1 (ko) * 2021-11-09 2022-03-16 주식회사 올앤컴퍼니 가맹점 관리 시스템
KR102374935B1 (ko) * 2021-11-09 2022-03-16 주식회사 올앤컴퍼니 고객 관리 시스템
KR102636697B1 (ko) * 2022-04-19 2024-02-15 삼현산업 주식회사 상하이동이 가능한 키오스크 거치장치
KR102443852B1 (ko) * 2022-04-25 2022-09-16 (주) 아하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KR102498560B1 (ko) * 2022-11-01 2023-02-13 주식회사 아이윈 휠체어 장애인 맞춤형 비접촉식 키오스크
KR102590189B1 (ko) * 2022-11-08 2023-10-17 (주)피에스플러스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KR102618745B1 (ko) * 2023-08-16 2023-12-27 이한영 스마트 키오스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029B1 (ko)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JP2014074812A (ja) 2012-10-04 2014-04-24 Ires Inc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スタンド
KR101597827B1 (ko) * 2009-08-11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101673012B1 (ko) * 2015-07-14 2016-11-04 주식회사 하우앳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JP2017092793A (ja) * 2015-11-13 2017-05-25 日本フォームサービス株式会社 移動用モニター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708Y1 (ko) 2013-03-11 2013-05-09 (주)엘리비젼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827B1 (ko) * 2009-08-11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101084029B1 (ko)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JP2014074812A (ja) 2012-10-04 2014-04-24 Ires Inc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スタンド
KR101673012B1 (ko) * 2015-07-14 2016-11-04 주식회사 하우앳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JP2017092793A (ja) * 2015-11-13 2017-05-25 日本フォームサービス株式会社 移動用モニター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32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694B1 (ko)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US10299582B2 (en) Accessory cart
US20140121838A1 (en) Kiosk hav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US9212038B1 (en) Automated portable personal lift
KR20120097978A (ko)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US20050275322A1 (en) Wheelchair accommodating system
CN105965517A (zh) 基于送餐机器人的智能餐厅系统
US5146638A (en) Bath
US10898399B2 (en) User controls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 having low height
JP2018158109A (ja) ベッド昇降フレーム
US5619762A (en) Apparatus for assisting a person in standing from a seated position
KR101896189B1 (ko)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US8998238B1 (en) Meal-serving stock shelf-equipped wheelchair
JPH11199186A (ja) 階段段差解消装置
WO2019029006A1 (zh) 升降椅的控制系统
KR102418551B1 (ko) 스탠딩 기능을 포함한 휠체어
KR101868705B1 (ko) 승강식 싱크대 상부장
JP2008073325A (ja) 昇降洗面化粧台
CN110876665A (zh) 电动移位机
WO2017222442A1 (en) A device which is a hybrid of a personnel lifter and a height adjustable seat and a method for use of the device as a personnel lifter
JP2721653B2 (ja) 玄関の構造
US11957243B2 (en) Method for organizing footware
KR20120102889A (ko) 전동 휠체어
CN215915473U (zh) 一种电动升降移动医护工作站
JP5656576B2 (ja) 昇降浴槽の安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