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189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189B1
KR102590189B1 KR1020230095771A KR20230095771A KR102590189B1 KR 102590189 B1 KR102590189 B1 KR 102590189B1 KR 1020230095771 A KR1020230095771 A KR 1020230095771A KR 20230095771 A KR20230095771 A KR 20230095771A KR 102590189 B1 KR102590189 B1 KR 10259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height
bracket
adjustab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희
Original Assignee
(주)피에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에스플러스 filed Critical (주)피에스플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오스크 본체부; 상기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사용자의 키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승강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Height adjustable kiosk}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키 높이에 따라 키오스크 본체부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고, 키오스크 본체부가 승강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키오스크 본체부와 승강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므로 키오스크 본체부의 장애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키오스크가 시중에 있지만, 이용자의 키에 맞는 인체공학적 설계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정보를 편하게 보려면 자신의 키에 맞춰 터치스크린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키오스크는 대중적인 평균 신장에 맞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이 과도하게 큰사람이나 아동 및 장애인과 같은 노약자, 특히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엔 큰 어려움이 따랐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장애인 및 아동용으로 높이가 낮은 키오스크가 제작되어 있으나, 이러한 키오스크는 비장애인이나 키가 큰 사람이 사용하기엔 불편함이 따랐기 때문에 결국, 일반용과 장애용으로 구분하여 키오스크를 중복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2147050호)과 같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키오스크 본체와 리프트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치 전체가 동작하지 않고, 사용 환경에 따른 확장기기의 변경이나 키오스크 본체의 모델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장치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705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오스크 본체부가 승강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키오스크 본체부와 승강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므로 키오스크 본체부의 장애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키오스크 본체부를 승강부와 분리하여 독립 구동함에 따라, 키오스크 본체부는 표준형 모델을 채택하고, 사용 환경에 따라 추가되는 확장기기는 승강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키오스크 하드웨어의 맞춤 제작에 따른 제조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오스크 본체부; 상기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사용자의 키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승강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재의 전면부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 중 사용자의 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측정센서는 ON 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키 영역 밖에 위치하는 측정센서는 OFF 신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ON 신호를 제공하는 측정센서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측정센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재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하 위치 결정은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었을 때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기둥부재 내에 상기 브라켓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볼스크류의 축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볼너트, 상기 브라켓과 볼너트를 연결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블록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블록이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제한된 이동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엔드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는 상기 승강부와 별도의 전원선 및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독립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통신선의 접속을 위한 출력포트가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출력포트와 전원선 및 통신선으로 연결된 입력포트가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는 전원선과 통신선을 감싸는 케이블 캐리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오스크 본체부가 승강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키오스크 본체부와 승강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므로 키오스크 본체부의 장애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가 제공된다.
또한, 키오스크 본체부를 승강부와 분리하여 독립 구동함에 따라, 키오스크 본체부는 표준형 모델을 채택하고, 사용 환경에 따라 추가되는 확장기기는 승강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키오스크 하드웨어의 맞춤 제작에 따른 제조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키오스크 본체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둥부재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따른 승강부의 발췌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따른 케이블 캐리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따른 승강부의 작용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키오스크 본체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둥부재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따른 승강부의 발췌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따른 케이블 캐리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는 기둥부재(110), 브라켓(120), 키오스크 본체부(130), 승강부(140), 센서부(16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재(11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 기둥 형상의 프레임(111), 상기 프레임(111)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 커버(112), 상기 프레임(111)의 후면을 감싸는 후면 커버(113) 및 상기 프레임(1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11)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14)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11)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부(140) 지지를 위한 한 쌍의 고정판(111a,111b)이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받침대(114)의 저부에는 다수의 캐스터 휠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기둥부재(110)에는 키오스크의 사용 환경에 따라 영수증 프린터, 바코드 스캐너, 티켓 프린터, 안면 인식기, 열화상 카메라 등과 같은 확장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기둥부재(1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1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단에는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후면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20)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공과 관통홀의 배치 형태는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를 위한 베사(VESA)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130)는 상기 브라켓(1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이 전면부에 배치된 일반적인 키오스크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선 및 통신선을 통해 전원 공급 및 신호 전달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130)는 브라켓(12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승강부(140)와 별도의 전원선 및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독립 구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키오스크 본체부(130)를 승강부(140)와 분리하여 독립 구동하는 경우, 키오스크 본체부(130)는 표준형 모델을 채택하고, 사용 환경에 따라 추가되는 확장기기는 승강부(14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키오스크 하드웨어의 맞춤 제작에 따른 제조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20)에는 출력포트(121)가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재(110)의 외측에는 상기 출력포트(121)와 전원 및 통신 케이블(P)로 연결된 입력포트(115)가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재(110)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P)을 감싸는 케이블 캐리어(116)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포트(115)에는 PC와 같은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선 및 전원선을 연결하고, 상기 출력포트(121)에는 키오스크 본체부(130)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과 통신선을 출력포트(121)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130)가 브라켓(12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 및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브라켓(12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부재(110) 내부의 수용공간에 상기 브라켓(12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기둥부재(110) 내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판(111a,111b)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스크류(141), 상기 볼스크류(141)를 축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42), 상기 볼스크류(141)에 나사 결합되어 볼스크류(141)의 정,역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14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볼너트(143), 상기 브라켓(120)과 볼너트(143)를 연결하는 승강블록(144), 상기 승강블록(144)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45) 및 상기 구동모터(142)와 볼스크류(141) 사이에 배치되는 감속기(146)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스크류(141)의 상단에 볼스크류(141)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엔코더(147)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구동모터(142) 내에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145)는 승강블록(144)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승강블록(144)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151)는 포토마이크로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승강블록(144)의 이동범위 상한과 하한을 결정하기 위해 상측 고정판(111a)과 하측 고정판(111b)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블록(144)에는 포토마이크로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영역에 위치할 수 있는 검지편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포토마이크로센서는 승강블록(144)이 상한 또는 하한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승강블록(144)에 설치된 검지편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51)의 검출신호를 통해 승강블록(144)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승강부(140)의 최초 구동시 상측 리미트스위치(151)와 하측 리미트스위치(151)의 검출신호를 기반으로 엔코더(147) 값을 보정함으로써, 구동 오차가 발생하거나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블록(144)이 이동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주변 구조물과 충돌은 물론 구동모터(142)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승강부(140)는 승강블록(144)이 리미트스위치(151)에 의해 정해진 상한 또는 하한을 초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엔드스위치(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엔드스위치(152)는 접점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접점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승강블록(144)이 리미트스위치(151)에 의해 정해진 이동범위를 초과하는 위치에서 접점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측 고정판(111a)과 하측 고정판(111b)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144)에는 해당 위치에서 상기 엔드스위치(152)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검출핀(144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엔드스위치(152)에서 접점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구동모터(142)의 구동을 즉시 정지함으로써 승강블록(144)이 주변 구조물과 충돌하거나, 구동모터(142)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상기 센서부(160)는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재(110)의 전면부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측정센서(161) 및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전방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162)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센서(161)는 전방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레이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센서(161)를 기둥부재(110)의 전면부에 상하로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기둥부재(110)의 전방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키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측정센서(161) 중 사용자의 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측정센서(161)는 ON 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키 영역 밖에 위치하는 측정센서(161)는 OFF 신호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의 키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ON 신호를 제공하는 측정센서(161)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측정센서(161)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브라켓(120)의 상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승강블록(144)이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1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62)는 PIR센서(Pyroelectric Infra Red Sens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근접센서(162)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측정센서(161)를 OFF 상태로 유지하고, 근접센서(162)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측정센서(161)를 ON하여 사용자의 키를 측정한 다음, 승강부(140)의 구동을 제어하여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높이를 사용자의 키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부재(110)의 외측에는 승강부(140)의 구동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S)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위치가 승강부(140)의 구동에 의해 사용자의 키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이동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기구는 전원 OFF 또는 갑작스런 정전시에도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접근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스템 대기 상태로 대기한다. 시스템 대기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6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구동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전방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면, 근접센서(162)가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송출한다.
근접센서(162)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도 10과 같이 기둥부재(110)의 전면부에 상하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측정센서(161)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키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센서(161)는 전방으로 레이저광을 송신하고, 전방에 위치하는 대상물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광을 수신하는 경우 검출신호를 생성한다. 즉, 복수의 측정센서(161) 중 사용자의 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측정센서(161)는 ON 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키 영역 밖에 위치하는 측정센서(161)는 OFF 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복수의 측정센서(161)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측정센서(161)에서만 ON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제어부는 ON 신호를 제공하는 측정센서(161)에 대응하는 위치로 키오스크 본체부(130)를 이동시키기 위해 승강부(140)의 구동을 제어하여 키오스크 본체부(13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140)의 구동모터(142)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은 감속기(146)를 통해 볼스크류(141)로 전달되고, 볼스크류(141)의 회전량은 엔코더(147)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142)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제어하여 키오스크 본체부(130)가 연결된 승강블록(144)의 이동 방향과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1과 같이 복수의 측정센서(161)가 모두 ON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는 구동모터(142)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ON 신호를 제공하는 측정센서(161) 중 최상단 측정센서(161)에 대응하는 위치로 키오스크 본체부(1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측정센서(161)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키 높이로 키오스크 본체부(130)를 이동시킨 후에도 근접센서(162)에서 계속 감지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잠금기구를 통해 승강블록(144)의 해당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키오스크 본체부(130)를 사용하는 도중 정전이나 오작동 또는 외력에 의해 키오스크 본체부(13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이용을 종료하고 기둥부재(110)로부터 멀어지면, 근접센서(162)에서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잠금기구의 잠금을 해제한 후에 키오스크 본체부(130)가 기둥부재(110)의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승강부(140)를 제어하고, 잠금기구를 작동시켜 키오스크 본체부(130)의 위치를 고정한 다음, 시스템 대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첨부도면 중,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에 따른 승강부의 작용단면도이다.
도 12는 승강블록(144)이 중간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승강블록(144)에 고정된 볼너트(143)는 볼스크류(141)에 나사결합되어 볼스크류(141)의 축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볼스크류(141)는 상단과 하단이 기둥부재(110)의 상측 고정판(111a)과 하측 고정판(111b)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볼스크류(141)의 하단은 감속기(146)를 통해 구동모터(14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4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볼스크류(141)의 상단은 엔코더(147)에 연결된다.
또한, 승강블록(144)에는 검출편(144a)이 마련되고, 볼스크류(141)를 지지하고 있는 상측 고정판(111a)과 하측 고정판(111b)에는 상기 검출편(144a)을 검출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151)가 각각 설치됨에 따라 상기 승강블록(144)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추가로, 승강블록(144)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검출핀(144b)이 형성되고, 상측 고정판(111a)과 하측 고정판(111b)에는 상기 승강블록(144)이 이동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검출핀(144b)에 의해 접점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엔드스위치(152)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142)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도 13과 같이 구동모터(142)로부터 제공되는 정방향 회전동력에 의해 볼스크류(141)가 축회전하고, 이에 따라 승강블록(144)이 볼너트(143)와 함께 볼스크류(141)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승강블록(144)이 상측 고정판(111a)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측 고정판(111a)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51)에서 승강블록(144)에 마련된 검출편(144a)에 대한 검출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제어부가 승강부(140)의 구동을 정지하여 승강블록(144)의 상승을 제한함으로써, 승강블록(144)의 상한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블록(144)에 설치된 검출핀(144b)은 상측 고정판(111a)에 설치된 엔드스위치(152)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151)의 검출오류로 인해 승강블록(144)이 이동범위의 상한을 초과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검출핀(144b)이 엔드스위치(152)에 접촉하여 엔드스위치(152)가 접점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가 구동모터(142)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승강블록(144)이 상측 고정판(111a)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142)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도 14와 같이 구동모터(142)로부터 제공되는 역방향 회전동력에 의해 볼스크류(141)가 축회전함에 따라 승강블록(144)이 볼너트(143)와 함께 하강한다.
승강블록(144)이 하측 고정판(111b)에 근접하면 하측 고정판(111b)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51)에서 승강블록(144)의 검출편(144a)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는 승강부(140)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승강블록(144)의 하한 이동범위를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블록(144)에 설치된 검출핀(144b)은 하측 고정판(111b)에 설치된 엔드스위치(152)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만약, 리미트스위치(151)의 검출오류에 의해 승강블록(144)이 이동범위의 하한을 초과하여 이동하는 경우 검출핀(144b)이 엔드스위치(15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점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는 구동모터(142)의 구동을 정지하여 승강블록(144)이 하측 고정판(111b)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기둥부재, 111:프레임, 111a:상측 고정판,
111b:하측 고정판, 112:전면 커버, 113:후면 커버,
114:받침대, 115:입력포트, 116:케이블 캐리어,
120:브라켓, 121:출력포트, 130:키오스크 본체부
140:승강부, 141:볼스크류, 142:구동모터,
143:볼너트, 144;승강블록, 144a:검출편,
144b:검출핀, 145:가이드, 146:감속기,
147:엔코더, 151:리미트스위치, 152:엔드스위치,
160:센서부, 161:측정센서, 162:근접센서,
S:비상정지버튼, P:케이블

Claims (10)

  1.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오스크 본체부;
    상기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사용자의 키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승강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는 상기 승강부와 별도의 전원선 및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독립 구동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재의 전면부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 중 사용자의 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측정센서는 ON 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키 영역 밖에 위치하는 측정센서는 OFF 신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ON 신호를 제공하는 측정센서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측정센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재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하 위치 결정은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었을 때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기둥부재 내에 상기 브라켓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볼스크류의 축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볼너트, 상기 브라켓과 볼너트를 연결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블록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블록이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제한된 이동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엔드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키오스크 본체부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통신선의 접속을 위한 출력포트가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출력포트와 전원선 및 통신선으로 연결된 입력포트가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는 전원선과 통신선을 감싸는 케이블 캐리어가 마련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KR1020230095771A 2022-11-08 2023-07-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KR102590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47898 2022-11-08
KR1020220147898 2022-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189B1 true KR102590189B1 (ko) 2023-10-17

Family

ID=8855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771A KR102590189B1 (ko) 2022-11-08 2023-07-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810B1 (ko) 2024-04-02 2024-05-13 하나시스 주식회사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347A (ko) * 1995-04-22 1996-11-21 김태구 3차원 이동 센서 고정장치
KR20110004311U (ko) * 2011-03-10 2011-05-03 김성진 조립식 모니터 일체형 슬림 컴퓨터 케이스
KR101084029B1 (ko) *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20200009232A (ko) * 2018-07-18 2020-01-30 최봉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KR102147050B1 (ko) 2020-06-03 2020-08-21 주식회사이씨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347A (ko) * 1995-04-22 1996-11-21 김태구 3차원 이동 센서 고정장치
KR20110004311U (ko) * 2011-03-10 2011-05-03 김성진 조립식 모니터 일체형 슬림 컴퓨터 케이스
KR101084029B1 (ko) *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20200009232A (ko) * 2018-07-18 2020-01-30 최봉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KR102147050B1 (ko) 2020-06-03 2020-08-21 주식회사이씨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810B1 (ko) 2024-04-02 2024-05-13 하나시스 주식회사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18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US20140121838A1 (en) Kiosk hav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US7472439B2 (en) Hospital patient support
EP2696834B1 (en) Electric actuator system
CN106473449B (zh) 一种电动桌及电动桌的控制方法
US20070174965A1 (en) Hospital bed
CN201647771U (zh) 一种带有远程求助功能接口的曲线型提升装置
JP2015514648A (ja) 階段昇降機のための安全装置
CN102846060A (zh) 一种自动调整坐姿的座椅
CN211827224U (zh) 基于人机交互的工业触摸一体查询机
CN114992483A (zh) 一种建筑工地用建筑监测倾斜警示装置
KR100811779B1 (ko)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CN107054164B (zh) 可调节高度的车辆座椅及包含其的车辆
KR20060010160A (ko)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7149A (ko) 주방용 가구의 높이조절 기구
CN113115628A (zh) 智能割草机
KR101419518B1 (ko)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KR20230164315A (ko) 자동 위치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JP2693727B2 (ja) 電話機自動昇降装置
JP3560951B2 (ja) 電動開閉装置用コントローラ
JP6045502B2 (ja) 垂直階段
CN215207987U (zh) 一种适用于婴儿车的公共交通型自动扶梯
JPS6337872Y2 (ko)
JP5859775B2 (ja) 立体駐車装置
KR200293334Y1 (ko) 자동운전 에스컬레이터의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