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160A -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160A
KR20060010160A KR1020040058766A KR20040058766A KR20060010160A KR 20060010160 A KR20060010160 A KR 20060010160A KR 1020040058766 A KR1020040058766 A KR 1020040058766A KR 20040058766 A KR20040058766 A KR 20040058766A KR 20060010160 A KR20060010160 A KR 2006001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crew
motor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115B1 (ko
Inventor
허종철
Original Assignee
(주)테크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날시스템 filed Critical (주)테크날시스템
Priority to KR102004005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1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9Scanning a visible indication of the measured value and reproducing this indication at the remote place, e.g. on the screen of a cathode ray tub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테이블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품의 하중이 큰 경우, 소정 물품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반부에 마련되고 모터를 구비한 전기회로부, 모터에 결합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부, 스크루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스크루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테이블과 결합된 스크루 보호부, 결합부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승강부에 마련된 승강 레일부, 승강 레일부의 레일에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부 및 모터의 구동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며, 스크루 보호부는 본체부의 중앙부분에 마련되고, 승강레일부 및 가이드부는 스크루 보호부의 대향 위치에 적어도 2곳에 마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비교적 하중이 큰 물품이 테이블내의 어느 한곳으로 편중되어 탑재되어도 테이블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테이블, 승강, 모터, 리미트 스위치, 스크루

Description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Lift-down table for remote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카세트 테이블을 상하로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도면,
도 2는 종래의 물품의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물품의 승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승강 테이블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상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의 회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5의 A-A선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상면도,
도 12은 도 5의 A-A선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상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기의 수납부를 마련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401…기반부, 402…본체부,
403…승강부, 404…테이블,
405…제1의 승강 레일부, 406…제1의 가이드부,
407…전기회로부, 408…스크루부,
409…스크루 보호부, 411…리미트 스위치.
본 발명은 승강 테이블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 테이블이란 작업 또는 전시물품의 필요높이에 따라 그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을 일컫는다.
이러한 테이블은 고하중이 가해져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고 또한 높낮이 조절을 정밀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로서 레일유도에 따른 편리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2000-7657 및 공개특허공보 1999-4017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그 유압실린더를 조작하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정확한 높낮이를 조절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 물품 등의 작업대 또는 테이블의 기계적 승강장치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보 20-216382호(테이블 이송장치), 동 20-261260호(작업대), 동 20-245224호(작업용 안전의자), 동 20-348294호(모니터 승강장치), 동 20-351620호(높낮이 조절식 작업대) 및 등록특허공보 126826호(이동식 승강 작업대)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기계적 구성에 의해 작업대 또는 테이블의 승강 동작을 실행하므로, 그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품의 일종인 카세트의 승강을 위한 장치의 구성의 일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997-18340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상단에 카세트를 운반하는 카세트 테이블(31)이 설치되어 있고, 카세트 테이블(31)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타이밍 벨트 대신에 볼스크루로 구성된 레일(33)이 사용되고 있다. 장치의 하단에는 스테핑모터(37)가 있고, 레일(33)과 스테핑모터(37)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35)이 스테핑모터(37)에 설치되고, 스테핑모터(37)가 회전함에 따라서 레일(33)도 회전하게 되고, 그 힘에 의해 카세트 테이블(31)이 상하로 구동한다. 레일(33) 측면에 가이드 레일(39)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은 레일(33)이 회전하면서 카세트 테이블(31)을 상하로 구동시킬 때 카세트 테이블(31)의 위치와 균형을 바로 잡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면대나 테이블, 작업대, 의자 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물품 승강장치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3-15269호 및 2003-15270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3-15269호에 개시된 물품의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3-15270호에 개시된 물품의 승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물품의 승강장치는 지면이나 그 밖의 고정체에 지지되고 지지관체(10)와 가이드관체(30)를 고정하는 하부 브라켓트(110), 하부 브라켓트(11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지지관체(10), 지지관체(10)의 내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승강관체(20), 승강관체(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과 타측에 구동기어 삽입구멍(31)과 한쌍의 리미트 스위치 작동편 삽입구멍(32)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체(30), 가이드관체(30)의 내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일측과 타측에 래크(41)와 리미트 스위치 작동편 안내홈(42)이 형성되는 승강축(40), 가이드관체(3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정역구동모터(50), 정역구동모터(50)의 구동력을 래크(41)에 전달하는 구동기어(60), 승강축(40)과 승강관체(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에 물품(200)이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트(70), 가이드관체(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축(40)의 최대상승위치 및 최대하강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리미트 스위치(80), 지지관체(10)의 안쪽 상부 둘레 및 승강관체(20)의 바깥쪽 하부 둘레에 설치되는 다수의 밀착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도시된 물품의 승강장치는 벽면이나 지면, 그 밖의 고정체에 지지되는 지지관체(10), 지지관체(10)의 내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내부 일측에 가이드구멍(21)이 형성되는 승강관체(20), 승강관체(20)의 가이드구멍(21)에 내하부에 설치되는 승강너트(130), 승강관체(20)의 가이드구멍(21)에 삽입 설치되고, 승강너트(130)에 나사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리미트 스위치 작동구(41)가 설치되는 회전 나사축(140), 승강관체(20)의 내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나사축(140)과 접속되는 정역구동모터(50), 정역구동모터(50)의 구동력을 회전나사축(140)에 전달하는 구동기어(60), 승강관체(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에 물품(200)이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트(70), 승강관체(20)의 내상부와 내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관체(20)의 최대상승위치 및 최대하강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리미트 스위치(80), 지지관체(10)의 안쪽 상부 둘레 및 승강관체(20)의 바깥쪽 하부 둘레에 설치되는 다수의 밀착구(9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물품의 하중이 크지 않은 카세트 등에는 적합하지만, 모니터, TV수상기와 같이 물품의 하중이 큰 경우, 소정 물품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는 구동모터(50) 및 구동기어(60)이 승강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물품(200)의 하중이 큰 경우, 구동 모터가 충분하 동력을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는 지지관체(10)의 안쪽 상부 둘레 및 승강 관체(20)의 바깥쪽 하부 둘레에 다수의 밀착구를 마련하여 승강관체를 지지하지만, 밀착구에 의한 지지력이 미약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나사축(140)이 지지관체(10)의 일측부에 배치되므로, 상부 브라켓트상에 장착된 물품이 어느 한쪽으로 대향되어 배치된 경우, 물품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설치 높이를 일정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 조절수단(작동스위치 등)이 승강장치내에 장착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테이블 조절하기 위해서는 일단 테이블의 높이를 승강시키고 나서 원격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높이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고가의 리미트 스위치가 상하에 2개 마련되므로, 장치의 제조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테이블에 설치된 물품이 테이블내의 어느 한곳으로 편중되어도 테이블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테이블의 높이를 승강시킬 수 있는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은 기반부, 상기 기반부에 결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결합된 테이블을 구비하며, 테이블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반부에 마련되고, 모터를 구비한 전기회로부,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부, 상기 스크루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루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과 결합된 스크루 보호부, 상기 결합부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승강부에 마련된 승강레일부, 상기 승강레일부의 레일에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부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루 보호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대향 위치에 적어도 2곳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승강부와 상기 스크루 보호부 사이에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승강부는 대략 4각 기둥형상이고, 상기 승강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4각 기둥형상의 4변측에 각각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하단에 상기 원격 조정기를 수납하기 위한 원격 조정기 수납부를 마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부는 상기 원격 조 정기의 출력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스크루 보호부와 거리를 두고 상기 기반부상에 마련되고,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출력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공급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에는 상기 테이블의 높이를 표시하는 높이 표시부가 마련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의 제어방법은 기반부, 상기 기반부에 결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결합된 테이블, 상기 기반부에 마련되고 모터 및 그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회로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부, 상기 스크루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스크루 보호부,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부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한 승강 테이블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한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원격지에서 원격조정기로 조정하고,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 돌출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돌출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상기 테이블의 높이를 상기 원격 조정기에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명 중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승강 테이블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40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이고, (401)은 승강 테이블(400)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기반부(401)이다. 이 기반부(4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하는 전기회로부를 내장하기 위해 그 중앙부분이 양 가장자리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402)는 기반부(401)와 결합되는 본체부이고, (403)은 본체부(402)내에서 승강하는 승강부이고, (404)는 승강부(403)와 결합되어 필요한 물품, 예를 들어 작업공구, 텔레비젼세트, 모니터(이하, 단순히 물품이라 한다) 등을 탑재하는 테이블이며, (405)는 승강부(403)의 바깥둘레에 승강부(403)의 승강 동작 방향으로 마련된 제1의 승강레일부(405)이다.
다음에, 본체부(402)와 승강부(403)의 내부 구조에 대해 도 5 및 도 6에 따 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의 승강레일부(405)는 승강부(403)와 일체로 승강부(403)이 승강 길이에 대향하는 길이로 승강부(403)의 바깥둘레에 2변측에 마련된다.
(406)은 제1의 승강레일부(405)의 레일에 끼워 맞춰지는 제1의 가이드부로서, 본체부(402)의 안둘레의 2변측에 각각 제1의 승강레일부(405)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이 제1의 가이드부(406)는 본체부(402)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본체부(402)와 승강부(403) 사이에 마련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쌍의 제1의 승강레일부(405)와 제1의 가이드부(406)를 끼워 맞춰 승강부(403)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것에 의해 테이블(404)상에 탑재되는 물품이 테이블(404)의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놓여진 경우에도 그 물품을 수평상태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407)은 DC 스테핑 모터, 모터에 접속된 구동기어(예를 들어 웜기어), 모터 제어부 등을 구비한 전기회로부이고, (408)은 전기회로부(407)의 구동기어에 결합되는 스크루부이고, (409)는 스크루부(408)의 회전에 의한 승강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스크루부(408)의 회전운동에 따라 승강동작을 실행하는 결합부(410)를 일체로 마련한 제1의 스크루 보호부이다.
이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부(408)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원통형상이며, 승강부(403)의 상한위치 및 하한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달리 스크루부(408) 및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가 본체부(402) 및 테이블(404)의 무게중심부분에 마련되므로, 테이블(404)상에 탑재된 물품의 하중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411)은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의 결합부(410)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로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결합관계는 생략하였지만, 이 리미트 스위치(411)는 상부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와만 접촉하도록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와 일정 거리를 두고 기반부(401)상에 별도로 마련된다. 또, 리미트 스위치(411)에서 검출된 출력신호는 전기회로부(407)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의 상부에 마련된 하부 돌출부와 리미트 스위치(411)가 접촉하면, 그 접촉에 대한 출력신호가 전기회로부(407)의 제어부로 공급되고,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의 상승동작이 정지되어 승강부(403)가 승강 테이블(400)의 외부로 승강되는 동작을 방지하게 한다.
또,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의 하부에 마련된 상부 돌출부와 리미트 스위치(411)가 접촉하면, 그 접촉에 대한 출력신호도 전기회로부(407)의 제어부로 공급되고,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승강부(403)의 하강동작이 정지되게 한다.
[실시예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해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제2의 실시예와 상술한 제1의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가이드부와 승강레일부가 4곳에 마련되는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02)와 승강부(403)는 대략 4각 기둥형상이고, 제1의 승강레일부(405)와 제2의 승강레일부(413) 및 제1의 가이드부(406)과 제2의 가이드부(412)가 각각 4각 기둥형상의 본체부(402) 및 승강부(403)의 4변측에 각각 한쌍씩 마련되는 것이다.
제2의 실시예와 같이, 4각 기둥형상의 본체부(402) 및 승강부(403)의 4변측의 각각에 승강레일부와 가이드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의 실시예보다 테이블(404)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다음에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예의 전기 회로부(407)의 구성에 대해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420)은 승강테이블(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이고, (421)은 전기회로부(407)내에 내장된 전자 스위치부이며, (422)는 DC 스테핑 모터부이다. 이 DC 스테핑 모터부(422)는 전원부(420)에서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속도가 변화한다. (423)은 제1의 원격 조정기(430)에서 공급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이고, (424)는 광 수신부(423)에서 수신된 광신호에 따라 전자 스위치부(421)의 ON/OFF를 제어하고, 모터부(422)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 스위치부(421), 광 수신부(423) 및 제어부(424)는 하나의 회로 기판상에 마련되며, 제어부는 집적회로(IC)로 구성된다. (425)는 모터부(422) 에 결합된 웜기어와 이 웜기어에 결합되는 스크루부(408)를 포함하는 기어 구동부이다.
또, 도 8에 있어서, 제1의 원격 조정기(430)은 이 원격 조정기(430)의 출력 신호를 광신호로 송출하는 발광부(421), 전원부(420)으로 부터의 전원 공급을 개시시키는 전원 ON 버튼(432),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OFF 버튼(433), 승강부(403)의 상승을 지시하는 상승 버튼(434) 및 승강부(403)의 하강을 지시하는 하강 버튼(434)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1의 원격 조정기(430)의 회로 구성은 통상의 리모콘의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테이블의 제어에 대해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조작자가 제1의 원격조정기(430)의 전원 ON 버튼(432)를 조작하면, 수신부(423)은 원격 조정기(430)의 발광부(431)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10). 광 수신부(423)에서의 수신 신호에 따라 제어부(424)는 전자 스위치부(421)을 ON 상태로 유지시켜 전원부(4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모터부(422)에 공급되게 한다(스텝 S20). 다음에 조작자가 상승 버튼(434)를 조작한 경우, 제어부(424)는 모터부(422)의 모터를 정회전시켜 기어 구동부(425)의 스크루부(408)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 S30). 이에 따라, 제1의 스트루 보호부(409)의 상승 동작이 개시되어 승강부(403)이 상승하게 된다.
다음에 조작자가 상승버튼(434)를 계속 조작하여 승강부(403)이 상승하는 경우(스텝 S40), 제어부(424)는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돌출부가 리미트 스위치(411)과 접촉하였는가 판단한다(스텝 S50). 즉, 제어부(424)는 리미트 스위치(411)가 ON 상태로 되었는가 판단하고, 리미트 스위치(411)가 ON 상태가 아닌 경우, 스크루부(408)의 회전을 계속 실행시킨다.
그 후, 리미트 스위치(411)가 ON 상태로 되면, 제어부(424)는 리미트 스위치(411)의 ON 상태의 출력 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스텝 S60).
한편, 조작자가 하강 버튼(434)를 조작한 경우, 제어부(424)는 모터부(422)의 모터를 역회전시켜 기어 구동부(425)의 스크루부(408)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의 하강 동작이 개시되어 승강부(403)이 하강하게 된다. 즉, 제어부(424)는 스텝 S20, 스텝 S30 및 스텝 S40에서 조작자가 하강 버튼(434)를 조작한 경우, 스크루 보호부(409)의 하강으로 판단한다(스텝 S70).
다음에 조작자가 하강 버튼(434)를 계속 조작하여 승강부(403)이 하강하는 경우, 제어부(424)는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 돌출부가 리미트 스위치(411)과 접촉하였는가 판단한다(스텝 S80). 즉, 제어부(424)는 리미트 스위치(411)가 ON 상태로 되었는가 판단하고, 리미트 스위치(411)가 ON 상태가 아닌 경우, 스크루부(408)의 회전을 계속 실행시킨다.
그 후, 리미트 스위치(411)가 ON 상태로 되면, 제어부(424)는 리미트 스위치(411)의 ON 상태의 출력 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스텝 S60).
또한, 제어부(424)는 스텝 S40 및 스텝 S70에서 제1의 스크루 보호부(409)가 상승도 하강도 아닌 경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기의 다른 예를 도 10에 따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제2의 원격 조정기(44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제2의 원격 조정기(440)에 테이블(404)의 높이를 표시하는 높이 표시부(441)를 마련한 이외의 구성은 도 8의 제1의 원격 조정기(43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높이 표시부(441)은 제조사에서 승강 테이블의 출하시 그 기준 높이를 설정하고, 상승 버튼(434) 또는 하강 버튼(435)의 조작 횟수 또는 조작 강도에 따라 높이의 변화를 표시하여, 승강 테이블의 전체 높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404)상에 탑재되는 물품의 높이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경우 유용하게된다.
또한, 이 높이 표시부(441)은 통상의 LCD 표시판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해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도 11은 도 5의 A-A선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제3의 실시예와 상술한 제1의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가이드부와 승강레일부가 마련된 위치이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02)와 승강부(403)는 대략 4각 기둥 형상이고, 제3의 승강레일부(505)와 제3의 가이드부(506)가 승강부(403)와 스크루 보호부(504) 사이에 한 쌍 마련된 것이다. 또,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실시예와 달리 제2의 스크루 보호부(408)의 형상을 대략 4각 기둥형상으로 마련한 것이다.
또한,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부(402)와 승강부(403)가 서로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하고, 제3의 가이드부(506)이 기반부(401)에 직접 마련되는 것이다.
이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부(402)와 승강부(403)가 서로 접촉하므로, 제1의 실시예보다 테이블(404) 상에 탑재되는 물품의 하중을 더욱 안정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제 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의 승강 레일부(505)와 제3의 가이드부(506)가 승강부(403)내에 마련되므로, 제1 및 제2의 실시예보다 미관이 수려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해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도 12은 도 5의 A-A선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제1의 실시예와 상술한 제3의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가이드부와 승강레일부가 4곳에 마련되는 것이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02)와 승강부(403)는 대략 4각 기둥형상이고, 제3의 승강레일부(505)와 제4의 승강레일부(511) 및 제3의 가이드부(506)과 제4의 가이드부(510)가 각각 4각 기둥형상의 승강부(403)와 스크루 보호부(504) 사이에 한 쌍 마련된 것이다. 또,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실시예와 달리 제2의 스크루 보호부(408)의 형상을 대략 4각 기둥형상으로 마련한 것이다.
또한,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부(402)와 승강부(403)가 서로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하고, 제3의 가이드부(506) 및 제4의 가이드부(510)이 기반부(401)에 직접 마련되는 것이다.
이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부(402)와 승강부(403)가 서로 접촉하고, 승강부(403)와 스크루 보호부(504) 사이에 있어서 승강부(403)의 4변측의 각각에 승강레일부와 가이드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3의 실시예보다 테이블(404)의 안정성을 더욱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또, 이 제 3 및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부(402)와 승강부(403)의 유지를 위해, 종래의 기술과 같이, 본체부(402)와 승강부(403)의 둘레 부분에 글라이더(glider)를 마련하여도 좋다
[실시예5]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대해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기의 수납부를 마련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520)은 테이블(404)의 하단에 제1의 원격 조정기(430) 또는 제2의 원격 조정기(440)를 수납하기 위한 원격 조정기 수납부이다.
실시예 5와 같이 원격 조정기 수납부(520)을 테이블(404)의 하단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승강 테이블(400)을 조작하기 위한 원격 조정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부(402)와 승강부(403)의 형상을 4각 기둥의 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한다면, 원통 형상 또는 6각 기둥 형상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부(402)와 승강부(403)가 하나만 마련된 구조, 즉 테이블의 다리 부분이 하나만 있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테이블의 크기가 큰 경우 2개 이상의 다리 부분을 마련하고, 각각의 다리 부분에 본체부(402)와 승강부(403)를 마련하며, 그 어느 한쪽의 다리 부분에 본 발명을 적용시켜 작동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테이블에 비교적 하중이 큰 물품이 테이블내의 어느 한곳으로 편중되어 탑재되어도 테이블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사용자의 필요한 테이블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 만아니라, 그 높이의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10)

  1. 기반부, 상기 기반부에 결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결합된 테이블을 구비하며, 테이블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용 승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반부에 마련되고, 모터를 구비한 전기회로부,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부,
    상기 스크루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루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과 결합된 스크루 보호부,
    상기 결합부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승강부에 마련된 승강레일부,
    상기 승강레일부의 레일에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부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루 보호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대향 위치에 적어도 2곳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승강부와 상기 스크루 보호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승강부는 대략 4각 기둥형상이고, 상기 승강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4각 기둥형상의 4변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하단에 상기 원격 조정기를 수납하기 위한 원격 조정기 수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부는 상기 원격 조정기의 출력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스크루 보호부와 거리를 두고 상기 기반부상에 마련되고,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출력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에는 상기 테이블의 높이를 표시하는 높이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9. 기반부, 상기 기반부에 결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결합된 테이블, 상기 기반부에 마련되고 모터 및 그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회로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부, 상기 스크루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스크루 보호부,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부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한 승강 테이블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한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원격지에서 원격조정기로 조정하고,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 돌출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돌출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보호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상기 테이블의 높이를 상기 원격 조정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의 제어방법.
KR1020040058766A 2004-07-27 2004-07-27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KR100570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766A KR100570115B1 (ko) 2004-07-27 2004-07-27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766A KR100570115B1 (ko) 2004-07-27 2004-07-27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160A true KR20060010160A (ko) 2006-02-02
KR100570115B1 KR100570115B1 (ko) 2006-04-11

Family

ID=3712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766A KR100570115B1 (ko) 2004-07-27 2004-07-27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11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87B1 (ko) * 2008-12-30 2011-07-08 주식회사 하나은행 높이 가변형 카운터
CN104723302A (zh) * 2013-12-23 2015-06-24 王圣君 一种旋转支撑装置
CN106737285A (zh) * 2016-12-22 2017-05-31 安徽伟宏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钢结构件的旋转式找准定位装置
CN107457754A (zh) * 2017-08-03 2017-12-12 合肥新士鑫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工作台支撑的升降调控装置
CN108656040A (zh) * 2018-03-26 2018-10-16 李赵和 一种电路板加工用操作台
CN108869970A (zh) * 2017-05-11 2018-11-23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一种单丝杠平衡支撑装置
CN108972474A (zh) * 2018-09-13 2018-12-11 合肥昌燎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电子产品处理安装设备
CN109049822A (zh) * 2018-07-24 2018-12-21 芜湖渤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高度的汽车冲压平台
KR20190059142A (ko) * 2017-11-22 2019-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CN110042758A (zh) * 2019-03-29 2019-07-23 陕西铁路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桥梁施工用顶升装置
CN111618804A (zh) * 2020-05-13 2020-09-04 山西航天清华装备有限责任公司 装配试验平台
CN113787496A (zh) * 2021-09-29 2021-12-14 中国人民解放军32181部队 一种抽身管时托炮尾装置
WO2022126743A1 (zh) * 2020-12-15 2022-06-23 苏州斯派克思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小型机械设备组装用工作台
KR20230100316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오르고 물류이송로봇과 로봇용 리프트장치
KR102602622B1 (ko) * 2022-12-29 2023-11-14 유복현 모듈형 승강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3239A (zh) * 2012-05-07 2012-09-19 浚丰太阳能(江苏)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升降检验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3345A (en) 1996-03-01 1999-05-11 Dwbh Ventures Ltd. Remotely positionable gravity oriented laser scanner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87B1 (ko) * 2008-12-30 2011-07-08 주식회사 하나은행 높이 가변형 카운터
CN104723302A (zh) * 2013-12-23 2015-06-24 王圣君 一种旋转支撑装置
CN106737285A (zh) * 2016-12-22 2017-05-31 安徽伟宏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钢结构件的旋转式找准定位装置
CN108869970A (zh) * 2017-05-11 2018-11-23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一种单丝杠平衡支撑装置
CN108869970B (zh) * 2017-05-11 2024-05-14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一种单丝杠平衡支撑装置
CN107457754A (zh) * 2017-08-03 2017-12-12 合肥新士鑫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工作台支撑的升降调控装置
KR20190059142A (ko) * 2017-11-22 2019-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CN108656040A (zh) * 2018-03-26 2018-10-16 李赵和 一种电路板加工用操作台
CN109049822A (zh) * 2018-07-24 2018-12-21 芜湖渤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高度的汽车冲压平台
CN108972474A (zh) * 2018-09-13 2018-12-11 合肥昌燎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电子产品处理安装设备
CN110042758A (zh) * 2019-03-29 2019-07-23 陕西铁路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桥梁施工用顶升装置
CN111618804A (zh) * 2020-05-13 2020-09-04 山西航天清华装备有限责任公司 装配试验平台
CN111618804B (zh) * 2020-05-13 2023-09-29 山西航天清华装备有限责任公司 装配试验平台
WO2022126743A1 (zh) * 2020-12-15 2022-06-23 苏州斯派克思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小型机械设备组装用工作台
CN113787496A (zh) * 2021-09-29 2021-12-14 中国人民解放军32181部队 一种抽身管时托炮尾装置
KR20230100316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오르고 물류이송로봇과 로봇용 리프트장치
KR102602622B1 (ko) * 2022-12-29 2023-11-14 유복현 모듈형 승강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115B1 (ko)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115B1 (ko)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US10258150B2 (en) Height adjustable desk
CN109990179B (zh) 显示器升降装置
US6435048B1 (en) Multi-leg telescopic linear actuator
US20180177288A1 (en) Height adjustable desk
US7806490B1 (en) Panel mounted appliance elevator apparatus
JP6087902B2 (ja) 較正可能な入れ子式柱、較正可能な入れ子式柱を有する家具、および入れ子式柱を較正するための方法
US20190343272A1 (en) Height-adjustable workstation and output-adjusting task light
TW200843499A (en) Elevation adjust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076695B1 (en) Leveling system
KR1021991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023222A (ja) 支持装置
WO2003070065A1 (en) Display stand having an illuminating means
KR200244624Y1 (ko)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KR101932019B1 (ko)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JP4729360B2 (ja) シリンダ圧調整ユニット
KR20200109431A (ko) 전동드라이버 안내장치
KR200364299Y1 (ko) 모니터 높이조절장치
KR101768879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JPH11123108A (ja) 机などの昇降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さ調節式の机
KR101460751B1 (ko) 다수 개의 배치모드 제어가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장치
CN215136982U (zh) 一种旋转蒸发仪简易升降机构
KR100562160B1 (ko) 자력을 이용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모니터스탠드
KR200358014Y1 (ko) Tv의 위치조절장치, 및 위치조절장치가 장착된 tv
CN212843677U (zh) 一种测量仪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