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142A -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9142A KR20190059142A KR1020170156801A KR20170156801A KR20190059142A KR 20190059142 A KR20190059142 A KR 20190059142A KR 1020170156801 A KR1020170156801 A KR 1020170156801A KR 20170156801 A KR20170156801 A KR 20170156801A KR 20190059142 A KR20190059142 A KR 201900591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water depth
- water
- guide hol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예인수조에서 수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심조절부가 가이드 홀 상에서 승강 되는 과정에서 그 가이드 홀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에서도 이를 보정하면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심조절부의 밑면과 지지 바 상단 사이에 회동과 소정 거리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보정부재; 및 상기 지지 바를 가이드 홀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 상단에 구비되어 임의 방향으로 경사를 허용하는 제2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예인수조 내에서의 수심 조절을 위한 수심조절부의 승강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승강되어 정확하게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그로 인해 정확한 시험 데이터를 구축하여 실제 선박의 설계 치에 반영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그에 따라 예인수조 내에서의 수심 조절을 위한 수심조절부의 승강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승강되어 정확하게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그로 인해 정확한 시험 데이터를 구축하여 실제 선박의 설계 치에 반영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예인수조에서 수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심조절부가 가이드 홀 상에서 승강 되는 과정에서 그 가이드 홀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에서도 이를 보정하면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선체의 강도와 적재능력, 선박의 소요 엔진마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선박의 흘수선(吃水線)과 선박의 하부의 선형(船形)인 조건으로, 선박의 설계 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그런데 선박의 항로인 해수 등의 물은 고차원의 자유도를 가짐에 따라 이를 고려한 선박의 설계는 방대한 연산량을 요구한다. 이로 인해, 선박의 설계는 연산에 의한 수치적 방법 보다는, 해당 선박을 축소한 모형 선박을 건조한 다음, 수조 내에서 시험하고, 이를 상사(相似)법칙에 의해 확대함으로써 실선(實船)의 유체력을 예측하여 설계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모형 선박을 시험하기 위한 수조는 예인(曳引)수조(Towing Tank)와 회류수조로 대별된다. 전자인 예인수조는 움직임이 없는 유동 장에서 모형 선박을 예인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고, 후자인 회류수조는 모형 선박은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장의 흐름을 유도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예인수조 시험은 모형 선박의 예인시의 저항과 프로펠러에 미치는 추력 및 토오크를 측정하여 실선의 속도에 따른 소요 마력을 추정하도록 함으로써, 주로 선박의 엔진출력과 선형의 유효성 등 추진성능을 파악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이외에 선박의 조종운동시 선체와 타(舵)에 미치는 유체력을 계측하여 조종성능을 추정하며, 선수파 중에서 항주하는 선박의 운동성능과 해양구조물의 정지된 상태에서의 파도에 의한 운동성능을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그리고 회류수조 시험은 예인수조 시험에 비하여 시험의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정성적인 저항추진성능 평가와 국부적인 유동특성을 파악하는데 유효하게 활용된다.
이렇게, 예인수조에서 모형 선박을 이용한 시험은 깊은 수심에서의 선박 성능을 추정할 수 있도록 예인수조의 깊이와 폭이 모형 선박의 크기에 비하여 적절한 수준이 되도록 맞춰진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예인수조의 횡단면적은 모형선 횡단면적의 200배 이상, 예인수조의 폭은 모형선 길이의 1.5배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하천 및 수로와 같은 천수 상태에서 선박의 요구마력 증가 및 자세변화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수심이 낮은 상태를 모사할 수 있도록 예인수조의 수심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하여 예인수조의 물(수조수)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예인수조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모형시험의 준비가 그만큼 지연될 수밖에 없고, 외부로 배출한 물을 버리는 경우에는 그 자체가 낭비로 인한 비용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예인수조의 수심이 다시 깊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시 물을 채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운 상황이 반복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예인 수조에서 모형 선박을 이용한 시험 시간이나 인력이 이중으로 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수조의 물을 배출하면 내부 수압의 변화로 인하여 수조 측벽의 변위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수조 측벽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예인전차 주행레일의 직진도, 수평도 및 레일 간 간격 등이 변화하므로 예인전차의 정속성 유지에 큰 어려움을 주게 되므로 수조의 수위를 바꾸는 일은 극도로 회피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예인수조 및 모형 선박을 이용한 심수(深水, Deep Water)에서의 선박 성능에 주로 관심을 가지나, 천수(淺水, Shallow Water)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천수에서의 속도성능, 조종성능을 추정하기를 요구받는다. 천수에서의 유체역학적인 성능을 이론적으로 또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추정하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으므로 천수에서의 모형시험에 의존하게 되는데 전 세계적으로 천수 수조는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수심을 조절하는 바닥이 설치되어 있는 해양수조가 있지만 그 길이가 짧고 전차 및 레일 정밀도가 저항추진, 조종시험을 할 수 있는 예인수조의 정밀도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예인수조에서 모형 선박을 이용하여 시험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522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예인수조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방식이 아니라 예인수조의 바닥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예인수조의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예인수조 수심조절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386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예인수조에서 모형시험 시 예인점(Towing Point)을 각각의 운항조건에 대응되는 부력 중심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예인수조에서 모형시험 시 예인점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수심조절장치 바닥이 임의의 위치가 아닌 특정된 위치로 설정되고, 고정장치가 없어서 바닥 위로 선박이 지나갈 때 발생하는 유체력에 의해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시험 테이터가 불안정한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는 예인점으로의 운항조건에 대한 시험 치는 양호할 수 있었으나, 예인수조 내의 수심 변동에 따라 정확한 시험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예인수조에서 수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심조절부가 가이드 홀 상에서 승강 되는 과정에서 그 가이드 홀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에서도 이를 보정하면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수심조절부의 밑면과 지지바 상단 사이의 회전과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예인수조의 바닥에 위치하는 가이드 홀의 상단과 지지바 사이에서의 임의 방향으로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수심조절부의 양 측단이 예인수조의 측면에서의 유동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예인수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 상에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 바가 밑면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되는 수심조절부를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서 상기 수심조절부의 승강에 따른 상기 가이드 홀 또는 지지 바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에서도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정하는 승강 보정장치로서, 상기 승강 보정장치는 수심조절부의 밑면과 지지 바 상단 사이에 회동과 소정 거리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보정부재; 및 상기 지지 바를 가이드 홀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 상단에 구비되어 임의 방향으로 경사를 허용하는 제2 보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정부재는 양측에 각각의 장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플랜지 사이에 장방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테두리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평 플랜지로 구성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공 상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 핀, 상기 지지 핀 상에 지지 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을 거쳐 지지 핀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보정부재는 중앙에 상기 지지 바가 통과되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대로 대응되는 양측 하부에 핀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공, 상기 제1 체결공과 대향되는 방향의 전후 상부에 핀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체결공으로 구성되는 링크 본체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보정부재의 상부에는 지지 바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 가이드 홀 상에서 상기 지지 바의 승강을 구속하는 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심조절부의 양단과 그와 대응되는 예인수조의 각 측면에 상기 수심조절부의 승강에 따른 횡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각각의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수심조절부의 양단에 장착되는 각각의 체결 브래킷, 상기 체결 브래킷의 예인수조의 측면 측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 상기 예인수조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 사이에는 로드의 끝단에 스토퍼가 마련된 스토퍼 실린더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예인수조의 측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가이드면, 상기 가이드면의 배면에 그 예인수조의 측면에 매입되는 복수의 지지 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인수조에서 수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심조절부가 가이드 홀 상에서 승강 되는 과정에서 그 가이드 홀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에서도 이를 보정하면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인수조 내에서의 수심 조절을 위한 수심조절부의 승강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승강되어 정확하게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그로 인해 정확한 시험 데이터를 구축하여 실제 선박의 설계 치에 반영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수심조절부의 밑면과 지지 바 상단 사이의 회전과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홀의 기울기에 적정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예인수조의 바닥에 위치하는 가이드 홀의 상단과 지지 바 사이에서의 임의 방향으로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 바의 가이드 홀로의 승강이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수심 조절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수심조절부의 양 측단이 예인수조의 측면에서의 유동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인수조 내의 횡 방향으로 발생하는 유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제1 보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및 측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제2 보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및 측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따른 가이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제1 보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및 측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제2 보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및 측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따른 가이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제1 보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및 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따른 제2 보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및 측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따른 가이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은 모형 선박(200)을 예인하여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예인전차(210)가 물이 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예인수조(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예인수조(100)의 수심을 달리함에 따라 모형 선박(200)이 천수(淺水) 및 심수(深水)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속도 성능 및 조정성능 등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예인수조(100)의 바닥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심을 조절해야 하며, 이를 위해 수심조절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수심조절부(110)는, 상기 예인수조(200)의 바닥면에 일부 구간에 구비되어 수심이 조절되도록 일정 깊이를 가지는 함몰부(102)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심조절부(110)에 의해 바닥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예인수조(100)의 바닥면 함몰부(102)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 홀(104)과, 상기 가이드 홀(104) 상에 삽입되는 상기 수심조절부(110)의 밑면에 복수의 지지 바(112)가 구비되며, 상기 수심조절부는 통상적인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에는 지지 바를 지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프레임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심조절부(110)는 상기 지지 바(112)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심조절판(110A)을 포함하며, 상기 수심조절판(110A)과 지지 바(112) 사이에는 부력구조체(110B)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중성부력보다 약간 가볍도록 상기 수심조절판(110A)의 하부에 부력구조체(110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력구조체에 의한 부력이 수심조절 시스템의 자중보다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 양성 부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부력구조체(110B)와 수심조절판(110A) 사이에는, 상기 수심조절판(110A)의 미세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통상적인 미세높이 조절부(110C)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세높이 조절부(110C)는, 통상적인 풀-푸시(Push & Pull) 방식의 볼트 또는 다단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수심조절부(110)에서 조절되지 못하는 미세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다.
아울러, 구동수단은 통상적인 윈치, 상기 윈치에 권취되어 풀리를 거쳐 감김과 풀림을 되면서 상기 수심조절부의 수심조절판 또는 부력구조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예인수조의 측벽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파이프를 통하여 수심조절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서 상기 수심조절부(110)의 승강에 따른 상기 가이드 홀(104) 또는 지지 바(112)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로 승강시에는 수심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므로 이를 보완할 과제를 가진다.
즉, 가이드 홀(104)은 시공시 정확하게 수직으로 시공되지 않은 조건으로 인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시공되거나 혹은 지지 바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소정 기울기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승강 될 때 그 접촉되는 부분에서의 간섭으로 인해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는 결국 수심 조절이 이루어 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예인수조에서 수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심조절부가 가이드 홀 상에서 승강 되는 과정에서 그 가이드 홀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에서도 이를 보정하면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보정장치는 수심조절부(110)의 승강에 따른 상기 가이드 홀(104) 또는 지지 바(112)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로 승강시 그 기울기를 보정하면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승강 보정장치는 수심조절부(110)의 밑면과 지지 바(112) 상단 사이에 회동과 소정 거리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보정부재(10); 및 상기 지지 바(112)를 가이드 홀(104)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104) 상단에 구비되어 임의 방향으로 경사를 허용하는 제2 보정부재(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시공시 정확한 수직으로 시공하기 어려워 어느 정도의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그로 인해 지지 바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그 기울기로 인해 가이드 홀과 간섭으로 인해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데, 본 발명의 제1,2 보정부재에 의해 이를 보정하여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보정부재(10)는 수심조절부(110), 즉 수심조절판 또는 부력구조체의 밑면에서 회동과 소정 가리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지지 바(112)의 상부를 가이드 홀(104)의 기울기와 같이 기울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제2 보정부재(20)는 가이드 홀(104)의 상단에 구비되어 임의 방향으로 경사를 허용함에 따라 가이드 홀(104)로 삽입되는 지지 바(112)의 직접인 기울기를 보정함에 따라 지지 바(112)가 가이드 홀(104)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그로 인해 수심조절부의 승강이 가이드 홀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승강됨에 따라 수심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예인수조에서의 모형 선박이 천수(淺水) 및 심수(深水)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속도 성능 및 조정성능 등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로 선박의 엔진출력과 선형의 유효성 등 추진성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외에 선박의 조종운동시 선체와 타(舵)에 미치는 유체력을 계측하여 조종성능을 추정할 수 있으며, 선수파 중에서 항주하는 선박의 운동성능과 해양구조물의 정지된 상태에서의 파도에 의한 운동성능을 평가하는데 높은 활용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제1 보정부재(10)는 양측에 각각의 장공(1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플랜지(1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플랜지(12) 사이에 장방형의 관통공(14A)이 형성되며 테두리에 수심조절부인 수심조절판 또는 부력구조체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14B)이 형성되는 수평 플랜지(14)로 구성되는 장착 브래킷(15)과, 상기 장공(12A) 상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 핀(16)과, 상기 지지 핀(16) 상에 지지 바(112)의 상단에 하단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14A)을 거쳐 지지 핀(16)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샤프트(17)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사프트의 상부는 지지 핀이 삽입되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때, 가이드 샤프트와 지지 핀 사이에 원활한 회동을 위한 통상적인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핀은 수직 플랜지에 통상적인 장착 플레이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장공 상에서 필요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의 체결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 바의 상부는 그 지지 바의 하부가 가이드 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 기울기만큼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로 인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로의 지지 바의 삽입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보정부재(20)는 중앙에 상기 지지 바(112)가 통과되는 통과공(22A)이 형성되고 대로 대응되는 양측 하부에 가이드 홀의 상부에 형성된 통상적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통상적인 핀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공(22B)과, 상기 제1 체결공(22A)과 대향되는 방향의 전후 상부에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에 형성된 통상적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통상적인 핀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체결공(22C)으로 구성되는 링크 본체(22)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2 보정부재는 지지 바의 하부가 가이드 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 가이드 홀이 소정 기울기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보정부재와 함께 지지 바의 하부를 그 기울기와 적정하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링크 본체의 제1,2 체결공은 가이드 홀의 상부에 마련된 프레임 상에서 좌우 및 전후로 회동 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지지 바의 상부는 제1 보정부재에 의해 회동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바의 하부 또한 상기 링크 본체에 의해 가이드 홀의 기울기만큼 회전됨에 따라 지지 바는 가이드 홀과의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지지 바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이 제1 보정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고, 하단이 제2 보정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즉 상부와 하단 두 지점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그 지지 바는 가이드 홀의 기울기에 따라 적정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는 결국 지지 바가 가이드 홀의 기울기에 따라 간섭됨 없이 안정적이면서 이상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핵심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그로 인해 예인수조 내에서의 수심 조절 또한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 또한 구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보정부재(20)인 링크 본체(22)가 결합된 프레임의 상부에는 통상적인 프레임 또는 하우징 상에 상기 지지 바가 필요로 하는 조절된 위치, 즉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그 지지 바를 가이드 홀 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승강을 구속하는 통상적인 고정수단(20A)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유압 등에 의해 상기 지지 바를 고정할 수 있는 통상적인 클램프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은 지지 바의 높이 조절을 위해 승강이 완료된 시점에서 가이드 홀 상에서 더 이상의 승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지지 바가 설정된 정확한 조절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심조절부(110)인 수심조절판 또는 부력구조체의 양단과 그와 대응되는 예인수조(100)의 각 측면에 상기 수심조절부(110)의 승강에 따른 횡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각각의 가이드 수단(30)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수단은 지지 바가 가이드 홀 상에서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승강되는 과정에서 혹은 수심조절부가 유동성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됨은 물론 예기치 않은 수조수의 변동에 의해서도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수단(30)은 수심조절부(110)인 수심조절판 또는 부력구조체의 양단에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장착되는 각각의 체결 브래킷(32)과, 상기 체결 브래킷(32)의 예인수조(100)의 측면 측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34) 및 상기 예인수조(100)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34)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36)을 포함한다. 이때, 각 가이드 롤은 어느 정도의 완충 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스프링 등에 의해 지지되는 통상적인 구조를 가진다.
그에 따라 수심조절부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횡 방향의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34) 사이에는 로드의 끝단에 스토퍼(35A)가 마련된 스토퍼 실린더(35)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가이드 롤러가 횡 방향으로 완충될 때 상기 스토퍼 실린더의 스토퍼가 더 이상의 유동성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심조절부가 구동부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키고자 할 때, 상기 스토퍼 실린더의 스토퍼가 가이드 레일 상에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정확한 위치로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함에 따라 수심 조절 또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역할도 겸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36)은 예인수조(100)의 측면과 동일면을 이루어 상기 가이드 롤(34)이 승강되면서 구름되는 가이드면(36A)과, 상기 가이드면(36A)의 배면에 그 예인수조(100)의 측면에 매입되는 복수의 지지 플랜지()36B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 플랜지는 가이드면과 직교되는 복수의 보강 플랜지와 그 복수의 보강 플랜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보강 플랜지로 형성되어,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은 예인수조의 측면으로부터 통상적인 홈 형태가 아니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예인수조 내에서 일렁이는 파도의 흐름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1 : 승강 보정장치
10 : 제1 보정부재 12 : 수직 플랜지
12A : 장공 14 : 수평 플랜지
14A : 관통공 14B : 체결공
15 : 장착 브래킷 16 : 지지 핀
17 : 가이드 샤프트 20 : 제2 보정부재
20A : 고정수단 22 : 링크 본체
22A : 통과공 22B : 제1 체결공
22C : 제2 체결공 30 : 가이드 수단
32 : 체결 브래킷 34 : 가이드 롤
35 : 스토퍼 실린더 35A : 스토퍼
36 : 가이드 레일 36A : 가이드면
36B : 지지 플랜지
100 : 예인수조
102 : 함몰부 104 : 가이드 홀
110 : 수심조절부 110A : 수심조절판
110B : 부력구조체 110C : 미세조절부
112 : 지지 바
200 : 모형 선박 210 : 예인 전차
10 : 제1 보정부재 12 : 수직 플랜지
12A : 장공 14 : 수평 플랜지
14A : 관통공 14B : 체결공
15 : 장착 브래킷 16 : 지지 핀
17 : 가이드 샤프트 20 : 제2 보정부재
20A : 고정수단 22 : 링크 본체
22A : 통과공 22B : 제1 체결공
22C : 제2 체결공 30 : 가이드 수단
32 : 체결 브래킷 34 : 가이드 롤
35 : 스토퍼 실린더 35A : 스토퍼
36 : 가이드 레일 36A : 가이드면
36B : 지지 플랜지
100 : 예인수조
102 : 함몰부 104 : 가이드 홀
110 : 수심조절부 110A : 수심조절판
110B : 부력구조체 110C : 미세조절부
112 : 지지 바
200 : 모형 선박 210 : 예인 전차
Claims (8)
- 예인수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 상에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 바가 밑면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되는 수심조절부를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서 상기 수심조절부의 승강에 따른 상기 가이드 홀 또는 지지 바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에서도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정하는 승강 보정장치로서,
상기 승강 보정장치는 수심조절부의 밑면과 지지 바 상단 사이에 회동과 소정 거리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보정부재; 및
상기 지지 바를 가이드 홀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 상단에 구비되어 임의 방향으로 경사를 허용하는 제2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부재는 양측에 각각의 장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플랜지 사이에 장방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테두리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평 플랜지로 구성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공 상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 핀, 상기 지지 핀 상에 지지 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을 거쳐 지지 핀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부재는 중앙에 상기 지지 바가 통과되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대로 대응되는 양측 하부에 핀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공, 상기 제1 체결공과 대향되는 방향의 전후 상부에 핀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체결공으로 구성되는 링크 본체로 구성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부재의 상부에는 지지 바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 가이드 홀 상에서 상기 지지 바의 승강을 구속하는 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심조절부의 양단과 그와 대응되는 예인수조의 각 측면에 상기 수심조절부의 승강에 따른 횡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각각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수심조절부의 양단에 장착되는 각각의 체결 브래킷, 상기 체결 브래킷의 예인수조의 측면 측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 상기 예인수조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 사이에는 로드의 끝단에 스토퍼가 마련된 스토퍼 실린더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예인수조의 측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가이드면, 상기 가이드면의 배면에 그 예인수조의 측면에 매입되는 복수의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801A KR102486115B1 (ko) | 2017-11-22 | 2017-11-22 |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801A KR102486115B1 (ko) | 2017-11-22 | 2017-11-22 |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9142A true KR20190059142A (ko) | 2019-05-30 |
KR102486115B1 KR102486115B1 (ko) | 2023-01-09 |
Family
ID=6667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6801A KR102486115B1 (ko) | 2017-11-22 | 2017-11-22 |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6115B1 (ko)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6934A (ko) * | 1998-05-30 | 1999-12-15 | 이해규 | 4자유도 운동 및 저항 계측장치 |
KR20060010160A (ko) * | 2004-07-27 | 2006-02-02 | (주)테크날시스템 |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
KR100890563B1 (ko) * | 2007-11-16 | 2009-03-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의 조종 및 내항 성능 실험 장치 |
KR20110102986A (ko) * | 2010-03-12 | 2011-09-2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굽힘 피로시험 지그 |
KR20110115225A (ko) | 2010-04-15 | 2011-10-21 | 한국해양연구원 | 예인수조 수심조절 장치 |
KR20110124379A (ko) * | 2010-05-11 | 2011-11-17 | 국방과학연구소 | 낙하식 저속충격시험장치 |
KR101273865B1 (ko) | 2012-04-16 | 2013-06-11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예인수조에서 모형시험 시 예인점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 |
KR20130115689A (ko) * | 2012-04-13 | 2013-10-2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모형시험 수조 |
KR20140063108A (ko) * | 2012-11-16 | 2014-05-27 | 정용업 | 천정 보드의 자동 조립 설치장치 |
KR101505437B1 (ko) * | 2013-11-26 | 2015-03-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모형선박 시험용 예인전차 |
KR20170047882A (ko) * | 2015-10-26 | 2017-05-08 | 김성일 |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
-
2017
- 2017-11-22 KR KR1020170156801A patent/KR1024861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6934A (ko) * | 1998-05-30 | 1999-12-15 | 이해규 | 4자유도 운동 및 저항 계측장치 |
KR20060010160A (ko) * | 2004-07-27 | 2006-02-02 | (주)테크날시스템 |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
KR100890563B1 (ko) * | 2007-11-16 | 2009-03-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의 조종 및 내항 성능 실험 장치 |
KR20110102986A (ko) * | 2010-03-12 | 2011-09-2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굽힘 피로시험 지그 |
KR20110115225A (ko) | 2010-04-15 | 2011-10-21 | 한국해양연구원 | 예인수조 수심조절 장치 |
KR20110124379A (ko) * | 2010-05-11 | 2011-11-17 | 국방과학연구소 | 낙하식 저속충격시험장치 |
KR20130115689A (ko) * | 2012-04-13 | 2013-10-2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모형시험 수조 |
KR101273865B1 (ko) | 2012-04-16 | 2013-06-11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예인수조에서 모형시험 시 예인점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 |
KR20140063108A (ko) * | 2012-11-16 | 2014-05-27 | 정용업 | 천정 보드의 자동 조립 설치장치 |
KR101505437B1 (ko) * | 2013-11-26 | 2015-03-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모형선박 시험용 예인전차 |
KR20170047882A (ko) * | 2015-10-26 | 2017-05-08 | 김성일 |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6115B1 (ko) | 2023-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0200B1 (ko) | 부유 해양 플랫폼(floating offshore platform) | |
US9038554B2 (en) | Mobile ballast device | |
CN102050221B (zh) | 用于测量作用在舵上的力的装置 | |
US20120183359A1 (en) | Installation method for water-submersible platforms and installation vessel | |
US20110107955A1 (en) | Underwater traveling vehicle | |
CN110185585B (zh) | 一种半潜式垂直轴风力机平台减摇平衡装置 | |
CN109476466B (zh) | 一种用于风力涡轮机叶片组装的起重机、船、提升方法和组装方法 | |
CN110617945B (zh) | 一种实海域大尺度船模阻力试验系统 | |
KR101731878B1 (ko) |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 |
US20180354592A1 (en) | Sail boat propulsion and stabilisation system and device | |
EP3395667A1 (en) | Stabilized hull for a keeled monohull sailboat or sail and motor boat | |
CN210592382U (zh) | 一种航向稳定水下拖曳体 | |
CN114787450A (zh) | 用于控制浮动船舶的运动补偿导桩器的系统和方法以及船舶 | |
KR20170104204A (ko) | 예인수조의 예인 시험장치 | |
KR20190059142A (ko) |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 |
US4267788A (en) | Self-stabilized elevator-float for drydocking or floating any type of vessel | |
WO2021244818A1 (de)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zu einem wasserfahrzeug und ladesystem | |
DE2512565A1 (de) | Roehrenlegeschiff | |
KR101282772B1 (ko) | 선박의 선형을 고려한 능동형 롤링 펜더 | |
US3547065A (en) | Keel boat | |
KR20180010775A (ko) |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 |
JPS587514B2 (ja) | センパク | |
CN107059825B (zh) | 一种水上作业平台定位方法 | |
KR20070119125A (ko) | 수조수내 기포발생 촉진 및 유동의 난류화 형성방법과 이를위한 교란장치 | |
KR101566523B1 (ko) | 선박 건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