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882A -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 Google Patents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882A
KR20170047882A KR1020150148522A KR20150148522A KR20170047882A KR 20170047882 A KR20170047882 A KR 20170047882A KR 1020150148522 A KR1020150148522 A KR 1020150148522A KR 20150148522 A KR20150148522 A KR 20150148522A KR 20170047882 A KR20170047882 A KR 2017004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space
user
rai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15014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882A/ko
Publication of KR2017004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 A47B2220/0008Table or tray, height adjustable on parasol po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고객)에게 휴식공간의 제공은 물론 음식물의 제공공간으로 이용되는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 및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발판(14)을 갖는 평상부(10)와, 상기 평상부(10)의 기둥체(16)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된 탁자부(20) 및, 상기 탁자부(20)의 승강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탁자부(2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조절부(3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조절부(30)의 간단한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평상부(10)에 수납식으로 상기 탁자부(20)를 수납하여 휴식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탁자부의 보관공간이 필요없어져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Flat bench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able}
본 발명은 사용자(고객)에게 휴식공간의 제공은 물론 음식물의 제공공간으로 이용되는 평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에 수납식으로 탁자를 구성함은 물론 탁자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상은 실내 공간은 물론이거니와 바닷가나 계곡과 같은 야외공간에 비치하여 휴식공간 및 식사공간을 제공하는 침상의 한 종류로서, 이 평상은 평상시에는 휴식공간으로 이용하다가 식사시에는 탁자의 탑재공간으로 이용하므로 상기 평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평상은 상기 탁자를 비치할만한 보관공간이 부족하여 공간활용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탁자를 펼쳐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을 뻗을만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평상의 사용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평상용 탁자는 사용자의 앉은 키 즉, 최대 앉은키와 최소 앉은키를 고려하여 대략 중간 정도의 높이로 제작하고 있지만, 최대 앉은키의 사용자들은 다소간 낮은 느낌을 받고 어린이와 같은 최소 앉은키의 사용자들은 높은 느낌을 받아 모든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부족하였다.
그리고, 상기 평상용 탁자로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다양한 기구가 개발되어 있으나, 상기 평상용 탁자의 다리를 접힘식으로 구성하거나 분리식으로 구성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어서 실효성에 의문이 있었다.
[참고문헌]
문헌 1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516호(2008.02.13.)
문헌 2 :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6365호(2007.05.03.)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상기 평상의 바닥면에 수납식으로 탁자를 구성함은 물론 탁자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평상부와, 상기 평상부의 기둥체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된 탁자부 및, 상기 탁자부의 승강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탁자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기둥체의 양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부회전체, 상기 레일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회전체, 상기 탁자부의 승강경로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승강회전체, 상기 승강회전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회전체와 상기 승강회전체와 상기 하부회전체를 경유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감아주는 권취기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조절부의 간단한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평상부에 상기 탁자부를 수납하여 휴식공간을 더 확보함으로써, 상기 탁자부의 보관에 따른 별도의 비치공간이 필요 없어 상기 평상의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된다.
둘째, 상기 조절부의 간단한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탁자부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체형이 불리하더라도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상용 탁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상용 탁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상용 탁자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을 갖는 평상부(10)와, 상기 평상부(10)의 기둥체(16)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된 탁자부(20) 및, 상기 탁자부(20)의 승강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탁자부(2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조절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30)는, 상기 기둥체(16)의 양면에 장착된 레일(31)과, 상기 레일(31)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부회전체(32), 상기 레일(31)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회전체(33), 상기 탁자부(20)의 승강경로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승강회전체(34), 상기 승강회전체(34)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회전체(32)와 상기 승강회전체(34)와 상기 하부회전체(33)를 경유하는 와이어(35), 및 상기 와이어(3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감아주는 권취기(3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평상부(10)와 상기 탁자부(20)와 상기 조절부(30)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특히 상기 조절부(3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상기 탁자부(20)를 수납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함은 물론 상기 탁자부(20)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특징이 있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바닷가나 계곡과 같은 야외 공간은 물론 실내 공간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평상부(10)의 수용공간(12)에 승강식으로 탁자부(20)를 수납함은 물론 상기 수용공간(12)에 사용자의 발을 자연스럽게 내려놓을 수 있다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한편, 상기 평상부(10)는 사용자의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평상부(10)의 바닥면을 이룸은 물론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바닥판(18)과, 상기 바닥판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 및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14)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평상부(10)는 상기 발판(14)의 상부측에 상기 탁자부(20)가 승강식으로 결합되는 기둥체(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탁자부(20)는 상기 기둥체(16)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평상부(10)의 상부측에 배치되면서 음식물이 놓여지는 상면판(22), 및 상기 상면판(22)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기둥체(16)에 맞대어져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체(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체(24)는 상기 기둥체(16)에 암수형합식으로 결합되며, 특히 상기 기둥체(1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30)는 상기 탁자부(20)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기(36)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권취되면서 상기 상/하부회전체(32,33)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상기 와이어(35)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회전체(34)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레일(31)은 상기 기둥체(16)의 양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탁자부(20)의 승강과정에서 전체하중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회전체(32,33)는 상기 레일(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35)를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회전체(32,3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하부회전체(33)는 상기 와이어(35)를 직각방향으로 당겨주어 상기 탁자부(20)의 갑작스런 낙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승강회전체(34)는 상기 탁자부(20)의 승강경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체(24)의 벽면에 장착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32)의 흔들림을 방지해 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탁자부(20)의 승강체(24)와 상기 승강회전체(34)는 가능한 힌지식으로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35)는 상기 승강회전체(34)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회전체(32,33)를 경유하여 상기 귄취기(3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권취기(36)는 상기 와이어(3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권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회전체(33)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권취기(36)의 구동수단으로서 위치를 대신하여 모터로 대체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평상부(10)에 적정크기로 수용공간(1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12)에 상기 바닥판(18) 및 상기 조절부(30)를 설치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평상부(10)의 기둥체(16)에 상기 탁자부(20)를 암수형합식으로 결합하면, 상기 승강회전체(34)와 상기 레일(31)이 맞대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승강회전체(34)가 상기 레일(31)을 따라 승강하는 것이다.
즉, 상기 권취기(36)의 윈치를 정회전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35)가 감겨지고, 상기 권취기(36)의 윈치를 역회전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35)가 자중에 의해 풀려지게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권취기(36)의 윈치를 정회전하면, 상기 와이어(35)의 당김작용에 의해 상기 승강회전체(34)가 정회전하므로, 상기 승강회전체(34)의 정회전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탁자부(20)가 상향하게 된다.
반면, 상기 권취기(36)의 윈치를 역회전하면, 상기 탁자부(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승강회전체(34)가 역회전하므로, 상기 승강회전체(34)의 역회전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탁자부(20)가 하향하게 된다.
특히, 상기 권취기(36)에 의해 상기 와이어(35)를 완전히 풀어주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평상부(10)에 상기 탁자부(20)가 완전수납되므로, 상기 평상부(10)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평상부 12 : 수용공간
14 : 발판 16 : 기둥체
18 : 바닥판 20 : 탁자부
22 : 상면판 24 : 승강체
30 : 조절부 31 : 레일
32 : 상부회전체 33 : 하부회전체
34 : 승강회전체 35 : 와이어
36 : 권취기

Claims (3)

  1.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을 갖는 평상부(10)와,
    상기 평상부(10)의 기둥체(16)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된 탁자부(20) 및,
    상기 탁자부(20)의 승강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탁자부(2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조절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30)는,
    상기 기둥체(16)의 양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된 레일(31)과,
    상기 레일(31)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부회전체(32),
    상기 레일(31)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회전체(33),
    상기 탁자부(20)의 승강경로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승강회전체(34),
    상기 승강회전체(34)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회전체(32)와 상기 승강회전체(34)와 상기 하부회전체(33)를 경유하는 와이어(35), 및
    상기 와이어(3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감아주는 권취기(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상부(10)는,
    상기 수용공간(12)에 수용되는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발판(14)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탁자부(20)는,
    상기 평상부(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음식물이 놓여지는 상면판(22), 및 상기 상면판(22)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기둥체(16)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체(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KR1020150148522A 2015-10-26 2015-10-26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KR20170047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22A KR20170047882A (ko) 2015-10-26 2015-10-26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22A KR20170047882A (ko) 2015-10-26 2015-10-26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82A true KR20170047882A (ko) 2017-05-08

Family

ID=6016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522A KR20170047882A (ko) 2015-10-26 2015-10-26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8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142A (ko) * 2017-11-22 2019-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142A (ko) * 2017-11-22 2019-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2882B2 (en) Motor-driving mechanism and motor-driven furniture
CN108331318A (zh) 一种室内装修用操作平台
KR101067684B1 (ko) 승강 테이블이 구비된 정자
KR101513171B1 (ko)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KR101470402B1 (ko) 승강 테이블을 구비한 평상
KR101295627B1 (ko)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KR20170047882A (ko) 탁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평상
US7708250B1 (en) Ceiling panel support apparatus
KR101651153B1 (ko)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CN106170230A (zh) 高低可调式枕头
CN206289931U (zh) 一种装饰工程施工用自动升降马凳
KR20130083615A (ko) 승강식 의자
KR200494197Y1 (ko) 이동식 평상
CN107041648A (zh) 一种吊顶式智能移动床与榻榻米组合柜
CN107048716A (zh) 一种可调高度的饭桌
EP3466302B1 (en) A height-adjustable table
KR101439727B1 (ko) 수납식 침대
WO2010054942A1 (en) A lifting bed
CN106618908B (zh) 一种承接卧床患者排泄物的装置
CN220800403U (zh) 一种升降桌
KR10242018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N109380903A (zh) 一种折叠式座椅
KR20150093355A (ko) 리프트발판이 설치된 강연대
CN215650166U (zh) 一种多功能升降床
KR200480405Y1 (ko) 승강구동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