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153B1 -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 Google Patents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153B1
KR101651153B1 KR1020150056593A KR20150056593A KR101651153B1 KR 101651153 B1 KR101651153 B1 KR 101651153B1 KR 1020150056593 A KR1020150056593 A KR 1020150056593A KR 20150056593 A KR20150056593 A KR 20150056593A KR 101651153 B1 KR101651153 B1 KR 10165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height
lifting
wor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하
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Priority to KR102015005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2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flexible height-adjusting means, e.g. rope, cha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61Height-adjustable desk, electronically regulated with no mechanical link between the 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을 교체 사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판부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게 하여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데스크에 있어서, 상판부를 데스크프레임과 상기 데스크프레임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작업판으로 구성하고, 상판부를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부를 데스크프레임과 상기 데스크프레임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작업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과 작업환경에 따라 상판부의 작업판을 용이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부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상판부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고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Smart height-adjustable desk}
본 발명은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스크에 있어서, 상판부를 데스크프레임과 상기 데스크프레임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작업판으로 구성하고, 상판부를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여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을 교체 사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판부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게 하여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에 충전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판부 측에 상기 충전 전원부를 충전하는 태양전지판을 구비하여서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 상판부의 높이를 사용자의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스크받침부의 상부가 슬라이딩연결봉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하여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데스크받침부의 폭을 조절하여서 상판부를 직사각형과 정사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부를 탁자와 같은 좌상높이로 사용할 수 있게 데스크받침부를 좌상높이로 조절하는 좌상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데스크를 탁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부에 고정되어서 상판부의 높이 조절에 따라 권취/권해되어 전면을 커버하는 데스크스크린을 구비하여서, 사용자의 하체가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데스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는 사용자가 사무작업 또는 조립작업, 회의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일정높이의 작업판을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데스크는 판상의 작업판을 갖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데스크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판의 높이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데스크를 이용한 작업은 데스크 앞에서 앉아서 작업할 수 있게 구비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데스크를 이용하여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게 되면 하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복부 및 엉덩이 부분의 압박이 장시간 동안 이루어져 소화불량 및 비뇨기과 질환이 발생등과 같은 직업병을 유발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시간 앉아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통하여 발생하는 직업병은 산업화와 정보화의 발달에 따라 장시간 일정한 자세의 작업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종래의 데스크은 상판부가 고정된 상태이어서 사용자의 취향과 작업환경에 상판부의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번호 제1101285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데스크가 산업화와 정보화의 발달에 따라 장시간 일정한 자세로 앉아서 작업을 하게 구성되어 있어 하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복부 및 엉덩이 부분의 압박이 장시간 동안 이루어져 소화불량 및 비뇨기과 질환이 발생등과 같이 직업병을 유발하는 문제점과 상판부가 고정된 상태이어서 사용자의 취향과 작업환경에 상판부의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데스크에 있어서, 상판부를 데스크프레임과 상기 데스크프레임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작업판으로 구성하고, 상판부를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에 충전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판부 측에 상기 충전 전원부를 충전하는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스크받침부의 상부가 슬라이딩연결봉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를 탁자와 같은 좌상높이로 사용할 수 있게 데스크받침부를 좌상높이로 조절하는 좌상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에 고정되어서 상판부의 높이 조절에 따라 권취/권해되어 전면을 커버하는 데스크스크린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부를 데스크프레임과 상기 데스크프레임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작업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과 작업환경에 따라 상판부의 작업판을 용이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판부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상판부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고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에 충전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판부 측에 상기 충전 전원부를 충전하는 태양전지판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 상판부의 높이를 사용자의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데스크받침부의 상부가 슬라이딩연결봉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데스크받침부의 폭을 조절하여서 상판부를 직사각형과 정사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판부를 탁자와 같은 좌상높이로 사용할 수 있게 데스크받침부를 좌상높이로 조절하는 좌상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데스크를 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판부에 고정되어서 상판부의 높이 조절에 따라 권취/권해되어 전면을 커버하는 데스크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데스크를 사용함에 있어 상판부의 하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하체가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 과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상판부를 직사각형을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3 과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판부를 원형으로 실시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제어부의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제어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데스크 스크린을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10 은 도 9 에 따른 상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좌상높이조절과정 예시도.
도 12 는 도 11 에 따른 좌상높이조절수단의 예시도.
도 13과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15와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테스크받침부에 커버를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판상의 작업판(112)을 갖는 상판부(110)와 상기 상판부(1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데스크받침부(120)로 구성된 데스크에 있어서, 상판부(110)를 데스크프레임(111)과 상기 데스크프레임(111)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작업판(112)으로 구성하고, 상판부(110)를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110)의 데스크프레임(111)은 사각 또는 원형의 틀로 형성하고, 상기 데스크프레임(111)의 내측으로 작업판(112)이 요입 거치되게 형성한 판지지부(111a)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판지지부(111a)는 작업판(112)의 통기성이 확보되고 작업판(112)을 하부에서 밀어 교체할 수 있게 망판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으로 구비되는 데스크받침부(120)의 상부가 슬라이딩연결봉(140)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는 데스크받침부(120)를 상승동작시키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을 기립조작되게 하는 리프팅제어부(200) 및 상기 리프팅제어부(200)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한 조작부(30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리프팅수단은 데스크받침부(120)를 지면과 접하는 발판(121)과 상기 발판(121)에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받침지주(122)와 상기 받침지주(122)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돌출되는 슬라이딩지주(123), 상기 슬라이딩지주(12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판부(110)와 결합되는 상판고정지주(124)로 구성하고, 상기 상판고정지주(124)의 하단 측에 구비된 직립승강도르레(411), 일단이 받침지주(122)의 상단 측에 결속되고 상기 직립승강도르레(411)의 하부 측으로 감겨지는 직립리프팅당김구(412) 및 상판고정지주(124) 측에 구비되어 상기 직립리프팅당김구(412)를 리프팅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권취/권해하는 직립리프팅권취부(413)를 구비하여 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직립리프팅당김구(412)는 로프, 체인, 쇠사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제어부(200)는 리프팅수단에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리프팅구동부(210)와 사용자 설정에 따른 리프팅구동부(210)에 동작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220) 및 조작부(300)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타이머(220)로부터 타임신호를 입력받아 리프팅구동부(210)를 제어하는 타임제어부(230)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벅지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허벅지의 온도의 저하가 설정치 이상 저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리프팅제어부(200)에 리프팅신호를 입력하는 과도착석감지부(24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에 충전 전원부(251)를 구비하고, 상판부(110) 측에 상기 충전 전원부(251)를 충전하는 태양전지판(252)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110)를 탁자와 같은 좌상높이로 사용할 수 있게 데스크받침부(120)를 좌상높이로 조절하는 좌상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좌상높이조절수단은 받침지주(122)을 2 단으로 슬라이딩 동작되게 고정받침지주(122a)와 상기 고정받침지주(122a)의 상부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좌상받침지주(122b), 상기 좌상받침지주의 하단에 구비되는 좌상승강도르레(421), 일단이 상기 고정받침지주(122a)의 상단에 고정되어 좌상승강도르레(421)의 하부측으로 감겨지는 좌상승강당김구(422) 및 상판고정지주(124)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좌상승강당김구(422)를 권취/권해하는 좌상권취부(423)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110)에 고정되어서 상판부(110)의 높이 조절에 따라 권취/권해되어 전면을 커버하는 데스크스크린(5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데스크스크린(510)은 상판부(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스크린하우징(511)과 상기 스크린하우징(511)에 수납되며 리프팅제어부(200)에 의하여 상판부(110)의 승강에 따라 연동 제어동작되는 권취부(512) 및 상기 권취부(512)에 권취된 스크린(513)으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받침부(120)를 양측에서 커버하는 상부 받침커버(131)와 하부 받침커버(132) 및 상부 받침커버(131)의 승강에 따라 측면으로 노출되는 데스크받침부(120)를 커버할 수 있게 한 신축커버(133)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신축커버(133)는 상부 받침커버(131)의 승강에 따라 슬라이딩동작되는 슬라이딩신축커버 또는 상부 받침커버(131)의 승강에 따른 길이 신축을 흡수할 수 있게 자바라로 이루어진 자바라신축커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스크에 있어서, 상판부(110)를 데스크프레임(111)과 상기 데스크프레임(111)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작업판(112)으로 구성하고, 상판부(110)를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상판부(110)의 데스크프레임(111)을 사각 또는 원형의 틀로 형성하고, 상기 데스크프레임(111)의 내측으로 작업판(112)이 요입 거치되게 판지지부(111a)를 형성하며, 상기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는 데스크받침부(120)를 상승동작시키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을 기립조작되게 하는 리프팅제어부(200) 및 상기 리프팅제어부(200)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한 조작부(300)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용자의 취향과 작업환경에 따라 상판부(110)의 작업판(112)을 용이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판부(110)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에 의하여 사용자가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상판부(110)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고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데스크받침부(120)의 상부가 슬라이딩연결봉(140)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데스크받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부(110)의 폭에 따라 그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의 리프팅수단을 상기 상판고정지주(124)의 하단 측에 구비된 직립승강도르레(411)와 일단이 받침지주(122)의 상단 측에 결속되고 상기 직립승강도르레(411)의 하부 측으로 감겨지는 직립리프팅당김구(412) 및 상판고정지주(124) 측에 구비되어 상기 직립리프팅당김구(412)를 리프팅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권취/권해하는 직립리프팅권취부(413)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직립리프팅권취부(413)에 의하여 권취/권해되는 직립리프팅권취부(413)에 의하여 상판부(110)의 높이조절이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제어부(200)를 리프팅수단에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리프팅구동부(210)와 사용자 설정에 따른 리프팅구동부(210)에 동작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220) 및 조작부(300)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타이머(220)로부터 타임신호를 입력받아 리프팅구동부(210)를 제어하는 타임제어부(230)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용자가 작업환경에 따라 설정된 타임에 따라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에 의하여 상판부(110)가 직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어 장시가 앉은 상태로의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벅지온도를 감지하는 과도착석감지부(24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과도착석감지부(240)를 통하여 허벅지의 온도를 감지하여 과도착석을 판단하고 이를 리프팅제어부(200)에 입력하여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가 동작되어 상판부(110)가 직립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여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에 충전 전원부(251)를 구비하고, 상판부(110) 측에 상기 충전 전원부(251)를 충전하는 태양전지판(252)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외부전원의 공급 없이도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따른 상판부(110)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110)를 탁자와 같은 좌상높이로 사용할 수 있게 데스크받침부(120)를 좌상높이로 조절하는 좌상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좌상높이조절수단은 받침지주(122)을 2 단으로 슬라이딩 동작되게 고정받침지주(122a)와 상기 고정받침지주(122a)의 상부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좌상받침지주(122b), 상기 좌상받침지주의 하단에 구비되는 좌상승강도르레(421), 일단이 상기 고정받침지주(122a)의 상단에 고정되어 좌상승강도르레(421)의 하부측으로 감겨지는 좌상승강당김구(422) 및 상판고정지주(124) 측에 구비되어 상기 좌상승강당김구(422)를 권취/권해하는 좌상권취부(423)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탁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110)에 고정되어서 상판부(110)의 높이 조절에 따라 권취/권해되어 전면을 커버하는 데스크스크린(51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데스크의 사용에 있어 상판부(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체가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받침부(120)를 양측에서 커버하는 상부 받침커버(131)와 하부 받침커버(132) 및 상부 받침커버(131)의 승강에 따라 측면으로 노출되는 데스크받침부(120)를 커버할 수 있게 한 신축커버(133)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데스크받침부(120)의 외부가 장식되고 보호되어 장식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10 : 상판부
111 : 데스크프레임 111a: 판지지부
112 : 작업판
120 : 데스크받침부
121 : 발판
122 : 받침지주
122a: 고정받침지주 122b: 좌상받침지주
123 : 슬라이딩지주 124 : 상판고정지주
131 : 상부 받침커버 132 : 하부 받침커버 133 : 신축커버
140 : 슬라이딩연결봉
200 : 리프팅제어부
210 : 리프팅구동부 220 : 타이머 230 : 타임제어부
240 : 과도착석감지부
251 : 충전 전원부 252 : 태양전지판
300 : 조작부
411 : 직립승강도르레 412 : 직립리프팅당김구
413 : 직립리프팅권취부
421 : 좌상승강도르레 422 : 좌상승강당김구
423 : 좌상권취부
510 : 데스크스크린
511 : 스크린하우징 512 : 권취부 513 : 스크린

Claims (6)

  1. 데스크에 있어서;
    상판부(110)를 데스크프레임(111)과 상기 데스크프레임(111)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작업판(112)으로 구성하고, 상판부(110)를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되게 하는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상판부(110)의 데스크프레임(111)을 사각 또는 원형의 틀로 형성하고, 상기 데스크프레임(111)의 내측으로 작업판(112)이 요입 거치되게 판지지부(111a)를 형성하며,
    상기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는 데스크받침부(120)를 상승동작시키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을 기립조작되게 하는 리프팅제어부(200) 및 상기 리프팅제어부(200)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한 조작부(300)로 구성하고,
    상기 리프팅제어부(200)는 리프팅수단에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리프팅구동부(210)와 사용자 설정에 따른 리프팅구동부(210)에 동작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220) 및 조작부(300)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타이머(220)로부터 타임신호를 입력받아 리프팅구동부(210)를 제어하는 타임제어부(2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지지부(111a)는 작업판(112)의 통기성이 확보되고 작업판(112)을 하부에서 밀어 교체할 수 있게 망판으로 구성하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데스크받침부(120)의 상부가 슬라이딩연결봉(140)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하며,
    상기 데스크받침부(120)를 양측에서 커버하는 상부 받침커버(131)와 하부 받침커버(132) 및 상부 받침커버(131)의 승강에 따라 측면으로 노출되는 데스크받침부(120)를 커버할 수 있게 한 신축커버(133)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부(110)에 고정되어서 상판부(110)의 높이 조절에 따라 권취/권해되어 전면을 커버하는 데스크스크린(5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은 데스크받침부(120)를 지면과 접하는 발판(121)과 상기 발판(121)에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받침지주(122)와 상기 받침지주(122)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돌출되는 슬라이딩지주(123), 상기 슬라이딩지주(12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판부(110)와 결합되는 상판고정지주(124)로 구성하고, 상기 상판고정지주(124)의 하단에 구비된 직립승강도르레(411), 일단이 받침지주(122)의 상단에 결속되고 상기 직립승강도르레(411)의 하부로 감겨지는 직립리프팅당김구(412) 및 상판고정지주(124)에 구비되어 상기 직립리프팅당김구(412)를 리프팅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권취/권해하는 직립리프팅권취부(4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 높이 조절장치에 충전 전원부(251)를 구비하고, 상판부(110)에 상기 충전 전원부(251)를 충전하는 태양전지판(2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벅지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허벅지온도의 저하가 설정치 이상 저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리프팅제어부(200)에 리프팅신호를 입력하는 과도착석감지부(2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10)를 탁자와 같은 좌상높이로 사용할 수 있게 데스크받침부(120)를 좌상높이로 조절하는 좌상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좌상높이조절수단은 받침지주(122)를 2 단으로 슬라이딩 동작되게 고정받침지주(122a)와 상기 고정받침지주(122a)의 상부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좌상받침지주(122b), 상기 좌상받침지주의 하단에 구비되는 좌상승강도르레(421), 일단이 상기 고정받침지주(122a)의 상단에 고정되어 좌상승강도르레(421)의 하부로 감겨지는 좌상승강당김구(422) 및 상판고정지주(124)에 구비되어 상기 좌상승강당김구(422)를 권취/권해하는 좌상권취부(4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KR1020150056593A 2015-04-22 2015-04-22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KR10165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93A KR101651153B1 (ko) 2015-04-22 2015-04-22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93A KR101651153B1 (ko) 2015-04-22 2015-04-22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153B1 true KR101651153B1 (ko) 2016-08-26

Family

ID=5688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593A KR101651153B1 (ko) 2015-04-22 2015-04-22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6786A1 (zh) * 2016-10-24 2018-05-03 深圳米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升降桌的计时提醒方法及提醒装置
CN110013114A (zh) * 2019-05-08 2019-07-16 胡博峰 一种电动升降书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3717A2 (en) * 1998-05-29 1999-12-15 Ulf Raabo Height adjustable underframe
KR200315262Y1 (ko) * 2003-03-12 2003-06-02 주식회사 울타리 책상용 상판
KR200396911Y1 (ko) * 2005-06-24 2005-09-28 주식회사 대성기업 책상
KR101101285B1 (ko) 2011-05-19 2012-01-04 영남강철 주식회사 원터치 승강부가 구비된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3717A2 (en) * 1998-05-29 1999-12-15 Ulf Raabo Height adjustable underframe
KR200315262Y1 (ko) * 2003-03-12 2003-06-02 주식회사 울타리 책상용 상판
KR200396911Y1 (ko) * 2005-06-24 2005-09-28 주식회사 대성기업 책상
KR101101285B1 (ko) 2011-05-19 2012-01-04 영남강철 주식회사 원터치 승강부가 구비된 책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6786A1 (zh) * 2016-10-24 2018-05-03 深圳米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升降桌的计时提醒方法及提醒装置
US10872516B2 (en) 2016-10-24 2020-12-22 Shenzhen MiniCute Technology Co. Ltd. Timing reminding method and reminding apparatus for height-adjustable table
CN110013114A (zh) * 2019-05-08 2019-07-16 胡博峰 一种电动升降书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6087B2 (en) Electric bed with independent adjusting device for waist rest
JP5900493B2 (ja) 歩行器に組み込まれた立ち上がり支持体
US20100295354A1 (en) Chair adapted to adjust according to person's sitting-posture vertebral curve (i)
CN203633769U (zh) 一种具有相对位置自动调节功能的桌椅
JP5432400B1 (ja) 治療台兼用ベッド
KR101651153B1 (ko)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KR101067684B1 (ko) 승강 테이블이 구비된 정자
KR20160055642A (ko) 와상형 매트리스 조립체
CN108402689A (zh) 一种桌椅一体式会议桌
KR2016012737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KR101680870B1 (ko) 의료용 침대
CN208031406U (zh) 一种超低护理床
CN203710268U (zh) 泌尿外科专用护理床
CN104398354A (zh) 一种伸缩杆式可控升降病床
CA2414929A1 (en) Bedside lower extremity lifting apparatus
KR20130083615A (ko) 승강식 의자
KR200480405Y1 (ko) 승강구동식 테이블
KR200469959Y1 (ko) 높이 조절 싱크대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CN204767177U (zh) 一种多功能跑步机
JP2020099525A (ja) 身体支持システム
CN208355720U (zh) 一种多向拉筋器械
CN103783873A (zh) 双层床
CN220800403U (zh) 一种升降桌
CN215081286U (zh) 一种血管外科护理用肢体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