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374A -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374A
KR20160127374A KR1020150058676A KR20150058676A KR20160127374A KR 20160127374 A KR20160127374 A KR 20160127374A KR 1020150058676 A KR1020150058676 A KR 1020150058676A KR 20150058676 A KR20150058676 A KR 20150058676A KR 20160127374 A KR20160127374 A KR 2016012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rail
height
connecting shaft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배
Original Assignee
최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배 filed Critical 최현배
Priority to KR102015005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7374A/ko
Publication of KR2016012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면의 베개가 위치되는 베개 형성부와 어깨가 위치되는 어깨 밀착부가 일정 크기로 수직 관통되도록 하고, 베개 형성부와 어깨 밀착부의 하부에는 일정 공간의 함체(11)가 일체로 구비되는 침대 프레임(10);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베개 형성부에서 일정 높이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베개용 봉(21)을 수평 관통하도록 제1 연결축(22)에 의해 축지지되게 하는 제1 승강부(20); 상기 제1 연결축(22)과 양단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상기 함체(11)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판(110)에 고정되어 상기 베개용 봉(21)이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승강 레일부(30); 상기 베개용 봉(21)과 하부에서 접하면서 상기 베개용 봉(21)이 일정 높이로 승강하도록 하는 승강 구동부(40);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어깨 밀착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누름봉(51)을 제2 연결축(52)에 의해 각각 축지지되도록 하는 제2 승강부(50); 상기 제2 연결축(52)의 각 외측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함체(11)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판(110)에 고정되어 상기 누름봉(51)이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승강 레일부(60); 상기 한 쌍의 누름봉(51)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값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 구동부(40)의 캠 회전 각도가 제어되도록 하는 압력 감지수단(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Bed pillow is adjustable heigh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어깨측 상체의 위치에 따라 머리를 받치도록 구비되는 베개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좀더 편안한 자세에서 잠자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휴식이나 수면을 위해 누울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중 하나로서, 침대는 프레임으로만 이루어지기도 하고, 이 프레임에 매트리스를 얹힌 구성으로 구비되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프레임의 상부면으로 돌이나 흙을 깐 기능성을 갖는 구성의 침대가 폭넓게 사용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침대 기능 외에 안마 기능 등이 추가되는 침대가 제안되기도 하고 있다.
한편, 잠자리에는 필히 머리를 받치도록 베개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는데 과거에는 베개의 내부에 대부분 솜이나 곡물 껍질, 또는 합성수지제의 칩 등을 채워 넣어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서 적절히 유동하면서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하였다.
다만 최근에는 과거와 달리 사회 생활에서 컴퓨터나 핸드폰 등의 전자 기기 사용이 급증하면서 경추를 손상시키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고, 이에 따라 경추관리에 좀더 세심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베개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알맞은 높이를 가져야만 편안한 잠자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안한 등록특허 제1266567호(2013.05.15.명칭:침대 메트리스용 가변식 베개 높이 조절장치)는 사람의 신장이나 어깨의 넓이에 따라서 베개의 높이와 길이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서 옆으로 눕거나 바로 눕거나 하나의 베개로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즉 어깨 받침부가 하강을 하면 어깨 받침부의 높이조절판에 부착된 제1 레크 기어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면서 제1 레크 기어와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한 제2 레크 기어가 맞물려 제1 레크 기어가 부착된 어깨 받침부와 반대로 베개 받침부는 상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어깨에 의해 눌려지는 어깨 받침부의 하강에 연동하여 베개 받침부가 상승되도록 하여 베개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베개의 높이조절은 어깨 받침부를 하강시키는 압력에 의해서 하강하는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나 래크와 피니언의 연결에 의해서는 미세한 변화에 대해서는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는 매트리스에 매립되거나 침대 프레임에 매립되도록 해야 하므로 자세의 변화에 의해 어깨와 머리간 높이차가 발생되는 상황은 매트리스나 침대 프레임의 상부면보다 어깨 받침부가 하강해야 하는데 이러한 장치의 설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266567호(2013.05.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의 상부면으로 일정 높이를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베개봉이 어깨 부위에 의한 가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잠자는 자세에 따라 머리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 부위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의 미세한 변화에도 캠의 회전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베개의 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의 베개가 위치되는 베개 형성부와 어깨가 위치되는 어깨 밀착부가 일정 크기로 수직 관통되도록 하고, 베개 형성부와 어깨 밀착부의 하부에는 일정 공간의 함체가 일체로 구비되는 침대 프레임; 상기 침대 프레임의 베개 형성부에서 일정 높이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베개용 봉을 수평 관통하도록 제1 연결축에 의해 축지지되게 하는 제1 승강부; 상기 제1 연결축과 양단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침대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함체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베개용 봉이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승강 레일부; 상기 베개용 봉과 하부에서 접하면서 상기 베개용 봉이 일정 높이로 승강하도록 하는 승강 구동부; 상기 침대 프레임의 어깨 밀착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누름봉을 제2 연결축에 의해 각각 축지지되도록 하는 제2 승강부; 상기 제2 연결축의 각 외측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함체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누름봉이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승강 레일부; 상기 한 쌍의 누름봉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값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 구동부의 캠 회전 각도가 제어되도록 하는 압력 감지수단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는 잠자는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어깨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모터 구동에 의해 베개용 봉이 일정 높이를 승강하게 함으로써 가장 편안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 부위의 미세한 위치 변환에 의해 베개의 높이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를 침대에 적용한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서 제1 승강 레일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서 제1 승강 레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의 승강 구동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서 제2 승강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서 압력 감지수단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서 침대 프레임의 베개 형성부와 어깨 밀착부를 커버하는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의 바로 누운 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의 옆으로 누운 상태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를 침대에 적용한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10)에서 베개가 위치되는 베개 형성부와 사용자의 어깨가 위치되는 어깨 밀착부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이다.
즉 침대 프레임(10)의 상부면에서 베개 형성부와 어깨 밀착부는 일정 사이즈로서 판면이 절개되도록 하여 베개 형성부에는 제1 승강부(20)와 제1 승강 레일부(30)와 승강 구동부(40)가 구비되도록 하고, 어깨 밀착부에는 제2 승강부(50)와 제2 승강 레일부(60)와 압력 감지수단(70)이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침대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베개 형성부와 어깨 밀착부의 하부로 함체(11)가 침대 프레임(10)의 상부면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이 함체(11)의 내부에 상기한 구성들이 수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체(11)의 내부에서 베개 형성부측 침대 프레임(10)의 상부면으로 일정 높이가 돌출되도록 제1 승강부(20)를 구비한다.
제1 승강부(20)는 베개용 봉(21)과 제1 연결축(2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베개용 봉(21)은 침대 프레임(10)에서 베개 형성부의 판면을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부위의 폭간으로 일정 길이와 직경으로서 형성되는 통형상의 구성이다.
이러한 베개용 봉(21)의 중앙으로는 제1 연결축(22)이 수평 관통되도록 하며, 이때의 제1 연결축(22)은 봉 또는 관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제1 연결축(22)에서 베개용 봉(21)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며, 베개용 봉(21)은 합성수지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도록 한다.
제1 승강부(20)는 제1 승강 레일부(30)에 의해서 일정 높이를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즉 제1 승강 레일부(30)는 제1 연결축(22)의 양단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침대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함체(110) 양측의 내측면(11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 승강부(20)를 수직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서 제1 승강 레일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서 제1 승강 레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제1 승강 레일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레일 가이드(31)와 가이드 봉(32)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절첩식 레일(33)과 연결구(34)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승강 레일부(30)의 레일 가이드(31)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수직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봉(32)은 상단부가 베개용 봉(21)을 관통하는 제1 연결축(22)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는 레일 가이드(31)에서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삽입된다.
이와는 달리 제1 승강 레일부(30)는 통상 하나 이상의 이동 피스가 순차적으로 상승하였다 하강하는 절첩식 레일(33)과 일단이 절첩식 레일(33)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연결축(22)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제1 승강 레일부(30)를 따라 일정 높이를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승강부(20)는 그 하부의 승강 구동부(40)에 의해서 승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의 승강 구동부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승강 구동부(40)는 베개용 봉(21)의 하부에서 베개용 봉(21)과 항상 면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캠(41)이 구동축(42)에 축고정되도록 하고, 구동축(42)은 양측에서 축보스(43)에 베어링 결합되며, 구동축(42)의 일측의 축보스(43)를 관통하는 단부에는 스프로켓이나 풀리에 축고정되도록 하여 구동 모터(44)에 축고정된 스프로켓이나 풀리와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 구동부(40)에서 구동축(42)에는 복수의 캠(41)이 일정 간격으로 축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동축(42)을 축지지하는 축보스(43)와 구동 모터(44)는 함체(11)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고, 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킨 별도의 고정판(미도시)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승강 구동부(40)에서의 구동 모터(44)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이들 승강 구동부(40)는 함체(11) 양측면에 고정되는 제1 승강 레일부(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침대 프레임(10)의 베개 형성부에 구비되는 제1 승강부(20)와 제1 승강 레일부(30)와 승강 구동부(40)와는 달리 어깨 밀착부에는 제2 승강부(50)와 제2 승강 레일부(60) 및 압력 감지수단(70)이 구비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에서 제2 승강부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어깨 밀착부에 형성되는 제2 승강부(50)는 제1 승강부(20)와는 달리 한 쌍으로 구비되는 누름봉(51)과 이들 누름봉(51)을 각각 축지지하는 제2 연결축(5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제2 승강부(50)의 누름봉(51)은 수직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중간 부위가 만곡지도록 하거나 양단부의 외경이 축소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들 누름봉(51)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의 재질로서도 형성이 가능하며, 이들 한 쌍의 누름봉(51)은 각각이 제2 연결축(5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렇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누름봉(51)은 개별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면서 각 누름봉(51)을 축지지하는 제2 연결축(52)간은 별도의 연결수단(53)에 의해서 연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도면에서는 제2 연결축(52)의 연결수단(53)으로서 코일 스프링을 적용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누름봉(51)을 각각 축지지하는 양측의 제2 연결축(52)은 제2 승강 레일부(60)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한다.
제2 승강 레일부(60)는 제1 승강 레일부(30)와 동일한 형상의 제2 레일 가이드와 제2 가이드 봉으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제2 절첩식 레일(61)과 제2 연결구(62)로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 이상의 이동 피스가 서랍식 또는 다단식으로 순차적으로 상승하였다 하강하는 제2 절첩식 레일(61)과 이 제2 절첩식 레일(61)의 상단부측 이동 피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구(62)에 의해 제2 승강 구동부(50)와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 감지수단(70)은 어깨 밀착부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2 승강부(50)의 누름봉(51)들에 가해지는 압력 강도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값을 체크한다.
이러한 압력 감지수단(70)으로는 로드셀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압력 감지수단(70)은 도 7에서와 같이 제2 승강 레일부(60)의 레일 가이드(31) 또는 절첩식 레일의 하단부에 부착되도록 하여 레일 가이드(31)를 따라 승강하는 가이드 봉(62) 또는 절첩식 레일의 승강 레일의 하단부가 얹혀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침대 프레임(10)에서 수직 관통되도록 한 베개가 위치되는 베개 형성부와 사용자의 어깨가 위치되는 어깨 밀착부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 승강부(20)의 베개용 봉(21)과 제2 승강부(50)의 누름봉(51)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 시트(80)가 커버되게 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커버 시트(80)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서 형성되도록 하며, 특히 쿠션을 갖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의 작용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베개가 적용된 침대에서 제1 승강부(20)의 베개용 봉(21)은 침대 프레임(1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베개용 봉(21)에 접촉하는 면과 캠(41)과는 구동축(42)과의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어깨 밀착면에 구비되는 누름봉(51)은 외주면 상단부가 침대 프레임(10)의 상부면과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면을 위해 도 9에서와 같이 바로 눕게 되면 침대 프레임(10)의 상부면에서 제2 승강부(50)의 양측 누름봉(51)에 어깨가 나란하게 얹혀지는 동시에 일정한 높이만큼 상향 돌출된 베개용 봉(21)에 머리 부위와 함께 목 부위가 얹혀지게 된다.
다만 사람 체형에 따라서 베개 높이는 다르게 되므로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44)를 구동시켜 체형에 맞는 높이로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로 누운 상태에서는 양측의 누름봉(51)에 어깨 부위가 균등하게 얹혀지게 되므로 양측 어깨에 의해 제2 승강 레일부(60)에는 균일한 압력이 제2 승강 레일부(60)의 레일 가이드(31) 또는 절첩식 레일(33)의 하단부에 부착된 압력 감지수단(70)에 가해지면서 압력이 체크된다.
양측의 압력 감지수단(70)을 통해 체크되는 압력차가 설정치 이하로 나타나면 최초의 바로 누운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최초 설정된 베개 높이를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수면 중 바로 누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는 없으며, 수면 중 옆으로 눕기도 하므로 도 10에서와 같이 옆으로 눕게 되는 상태가 되면 침대 프레임(10)의 어깨 밀착부에서 제2 승강부(50)의 한 쌍으로 구비되는 양측의 누름봉(51)은 한 쪽만이 어깨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다른 쪽 누름봉(51)에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양측의 제2 승강 레일부(60)에 각각 구비되는 압력 감지수단(70)에 체크되는 압력값간 차이는 일정 이상이 되므로 이때의 압력값 차이에 따라 구동 모터(44)가 구동하여 캠(41)을 일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베개용 봉(21)이 좀더 상승되도록 한다.
이러한 베개용 봉(21)의 높이는 양측의 압력 감지수단(70)을 통해 체크되는 압력값간 차이에 의해서 승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자세의 변동에 따라 즉각적으로 베개의 높이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항상 편안한 수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베개의 높이가 바로 누웠을 때보다 옆으로 누웠을 때 좀더 높게 상승되도록 하면 비록 옆으로 눕더라도 침대 프레임(10)에 밀착되는 어깨에서의 압박 강도가 경감되도록 하여 좀더 편안하게 옆으로 누운 자세를 유지할 수가 있도록 한다.
또한, 베개의 높이를 누운 자세에 따라서 자동으로 조절되게 함으로써 조작의 편의와 정확한 작동 및 항상 편안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 : 침대 프레임 11 : 함체
20 : 제1 승강부 21 : 베개용 봉
22 : 제1 연결축 30 : 제1 승강 레일부
31 : 제1 레일 가이드 32 : 제1 가이드 봉
33 : 제1 절첩식 레일 34 : 제1 연결구
40 : 승강 구동부 41 : 캠
42 : 구동축 43 : 축보스
44 : 구동 모터 50 : 제2 승강부
51 : 누름봉 52 : 제2 연결축
53 : 연결수단 60 : 제2 승강 레일부
61 : 제2 레일 가이드 62 : 제2 가이드 봉
70 : 압력 감지수단 80 : 커버 시트

Claims (9)

  1. 상부면의 베개가 위치되는 베개 형성부와 어깨가 위치되는 어깨 밀착부가 일정 크기로 수직 관통되도록 하고, 베개 형성부와 어깨 밀착부의 하부에는 일정 공간의 함체가 일체로 구비되는 침대 프레임;
    상기 침대 프레임의 베개 형성부에서 일정 높이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베개용 봉을 수평 관통하도록 제1 연결축에 의해 축지지되게 하는 제1 승강부;
    상기 제1 연결축과 양단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침대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함체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베개용 봉이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승강 레일부;
    상기 베개용 봉과 하부에서 접하면서 상기 베개용 봉이 일정 높이로 승강하도록 하는 승강 구동부;
    상기 침대 프레임의 어깨 밀착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누름봉을 제2 연결축에 의해 각각 축지지되도록 하는 제2 승강부;
    상기 제2 연결축의 각 외측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함체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누름봉이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승강 레일부;
    상기 한 쌍의 누름봉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값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 구동부의 캠 회전 각도가 제어되도록 하는 압력 감지수단;
    으로 구비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 레일부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수직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레일 가이드와, 상단부가 상기 베개용 봉을 관통하는 제1 연결축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하단부는 상기 제1 레일 가이드에서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봉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 레일부는 다단식으로 접혀졌다 전개되는 제1 절첩식 레일과, 일단이 상기 제1 절첩식 레일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축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개용 봉과 항상 면접촉되도록 하부에 구비되는 캠과, 상기 캠을 축고정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측을 베어링 결합에 의해 축지지하는 축보스와, 상기 구동축의 일측의 축보스를 관통하는 단부에 축고정되는 스프로켓이나 풀리에 체인 또는 벨트로서 연결되도록 하는 구동 모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정역회전 모터를 사용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 레이부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수직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레일 가이드와, 상단부가 상기 베개용 봉을 관통하는 제1 연결축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하단부는 상기 제2 레일 가이드에서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봉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 레이부는 다단식으로 접혀졌다 전개되는 제2 절첩식 레일과, 일단이 상기 제1 절첩식 레일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연결축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수단은 상기 제2 승강 레일부의 제2 레일 가이드 또는 제2 절첩식 레일에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승강 레일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봉의 하단부 또는 제2 절첩식 레일의 이동 피스 하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에서 수직 관통되도록 한 베개가 위치되는 베개 형성부와 사용자의 어깨가 위치되는 어깨 밀착부에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커버 시트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KR1020150058676A 2015-04-27 2015-04-27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KR20160127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676A KR20160127374A (ko) 2015-04-27 2015-04-27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676A KR20160127374A (ko) 2015-04-27 2015-04-27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374A true KR20160127374A (ko) 2016-11-04

Family

ID=5753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676A KR20160127374A (ko) 2015-04-27 2015-04-27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3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9331A (zh) * 2017-07-03 2017-09-12 邢川明 使用更方便的能调卧角的床及其床头靠板装置
KR20190023992A (ko) 2017-08-30 2019-03-08 황윤진 단계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공기 베개
CN109757940A (zh) * 2018-12-20 2019-05-17 佛山市乙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应力感应自调节枕头
NL2026363A (en) * 2020-05-29 2021-12-13 Nanjing Robust Information Tech Co Ltd Bed for intelligently adjusting height of pillow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CN114451743A (zh) * 2022-03-16 2022-05-10 安徽情暖家具有限公司 一种高弹性床垫用加强弹簧框架成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67B1 (ko) 2011-12-28 2013-05-22 이종언 침대 메트리스용 가변식 베개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67B1 (ko) 2011-12-28 2013-05-22 이종언 침대 메트리스용 가변식 베개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9331A (zh) * 2017-07-03 2017-09-12 邢川明 使用更方便的能调卧角的床及其床头靠板装置
KR20190023992A (ko) 2017-08-30 2019-03-08 황윤진 단계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공기 베개
CN109757940A (zh) * 2018-12-20 2019-05-17 佛山市乙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应力感应自调节枕头
NL2026363A (en) * 2020-05-29 2021-12-13 Nanjing Robust Information Tech Co Ltd Bed for intelligently adjusting height of pillow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CN114451743A (zh) * 2022-03-16 2022-05-10 安徽情暖家具有限公司 一种高弹性床垫用加强弹簧框架成型方法
CN114451743B (zh) * 2022-03-16 2023-11-21 安徽情暖家具有限公司 一种床垫用加强弹簧框架成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737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AU2014211711B2 (en) Mattress arrangement, such as a bed, having zones with adjustable height/firmness
KR101709038B1 (ko) 침대 장치
US20120137444A1 (en) Adjustable Contour Mattress System
US20080256704A1 (en) Adjustable angle bed frame
MX2011008371A (es) Estructura de colchon.
EP2314267B1 (en) Hospital bed with adjustable sleeping surface
KR101695955B1 (ko) 와상형 매트리스 조립체
KR101136724B1 (ko) 척추경혈용 지압장치
RU2687124C2 (ru) Кровать и кроватный вкладыш с постуральной опорой
US9149401B2 (en) Support apparatus for preventing and/or inhibiting decubitus ulcers
CA3024620C (en) Pillow lifting structure
US9642757B2 (en) Tilt motion leisure adjustable bed base
KR102435665B1 (ko)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스마트 베개 제어방법
KR101680870B1 (ko) 의료용 침대
KR101605649B1 (ko) 스마트형 침대 매트리스
EP2042058B1 (en) Load-bearing device for bed
KR10152043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EP3238687A1 (en) Air pocket-type massage device
KR100619432B1 (ko) 환자 이송 침대
KR20120049683A (ko)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101651153B1 (ko)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KR200346120Y1 (ko) 각도가 조절되는 침대
CN115251650B (zh) 一种可调床垫及床架
KR20220075603A (ko)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