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430B1 - 높낮이 조절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430B1
KR101520430B1 KR1020140024859A KR20140024859A KR101520430B1 KR 101520430 B1 KR101520430 B1 KR 101520430B1 KR 1020140024859 A KR1020140024859 A KR 1020140024859A KR 20140024859 A KR20140024859 A KR 20140024859A KR 101520430 B1 KR101520430 B1 KR 10152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llow
portions
heigh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4002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430B1/ko
Priority to PCT/KR2015/002002 priority patent/WO2015133781A1/ko
Priority to EP15758123.2A priority patent/EP3114968B1/en
Priority to JP2016555537A priority patent/JP6253799B2/ja
Priority to CN201580011741.2A priority patent/CN10617023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430B1/ko
Priority to US15/255,473 priority patent/US95388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안착되고, 쿠션재가 안착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끝단에 축설되어, 상기 구동축의 종방향 회전을 횡방향 회전으로 바꾸어주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와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복수의 종동기어부들 및; 상기 종동기어부들의 상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되, 높이가 다른 복수의 단부로 이루어진 승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어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베개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편안한 수면을 위하여 머리에 괴는 도구로서, 적당 높이로 받쳐주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적당한 쿠션기능을 갖는 것이 기본이다.
종래의 베개는 통상적으로 적당한 크기의 베개 속과, 이 베개 속 위에 씌워지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개 속에 따라 베개 전체의 크기나 높이가 결정되는데, 베개 속으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메밀껍데기 또는 왕겨와 같은 곡물이나 건조된 약초, 세라믹을 함유한 합성수지 입자나 발포수지 입자, 동물의 털, 솜 등을 베개 속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면을 취하는 사람의 머리와 경추를 지지하면서도 일정한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라텍스 계열의 합성고무를 이용한 베개도 많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베개들 중,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에게 맞는 베개를 선택하여 장기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람이 수면을 취할 때 한 가지 자세로만 수면을 취하기는 어렵다. 즉, 수면 중 정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양쪽을 번갈아가면서 옆방향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하기도 하며, 때로는 엎드려서 수면을 취하기도 한다.
여기서, 일정 높이를 갖는 베개를 정자세로 베는 경우, 인체의 뒷머리와 경추 및 등부위가 대략 일직선을 이룸으로써, 비교적 높지 않은 베개를 베더라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나, 동일 높이의 베개를 옆으로 베는 경우, 인체의 한쪽 어깨와 한쪽 얼굴면의 간격차로 인해 경추부위가 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수면 자세에 따라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하고, 반대로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한다.
예컨대, 수면 중 정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고, 수면 중 옆으로 누운 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게 된다.
일례로,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자세에서는 뒷머리 면과, 경추 및 등부위가 일직선 상태를 이룸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옆방향으로 눕게 되면 한쪽 어깨가 바닥(방바닥, 이불면, 매트리스면 등)에 밀착됨에 따라 머리가 상대적으로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낮은 베개가 머리를 제대로 지지해주지 못하여 경추가 옆으로 휘게 되고, 더욱이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부위에 압박이 가해져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는 상태에서는,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진 머리부위를 제대로 지지해줌에 따라 경추가 옆으로 휨에 따른 압박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이에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 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상대적으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정자세로 눕게 되면, 머리가 위로 들려져서 경추부위에 압박이 심해져 결국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맞는 높이의 베개를 선택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는데, 아무리 자신에 맞는 베개라 할지라도 상기와 같이 눕는 자세에 따라 편안함과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집에서 자신에 맞는 베개를 베고 수면을 취하기는 하지만,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도 종종 있게 되는데, 이의 경우 다중이용시설에는 일률적인 크기와 쿠션의 베개가 비치되어 있는바, 그 높이가 맞지 않아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안착되고, 쿠션재가 안착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끝단에 축설되어, 상기 구동축의 종방향 회전을 횡방향 회전으로 바꾸어주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와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복수의 종동기어부들 및; 상기 종동기어부들의 상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되, 높이가 다른 복수의 단부로 이루어진 승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는 핸들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각각 높이가 단차지게 형성된 복수의 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들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부들의 단부들 중, 동일 높이를 이루는 각각의 단부에 안착되는 복수의 받침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받침대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에는, 승강 프레임의 상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에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에는 가이드봉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의하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가 제공될 경우, 사용자마다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어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쿠션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적용되는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쿠션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적용되는 승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1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20)과, 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안착되는 승강 프레임(30)과, 이 승강 프레임(30)을 베이스 프레임(2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30)에는 머리를 괴는 쿠션재(40)가 안착되며, 이에 따라 승강장치(100)의 작동으로 쿠션재(40)가 연동하여 승강하게 된다.
승강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120)과, 이 구동축(120)의 끝단에 축설되는 피니언기어(122)와, 이 피니언기어(122)와 치합되는 링기어(124)와, 이 링기어(124)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구동기어부(126) 및 이 구동기어부(126)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복수의 종동기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120)의 끝단에 축설되는 피니언기어(122)와, 이 피니언기어(122)와 치합되는 링기어(124)는 베벨기어를 이룸으로써, 구동축(120)의 종방향 회전을 구동기어부(126)의 횡방향 회전으로 바꾸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120)의 선단에는 베이스 프레임(20) 외부로 드러나는 핸들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11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12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122) 및 링기어(124)로 이루어진 베벨기어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구동기어부(126)가 연동하여 회전됨에 따라 종동기어부(130)들 또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부(130)들의 상면에는 원주둘레를 따라 높이가 단차지게 형성된 승강부(13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134)는,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된 제1단부(A)와, 이 제1단부(A)로부터 상향경사진 제1경사면(a)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2단부(B)와, 이 제2단부(B)로부터 상향경사진 제2경사면(b)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3단부(C)와, 이 제3단부(C)로부터 상향경사진 제3경사면(c)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4단부(D)와, 이 제4단부(D)로부터 상향경사진 제4경사면(d)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5단부(E)와, 이 제5단부(E)로부터 상향경사진 제5경사면(e)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6단부(F) 및, 이 제6단부(F)로부터 제1단부(A) 사이에 하향경사진 제6경사면(f)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승강부(134)가 제1단부(A)로부터 제6단부(F)까지 총 6단계로 높이차를 두고 단차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2단 이상의 복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단부(A) 내지 제6단부(F)는 모두 등간격으로 이루어지며, 구동기어부(126)를 사이에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 프레임(30)의 저면에는 상기 종동기어부(130)들의 승강부(134)에 안착되는 받침대(32)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동기어부(130)들의 회전에 따라 승강부(134)들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받침대(32)들은 제1단부(A) 내지 제6단부(F)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2)들이 종동기어부(130)들의 승강부(134)들 회전에 따라 승강될 때, 수평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만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3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34)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프레임(20)에는 상기 가이드축(34)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봉(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봉(22)에는 가이드축(34)이 삽입된 상태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삽입공(2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승강 프레임(30)에 가이드축(3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20)에 가이드봉(22)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승강 프레임(30)에 삽입공이 형성된 가이드봉이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20)에 가이드축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 베개(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프레임(20) 내부 공간에 승강장치(100)가 설치되고, 이 승강장치(100)에 쿠션재(40)가 얹혀진 승강 프레임(30)이 안착된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4)들이 종동기어부(130)들의 제1단부(A)에 위치하는 경우, 승강 프레임(30) 및 쿠션재(40)는 가장 낮은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개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 핸들부(11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핸들부(110)와 축설된 구동축(12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122) 및 링기어(124)로 이루어진 베벨기어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베벨기어의 링기어(124)가 안착된 구동기어부(126)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상기 구동기어부(126)와 치합되는 복수의 종동기어부(130)들 또한 한쪽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기어부(126)의 기어부와, 종동기어부(130)들의 기어부(132)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구동기어부(126)의 회전에 따라 종동기어부(130)들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부(130)들이 회전하게 되면, 종동기어부(130)들의 상면에 형성된 승강부(134)들 또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4)들은 경사면을 타고 높이가 높은 다음 단계의 단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승강 프레임(30)은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1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120)과, 베벨기어 및 구동기어부(126)의 회전으로 인하여 종동기어부(130)들이 회전하게 되어 승강부(134)들 또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4) 저부에 제3단부(C)가 위치하게 되면, 승강 프레임(30) 및 쿠션재(40)는 일정 높이만큼 높아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4)들은 제1경사면(a)을 타고 제2단부(B)를 거치고, 제2경사면(b)을 타고 제3단부(C)에 안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핸들부(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20)과, 베벨기어 및 구동기어부(126), 종동기어부(130)들의 회전으로 인하여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4)들은 제3경사면(c)을 타고 제4단부(D)를 거치고, 제4경사면(d)을 타고 제5단부(E)를 거치며, 제5경사면(e)을 타고 제6단부(F)에 안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승강 프레임(30) 및 쿠션재(40)는 가장 높아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승강 프레임(30) 및 쿠션재(40)가 가장 높아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핸들부(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축(120)과, 베벨기어 및 구동기어부(126), 종동기어부(130)들의 회전으로 인하여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4)들은 제6경사면(f)을 타고 하강하여 제1단부(A)에 안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30) 및 쿠션재(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아진 상태로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핸들부(110)의 회전에 따라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4)가 승강부(134)의 각 단부 중, 낮은 단계의 단부로부터 높은 단계의 단부로 이동하여, 승강 프레임(30) 및 쿠션재(40)의 높이가 상승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핸들부(1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40)가 승강부(134)의 높은 단계의 단부로부터 낮은 단계의 단부로 이동하여 승강 프레임(30) 및 쿠션재(40)의 높이가 하강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동기어부(130)들의 상면에 형성된 승강부(134)들에서, 각 단부(A~F)들과 경사면(a~f)들의 경계부위에는 각 단부들보다 일정높이만큼 높은 단턱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함으로써, 일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승강 프레임(30)의 받침대(34)가 승강부(134)의 경사면(a~f)을 타고 낮은 단계의 단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높낮이 조절 베개 20 : 베이스 프레임
22 : 가이드봉 24 : 삽입공
30 : 승강 프레임 40 : 쿠션재
100 : 승강장치 110 : 핸들부
120 : 구동축 122 : 피니언기어(베벨기어)
124 : 링기어(베벨기어) 126 : 구동기어부
130 : 종동기어부 132 : 기어부
134 : 승강부 A : 제1단부
B : 제2단부 C : 제3단부
D : 제4단부 E : 제5단부
F : 제6단부 a : 제1경사면
b : 제2경사면 c : 제3경사면
d : 제4경사면 e : 제5경사면
f : 제6경사면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안착되고, 쿠션재가 안착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끝단에 축설되어, 상기 구동축의 종방향 회전을 횡방향 회전으로 바꾸어주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와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복수의 종동기어부들 및;
    상기 종동기어부들의 상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되, 높이가 다른 복수의 단부로 이루어진 승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는 핸들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각각 높이가 단차지게 형성된 복수의 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들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부들의 단부들 중, 동일 높이를 이루는 각각의 단부에 안착되는 복수의 받침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받침대가 상하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에는, 승강 프레임의 상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에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에는 가이드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0140024859A 2014-03-03 2014-03-03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52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9A KR101520430B1 (ko) 2014-03-03 2014-03-03 높낮이 조절 베개
PCT/KR2015/002002 WO2015133781A1 (ko) 2014-03-03 2015-03-02 높낮이 조절 베개
EP15758123.2A EP3114968B1 (en) 2014-03-03 2015-03-02 Height-adjustable pillow
JP2016555537A JP6253799B2 (ja) 2014-03-03 2015-03-02 高低調節枕
CN201580011741.2A CN106170230B (zh) 2014-03-03 2015-03-02 高低可调式枕头
US15/255,473 US9538869B1 (en) 2014-03-03 2016-09-02 Height-adjustable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9A KR101520430B1 (ko) 2014-03-03 2014-03-03 높낮이 조절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430B1 true KR101520430B1 (ko) 2015-05-14

Family

ID=5339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859A KR101520430B1 (ko) 2014-03-03 2014-03-03 높낮이 조절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4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171B1 (ko) 2016-02-15 2017-06-07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WO2018208039A1 (ko) 2017-05-10 2018-11-15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CN114767450A (zh) * 2022-04-21 2022-07-22 扬州大学 一种脑卒中溶栓应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608A (ko) * 1995-12-23 1997-07-22 전성원 시트 쿠션 사이드부 높낮이 조절장치
KR20080074255A (ko) * 2007-02-08 2008-08-13 이국희 자동식 높이 조절 측와위 베개
KR20120047433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훈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156470B1 (ko) * 2010-06-18 2012-06-18 유인규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608A (ko) * 1995-12-23 1997-07-22 전성원 시트 쿠션 사이드부 높낮이 조절장치
KR20080074255A (ko) * 2007-02-08 2008-08-13 이국희 자동식 높이 조절 측와위 베개
KR101156470B1 (ko) * 2010-06-18 2012-06-18 유인규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120047433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훈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171B1 (ko) 2016-02-15 2017-06-07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WO2017142129A1 (ko) * 2016-02-15 2017-08-24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WO2018208039A1 (ko) 2017-05-10 2018-11-15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US11389017B2 (en) 2017-05-10 2022-07-19 Motex Products Co., Ltd. Height adjustment pillow having handle mounted to lower part thereof
CN114767450A (zh) * 2022-04-21 2022-07-22 扬州大学 一种脑卒中溶栓应急装置
CN114767450B (zh) * 2022-04-21 2023-10-27 江苏省苏北人民医院 一种脑卒中溶栓应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6915B1 (en) Modular pod mattress
EP2611335B1 (en) Mattress structure, mattres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mattress
EP2629647B1 (en) Motorised bed base with slat module and bed
CA2988639C (en) Arrangements with resting units for a person with an adjustable lying and sitting surface as well as method for controlling resting units
AU2015327758B2 (en) Bed and bed insert with postural support
KR10152043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US20120137444A1 (en) Adjustable Contour Mattress System
KR10168695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US9642757B2 (en) Tilt motion leisure adjustable bed base
CA3024620C (en) Pillow lifting structure
KR102435665B1 (ko)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스마트 베개 제어방법
JP6253799B2 (ja) 高低調節枕
CA2947586C (en) Modular pod mattress
KR101266567B1 (ko) 침대 메트리스용 가변식 베개 높이 조절장치
KR10130105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0468856Y1 (ko)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KR101607997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11382470U (zh) 一种关于vr眼镜的心理训练椅
US8661591B1 (en) Shoulder pain alleviating mattress assembly
CN101999818B (zh) 符合人体工学的枕具
KR101520432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72363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3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05457533U (zh) 一种多层调节式床垫
CN105768656A (zh) 一种办公室按摩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