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997B1 - 높낮이 조절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997B1
KR101607997B1 KR1020150023432A KR20150023432A KR101607997B1 KR 101607997 B1 KR101607997 B1 KR 101607997B1 KR 1020150023432 A KR1020150023432 A KR 1020150023432A KR 20150023432 A KR20150023432 A KR 20150023432A KR 101607997 B1 KR101607997 B1 KR 10160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upper member
pillow
adjustable pillow
different he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50023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997B1/ko
Priority to EP15758123.2A priority patent/EP3114968B1/en
Priority to JP2016555537A priority patent/JP6253799B2/ja
Priority to CN201580011741.2A priority patent/CN106170230B/zh
Priority to PCT/KR2015/002002 priority patent/WO201513378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997B1/ko
Priority to US15/255,473 priority patent/US95388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부재에 대한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승강장치가 경사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걸림턱부들을 가지며, 걸림턱부가 단차부 및 연결부로 구성되고, 연결부들이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부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경사부가 마련된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면 상부부재에 구비된 접촉부재가 연결부를 따라 이웃한 다른 단차부로 이동되는,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베개 {Height-Adjustable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사용자가 눕거나 수면을 취할 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것인바, 일반적으로 일정한 높이와 적정한 쿠션(cushion)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베개는, 안에 베갯속이 충전된 베개 몸체(베갯주머니) 및 베개 몸체의 겉에 씌워진 베개 커버(베갯잇)로 이루어진다. 베갯속으로는 메밀껍질이나 왕겨, 라텍스(latex)나 스펀지(sponge), 솜이나 털, 기능성 함유물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사이즈 및 자신이 선호하는 기능의 베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람이 수면을 취할 때 한 가지 자세로만 수면을 취하기는 어렵다. 즉, 수면 중 정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양쪽을 번갈아가면서 옆방향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하기도 하며, 때로는 엎드려서 수면을 취하기도 한다.
여기서, 일정 높이를 갖는 베개를 정자세로 베는 경우, 인체의 뒷머리와 경추 및 등부위가 대략 일직선을 이룸으로써, 비교적 높지 않은 베개를 베더라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나, 동일 높이의 베개를 옆으로 베는 경우, 인체의 한쪽 어깨와 한쪽 얼굴면의 간격차로 인해 경추부위가 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수면 자세에 따라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하고, 반대로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한다.
예컨대, 수면 중 정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고, 수면 중 옆으로 누운 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게 된다.
일례로,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자세에서는 뒷머리 면과, 경추 및 등부위가 일직선 상태를 이룸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옆방향으로 눕게 되면 한쪽 어깨가 바닥(방바닥, 이불면, 매트리스면 등)에 밀착됨에 따라 머리가 상대적으로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낮은 베개가 머리를 제대로 지지해주지 못하여 경추가 옆으로 휘게 되고, 더욱이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부위에 압박이 가해져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는 상태에서는,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진 머리부위를 제대로 지지해줌에 따라 경추가 옆으로 휨에 따른 압박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이에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 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상대적으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정자세로 눕게 되면, 머리가 위로 들려져서 경추부위에 압박이 심해져 결국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맞는 높이의 베개를 선택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는데, 아무리 자신에 맞는 베개라 할지라도 상기와 같이 눕는 자세에 따라 편안함과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집에서 자신에 맞는 베개를 베고 수면을 취하기는 하지만,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도 종종 있게 되는데, 이의 경우 다중이용시설에는 일률적인 크기와 쿠션의 베개가 비치되어 있는바, 그 높이가 맞지 않아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다른 하나와 마주 보는 대향면에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부 상에 상기 경사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턱부를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는 각각 단차면 및 연결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차면들은 상기 경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면들은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면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면을 따라 이웃한 다른 단차면으로 이동되는, 높낮이 조절 베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들은 각각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하여 이동됨에 따른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래크와; 상기 래크와 맞물린 피니언과; 상기 하부부재의 외부에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특히,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적용하면 사용자마다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적용된 승강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승강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적용된 높이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하부부재인 베이스(20) 및 상부부재인 커버(30)를 포함한다. 베이스(20)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구조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30)는 베이스(2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베이스(20)와 커버(30)는 베개 몸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베이스(20)에 대하여 커버(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버(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100)를 더 포함한다.
커버(30) 상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탄력성 있게 받치기 위한 쿠션(4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쿠션(40)은 커버(30)가 승강장치(100)의 작동으로 승강되면 커버(30)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된다.
승강장치(100)는, 베이스(20)의 벽체(예를 들어, 앞벽)를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축(110), 베이스(20)의 내부공간에서 구동축(110) 상에 설치된 구동베벨기어(130), 구동베벨기어(130)와 맞물린 종동베벨기어(140), 종동베벨기어(140)와 동축으로 설치된 구동평기어(150), 구동평기어(150)와 맞물린 단수 또는 복수의 종동평기어(160)를 포함한다.
베이스(20)의 외부에서 구동축(110) 상에는 핸들(120)이 장착된다. 구동평기어(140)는 베이스(20)의 바닥에 장착된다. 종동평기어(160)는 복수로 구비된다. 종동평기어(160)는 구동평기어(140)의 주위에 배치되고 베이스(20)의 바닥에 장착된다. 종동베벨기어(130)는 구동평기어(140)의 상부에 배치된다.
핸들(120)을 회전시키면, 구동축(110)과 함께 구동베벨기어(130)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종동베벨기어(140)가 구동평기어(150)와 동시에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종동평기어(160)들도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승강장치(100)는, 종동평기어(160)들의 상부에 각각 종동평기어(160)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 회전부재(170), 커버(30)로부터 회전부재(170)들 쪽으로 각각 돌출된 접촉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각 회전부재(170)는 상면에 하부의 종동평기어(16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도면을 기준으로는 반시계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부(172)가 마련된다. 경사부(172) 상에는 경사부(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턱부(174)들이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걸림턱부(174)들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각 접촉부재(180)는 회전부재(170)의 회전각도에 따라 걸림턱부(174)들 중에서 어느 하나와 끝 부분이 접촉된다.
걸림턱부(174)들은 단차면(176)과 연결면(178)으로 구성된다. 단차면(176)들은 경사부(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된다. 연결면(178)들은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부(166)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접촉부재(180)는 회전부재(170)를 회전시키면 연결면(178)을 따라 승강되면서 현 단차면에서 이웃한 다른 단차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재(180)가 의도하지 않게 연결면(178)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차면(176)들은 각각 하부의 종동평기어(16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커버(30)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수단은, 커버(3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도시되지 않음), 베이스(20)에 마련되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 핀 삽입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과 핀 삽입부재(5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 베개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촉부재(180)들이 걸림턱부(174)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걸림턱부(174)의 단차면(176) 상에 위치되면, 커버(30)는 가장 낮은 위치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120)을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축(110)과 함께 구동베벨기어(130), 종동베벨기어(140), 구동평기어(150) 및 종동평기어(160)들이 회전된다. 이 때, 종동평기어(160)들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접촉부재(180)들은 최하단의 걸림턱부(174)의 경사진 연결면(178)을 따라 상승되면서 최하단의 걸림턱부(174)와 이웃한 높은 단계의 걸림턱부의 단차면(176) 상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커버(30)는 한 단계 상승된 높이로 유지된다.
계속하여 핸들(120)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30) 또한 높이가 계속적으로 상승된다.
반면, 핸들(12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부재(180)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계의 걸림턱부의 단차면 상에 위치되면서 커버(30)의 높이가 하강된다.
도 7의 도면부호 200은 승강장치(100)에 의하여 승강된 커버(30)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도 7과 함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커버(3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래크(210), 래크(210)와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된 피니언(220), 피니언(220)과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된 작동기어(230), 베이스(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작동기어(230)의 축 상에 장착되어 작동기어(230)와 함께 회전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2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베이스(20)에서 표시부재(240)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지시부가 마련되고 표시부재(240)의 높낮이 표시부가 나타내는 높낮이를 지시부가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200)는, 커버(30)가 승강되면 래크(210)가 동일방향으로 함께 승강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220) 및 작동기어(230)가 회전됨과 아울러 표시부재(240)가 회전되면서 승강된 커버(30)의 높낮이가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표시부재(240)의 높낮이 표시부를 통하여 승강된 커버(30)의 높낮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커버(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20 : 베이스
30 : 커버
100 : 승강장치
110 : 구동축
120 : 핸들
130 : 구동베벨기어
140 : 종동베벨기어
150 : 구동평기어
160 : 종동평기어
170 : 회전부재
180 : 접촉부재
172 : 경사부
174 : 걸림턱부
176 : 단차면
178 : 연결면
200 : 표시장치
210 : 래크
220 : 피니언
230 : 작동기어
240 : 표시부재

Claims (4)

  1.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다른 하나와 마주 보는 대향면에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부 상에 상기 경사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턱부를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는 각각 단차면 및 연결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차면들은 상기 경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면들은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면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이웃한 다른 단차면으로 이동되는,
    높낮이 조절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들은 각각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마련된
    높낮이 조절 베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에 의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래크와;
    상기 래크와 맞물린 피니언과;
    상기 하부부재의 외부에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0150023432A 2014-03-03 2015-02-16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0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32A KR101607997B1 (ko) 2015-02-16 2015-02-16 높낮이 조절 베개
EP15758123.2A EP3114968B1 (en) 2014-03-03 2015-03-02 Height-adjustable pillow
JP2016555537A JP6253799B2 (ja) 2014-03-03 2015-03-02 高低調節枕
CN201580011741.2A CN106170230B (zh) 2014-03-03 2015-03-02 高低可调式枕头
PCT/KR2015/002002 WO2015133781A1 (ko) 2014-03-03 2015-03-02 높낮이 조절 베개
US15/255,473 US9538869B1 (en) 2014-03-03 2016-09-02 Height-adjustable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32A KR101607997B1 (ko) 2015-02-16 2015-02-16 높낮이 조절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997B1 true KR101607997B1 (ko) 2016-04-01

Family

ID=5579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432A KR101607997B1 (ko) 2014-03-03 2015-02-16 높낮이 조절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87B1 (ko) * 2017-05-10 2018-05-08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8769A1 (en) 2001-02-27 2004-07-08 Daniel Azoulay Pillow height adjus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8769A1 (en) 2001-02-27 2004-07-08 Daniel Azoulay Pillow height adjustmen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87B1 (ko) * 2017-05-10 2018-05-08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WO2018208039A1 (ko) 2017-05-10 2018-11-15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US11389017B2 (en) 2017-05-10 2022-07-19 Motex Products Co., Ltd. Height adjustment pillow having handle mounted to lower part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95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03943777U (zh) 腰背部顶升按摩床
KR102178568B1 (ko) 지압 및 쾌적 수면을 위한 가변형 베개
US9642757B2 (en) Tilt motion leisure adjustable bed base
CA3024620C (en) Pillow lifting structure
JP6253799B2 (ja) 高低調節枕
CN105853097A (zh) 一种智能床
KR101607997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435665B1 (ko)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스마트 베개 제어방법
KR10152043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08658176U (zh) 电脑桌及电脑桌椅套装
KR20100122555A (ko) 환자용 침대
WO2024027545A1 (zh) 一种非睡姿伺服睡眠系统
KR10130105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1686953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72363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266567B1 (ko) 침대 메트리스용 가변식 베개 높이 조절장치
JP2020182544A (ja) 枕及び枕装置、並びに寝具及び寝具装置
KR102170816B1 (ko) 높낮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CN102871661B (zh) 磁共振用头肘托架
CN105832470A (zh) 一种经颅多普勒检查专用轮椅
CN208405171U (zh) 一种利于眼底病术后视网膜复位的俯卧桌
KR101520432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4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15874177U (zh) 一种调节式枕芯及设有该调节式枕芯的调节式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