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432B1 - 높낮이 조절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432B1
KR101520432B1 KR1020140024858A KR20140024858A KR101520432B1 KR 101520432 B1 KR101520432 B1 KR 101520432B1 KR 1020140024858 A KR1020140024858 A KR 1020140024858A KR 20140024858 A KR20140024858 A KR 20140024858A KR 101520432 B1 KR101520432 B1 KR 10152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frame
pair
pillow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4002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432B1/ko
Priority to JP2016555537A priority patent/JP6253799B2/ja
Priority to CN201580011741.2A priority patent/CN106170230B/zh
Priority to PCT/KR2015/002002 priority patent/WO2015133781A1/ko
Priority to EP15758123.2A priority patent/EP31149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432B1/ko
Priority to US15/255,473 priority patent/US95388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안착되고, 쿠션재가 안착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축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축설되며, 상호 치합을 이루는 회전기어들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축설되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상태로 눕거나 또는 수직상태로 서도록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들을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각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베개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편안한 수면을 위하여 머리에 괴는 도구로서, 적당 높이로 받쳐주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적당한 쿠션기능을 갖는 것이 기본이다.
종래의 베개는 통상적으로 적당한 크기의 베개 속과, 이 베개 속 위에 씌워지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개 속에 따라 베개 전체의 크기나 높이가 결정되는데, 베개 속으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메밀껍데기 또는 왕겨와 같은 곡물이나 건조된 약초, 세라믹을 함유한 합성수지 입자나 발포수지 입자, 동물의 털, 솜 등을 베개 속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면을 취하는 사람의 머리와 경추를 지지하면서도 일정한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라텍스 계열의 합성고무를 이용한 베개도 많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베개들 중,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에게 맞는 베개를 선택하여 장기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람이 수면을 취할 때 한 가지 자세로만 수면을 취하기는 어렵다. 즉, 수면 중 정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양쪽을 번갈아가면서 옆방향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하기도 하며, 때로는 엎드려서 수면을 취하기도 한다.
여기서, 일정 높이를 갖는 베개를 정자세로 베는 경우, 인체의 뒷머리와 경추 및 등부위가 대략 일직선을 이룸으로써, 비교적 높지 않은 베개를 베더라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나, 동일 높이의 베개를 옆으로 베는 경우, 인체의 한쪽 어깨와 한쪽 얼굴면의 간격차로 인해 경추부위가 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수면 자세에 따라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하고, 반대로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한다.
예컨대, 수면 중 정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고, 수면 중 옆으로 누운 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게 된다.
일례로,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자세에서는 뒷머리 면과, 경추 및 등부위가 일직선 상태를 이룸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옆방향으로 눕게 되면 한쪽 어깨가 바닥(방바닥, 이불면, 매트리스면 등)에 밀착됨에 따라 머리가 상대적으로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낮은 베개가 머리를 제대로 지지해주지 못하여 경추가 옆으로 휘게 되고, 더욱이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부위에 압박이 가해져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는 상태에서는,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진 머리부위를 제대로 지지해줌에 따라 경추가 옆으로 휨에 따른 압박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이에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 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상대적으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정자세로 눕게 되면, 머리가 위로 들려져서 경추부위에 압박이 심해져 결국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맞는 높이의 베개를 선택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는데, 아무리 자신에 맞는 베개라 할지라도 상기와 같이 눕는 자세에 따라 편안함과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집에서 자신에 맞는 베개를 베고 수면을 취하기는 하지만,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도 종종 있게 되는데, 이의 경우 다중이용시설에는 일률적인 크기와 쿠션의 베개가 비치되어 있는바, 그 높이가 맞지 않아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안착되고, 쿠션재가 안착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축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축설되며, 상호 치합을 이루는 회전기어들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축설되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상태로 눕거나 또는 수직상태로 서도록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구동축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에는 래칫 및 핸들부가 설치되고, 상기 래칫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한 쌍의 구동축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축에 축설되며, 상기 지지축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칫과 치합되거나 또는 치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에 축설되는 스토퍼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내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축을 감싸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이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상기 승강장치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의하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가 제공될 경우, 사용자마다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어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쿠션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승강 프레임이 제거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작동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적용되는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쿠션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승강 프레임이 제거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작동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횡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적용되는 승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1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20)과, 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안착되는 승강 프레임(30)과, 이 승강 프레임(30)을 베이스 프레임(2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30)에는 머리를 괴는 쿠션재(40)가 안착되며, 이에 따라 승강장치(100)의 작동으로 쿠션재(40)가 연동하여 승강하게 된다.
승강장치(100)는, 도 4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선단과 후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축(110 : 112,114)과, 이 한 쌍의 구동축(110)에 일정간격마다 축설되는 회전기어(120)들과, 역시 한 쌍의 구동축(110)에 일정간격마다 축설되는 승강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한 쌍의 구동축(110)들 중, 제1구동축(112)에 축설된 회전기어(120)들과, 제2구동축(114)에 축설된 회전기어(120)들은 서로 치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승강부재(130)들은 한쪽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대략 타원형상을 이루며, 어느 한쪽 끝단 부위가 제1구동축(112) 및 제2구동축(114)에 축설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구동축(110)에 대하여 승강부재(130)들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축설되며, 이에 따라 승강부재(130)들은 나란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나란하게 수직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 쌍의 구동축(11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의 선단 또는 후단에는 핸들부(1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핸들부(140)가 설치되는 구동축에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래칫(150)이 축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칫(150)은 승강부재(130)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승강부재(130)와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개수에 제한은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제1구동축(112) 선단에 핸들부(140)가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1구동축(112)에 복수개의 래칫(150)이 축설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2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래칫(150)과 맞물리고, 래칫(150)이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160)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스토퍼(160)들은 베이스 프레임(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축(162)에 축설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160)는 그 일측으로 탄성부재(160a)가 연장형성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일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지지축(162)과 함께 일정각도만큼 회전을 이루고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을 갖게 된다.
상기 지지축(162)에 축설된 복수의 스토퍼(160)들 중, 맨 앞쪽 선단에 위치하는 스토퍼와 베이스 프레임(20)의 선단 내면 사이에는 지지축(162)을 둘러싸는 탄성스프링(164)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62)의 선단에는 베이스 프레임(20) 외부로 드러나는 레버(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레버(170)의 당김 또는 지지축(162) 끝단의 푸시에 의해 지지축(162)은 상기 탄성스프링(164)의 압축과 복원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164)의 장력에 의해 스토퍼(160)들은 래칫(150)들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지지축(162)의 후단을 전방쪽으로 밀거나 레버(170)를 당길 경우, 탄성스프링(164)이 압축되면서 지지축(162)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축(162)에 축설된 스토퍼(160)들 또한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토퍼(160)들은 래칫(150)들과 동일수평선상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축(162)의 후단을 밀거나 또는 레버(170)를 당기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스프링(164)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축(162)은 원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60)들은 다시 래칫(150)들과 맞물린 상태가 된다.
참고로, 제1구동축(112)에 축설된 승강부재(130)의 경우,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62)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크기의 요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양쪽 내벽면에는 안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부(24)에는 승강 프레임(30)이 안착되며, 이 승강 프레임(30)에 쿠션재(40)가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130)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는 승강 프레임(30)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이루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13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승강부재(130)에 의해 승강 프레임(30)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안착부(24)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참고로, 베이스 프레임(20)의 양쪽 벽면에는 승강 프레임(30)의 수직방향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턱(22)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승강 프레임(30)의 양쪽 벽면에는 쿠션재(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32)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 베개(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130)들이 수평을 이루어 승강 프레임(30)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안착부(24)에 안착된 상태는 베개의 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개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 한 쌍의 구동축(110)들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 일측에 축설된 핸들부(14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즉, 도 2,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4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부(140)가 축설된 제1구동축(112)이 연동하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구동축(112)에 축설된 래칫(150)들이 스토퍼(160)들을 타고 한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구동축(112)의 일측에 설치된 핸들부(140)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구동축(112)에 축설된 래칫(150)들 또한 연동하여 스토퍼(160)들과 딸깍거리면서 오른쪽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스토퍼(160)들은 각각의 탄성부재(160a)들을 살짝 눌러주면서 탄성을 발휘하게 되는바, 래칫(150)들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구동축(112) 또한 오른쪽으로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회전기어(120)와 함께 승강부재(130)도 회전하게 되는바, 승강부재(130)는 수평에서 수직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1구동축(112)의 회전기어(120)는 제2구동축(114)의 회전기어(120)와 치합되어 있는바, 제1구동축(112)이 오른쪽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제2구동축(114)은 반대인 왼쪽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구동축(114)에 축설된 승강부재(130) 또한 제1구동축(112)에 축설된 승강부재(130)와는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평에서 수직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양쪽의 승강부재(130)들이 수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승강부재(130)들이 승강 프레임(30)을 들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30)에 안착된 쿠션재(40)가 상승하게 되어 베개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쿠션재(40)에 머리를 괴어 쿠션재 및 승강 프레임(30)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래칫(150)들이 스토퍼(160)들에 의해 걸린 상태에서 고정됨을 유지하게 되는바, 한 쌍의 구동축(1010)들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이 제한됨으로써, 쿠션재(40)는 그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부(140)의 한쪽 방향 회전에 따라 쿠션재(40)의 높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단계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쿠션재(40)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반대로 다시 쿠션재(4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래칫(150)들과 스토퍼(160)들의 고정을 해제한 후, 핸들부(140)를 반대방향인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즉,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62)의 후단을 전방으로 밀거나 또는 지지축(162)의 선단에 설치된 레버를 당기게 되면, 지지축(162)의 선단에 위치하는 스토퍼가 탄성스프링(164)을 압축시키면서 일정간격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160)들은 래칫(150)들과 동일수평선상에서 벗어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래칫(150)들은 반대방향인 왼쪽으로의 회전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핸들부(140)를 왼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구동축(112)과 회전기어(120)들 또한 왼쪽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승강부재(130) 또한 왼쪽방향으로 회전되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2구동축(114) 및 이 제2구동축(114)에 축설된 회전기어(120)와 승강부재(130)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에, 승강 프레임(30)이 수평으로 회전하는 승강부재(130)를 따라 서서히 하강하게 되며, 승강 프레임(30)의 하강이 마무리되면, 누르고 있던 지지축(162)을 놓거나 당기고 있던 레버를 놓으면 된다.
이와 같이 지지축(162)의 누름을 해제하거나 또는 당김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스프링(164)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축(162)은 원 상태로 길이방향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160)들은 다시 래칫(150)들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이 상태에서 핸들부(140)의 회전으로 다시 승강 프레임(30) 및 쿠션재(4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래칫(150)들과 핸들부(140)가 한 쌍의 구동축(110)들 중, 제1구동축(112)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구동축(114)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이의 경우 스토퍼(160)들이 축설된 지지축(162)은 제2구동축(114)이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높낮이 조절 베개 20 : 베이스 프레임
24 : 안착부 26 : 지지판
30 : 승강 프레임 100 : 승강장치
110 : 구동축 112 : 제1구동축
114 : 제2구동축 120 : 회전기어
130 : 승강부재 140 : 핸들부
150 : 래칫 160 : 스토퍼
160a : 탄성부재 162 : 지지축
164 : 탄성스프링 170 : 레버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덮도록 안착되고, 쿠션재가 안착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축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축설되며, 상호 치합을 이루는 회전기어들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축설되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상태로 눕거나 또는 수직상태로 서도록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동축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에는 래칫 및 핸들부가 설치되고,
    상기 래칫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한 쌍의 구동축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축에 축설되며, 상기 지지축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칫과 치합되거나 또는 치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축설되는 스토퍼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내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축을 감싸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이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상기 승강장치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0140024858A 2014-03-03 2014-03-03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52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8A KR101520432B1 (ko) 2014-03-03 2014-03-03 높낮이 조절 베개
JP2016555537A JP6253799B2 (ja) 2014-03-03 2015-03-02 高低調節枕
CN201580011741.2A CN106170230B (zh) 2014-03-03 2015-03-02 高低可调式枕头
PCT/KR2015/002002 WO2015133781A1 (ko) 2014-03-03 2015-03-02 높낮이 조절 베개
EP15758123.2A EP3114968B1 (en) 2014-03-03 2015-03-02 Height-adjustable pillow
US15/255,473 US9538869B1 (en) 2014-03-03 2016-09-02 Height-adjustable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8A KR101520432B1 (ko) 2014-03-03 2014-03-03 높낮이 조절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432B1 true KR101520432B1 (ko) 2015-05-14

Family

ID=5339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858A KR101520432B1 (ko) 2014-03-03 2014-03-03 높낮이 조절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6017A (ko) * 2023-01-20 2024-07-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65A (ko) * 2002-07-16 2004-01-24 이기오 베개
KR20060100163A (ko) * 2005-03-16 2006-09-20 김치왕 높이가변식 베게
KR100796244B1 (ko) * 2006-11-13 2008-01-21 김선상 베개용 높낮이 조절장치
JP2010240364A (ja) * 2009-04-06 2010-10-28 Yoshiharu Urat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65A (ko) * 2002-07-16 2004-01-24 이기오 베개
KR20060100163A (ko) * 2005-03-16 2006-09-20 김치왕 높이가변식 베게
KR100796244B1 (ko) * 2006-11-13 2008-01-21 김선상 베개용 높낮이 조절장치
JP2010240364A (ja) * 2009-04-06 2010-10-28 Yoshiharu Urat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6017A (ko) * 2023-01-20 2024-07-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방
KR102700486B1 (ko) * 2023-01-20 2024-08-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5018A (en) Adjustable bed
AU2015238333B2 (en) Mattress arrangement, such as a bed, having adjustable firmness
WO2014040108A1 (de) Auflagevorrichtung für liege- oder sitzeinrichtungen
KR101295627B1 (ko) 승강조절식 건강베개
KR10168695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561513B1 (ko)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US9538869B1 (en) Height-adjustable pillow
KR10152043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30105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1520432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JP2009125256A (ja) 安眠枕
US20210307520A1 (en) Adaptable Mattress for Prone and Side Positions
JP2004351217A (ja) 伏臥就寝、休養又は治療用クッション用具
KR20110127300A (ko) 경추 높이 조절 수단이 구비되는 베개
KR102170816B1 (ko) 높낮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607997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JP6240569B2 (ja) 肘掛椅子及び肘掛器具
KR20140079942A (ko) 메모리폼 경사 등받이 쿠션
JP2013158639A (ja) 枕を台の部分とクッションの部分に分離して、夫々の役割を分担して組み合わせたハイブリット構造の枕
KR101686953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72363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06154B1 (ko) 높이 조절 베개가 장착된 침대
KR20160004049U (ko) 나무베개
KR20190001560U (ko) 틸팅형 침대
KR101348821B1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