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821B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821B1
KR101348821B1 KR1020120059558A KR20120059558A KR101348821B1 KR 101348821 B1 KR101348821 B1 KR 101348821B1 KR 1020120059558 A KR1020120059558 A KR 1020120059558A KR 20120059558 A KR20120059558 A KR 20120059558A KR 101348821 B1 KR101348821 B1 KR 10134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ember
rotary shaft
side wall
base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042A (ko
Inventor
차유정
Original Assignee
차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유정 filed Critical 차유정
Priority to KR102012005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82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내부 삽입공에 삽입되며 중앙은 상기 베이스판 상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회전축과, 상기 복수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기거나 풀리는 면상의 쿠션부재와,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면상의 쿠션부재를 덮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수동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머리 받침과 목 받침 부위에 동시에 또는 별개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안한다.
베개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위하여 누울 때 머리에 괴는 물건으로서, 전통적으로는 헝겊으로 길게 만들어 속에 왕겨·메밀껍질 등을 넣고 봉한 다음 흰색의 무명으로 호청을 만들어 겉을 싼 비교적 단단한 형태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대에 와서는 솜이나 스폰지, 기타 헝겊 등을 내피 안에 넣어 볼륨 및 쿠션감을 강조하고 있다.
베개는 침구의 일종으로 그 높이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숙면을 취하기가 어렵고 불면으로 인하여 피로가 누적되는 등 개인적인 수면 습관에 따라 적절히 선택 되어야 하고 목의 길이와 굵기, 머리의 크기와 형태가 각 개인 마다 다른 관계로 경추와 후두부의 높낮이를 조절 할 필요가 있다.
종래 솜 등을 충전한 베개는 푹신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솜의 탄성력이 떨어져 그 높이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떨어져 냄새가 나는 등 숙면을 취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통적인 베개의 대안으로 밀도가 높고 저탄성의 성질로서 복원력이 뛰어난 신소재의 메모리폼 베개가 보급되고 있으나 각 개인의 인체해부학(Anatomycal)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과 설계로 숙면을 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부가된 베개가 제안된 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거나 아니면, 기본적인 베개의 모양 자체를 높이 조절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 또한 각 개인의 다른 인체의 형상에 잘 맞지 않아 널리 보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낮이의 조절이 용이하고 미세한 높낮이 조절을 위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기구적 설계를 채용하지 않고 쿠션감을 유지하면서도 쉽게 경추와 후두부의 형상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하중이 베개에 골고루 분산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함과 동시에 경추 뼈의 C자형 곡선(정상적인 경추의모양)을 유지하여 척추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내부 삽입공에 삽입되며 중앙은 상기 베이스판 상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회전축과, 상기 복수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기거나 풀리는 면상의 쿠션부재와,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면상의 쿠션부재를 덮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내부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4개의 삽입공이 있고, 각각의 삽입공에는 제1회전축, 제2회전축, 제3회전축, 제4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전축과 제4회전축 사이에 제2회전축 및 제3회전축이 배치되며, 제1회전축과 제4회전축은 제1쿠션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은 제2쿠션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후두부의 미세 높낮이가 필요없을 시 제1회전축과 제4회전축은 제1쿠션부재의 단부만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회전축, 제2회전축, 제3회전축 및 제4회전축이 순서대로 배치되며, 제1회전축과 제3회전축은 제1쿠션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제2회전축과 제4회전축은 제2쿠션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는 제1쿠션부재의 감김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마찰을 저감하는 코팅막이 배치될 수 있고, 제1쿠션부재의 상면에는 제2쿠션부재의 감김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마찰을 저감하는 코팅막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상면(덮개 안 측면)에는 머리, 목 하중의 분산을 목적으로 실리콘, 우레탄 발포체나 비닐 계통의 얇은 판(slice)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회전축 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 형태의 회전 가이드관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개의 머리 받침과 목 받침 부위의 높이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복잡한 기구적 설계가 필요없고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형상화된 베개의 단순 높이 조절이 아닌, 경추부와 후두부의 각각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고, 베개의 쿠션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숙면과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개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회전축에 고정된 면상 쿠션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 배치를 보인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쿠션부재의 롤링에 따른 높낮이 차이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측벽 사이의 베이스판 상면에 배치된 코팅막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회전 가이드관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측벽 내부의 삽입공에 회전 가이드관 및 회전축이 삽입된 단면도.
본 발명은 베개의 머리부(후두부)와 목 받침 부위의 높이를 수동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베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롤 형태로 감기는 쿠션부재를 복수로 채용하여 베개 중앙에 배치하고, 회전축에 의하여 쿠션부재의 롤링(rolling)을 통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복잡한 기구적 설계 없이도 베개의 위치별로 높이를 제어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베개의 외관 사시도가 제시되어 있다. 베이스판(110) 상면에 측벽(120)이 적층되어 있고, 측벽 상면에는 상부 커버(130)가 배치된다. 베이스판과 측벽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상호 접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측벽과 상부 커버는 양 측부 보다 중앙이 만곡된 형태로 곡선 처리될 수도 있다. 베이스판, 측벽, 상부 커버는 스폰지, 우레탄폼, 실리콘발포체 등 기타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부위의 강도 내지 밀도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과 상부 커버 보다 측벽이 강도나 밀도가 큰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측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측벽의 강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베개의 내부 구조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베이스판 상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측벽(120a) 및 제2측벽(120b)이 배치되어 있다. 제1측벽 및 제2측벽 내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복수의 삽입공(도 11의 122a, 122b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제1측벽 및 제2측벽 내부 삽입공에는 회전축(도 3의 150a, 150b 참조)이 삽입되어 있고, 이 회전축의 중앙 부위는 상기 베이스판 중앙(C) 상부로 노출된다. 베이스판에 노출된 회전축 중앙 부위에는 면상의 쿠션부재(140a, 140b)가 롤 형태로 감겨 있다. 이 쿠션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된다. 제1측벽 및 제2측벽 외면에는 회전축의 끝단과 결합되는 회전 손잡이(152)가 노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쿠션부재(140)가 두 회전축(150a, 150b)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두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축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어느 한 쪽의 회전축에 쿠션부재의 롤링이 집중되어 경추부와 후두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상면에는 전술한 상부 커버가 안착되어 상기 면상의 쿠션부재를 덮는다. 따라서, 베개 이용자는 상부 커버를 매개로 하여 상부 커버 하부에 배치된 쿠션부재의 롤링 정도에 따라 높낮이 차이를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하나의 면상 쿠션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머리부와 목 받침 부위에서 동시에 또는 별개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면상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내부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4개의 삽입공이 있고, 각각의 삽입공에는 제1회전축, 제2회전축, 제3회전축, 제4회전축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회전축은 경추부, 제2회전축은 머리 후두면의 높낮이 조절에 직접 관여를 하고, 제3회전축(쿠션부재로 제2회전축과 연결), 제4회전축(쿠션부재로 제1회전축과 연결)은 각각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보조 역할, 즉 쿠션부재를 저장, 공급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둘 이상의 쿠션부재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1쿠션부재(140a) 안쪽에 제2쿠션부재(140b)가 배치되어 두 쿠션부재가 부분적으로 겹쳐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배치 형태를 도 4를 통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쿠션부재(140a)는 제1회전축(150a)과 제4회전축(150d)에 고정된 채로 베개의 양단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고, 제2쿠션부재(140b)는 제2회전축(150b)과 제3회전축(150c)에 고정된 채로 제1쿠션부재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 쿠션부재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함으로써 도 2의 A 부분 또는 B 부분 중 어느 한 곳에서 경추부와 후두부의 높이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의 B 부분을 사용자가 이용하여 휴식을 취할 경우, 도 2의 A 부분은 제1쿠션부재 및 제2쿠션부재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에서 쿠션부재의 높이 조절부와 쿠션부재의 저장부에 대해 설명한다. 편의상 도 5 내지 도 8에서 X 쪽 영역을 사용자의 경추부와 후두부가 닿는 부위로 한정하고 Y 쪽 영역을 쿠션부재들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경우 X 영역에 제1쿠션부재(140a)와 제2쿠션부재(140b)의 롤링을 집중시킨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Y 영역에는 쿠션부재들의 롤링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사용자의 경추부, 후두부 닿는 면은 모두 높은 상태가 된다. 즉 단순하게 높은 베개를 원할 때이다. 도 6은 그 반대의 경우로서 Y 영역에 제1쿠션부재(140a)와 제2쿠션부재(140b)의 롤링이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경추부, 후두부 닿는 면이 모두 낮아진 상태가 된다. 즉 단순하게 낮은 베개를 원할 때이다.
도 7은 X 영역에서 제2쿠션부재(140b)의 롤링이 집중되어 있고, Y 영역에는 제1쿠션부재(140a)의 롤링이 집중되어 있다. 이 경우, 베개의 모양은 경추부 닿는 면는 낮아지고 후두부 닿는 면은 높은 상태로 된다. 즉 목(경추)이 정면쪽(역 C자형)으로 꺽여진 경우, 도 2의 A 영역의 제1쿠션부재(140a)와 관련된 회전 손잡이(15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경추가 닿는 면을 높이거나, 도 2의 B 영역의 제2쿠션부재(140b)와 관련된 회전 손잡이를 (152)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두부 닿는 면을 낮추면서 사용자 의도에 적합한 베개의 높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의 경우에는 X 영역에 제1쿠션부재(140a)의 롤링이 집중되어 있고, Y 영역에는 제2쿠션부재(140b)의 롤링이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경추부가 닿는 면은 높고 후두부 닿는 면은 낮은 상태가 된다 즉, 목 베개의 기본적인 패턴이다. 그러나 아주 심하게 경추부가 닿는 면은 높고 후두부 닿는 면이 낮은 경우, 도 2의 B 영역의 제1쿠션부재(140a)와 관련된 회전 손잡이를 (152)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경추가 닿는 면을 낮추거나, 도 2의 A 영역의 제2쿠션부재(140b)와 관련된 회전손잡이 (15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서 후두부가 닿는 면을 높이면서 사용자 의도에 적합한 베개의 높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 및 머리의 상태, 베개 사용 습관 등에 따라 사용자의 목(경추부)와 머리(후두부)가 닿는 면에 각각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 인체에 가장 적합한 베개를 제공하여,차별화된 편안함과 잘못된 경추의 자세를 교정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에서 제1쿠션부재는 제1회전축과 제3회전축에 고정되고, 제2쿠션부재는 제2회전축과 제4회전축에 고정된 채로 제1쿠션부재와 제2쿠션부재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판 상면에 배치되는 쿠션부재의 롤링 과정에서 보다 원활한 동작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판 상면에는 제1쿠션부재의 감김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마찰을 저감하는 코팅막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제1측벽(120a)과 제2측벽(120b) 사이의 베이스판 상면에 배치된 코팅막(160)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코팅막은 베이스판과 쿠션부재가 우레탄폼 등의 유사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호 마찰에 의해 쿠션부재의 롤링 시 회전축의 회전에 과도한 힘이 요구되는 것을 해소하며, 반복적인 회전에 따라 구성품(예를 들어, 회전축, 쿠션부재, 회전 손잡이 등)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 저감을 위한 상기 코팅막으로는 예를 들어 비닐이나 윤활재가 도포된 얇은 플라스틱막, 인조 가죽 또는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코팅막은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두 쿠션부재가 상호 겹쳐진 경우에 쿠션 부재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막은 쿠션부재의 이동간 상호 간섭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한 쿠션부재의 롤링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쿠션부재의 롤링을 위하여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회전축은 측벽의 삽입공에 삽입되는데, 삽입공 내에서 회전축의 회전 동작이 원활하도록 별도의 회전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축(150)이 회전 가이드관(170)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회전 가이드관은 회전축 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경질 플라스틱 등의 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관은 측벽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회전축의 회전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회전축의 회전 동작 시 마찰을 저감시킨다.
도 11은 제1측벽(120a)과 제2측벽(120b) 내부의 삽입공(122a, 122b)에 각각 회전 가이드관(170a, 170b)이 삽입되어 있고, 회전 가이드관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된 것을 보이고 있다. 회전축의 양 끝단은 측벽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손잡이(152)와 결합된다. 회전 손잡이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쿠션부재(140)가 롤링되며, 쿠션부재의 롤링에 따라 베개의 경추부와 후두부의 높낮이가 쉽게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회전축, 회전 가이드관, 마찰 저감 코팅막 등의 간단한 부품 및 소재만으로 복잡한 기구적 설계나 고가의 부품 없이 쉽게 베개의 위치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의 외표면에는 마감 원단을 커버하여 미적 효과 및 내부 구성품을 보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10:베이스판 120, 120a, 120b:측벽
122a,122b:삽입공 130:상부 커버
140, 140a, 140b:쿠션 부재
150, 150a, 150b, 150c, 150d:회전축
152:회전 손잡이 160:코팅막
170:회전 가이드관

Claims (7)

  1.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내부 삽입공에 삽입되며 중앙은 상기 베이스판 상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회전축과,
    상기 복수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 외주면에 롤 형태로 감기거나 풀리는 면상의 쿠션부재와,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면상의 쿠션부재를 덮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내부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4개의 삽입공이 있고, 각각의 삽입공에는 제1회전축, 제2회전축, 제3회전축, 제4회전축이 삽입되는 기능성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제4회전축 사이에 제2회전축 및 제3회전축이 배치되며, 제1회전축과 제4회전축은 상기 면상의 쿠션부재 중 하나인 제1쿠션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은 상기 면상의 쿠션부재 중 하나인 제2쿠션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는 기능성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는 제1쿠션부재의 감김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마찰을 저감하는 코팅막이 배치되어 있고, 제1쿠션부재의 상면에는 제2쿠션부재의 감김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마찰을 저감하는 코팅막이 배치되어 있는 기능성 베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 제2회전축, 제3회전축 및 제4회전축이 순서대로 배치되며, 제1회전축과 제3회전축은 상기 면상의 쿠션부재 중 하나인 제1쿠션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제2회전축과 제4회전축은 상기 면상의 쿠션부재 중 하나인 제2쿠션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는 기능성 베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는 제1쿠션부재 및 제2쿠션부재의 감김 및 풀림이 용이하도록 마찰을 저감하는 코팅막이 배치되어 있는 기능성 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회전축 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 형태의 회전 가이드관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120059558A 2012-06-04 2012-06-04 기능성 베개 KR10134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558A KR101348821B1 (ko) 2012-06-04 2012-06-04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558A KR101348821B1 (ko) 2012-06-04 2012-06-04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42A KR20130136042A (ko) 2013-12-12
KR101348821B1 true KR101348821B1 (ko) 2014-01-07

Family

ID=4998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558A KR101348821B1 (ko) 2012-06-04 2012-06-04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87B1 (ko) * 2017-05-10 2018-05-08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041A (ja) 2001-01-26 2002-08-06 Kiyoshi Tsujita
KR200288330Y1 (ko) 2002-05-30 2002-09-10 박금례 침구용 쿠션장치
KR100855175B1 (ko) 2008-04-01 2008-08-29 심현 지압용 스프링이 구비된 베개
KR20120006263U (ko) * 2011-03-02 2012-09-12 이경환 롤 커버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041A (ja) 2001-01-26 2002-08-06 Kiyoshi Tsujita
KR200288330Y1 (ko) 2002-05-30 2002-09-10 박금례 침구용 쿠션장치
KR100855175B1 (ko) 2008-04-01 2008-08-29 심현 지압용 스프링이 구비된 베개
KR20120006263U (ko) * 2011-03-02 2012-09-12 이경환 롤 커버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42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967B2 (en) Adjustable thickness travel pillows
JP4858809B2 (ja) 機能性枕
CN213429456U (zh) 可调节高度枕芯
KR101348821B1 (ko) 기능성 베개
KR101480045B1 (ko)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변형 가능한 쿠션
US20090151076A1 (en) Comfort Pillow
JP2006346218A (ja) 局部高さ調節機能付き敷き布団
JP2022032909A (ja) アウトドアスリーピングマットおよびスリーピングマットセット
JP2005312649A (ja) マットレス本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ベッド
JP2020081499A (ja) マットレス
JP2013233192A (ja)
JP3206930U (ja) マットレス
KR20150007398A (ko) 기능성 베개
WO2017142700A1 (en) Leu's pillow
KR102462631B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2153753B1 (ko)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CN210643520U (zh) 组合式枕头
KR100652946B1 (ko) 돌침대용 침대요
JP3234983U (ja) 敷き布団
KR200453477Y1 (ko) 목받침 베개
JP6945124B2 (ja)
JP3417923B2 (ja) 猫用ベッド
CN214317654U (zh) 组合式枕芯的枕头结构
CN218942688U (zh) 一种软硬可调节床垫
JP2004242797A (ja) 布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