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60U - 틸팅형 침대 - Google Patents

틸팅형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60U
KR20190001560U KR2020170006496U KR20170006496U KR20190001560U KR 20190001560 U KR20190001560 U KR 20190001560U KR 2020170006496 U KR2020170006496 U KR 2020170006496U KR 20170006496 U KR20170006496 U KR 20170006496U KR 20190001560 U KR20190001560 U KR 201900015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bracket
mat
lower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2020170006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560U/ko
Publication of KR20190001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프레임체에 제1틸팅매트체와 제2틸팅매트체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 제1틸팅매트체와 제2틸팅매트체가 각각 제1상체틸팅구동체와 제2상체틸팅구동체 및 제1하체틸팅구동체와 제2하체틸팅구동체에 의해 각각 상체와 하체가 틸팅될 수 있어 부부가 같이 사용하는 침대로 사용할 때 차지하는 공간이 일반 부부침대와 동일하여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부 각각에 맞도록 상체와 하체가 틸팅동작에 의해 접어지고 펼쳐짐에 따라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구름운동에 의해 제1상체틸팅구동체와 제2상체틸팅구동체 및 제1하체틸팅구동체와 제2하체틸팅구동체의 작동 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틸팅형 침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틸팅형 침대{tilting type bed}
본 고안은 틸팅형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프레임체에 각각 틸팅이 이루어지는 제1틸팅매트체와 제2틸팅매트체를 구비하여 침대를 같이 사용하는 부부 또는 연인이 서로 다른 각도로 침대를 틸팅하여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틸팅형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용자의 편안한 휴식과 숙면을 갖도록 하기 위한 필수적인 가구 중 하나로, 대개 바닥에 위치되는 프레임체와 프레임체의 상면에 올려지는 매트리스 및 프레임체의 일측 상단으로 연장되는 머리부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침대는 사용자의 편안한 휴식과 숙면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매트리스 구성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휴식이나 숙면을 취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라텍스로 매트리스를 구비하거나 또는 매트리스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구성을 달리하고 있다.
또한, 휴식이나 숙면을 취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발산되도록 하는 돌침대나, 흙침대도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침대는 매트리스가 프레임체의 상면에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매트리스 표면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즉 머리부터 다리까지 전체적으로 평면으로 누워진 형태로 위치될 수 밖에 없어, 예를 들어 매트리스에 누워 책을 읽거나 TV를 시청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자들어서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하는 스트레칭 동작에 의해 피로 및 근육을 풀어주어 장시간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체액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하지부종이나 하지부정맥을 예방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운 상태에서 베개로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주도록 하고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베개의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칭 효과가 떨어지고 다리를 받쳐주는 베개가 사용자의 다리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224447호인 틸팅기능을 구비한 전동식 의료용침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절첩되게 결합되는 보조프레임을 구비한 의료용침대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방향 일측에 회전축을 통해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매트리스의 일측을 승강시키는 등받이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방향 타측에 회전축을 통해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매트리스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허벅지받이대로 구성된 회동부, 상기 메인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대 및 상기 허벅지받이대와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등받이대 및 상기 허벅지받이대를 개별틸팅시키는 제1,2액츄에이터, 상기 제1,2액츄에이터와 연결되며 상기 제1,2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 상기 등받이대와 상기 허벅지받이대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대와 상기 허벅지받이대 사이의 연장선상 각도를 센싱하는 한 쌍의 센서 및 상기 한 쌍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각도가 설정된 예각을 이루면 상기 등받이대 및 상기 허벅지받이대가 연동되도록 상기 콘트롤박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접어지고 펼쳐지는 등받이부에 의해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1인용 환자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부부와 같이 두 사람이 같이 사용하는 침대의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두 사람이 같이 사용하는 침대의 경우에는 부부가 같이 사용하게 되는 바, 예를 들어 한 사람은 편안하게 눕기를 원하고 다른 한 사람은 편안하게 앉기를 원하거나 또는 한 사람은 다리가 올려지는 것을 원하고 다른 한 사람은 다리를 올리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와 같이 서로 다른 동작으로 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틸팅이 이루어지는 침대를 2개 구입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틸팅이 이루어지는 침대를 2개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 침대 구입에 따른 비용적은 부담을 갖게 됨은 물론 2개의 침대를 방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클 수 밖에 없어 방에 대한 공간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24447호(2013.01.1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64841호(2012.07.05. 등록)
본 고안은 하나의 프레임체에 각각 틸팅이 이루어지는 제1틸팅매트체와 제2틸팅매트체를 구비하여 하나의 공간에 두 사람이 각각 사용할 수 있는 침대를 설치하되, 두 사람이 각각 자신에 맞도록 매트체를 틸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침대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침대를 같이 사용하는 부부 또는 연인이 서로 다른 각도로 침대를 틸팅하여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틸팅형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는, 하단에 받침부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머리부가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1상체틸팅부와 제1하체틸팅부 및 상기 제1상체틸팅부와 제1하체틸팅부를 연결하는 제1틸팅고정부를 갖는 제1틸팅매트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제2상체틸팅부와 제2하체틸팅부 및 상기 제2상체틸팅부와 제2하체틸팅부를 연결하는 제2틸팅고정부를 갖는 제2틸팅매트체와; 상기 제1틸팅매트체의 제1틸팅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하는 제1고정구 및 상기 제2틸팅매트체의 제2틸팅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하는 제2고정구와; 상기 프레임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체에 양단이 연결되고 제1다리부를 갖는 제1다리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체에 양단이 연결되고 제2다리부를 갖는 제2다리프레임과; 상기 제1틸팅매트체의 제1상체틸팅부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1브라켓을 갖는 제1상체매트틸팅바 및 상기 제1브라켓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1상체틸팅부 하면 타측에 구비되고 제2브라켓을 갖는 제2상체매트틸팅바와; 상기 제2틸팅매트체의 제2상체틸팅부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3브라켓을 갖는 제3상체매트틸팅바 및 상기 제3브라켓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2체틸팅부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4브라켓을 갖는 제4상체매트틸팅바와; 상기 제1틸팅매트체의 제1하체틸팅부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5브라켓을 갖는 제1하체매트틸팅바 및 상기 제5브라켓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1하체틸팅부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6브라켓을 갖는 제2하체매트틸팅바와; 상기 제2틸팅매트체의 제2하체틸팅부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7브라켓을 갖는 제3하체매트틸팅바 및 상기 제7브라켓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2하체틸팅부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8브라켓을 갖는 제4하체매트틸팅바와;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1고정축과; 상기 제3브라켓과 제4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2고정축과; 상기 제5브라켓과 제6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3고정축과; 상기 제7브라켓과 제8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4고정축과; 상기 제1고정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틸팅매트체의 제1상체틸팅부를 틸팅시키는 제1상체틸팅구동체와; 상기 제2고정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틸팅매트체의 제2상체틸팅부를 틸팅시키는 제2상체틸팅구동체와; 상기 제3고정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틸팅매트체의 제1하체틸팅부를 틸팅시키는 제1하체틸팅구동체와; 상기 제4고정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틸팅매트체의 제2하체틸팅부를 틸팅시키는 제2하체틸팅구동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하나의 프레임체에 제1틸팅매트체와 제2틸팅매트체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 제1틸팅매트체와 제2틸팅매트체가 각각 제1상체틸팅구동체와 제2상체틸팅구동체 및 제1하체틸팅구동체와 제2하체틸팅구동체에 의해 각각 상체와 하체가 틸팅될 수 있어 부부가 같이 사용하는 침대로 사용할 때 차지하는 공간이 일반 부부침대와 동일하여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부 각각에 맞도록 상체와 하체가 틸팅동작에 의해 접어지고 펼쳐짐에 따라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구름운동에 의해 제1상체틸팅구동체와 제2상체틸팅구동체 및 제1하체틸팅구동체와 제2하체틸팅구동체의 작동 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인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구성요부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틸팅매트체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틸팅매트체가 접어져 틸팅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상체부 틸팅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인 틸팅형 침대의 하체부 틸팅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형 침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단에 받침부(110)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머리부(120)가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체(10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1상체틸팅부(210)와 제1하체틸팅부(220) 및 상기 제1상체틸팅부(210)와 제1하체틸팅부(220)를 연결하는 제1틸팅고정부(230)를 갖는 제1틸팅매트체(20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제2상체틸팅부(310)와 제2하체틸팅부(320) 및 상기 제2상체틸팅부(310)와 제2하체틸팅부(320)를 연결하는 제2틸팅고정부(330)를 갖는 제2틸팅매트체(300)와,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틸팅고정부(230)를 상기 프레임체(100)에 고정하는 제1고정구(410) 및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틸팅고정부(330)를 상기 프레임체(100)에 고정하는 제2고정구(42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체(100)에 양단이 연결되고 제1다리부(431)를 갖는 제1다리프레임(430)과, 상기 프레임체(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체(100)에 양단이 연결되고 제2다리부(441)를 갖는 제2다리프레임(4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상체틸팅부(210)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1브라켓(511)을 갖는 제1상체매트틸팅바(510) 및 상기 제1브라켓(511)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1상체틸팅부(210) 하면 타측에 구비되고 제2브라켓(521)을 갖는 제2상체매트틸팅바(520)와,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상체틸팅부(310)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3브라켓(531)을 갖는 제3상체매트틸팅바(530) 및 상기 제3브라켓(531)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2체틸팅부(220)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4브라켓(541)을 갖는 제4상체매트틸팅바(540)와,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하체틸팅부(220)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5브라켓(551)을 갖는 제1하체매트틸팅바(550) 및 상기 제5브라켓(551)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1하체틸팅부(220)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6브라켓(561)을 갖는 제2하체매트틸팅바(560)와,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하체틸팅부(320)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7브라켓(571)을 갖는 제3하체매트틸팅바(570) 및 상기 제7브라켓(571)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2하체틸팅부(320)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8브라켓(581)을 갖는 제4하체매트틸팅바(58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511)과 제2브라켓(521)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1고정축(610)과, 상기 제3브라켓(531)과 제4브라켓(541)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2고정축(620)과, 상기 제5브라켓(551)과 제6브라켓(561)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3고정축(630)과, 상기 제7브라켓(571)과 제8브라켓(581)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4고정축(6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고정축(610)과 연결되어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상체틸팅부(210)를 틸팅시키는 제1상체틸팅구동체(710)와, 상기 제2고정축(620)과 연결되어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상체틸팅부(310)를 틸팅시키는 제2상체틸팅구동체(720)와, 상기 제3고정축(630)과 연결되어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하체틸팅부(220)를 틸팅시키는 제1하체틸팅구동체(730)와, 상기 제4고정축(640)과 연결되어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하체틸팅부(320)를 틸팅시키는 제2하체틸팅구동체(7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하나의 프레임체(100)에 제1틸팅매트체(200) 및 제2틸팅매트체(300)가 구비되고 또한, 제1틸팅매트체(200)와 제2틸팅매트체(300)를 각각 틸팅구동시키는 제1상체틸팅구동체(710)와 제2상체틸팅구동체(720), 제1하체틸팅구동체(730) 및 제2하체틸팅구동체(740)가 하나의 프레임체(100)에 제1틸팅매트체(200) 및 제2틸팅매트체(300)에 같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부가 제1틸팅매트체(200)와 제2틸팅매트체(300)가 각각 누운 상태에서 자신에 맞도록 제1상체틸팅부(210)와 제1하체틸팅부(220) 및 제2상체틸팅부(310)와 제2하체틸팅부(320)를 각각 틸팅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고안의 상기 제1고정축(610)에는 상기 제1상체틸팅부(210) 하측에 위치되고 제1회전브라켓(811)을 갖는 제1회전구(810)가 끼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축(620)에는 제2상체틸팅부(310) 하측에 위치되고 제2회전브라켓(821)을 갖는 제2회전구(820)가 끼움 구비되며, 상기 제1다리프레임(430)에는 상기 제1회전브라켓(8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구동브라켓(831) 및 상기 제2회전브라켓(82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구동브라켓(83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상체틸팅구동체(710)는, 상기 제1회전구(810)에 제1인출실린더(711)가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브라켓(831)에 연결되는 제1액츄에이터(712)와, 상기 제1상체틸팅부(21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1구름판(713)과, 상기 제1회전구(81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구름판(71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1구름틸팅부(7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상체틸팅구동체(710)에 의해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상체틸팅부(210)의 틸팅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712)를 정방향 동작시키면 상기 제1인출실린더(711)가 인출되고 이와 같이 제1인출실린더(711)의 인출동작에 의해 상기 제1인출실린더(711)가 연결된 제1회전브라켓(811)을 갖는 상기 제1회전구(810)가 상기 제1고정축(61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구(810)가 제1고정축(61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회전구(810)에 일측이 연결된 상기 제1구름틸팅부(714)가 상기 제1회전구(810)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1구름틸팅부(714)의 타측이 상기 제1구름판(713)에 밀착되면서 회전되며, 이와 같이 제1구름틸팅부(714)의 타측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구름틸팅부(714)가 밀착된 제1구름판(713)이 들어올려지면서 접어지게 되어 상기 제1구름판(713)이 하면에 구비된 제1상체틸팅부(210)가 접어지면서 경사각도를 갖는 틸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접어진 제1상체틸팅부(210)의 펼침동작은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역방향 동작에 의해 상기 인출된 제1인출실린더(711)가 제1액츄에이터(712)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제1상체틸팅부(210)의 접어짐동작의 역순으로 펼쳐지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제2상체틸팅구동체(720)는, 상기 제1회전구(810)에 제2인출실린더(721)가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브라켓(832)에 연결되는 제2액츄에이터(722)와, 상기 제2상체틸팅부(31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구름판(723)과, 상기 제2회전구(82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구름판(72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2구름틸팅부(72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상체틸팅구동체(720)에 의해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상체틸팅부(310)의 틸팅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액츄에이터(722)를 정방향 동작시키면 상기 제2인출실린더(721)가 인출되고 이와 같이 제2인출실린더(721)의 인출동작에 의해 상기 제2인출실린더(721)가 연결된 제2회전브라켓(821)을 갖는 상기 제2회전구(820)가 상기 제2고정축(61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구(820)가 제2고정축(62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2회전구(820)에 일측이 연결된 상기 제2구름틸팅부(724)가 상기 제2회전구(820)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2구름틸팅부(724)의 타측이 상기 제2구름판(723)에 밀착되면서 회전되며, 이와 같이 제2구름틸팅부(724)의 타측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2구름틸팅부(724)가 밀착된 제2구름판(723)이 들어올려지면서 접어지게 되어 상기 제2구름판(723)이 하면에 구비된 제2상체틸팅부(310)가 접어지면서 경사각도를 갖는 틸팅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접어진 제2상체틸팅부(310)의 펼침동작은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역방향 동작에 의해 상기 인출된 제2인출실린더(721)가 제2액츄에이터(722)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제2상체틸팅부(310)의 접어짐동작의 역순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3고정축(630)에는 상기 제1하체틸팅부(220) 하측에 위치되고 제3회전브라켓(841)을 갖는 제3회전구(840)가 끼움 구비되고, 상기 제4고정축(640)에는 상기 제2하체틸팅부(320) 하측에 위치되고 제4회전브라켓(851)을 갖는 제4회전구(85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다리프레임(440)에는 상기 제3회전브라켓(84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3구동브라켓(861) 및 상기 제4회전브라켓(85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4구동브라켓(86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하체틸팅구동체(730)는, 상기 제3회전구(840)에 제3인출실린더(731)가 연결되고 상기 제3구동브라켓(861)에 연결되는 제3액츄에이터(732)와, 상기 제1하체틸팅부(22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3구름판(733)과, 상기 제3회전구(84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구름판(73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3구름틸팅부(73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하체틸팅구동체(730)에 의해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하체틸팅부(220)의 틸팅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3액츄에이터(732)를 정방향 동작시키면 상기 제3인출실린더(731)가 인출되고 이와 같이 제3인출실린더(731)의 인출동작에 의해 상기 제3인출실린더(731)가 연결된 제3회전브라켓(841)을 갖는 상기 제3회전구(840)가 상기 제3고정축(63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3회전구(840)가 제3고정축(63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3회전구(840)에 일측이 연결된 상기 제3구름틸팅부(734)가 상기 제3회전구(840)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3구름틸팅부(734)의 타측이 상기 제3구름판(733)에 밀착되면서 회전되며, 이와 같이 제3구름틸팅부(734)의 타측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3구름틸팅부(734)가 밀착된 제3구름판(733)이 들어올려지면서 접어지게 되어 상기 제3구름판(733)이 하면에 구비된 제1하체틸팅부(220)가 접어지면서 경사각도를 갖는 틸팅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접어진 제1하체틸팅부(220)의 펼침동작은 상기 제3액츄에이터의 역방향 동작에 의해 상기 인출된 제3인출실린더(731)가 제3액츄에이터(732)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제1하체틸팅부(220)의 접어짐동작의 역순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하체틸팅구동체(740)는, 상기 제4회전구(850)에 제4인출실린더(741)가 연결되고 상기 제4구동브라켓(862)에 연결되는 제4액츄에이터(742)와, 상기 제2하체틸팅부(32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4구름판(743)과, 상기 제4회전구(85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4구름판(74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4구름틸팅부(74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하체틸팅구동체(740)는, 상기 제4회전구(850)에 제4인출실린더(741)가 연결되고 상기 제4구동브라켓(862)에 연결되는 제4액츄에이터(742)와, 상기 제2하체틸팅부(32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4구름판(743)과, 상기 제4회전구(85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4구름판(74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4구름틸팅부(74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하체틸팅구동체(740)에 의해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하체틸팅부(320)의 틸팅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4액츄에이터(742)를 정방향 동작시키면 상기 제4인출실린더(741)가 인출되고 이와 같이 제4인출실린더(741)의 인출동작에 의해 상기 제4인출실린더(741)가 연결된 제4회전브라켓(851)을 갖는 상기 제4회전구(850)가 상기 제4고정축(64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4회전구(850)가 제4고정축(64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4회전구(850)에 일측이 연결된 상기 제4구름틸팅부(744)가 상기 제4회전구(850)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4구름틸팅부(744)의 타측이 상기 제4구름판(743)에 밀착되면서 회전되며, 이와 같이 제4구름틸팅부(744)의 타측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4구름틸팅부(744)가 밀착된 제4구름판(743)이 들어올려지면서 접어지게 되어 상기 제4구름판(743)이 하면에 구비된 제2하체틸팅부(320)가 접어지면서 경사각도를 갖는 틸팅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접어진 제2하체틸팅부(320)의 펼침동작은 상기 제4액츄에이터의 역방향 동작에 의해 상기 인출된 제4인출실린더(741)가 제4액츄에이터(742)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제2하체틸팅부(320)의 접어짐동작의 역순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의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프레임체 110 : 받침부
120 : 머리부 200 : 제1틸팅매트체
210 : 제1상체틸팅부 220 : 제1하체틸팅부
230 : 제1틸팅고정부 300 : 제2틸팅매트체
310 : 제2상체틸팅부 320 : 제2하체틸팅부
330 : 제2틸팅고정부 410 : 제1고정구
420 : 제2고정구 430 : 제1다리프레임
431 : 제1다리부 440 : 제2다리프레임
441 : 제2다리부 510 : 제1상체매트틸팅바
511 : 제1브라켓 520 : 제2상체매트틸팅바
530 : 제3상체매트틸팅바 531 : 제3브라켓
540 : 제4상체매트틸팅바 541 : 제4브라켓
550 : 제1하체매트틸팅바 551 : 제5브라켓
560 : 제2하체매트틸팅바 561 : 제6브라켓
570 : 제3하체매트틸팅바 571 : 제7브라켓
580 : 제4하체매트틸팅바 581 : 제8브라켓
610 : 제1고정축 620 : 제2고정축
630 : 제3고정축 640 : 제4고정축
710 : 제1상체틸팅구동체
711 : 제1인출실린더 712 : 제1액츄에이터
713 : 제1구름판 714 : 제1구름틸팅부
720 : 제2상체틸팅구동체 721 : 제2인출실린더
722 : 제2액츄에이터 723 : 제2구름판
724 : 제2구름틸팅부 730 : 제1하체틸팅구동체
731 : 제3인출실린더 732 : 제3액츄에이터
733 : 제3구름판 734 : 제3구름틸팅부
740 : 제2하체틸팅구동체 741 : 제4인출실린더
742 : 제4액츄에이터 743 : 제4구름판
744 : 제4구름틸팅부 810 : 제1회전구
811 : 제1회전브라켓 820 : 제2회전구
821 : 제2회전브라켓 831 : 제1구동브라켓
832 : 제2구동브라켓 840 : 제3회전구
841 : 제3회전브라켓 850 : 제4회전구
851 : 제4회전브라켓 861 : 제3구동브라켓
862 : 제4구동브라켓

Claims (2)

  1. 하단에 받침부(110)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머리부(120)가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체(10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1상체틸팅부(210)와 제1하체틸팅부(220) 및 상기 제1상체틸팅부(210)와 제1하체틸팅부(220)를 연결하는 제1틸팅고정부(230)를 갖는 제1틸팅매트체(20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제2상체틸팅부(310)와 제2하체틸팅부(320) 및 상기 제2상체틸팅부(310)와 제2하체틸팅부(320)를 연결하는 제2틸팅고정부(330)를 갖는 제2틸팅매트체(300)와;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틸팅고정부(230)를 상기 프레임체(100)에 고정하는 제1고정구(410) 및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틸팅고정부(330)를 상기 프레임체(100)에 고정하는 제2고정구(42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체(100)에 양단이 연결되고 제1다리부(431)를 갖는 제1다리프레임(430)과;
    상기 프레임체(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체(100)에 양단이 연결되고 제2다리부(441)를 갖는 제2다리프레임(440)과;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상체틸팅부(210)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1브라켓(511)을 갖는 제1상체매트틸팅바(510) 및 상기 제1브라켓(511)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1상체틸팅부(210) 하면 타측에 구비되고 제2브라켓(521)을 갖는 제2상체매트틸팅바(520)와;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상체틸팅부(310)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3브라켓(531)을 갖는 제3상체매트틸팅바(530) 및 상기 제3브라켓(531)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2체틸팅부(220)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4브라켓(541)을 갖는 제4상체매트틸팅바(540)와;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하체틸팅부(220)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5브라켓(551)을 갖는 제1하체매트틸팅바(550) 및 상기 제5브라켓(551)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1하체틸팅부(220)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6브라켓(561)을 갖는 제2하체매트틸팅바(560)와;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하체틸팅부(320) 하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7브라켓(571)을 갖는 제3하체매트틸팅바(570) 및 상기 제7브라켓(571)과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제2하체틸팅부(320) 하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8브라켓(581)을 갖는 제4하체매트틸팅바(580)와;
    상기 제1브라켓(511)과 제2브라켓(521)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1고정축(610)과;
    상기 제3브라켓(531)과 제4브라켓(541)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2고정축(620)과;
    상기 제5브라켓(551)과 제6브라켓(561)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3고정축(630)과;
    상기 제7브라켓(571)과 제8브라켓(581)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4고정축(640)과;
    상기 제1고정축(610)과 연결되어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상체틸팅부(210)를 틸팅시키는 제1상체틸팅구동체(710)와;
    상기 제2고정축(620)과 연결되어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상체틸팅부(310)를 틸팅시키는 제2상체틸팅구동체(720)와;
    상기 제3고정축(630)과 연결되어 상기 제1틸팅매트체(200)의 제1하체틸팅부(220)를 틸팅시키는 제1하체틸팅구동체(730)와;
    상기 제4고정축(640)과 연결되어 상기 제2틸팅매트체(300)의 제2하체틸팅부(320)를 틸팅시키는 제2하체틸팅구동체(7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형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축(610)에는 상기 제1상체틸팅부(210) 하측에 위치되고 제1회전브라켓(811)을 갖는 제1회전구(810)가 끼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축(620)에는 제2상체틸팅부(310) 하측에 위치되고 제2회전브라켓(821)을 갖는 제2회전구(820)가 끼움 구비되며,
    상기 제1다리프레임(430)에는 상기 제1회전브라켓(8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구동브라켓(831) 및 상기 제2회전브라켓(82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구동브라켓(832)이 구비되며,
    상기 제1상체틸팅구동체(710)는,
    상기 제1회전구(810)에 제1인출실린더(711)가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브라켓(831)에 연결되는 제1액츄에이터(712)와;
    상기 제1상체틸팅부(21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1구름판(713)과;
    상기 제1회전구(81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구름판(71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1구름틸팅부(714)로 구비되고,
    상기 제2상체틸팅구동체(720)는,
    상기 제1회전구(810)에 제2인출실린더(721)가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브라켓(832)에 연결되는 제2액츄에이터(722)와;
    상기 제2상체틸팅부(31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구름판(723)과;
    상기 제2회전구(82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구름판(72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2구름틸팅부(72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고정축(630)에는 상기 제1하체틸팅부(220) 하측에 위치되고 제3회전브라켓(841)을 갖는 제3회전구(840)가 끼움 구비되고,
    상기 제4고정축(640)에는 상기 제2하체틸팅부(320) 하측에 위치되고 제4회전브라켓(851)을 갖는 제4회전구(85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다리프레임(440)에는 상기 제3회전브라켓(84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3구동브라켓(861) 및 상기 제4회전브라켓(85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4구동브라켓(862)이 구비되며,
    상기 제1하체틸팅구동체(730)는,
    상기 제3회전구(840)에 제3인출실린더(731)가 연결되고 상기 제3구동브라켓(861)에 연결되는 제3액츄에이터(732)와;
    상기 제1하체틸팅부(22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3구름판(733)과;
    상기 제3회전구(84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구름판(73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3구름틸팅부(734)로 구비되고,
    상기 제2하체틸팅구동체(740)는,
    상기 제4회전구(850)에 제4인출실린더(741)가 연결되고 상기 제4구동브라켓(862)에 연결되는 제4액츄에이터(742)와;
    상기 제2하체틸팅부(32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4구름판(743)과;
    상기 제4회전구(850)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4구름판(743)에 밀착되어 구름운동되는 제4구름틸팅부(74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형 침대.
KR2020170006496U 2017-12-15 2017-12-15 틸팅형 침대 KR201900015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96U KR20190001560U (ko) 2017-12-15 2017-12-15 틸팅형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96U KR20190001560U (ko) 2017-12-15 2017-12-15 틸팅형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60U true KR20190001560U (ko) 2019-06-25

Family

ID=6700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96U KR20190001560U (ko) 2017-12-15 2017-12-15 틸팅형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5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504A (ko) 2020-10-28 2022-05-06 윤창한 접철구동체를 갖는 매트리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41B1 (ko) 2011-10-14 2012-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KR101224447B1 (ko) 2011-02-25 2013-01-21 이정기 틸팅기능을 구비한 전동식 의료용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447B1 (ko) 2011-02-25 2013-01-21 이정기 틸팅기능을 구비한 전동식 의료용침대
KR101164841B1 (ko) 2011-10-14 2012-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504A (ko) 2020-10-28 2022-05-06 윤창한 접철구동체를 갖는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828B2 (en) Multi-position reclining bed
RU2642036C2 (ru)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ая кровать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ложения поясницы и головы
US20150238021A1 (en) Support apparatus for equipment for lying or sitting on
KR101452139B1 (ko) 폴더형 전신 마사지기
JP5289711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2021520284A (ja) 多機能車いす
KR101266497B1 (ko) 가변 시트형 안마 의자
US20110101749A1 (en) Lower-back supporting structure for a bed or a chair
JP2005304626A (ja) 車椅子機能を有する介護用ベッドの構成方法及び介護用ベッド
CN109223377A (zh) 一种可调节角度的护理床垫
CN105902034A (zh) 一种头枕自动调节的沙发
AU2017302552A1 (en) Adjustable bed systems with rotating articulating bed frame
KR101567324B1 (ko)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KR20190001560U (ko) 틸팅형 침대
KR102143833B1 (ko) 침대 겸용 전동소파
KR20190001559U (ko) 일체형 고정축을 갖는 틸팅 침대
KR20230092552A (ko) 차량용 안마시트
KR200407189Y1 (ko) 팔걸이 접이식 소파 겸용 침대 매트리스
KR200352209Y1 (ko) 접이식 안락 소파
KR20100054958A (ko) 다기능 4인용 소파
KR102581078B1 (ko) 신체 견인 장치
CN216091803U (zh) 一种心理健康疏导辅助装置
KR200361519Y1 (ko) 다목적 등받이
KR200288282Y1 (ko) 메트리스 지지장치
KR20230173941A (ko)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