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324B1 -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 Google Patents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324B1
KR101567324B1 KR1020140010219A KR20140010219A KR101567324B1 KR 101567324 B1 KR101567324 B1 KR 101567324B1 KR 1020140010219 A KR1020140010219 A KR 1020140010219A KR 20140010219 A KR20140010219 A KR 20140010219A KR 101567324 B1 KR101567324 B1 KR 10156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ir
massage
massage ch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515A (ko
Inventor
윤종규
Original Assignee
윤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규 filed Critical 윤종규
Priority to KR102014001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3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판과 등판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안마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지를 받침판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허리근육을 이완시킴과 동시에 요추간판의 중압감을 덜어주어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허리부위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착석되는 받침대;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안마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지를 이동시켜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등받이, 종아리 부분에는 솔레노이드밸드가 설치되어 등근육 및 종아리 근육을 이환시키는 안마를 행하는 안마의자에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하여 허리 근육을 이완시켜 요통을 완화하고, 사용자의 허리 근육을 이완시킬 시에 엉덩이와 다리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므로 사용자에게 별도의 벨트 또는 복대와 같은 부가적인 수단을 착용하지 않아도 허리 근육의 이완을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Massage Chair With traction Capabilities}
본 발명은 척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판과 등판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안마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지를 받침판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허리근육을 이완시킴과 동시에 요추간판의 중압감을 덜어주어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허리부위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가 아픈 증세인 요통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인간이 진화하여 두발로 활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숙명적인 질환으로 남녀노소에 구별없이 전 인구의 약 80% 이상이 요통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요통은 특히 무거운 짐을 옮기는 노동자,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나 컴퓨터 앞에 앉아서 일하는 회사원 및 장시간 싱크대 앞에 서서 가사를 돌보는 주부 등 모든 사람에게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요통은 디스크질환, 강직성 척추염, 척추판 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 분리증, 디스크 내장증, 급만성 요추염좌 등으로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요통에는 척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경직이 수반됨으로써 이 근육을 이환시켜주기만 해도 요통은 상당부분 완화될 수 있다.
상기한 요통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다양한 형태의 개선기구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들 개선 기구의 일례로는 주로 병원의 물리치료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견인장치및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허리교정장치(복대)가 있다.
그러나 상기 견인장치는 장소에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물리치료사)의 협조가 동반되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야기되며, 상기 가정에서 사용하는 복대의 경우에는 요통의 개선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99537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하부에 지지 다리(4)가 설치되고, 실린더기구(5)의 조작에 따라 좌판(2)이 선택적으로 승,하강 작동하는 의자(1)를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기구(5)의 실린더(6) 외측에 상, 하 이송 가능하게 등판 지지대(10)가 결합되고, 상기 등판 지지대(10)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좌판(2)과 분리상태로 작동하는 등판(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등판(20)에는 좌판(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고정수단(30)은 등판(20)의 양측에 고정고리(3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고리(31)에는 사용자의 허리부위 상부를 감싸는 복대(33)의 양측에 걸이구(32)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좌판(2)의 하강시 체중에 의해 허리 근육을 이완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허리 근육을 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체중은 의자(1)의 좌판(2) 쪽으로 가해지는 것을 이용하여 허리 근육을 이완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의 무게가 의자(1) 좌판(2) 쪽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한 복대(30)는 허리에서 가슴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사용자 마다 허리의 사이즈가 각기 다르고 또한, 복대(30)를 사용자의 허리에 완저하게 밀착시키지 못하므로 인해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견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고안의 복대(30)를 사용자의 허리 쪽에 고정하기 위해 매직테이프와 같은 부착부재를 이용하는데, 이때 부착부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하게 고정하므로 사용자에게 허리에 통증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그리고 허리의 사이즈가 작은 사람 또는 큰 사람이 상기 복대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허리 사이즈에 맞는 각각의 복대를 제작하여 공급해야하므로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 허리 사이즈에 맞는 복대를 재차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9537호 (2005.10.18)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등받이, 종아리 부분에는 솔레노이드밸드가 설치되어 등근육 및 종아리 근육을 이환시키는 안마를 행하는 안마의자에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하여 허리 근육을 이완시켜 요통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근육을 이완시킬 시에 엉덩이와 다리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므로 사용자에게 별도의 벨트 또는 복대와 같은 부가적인 수단을 착용하지 않아도 허리 근육의 이완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리에 요통이 있는 환자 또는 요통이 없는 일반인에 구분없이 사용자의 편의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착석되는 받침대;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안마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지를 이동시켜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견인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견인수단은 의자프레임과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받침대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과 의자프레임에 결합되며, 받침대가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이송수단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마의자에 의한 사용자의 등부분, 하지 부분의 안마와 함께 견인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송수단은, 의자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프레임; 복수의 이동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복수의 이동프레임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돌기; 및 복수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는 'ㄷ'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 또는 'ㅡ'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수단은, 이송수단과 의자프레임이 사이에 설치되는 엑츄에이터;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송수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의자프레임에 결합된 제2고정부재; 및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일측에 연설되어 엑츄에이터에 설치되는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고정부재는 이송수단의 고정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프레임은 가이드부재 내측에 인입되어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송수단은, 받침대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패널; 받침패널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돌기; 고정돌기에 설치되며, 받침대를 이동하는 바퀴; 및 바퀴가 결합되며, 의자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수단은, 의자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 및 받침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기어 치합되어 받침패널을 이동시키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등받이, 종아리 부분에는 솔레노이드밸드가 설치되어 등근육 및 종아리 근육을 이환시키는 안마를 행하는 안마의자에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하여 허리 근육을 이완시켜 요통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근육을 이완시킬 시에 엉덩이와 다리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므로 사용자에게 별도의 벨트 또는 복대와 같은 부가적인 수단을 착용하지 않아도 허리 근육의 이완을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허리에 요통이 있는 환자 또는 요통이 없는 일반인에 구분없이 사용자의 편의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사용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사용자가 착석하는 받침대를 구동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하지를 이동시키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벨트 또는 복대를 착용하지 않아도 허리 근육의 이완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자가 허리근육을 이완시키는 상태에서 약간의 움직임이 발생하여도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므로 허리 근육 이완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견인용 의자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며에 의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견인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의 견인수단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견인수단에 의해 의자 받침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견인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며에 의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의 견인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4은 도 3의 견인수단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견인수단에 의해 의자 받침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을 받치는 받침대(101)와, 받침대(101)의 일측에 연설되며 사용자의 등부분을 받치는 등받이(102)와, 등받이(102)가 설치된 받침대(101)의 타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발, 종아리 부분을 안마하는 다리대(103)를 포함하여 안마의자(100)를 구성한다.
상기 등받이(102)에는 사용자의 등을 안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솔레이노이드밸브(미도시)와, 사용자의 등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압과 같은 안마를 행할 수 있도록 볼이 설치된 이동안마의자(미도시)로 이루어지는 등안마수단(미도시)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102)에는 사용자가 일정 각도로 누울 수 있도록 각조조절수단(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그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상기 다리대(103)에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압박에 의해 안마하는 에어백부재(미도시)와,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 또는 안마하는 롤부재(미도시)를 포함하는 다리안마수단(미도시)이 구성된다.
상기 등안마수단, 각도조절수단 및 다리안마수단은 안마의자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안마의자(100)의 받침대(101) 하부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도록 의자프레임(100a)을 도면과 같이 구성하고, 상기 도면에 표현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구조는 제조업체의 사정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의자프레임(100a)과 받침대(101)에는 다리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견인수단(200)이 구성되며, 상기 견인수단(200)은 사용자의 하지(엉덩이 부분과 다리부분)를 이동시켜 허리 근육을 이완시킨다.
상기 안마의자(100)에 구성되는 견인수단(200)은 사용자가 안마를 받으면서 또는 안마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5에 되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견인수단(200)은 크게 이송수단(210)과 구동수단(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210)은 의자프레임(100a)에 고정되며, 받침대(101) 하부에 가이드부재(211)가 설치된다.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받침대(101)의 하부에 이동프레임(212)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212)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고정프레임(213)이 도면상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이동프레임(212)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214)가 설치되고, 고정돌기(214)에는 이동프레임(212)이 이동되어 사용자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215)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21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구동수단(220)은 엑츄에이터(221)와, 모터(221)와, 제1고정부재(223) 및 제2고정부재(224)로 구성된다.
상기 엑츄에이터(221)는 이송수단(210)의 고정프레임(213) 하부와 의자프레임(100a) 상부 사이에 구성된다. 상기 엑츄에이터(2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26)는 이송수단(210)의 이동프레임(212)에 설치된 바퀴(215)가 가이드부재(211)의 내측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221)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엑츄에이터 모터(221a)는 엑츄에이터(22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223)는 엑츄에이터(221)의 제1샤프트(222)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12)의 사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13)에 체결된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223)는 고정프레임(213)에 체결이 간결하게 이루어지도록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223)의 형상 및 모양은 'ㄷ' 자 형상에만 국한되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갈고리 형태, 'ㄴ'자 형상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224)는 제1고정부재(223)가 설치된 엑츄에이터(221)의 타측에 설치되며, 의자프레임(100a)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수단(220)에는 사용자가 안마의자(1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안마 또는 허리 근육을 이완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는 안마의자(100)에 설치된 등안마수단, 각도조절수단, 다리안마수단 및 견인수단(200)을 제어하는 마이컴(미도시)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마의자(100)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안마의자(100)에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근육의 이완을 통해 허리 통증을 완하하기 위하여 리모트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의 신호는 마이컴으로 인가되고, 마이컴에서는 구동수단(220)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구동수단(220)으로 인가되는 신호는 엑츄에이터 모터(221a)를 구동하고, 엑츄에이터 모터(221a)의 구동에 의해 엑츄에이터(221)가 구동하여 제1샤프트(222)에 결합되어 있는 제1고정부재(223)를 안마의자(100)의 전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고정부재(223)와 결합된 이송수단(210)의 고정프레임(213)은 상기 엑츄에이터(221)의 구동력에 의해 안마의자(100)의 전면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는 고정프레임(213)의 양측에 결합된 이동프레임(212)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215)가 가이드부재(211)에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므로 안마의자(100)의 전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구동수단(220)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수단(210)은 받침대(101)를 이동시키고, 이때 받침대(101)의 일측에 설치된 다리대(103)와 함께 안마의자(100)의 전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받침대(101)와 다리대(103)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하지를 안마의자(100)의 전면쪽으로 이동시키므로 사용자의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받침대(101)를 이동하여 사용자의 하지를 이동시키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벨트 또는 복대를 착용하지 않아도 허리 근육의 이완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자가 허리근육을 이완시키는 상태에서 약간의 움직임이 발생하여도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허리 근육 이완의 효과가 증대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 및 7과 같이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견인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마의자(100)는 등안마수단, 각도조절수단, 다리안마수단 및 견인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안마수단, 각도조절수단 및 다리안마수단은 안마의자(100)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구성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견인수단(200)에 대한 구성만을 설명한다.
상기 견인수단(200)은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하여 허리 근육을 이완하기 위하여 이송수단(210)과 구동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송수단(210)은 가이드부재(224), 받침패널(216) 및 바퀴(21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24)는 의자프레임(100a)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215)의 이동시 가이드한다.
상기 받침패널(216)은 하부에 바퀴(215)가 결합되는 고정돌기(214)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수단(220)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부재(211)를 따라 이동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받침대(101)를 안마의자(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바퀴(215)는 상기 받침패널(216)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돌기(214)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수단(220)의 구동에 의해 받침패널(216)의 이동시 가이드부재(211) 내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구동수단(220)은 모터(226), 제1기어(228) 및 제2기어(22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모터(228)는 안마의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받침대(101)를 안마의자(100)의 전방 또는 후방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의자프레임(100a)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기어(228)는 모터(226)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회전축(227)에 결합되며, 모터(226)의 구동에 의해 제2기어(228)와 치합하여 받침패널(216)을 안마의자(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기어(229)는 모터(226)의 회전축(227)에 설치된 제1기어(228)와 치합되며, 상기 모터(226)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기어(228)에 의해 받침패널(216)과 결합된 받침대(101)를 안마의자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받침대(101)에 착석하고, 다리를 다리대(103)에 끼운 상태에서 리모트컨트롤러를 조작하여 허리 근육 이완 및 안마를 행한다.
상기 안마는 사용자의 등 부분과 다리 부분을 안마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안마는 등안마수단과 다리안마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안마 동작은 안마의자(100)에서는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안마의자(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 통증 완화를 위한 견인수단(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허리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안마의자(100)의 등받이(102)의 각도를 낮춘다.
그리고 사용자가 허리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리모트컨트롤러를 조작하면, 리모트컨트롤러의 조작신호가 마이컴으로 인가되고, 인가된 신호에 따라 마이컴은 구동수단(220)의 모터(226)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226)는 회전축(227) 일측에 설치된 제1기어(228)를 회전시키고, 제1기어(228)의 회전에 의해 받침패널(216)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기어(229)는 안마의자(10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기어(229)의 이동에 따라 받침패널(216)이 이동하고, 받침패널(216)에 결합된 받침대(101)도 따라서 이동한다.
상기 받침패널(216)은 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바퀴(215)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하고, 상기 바퀴(215)는 의자프레임(100a)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11)에 안내되면서 이동된다.
상기 받침패널(216)의 상부에 결합된 받침대(101)는 그 일측에 결합된 다리대와 함께 이동하므로 사용자의 하지를 안마의자(100)의 전방으로 견인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사용자의 허리 근육을 이완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받침대(101)를 이동하여 사용자의 하지를 이동시키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벨트 또는 복대를 착용하지 않아도 허리 근육의 이완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자가 허리근육을 이완시키는 상태에서 약간의 움직임이 발생하여도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허리 근육 이완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안마의자 100a: 의자프레임
101: 받침대 102: 등받이
103:다리대 200: 견인수단
210: 이송수단 211, 224: 가이드부재
212, 225: 이동프레임 213: 고정프레임
214: 고정돌기 215, 227: 바퀴
220: 구동수단 221: 엑츄에이터
222: 제1샤프트 223: 제1고정부재
224: 제2고정부재 225: 고정돌기
226: 모터 227: 회전축
228: 제1기어 229: 제2기어

Claims (10)

  1. 안마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착석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마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지를 이동시켜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수단은 고정된 의자프레임 및 상기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의자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가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이송수단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의자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프레임, 복수의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복수의 상기 이동프레임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돌기, 복수의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의자에 의한 사용자의 등부분, 하지 부분의 안마와 함께 상기 견인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ㄷ'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 또는 'ㅡ'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의자프레임이 사이에 설치되는 엑츄에이터;
    상기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수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프레임에 결합된 제2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일측에 연설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에 설치되는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이송수단의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부재 내측에 인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10219A 2014-01-28 2014-01-28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KR101567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219A KR101567324B1 (ko) 2014-01-28 2014-01-28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219A KR101567324B1 (ko) 2014-01-28 2014-01-28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515A KR20150089515A (ko) 2015-08-05
KR101567324B1 true KR101567324B1 (ko) 2015-11-20

Family

ID=5388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219A KR101567324B1 (ko) 2014-01-28 2014-01-28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3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132A (ko) * 2018-01-26 2018-02-07 윤종규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KR20200014083A (ko) * 2018-07-31 2020-02-10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KR20220149813A (ko) 2021-04-29 2022-11-09 (주)굿플 견인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47B1 (ko) * 2016-08-11 2017-03-08 오위찬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CN109567460A (zh) * 2018-12-24 2019-04-05 安吉大东方家具有限公司 一种椅子活动式腰撑调节结构及其装置
KR20230109217A (ko) * 2022-01-12 2023-07-20 (주)씨비에이치 척추 스트레칭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589Y1 (ko) * 2003-04-17 2003-07-12 박헌광 슬라이딩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589Y1 (ko) * 2003-04-17 2003-07-12 박헌광 슬라이딩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132A (ko) * 2018-01-26 2018-02-07 윤종규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KR101943352B1 (ko) 2018-01-26 2019-01-29 윤종규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KR20200014083A (ko) * 2018-07-31 2020-02-10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KR102124863B1 (ko) * 2018-07-31 2020-07-07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KR20220149813A (ko) 2021-04-29 2022-11-09 (주)굿플 견인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515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258145U (zh) 一种康复训练设备以及康复训练系统
KR101567324B1 (ko)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US1110367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leep mode in a massage chair using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and the massage chair capable of using the same
US7654974B2 (en) Recliner spinal traction device
US6916300B2 (en) Seat massager
US20210369532A1 (en)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and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CN112618318A (zh) 一种医疗康复用多方位按摩椅
CN201906170U (zh) 一种多功能电动按摩垫
KR100739020B1 (ko) 요추 견인 치료장치
JP2011224035A (ja) マッサージ機
JP2023169116A (ja) 脊椎弛緩用医療器具
US20200222273A1 (en) Topical massage device, and chair and mat provided with topical massage device
JP5827713B2 (ja) マッサージ機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JP4575711B2 (ja) 電動型トレーニングマシン
CN106726067B (zh) 多功能悬垂式脊椎牵引康复治疗机
KR101630668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건강기구
JP5841628B2 (ja) マッサージ機
KR20190001560U (ko) 틸팅형 침대
CN211583887U (zh) 一种骨科患者专用座椅
KR102653861B1 (ko) 상체 안마용 교정기
KR101288415B1 (ko) 개별 승강 안마유닛을 구비한 안마의자
JP5815060B2 (ja) マッサージ機
KR20120112923A (ko) 회전 지압 안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기
JP2014018535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