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047B1 -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 Google Patents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047B1
KR101710047B1 KR1020160102533A KR20160102533A KR101710047B1 KR 101710047 B1 KR101710047 B1 KR 101710047B1 KR 1020160102533 A KR1020160102533 A KR 1020160102533A KR 20160102533 A KR20160102533 A KR 20160102533A KR 101710047 B1 KR101710047 B1 KR 101710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support
sofa
driving memb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위찬
이연선
Original Assignee
오위찬
이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위찬, 이연선 filed Critical 오위찬
Priority to KR102016010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6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the adjustable part immobilising foldabl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47C16/025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adjustable, swivelling, r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의 전방에 배치된 보조 지지대를 상하 거상시켜, 평상시에는 공간 활용도를 상승시키고, 착석시에는 상향 거상된 보조 지지대에 하체 부위를 편안히 안착시켜서 편안한 휴식을 취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보조 지지대는 개량된 링크구조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 상태를 항시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지지과정에 비틀림이나 휨발생이 억제되어 안정적인 지지와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Sofa with improved lower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의 전방에 배치된 보조 지지대를 상하 거상시켜, 평상시에는 공간 활용도를 상승시키고, 착석시에는 상향 거상된 보조 지지대에 하체 부위를 편안히 안착시켜서 편안한 휴식을 취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보조 지지대는 개량된 링크구조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 상태를 항시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지지과정에 비틀림이나 휨발생이 억제되어 안정적인 지지와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소파는 앉아서 휴식을 취하도록 만든 가구로서 수세기 동안 모양의 큰 변화 없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소파는 전자제품과 가족 구성원의 변화에 따라 진화되고 있다.
소파가 단순히 다리를 구부리고 앉을 수 있는 의자 형상에 쿠션을 의자보다 더 많이 사용하여 착석감을 향상시킨 단순한 형상에서 소파매트의 한 부분을 길게 하여 다리를 뻗고 앉을 수 있거나 누울 수 있도록 된 모양의 카우치형 소파와 소파 등받이가 뒤로 넘어가면서 종아리 아래 부분이 위로 치켜 올려지는 리클라이너 소파가 있다.
가족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소파의 가장 주된 목적은 휴식과 TV를 보면서 문화 생활을 하기 위한 것일 것이다.
이러한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각 구성원들이 소파에 착석하여 편안한 자세를 취하는 방법은 개개인이 다를 수가 있다.
일반적인 소파가 아닌 변형된 소파로 구성된 제품으로 매트의 한쪽 부분을 길게 구성한 카우치(소파매트가 앉을 수 있는 방석보다 길어 매트에서 다리를 뻗을 수 있도록 된 소파) 형상의 소파로서 이러한 소파는 카우치 형상이 고정되어 소파의 모서리 부분에 매트가 돌출되어 있어 카우치로 된 부분에 앉아 TV를 시청할 때 시청각도가 직선이 아닌 대각으로 되어져 시청시 눈의 피로도 증가와 착석자세의 안락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고. 또한 카우치 형상의 매트가 길게 전방으로 소파에 고정되어 있어 공간을 많이 점유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리클라이너 소파는 매트가 고정이고 등받이가 뒤로 넘어가는 형상의 소파로 휴식을 하기 위한 소파로서는 이상적이나 가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문화 생활을 하기 위한 소파로서는 부족한 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온돌로 구성된 한국의 주거문화에서 소파를 거실에 배치하는 방법은 벽면에 소파등받이를 붙여 놓는 것이 소파를 배치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리클라이너 소파는 등받이가 뒤로 넘어가기 때문에 등받이를 벽면에 붙일 수가 없어 등받이와 벽면 사이에 공간을 두어야만 한다.
매트가 소파에 고정된 카우치 형상의 소파와 등받이가 뒤로 넘어가는 리클라이너 소파는 한국 주거형태의 거실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소파는 좌판부에 등받이와 종아리 받침대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바, 사용자의 체형 또는 몸 상태에 따라 등받이와 종아리 받침대의 각도 조정을 할 수 없는 한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362249호와, 특허 등록공고 제 10-1353031호, 그리고 10-1238414호에서는 종아리 받침대의 거상구조를 마련하여서, 거상된 종아리 받침대에 종아리를 거치하여서 보다 편안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 쇼파들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아리 받침대의 거상구조는 실린더나 링크구조를 통해 종아리 받침대를 거상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면을 통해 종아리 받침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지 아니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 이들의 지지구조가 물리적으로 훼손되어서 안정된 내구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또 거상된 종아리 받침대를 통한 하체부분의 지지상태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KR 20-0362249 Y1 KR 10-1353031 B1 KR 10-1238414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의 전방에 배치된 보조 지지대를 상하로 거상하는 리클라이너 구조를 마련하여, 평상시에는 보조 지지대를 좌판부의 전방에 직립되게 밀착시켜 향상된 공간 활용도를 확보하고, 사용시에는 좌판부의 전방에 보조 지지대를 거상시켜 하체부위를 편안히 안착시켜서 휴식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보조 지지대는 지면에 지지된 상태를 항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하체부위의 지지에 따른 비틀림이나 휨발생이 억제되어 안정적인 지지와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는,
좌판 설치부와 등판 설치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좌판 설치부에 배치되는 좌판부와; 상기 등판 설치부에 배치되는 등판부; 및 하체 받침편을 거상시켜 거상된 하체 받침편을 통해 사용자의 하체부위를 거상하여 지지하는 하체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체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신축하는 진퇴 구동부재와; 전반부에 하향 굴곡진 빗면을 갖고, 후미를 진퇴 구동부재에 링크구조로 연결시켜 진퇴 구동부재의 신축작용에 의해 연동하여 진퇴하는 지지대와; 전반부에 상향 굴곡진 빗면을 갖고, 후미를 진퇴 구동부재에 링크구조로 연결시켜 진퇴 구동부재의 신축작용에 의해 진퇴하는 거상대; 및 상기 하향 굴곡진 지지대의 빗면과 상향 굴곡진 거상대의 빗면에 사이에 외접하여 배치되는 분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상대는, 진퇴 구동부재의 신장에 의해 지지대와 함께 전진하여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단부를 지면에 지지시킨 지지대의 빗면과 거상대의 빗면 사이에 외접된 분지봉과의 간섭에 의해 상부로 분지되면서, 하체 받침편을 거상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판부는 좌판 설치부에 진퇴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진퇴 구동부재와, 지지대의 후단 및 거상대의 후단 사이에는, 일단과 타단에 힌지점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회동점이 형성된 "L"자형의 선회 연동암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후단과 거상대의 후단을 각각 연결된 "L"자형의 선회 연동암의 힌지점에는, 일단을 본체의 후방 일지점에 고정하고 중간부를 진퇴 구동부재의 신장에 의해 좌판 설치부를 따라 전진하는 좌판부에 견착시킨 거상 로프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서,
진퇴 구동부재가 신장하여 좌판 설치부를 따라 전진하면, 선회 연동암은 거상 견인 로프부재에 의해 전방 상부로 당겨져 상향 회전하여 지지대와 거상대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지봉은 본체에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시킨 선회부재의 타단에 고정되어, 외접된 거상대의 빗면과 지지대의 빗면 사이의 간섭에 의해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면서, 거상대의 전반부와 지지대의 전반부를 분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 연동암의 회동점에는 선회 연동암을 후방으로 탄성 견인하는 탄성 견인부재가 결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는, 빗면을 갖는 지지대와 빗면을 갖는 거상대, 그리고 상기 분지봉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지지구조에 의해 하체 받침편이 지반에 항시 지지된 상태로 거상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하체 받침편의 안정적인 지지에 의해 하체부위를 지지시킨 사용자는 안정감을 제공하고, 또 반복적인 사용에도 지지구조의 비틀림이나 변형 발생이 억제되어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진퇴 구동부재의 신축에 의해 연결체를 통해 등판부와 링크구조로 연결된 좌판부와, 지지대와 거상대가 상하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체 지지부와 좌판부 및 등판부를 상호 연동시켜 편안히 누운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비사용시에는 하체 지지부와 좌판부 및 등판부를 연동하여 하강 및 후퇴시켜서, 향상된 공간 활용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에 있어, 하체 지지구조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와 도 6은 상기 도 3과 도 4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에 있어, 하체 지지구조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와 도 6은 상기 도 3과 도 4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판 설치부(11)와 등판 설치부(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좌판 설치부(11)에 배치되는 좌판부(20)와; 상기 등판 설치부(12)에 배치되는 등판부(30); 및 하체 받침편(51)을 거상시켜 거상된 하체 받침편(51)을 통해 사용자의 하체 부위를 거상시켜 지지하는 하체 지지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체 받침편(51)은 본체(10)의 전면, 또는 좌판부(20)의 전면에 배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하체 받침편(51)을 좌판부(20)의 전면에 배치하여 본체(10)의 전방으로 진출하면서 상부로 거상되는 거상대(54)에 의해 좌판부의 전방에 하체 받침편(51)이 거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체 지지부(50)를 하체 받침편(51)이 설정각으로 고정된 고정형으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전동에 의해 하체 받침편(51)이 상하 선회하는 거상형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비사용시에는 하체 받침편(51)을 좌판부(20)의 전방에 직립되게 밀착시켜 향상된 공간 활용도를 확보하고, 또 사용자가 좌판부(20)에 착석하여 휴식을 취할 경우에는 하체 받침편(51)을 좌판부(20)의 전방에 눕혀진 상태로 거상시켜서, 좌판부(20)에 착석한 사용자는 하체부위(종아리 부위)를 거상된 하체 받침편(51)에 안착시켜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체 받침편(51)의 거상을 도모하는 독특한 거상 지지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하체 받침편(51)은 거상 지지구조에 의해 지반에 항시 지지된 상태로 거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체부위를 안착시킨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지지감을 제공하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비틀림이나 휨 발생이 억제되어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체 지지부(50)는 기본적으로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에 고정되어 전동에 의해 신축하는 진퇴 구동부재(52)와; 전반부에 하향 굴곡진 빗면(53a)을 갖고, 후미를 진퇴 구동부재(52)와 링크구조로 연결시켜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축에 의해 연동하여 진퇴하는 지지대(53)와; 상기 전반부에 상향 굴곡진 빗면(54a)을 갖고, 후미를 진퇴 구동부재(52)에 링크구조로 연결시켜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축에 의해 진퇴하는 거상대(54); 및 상기 하향 굴곡된 지지대(53)의 빗면(53a)과 상향 굴곡된 거상대(54)의 빗면(54a)에 외접되게 배치되는 분지봉(5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지봉과 외접하는 지지대의 빗면과 거상대의 빗면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경사면형, 원호면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 모두를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형 빗면의 경사각이나 원호형 빗면의 직경은 요하는 하체 받침편의 거상각도나 거상범위 등에 이해 적의 선택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퇴 구동부재(52)로는 공압형, 전동형 등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에 의해 피스톤(52a)을 진퇴시켜 신장되는 전동 실린더를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3)의 전반부 단부에 지지롤러(53b)를 배치하여, 상기 지지대(53)는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축에 의해 지지롤러(53b)를 통해 지반에 구름 마찰하면서 진퇴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지봉(55)의 양단과 본체(10) 사이에 선회부재(56)를 배치하여,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축작용에 의해 지지대(53)의 빗면(53a)과 거상대(54)의 빗면(54a)에 외접하여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선회부재(56)는 본체의 일지점과 분지봉 사이를 설정간격으로 연결하여, 분지봉(55)의 상하 선회를 도모하는 연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선회부재(56)를 본체(10)와 분지봉(55)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즉, 상기 분지봉(55)은 본체(10)에 고정된 선회부재(56)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면서,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축에 의해 진퇴하는 지지대(53)의 빗면(53a)과 거상대(54)의 빗면(54a)과 항시 외접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판부(20)와 등판부(30)가 하체 지지부(50)와 연동하여, 하체 지지부(50)의 하체 받침편(51)이 거상하여 눕혀지면 등판부(30)도 함께 눕혀져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 하체 지지부(50)의 하체 받침편(51)이 하향 선회하여 직립하면 좌판부는 후퇴하면서 등판부(30)도 기립하여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판부(20)에는 구름롤러가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축(21)이 배치되고, 상기 좌판 설치부(11)에는 가이드축(21)의 진퇴경로를 제공하는 좌판레일(11a)이 배치되어서, 상기 좌판부(20)는 가이드축(21)을 통해 진퇴레일(11a)을 따라 진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등판 설치부(12)에는 단부에 지지롤러(13a)가 마련된 지지축(13)을 설치하고, 등판부(30)에는 상기 지지축(13)을 따라 승강 및 선회하는 안내레일(31)을 배치하는 한편, 상기 등판부(30)와 좌판부(20)를 연결체(40)를 통해 링크구조로 연결하여서, 좌판부(20)의 진퇴에 의해 등판부(30)는 기립, 및 눕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체(40)와 좌판부(20)는 제 1 경첩(41)을 통해 절첩구조로 연결되고, 또 상기 연결체(40)와 등판부(30)는 제 2 경첩(42)을 통해 상호 절첩구조로 연결되어서, 좌판부(20)와 등판부(30)는 연결체(40)를 통해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좌판레일(11a)을 따라 좌판부(20)가 전진하면 연결체(40)를 통해 좌판부(20)와 링크구조로 연결된 등판부(30)는 서서히 눕혀지면서 하강하고, 또 전진한 좌판부(20)가 좌판레일(11a)을 따라 후퇴하면 연결체(40)를 통해 좌판부(20)와 링크구조로 연결된 등판부(30)는 서서히 기립되면서 상승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체 받침부를 구성하는 단일 진퇴 구동부재의 신장작용에 의해, 좌판부가 전진하면서 등판부가 눕혀지는 리클라이닝 기능과, 직립된 하체 지지부를 구성하는 하체 받침편이 거상되어 눕혀지는 거상 지지기능이 일원화되게 동시 수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체 지지부(50)를 구성하는 진퇴 구동부재(52)의 피스톤(52a)은 좌판부(20)에 결속되어, 상기 좌판부(20)는 하체 지지부(50)를 구성하는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축거리에 따라 진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일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장에 따른 좌판부(20)의 전진거리와, 하체 받침편(51)의 거상 각도를 유기적으로 조절하는 선회 연동암(57)을 부가하여서, 제한된 좌판부(20)의 전진 거리에 의해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장거리가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하체 받침편(51)은 설정각도로 상향 거상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선회 연동암(57)을 배치하여 선회 연동암(57)에 의해 거상대(54)에 의한 하체 받침편(51)의 거상 각도가 지렛대 구조에 의해 증가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진퇴 구동부재(52)의 피스톤(52a)과, 지지대(53) 후단과 거상대(54)의 후단 사이에는 일단과 타단에 힌지점(57a, 57b)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회동점(57c)이 형성된 "L"자형의 선회 연동암(57)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선회 연동암(57)의 일단 형성된 힌지점(57a)에는 좌판부(20)에 조립된 진퇴 구동부재(52)의 피스톤(52a)이 힌지구조로 조립되고, 선회 연동암(57)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점(57b)에는 지지대(53)의 후미와 거상대(52)의 후미가 각각 힌지구조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 연동암(57)의 타단에는 일단을 본체(10)의 후방 일지점(P1) 고정하고 중간부를 좌판부 일지점(P2)에 견착시킨 거상 로프부재(59)의 타단을 결속하고, 또 상기 선회 연동암(57)의 회동점(57c)에는 선회 연동암(57)을 후방으로 탄성 견인하는 탄성 견인부재(58)가 결속하고 있다.
따라서, 도 4와 도 6과 같이 상기 진퇴 구동부재(52)의 피스톤(52a)이 전진하여 좌판부(20)가 전진하면 거상 로프부재(59)의 타단은 상부로 당겨지면서 선회 연동암(57)의 타단을 회동점(57c)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선회 연동암(57)의 타단에 결속된 지지대(53)와 거상대(54)의 전진 거리가 피스톤(52a)의 전진거리보다 증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과 도 5와 같이 상기 진퇴 구동부재(52)의 피스톤(52a)이 후퇴하여 좌판부(20)가 후퇴하면 거상 로프부재(59)는 느슨해지고, 이때 탄성 견인부재(5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선회 연동암(57)의 타단은 회동점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여서 원복되는 한편, 느슨해진 거상 로프부재(59)는 팽팽히 당겨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지지대(53)와 거상대(54)는 진퇴 구동부재(52)가 신장되어 전방으로 전진하여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각 빗면(53a, 54a)에 외접된 분지봉(55)과의 간섭에 의해 상하 교차하여 분지되어서, 상기 거상대(54)의 전반부는 분지봉(55)과 지지대(53)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거상되고, 상기 거상대(54)의 전반부의 단부에 고정, 또는 거상 지지된 하체 받침편(51)은 눕혀지면서 거상된다.
이때, 상기 선회 연동암(57)은 진퇴 구동부재(52)의 신축작용에 의해 회동점(57c)을 탄력적으로 변경하면서 탄력적으로 변경되는 회동점(57c)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하여 지지대(53)와 거상대(54)의 진퇴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분지봉(55)은 본체(10)에 고정된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면서, 지지대(53)의 빗면(53a)과 거상대(54)의 빗면(54a)과 항시 외접하여서, 지반에 지지된 지지대(53)와 거상대(54)가 후퇴하면 거상대(54)의 전반부를 하강시키고, 지지대(53)와 거상대(54)가 전진하면 거상대(54)의 전반부를 상승시켜서 하체 받침편(51)을 거상한다.
따라서, 도 4와 도 6과 같이 상기 하체 지지부(50)를 구성하는 진퇴 구동부재(52)가 신장되면, 좌판부(20)는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연결체(40)를 통해 링크구조로 연결된 등판부(30)를 전방으로 견인하여 눕히고, 이와 동시에 하체 지지부(50)를 구성하는 거상대(54)는 지지대(53)와 함께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빗면(53a, 54a)에 외접된 분지봉(55)에 의해 전반부가 상향 거상되어 기립된 하체 받침편(51)을 눕혀진 상태로 거상한다.
그리고, 도 3과 도 5와 같이 상기 하체 지지부(50)를 구성하는 진퇴 구동부재(52)가 수축되면, 좌판부(20)는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연결체(40)를 통해 연결된 등판부(30)를 후방으로 밀어서 기립하고, 이와 동시에 하체 지지부(50)를 구성하는 거상대(54)는 지지대(53)와 함께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빗면(53a, 54a)에 외접된 분지봉(55)에 의해 전반부가 하강되어 눕혀진 하체 받침편(51)을 기립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하체 지지부(50)와 좌판부(20) 및 등판부(30)를 상호 연동시켜 편안히 누운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비사용시에는 하체 지지부(50)와 좌판부(20) 및 등판부(30)를 연동하여 하강 및 후퇴시켜서 향상된 공간 활용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소파(1)는 빗면(53a)을 갖는 지지대(53)와 빗면(54a)을 갖는 거상대(54), 그리고 상기 분지봉(55)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거상 지지구조에 의해 하체 받침편(51)은, 지반에 항시 지지된 상태로 거상되고, 결과적으로 거상된 하체 받침편(51)의 안정적인 지지에 의해 하체부위를 지지시킨 사용자는 안정감을 제공하고, 또 반복적인 사용에도 비틀림이나 변형 발생이 억제되어 향상된 내구성을 갖게 된다.
1. 소파
10. 본체 11. 좌판 설치부
11a. 좌판레일 12. 등판 설치부
13. 지지축 13a. 지지롤러
20. 좌판부 21. 가이드축
21a. 구름롤러
30. 등판부 31. 안내레일
40. 연결체 41. 제 1 경첩
42. 제 2 경첩
50. 하체 지지부 51. 하체 받침편
52. 진퇴 구동부재 52a. 피스톤
53. 지지대 53a. 빗면
53b. 지지롤러
54. 거상대 54a. 빗면
55. 분지봉
56. 선회부재 57. 선회 연동암
57a. 힌지점 57b. 힌지점
57c. 회동점 58. 탄성 견인부재
59. 거상 로프부재

Claims (4)

  1. 좌판 설치부와 등판 설치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좌판 설치부에 배치되는 좌판부와; 상기 등판 설치부에 배치되는 등판부; 및 하체 받침편을 거상시켜 거상된 하체 받침편을 통해 사용자의 하체부위를 거상하여 지지하는 하체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체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신축하는 진퇴 구동부재와; 전반부에 하향 굴곡진 빗면을 갖고, 후미를 진퇴 구동부재에 링크구조로 연결시켜 진퇴 구동부재의 신축작용에 의해 연동하여 진퇴하는 지지대와; 전반부에 상향 굴곡진 빗면을 갖고, 후미를 진퇴 구동부재에 링크구조로 연결시켜 진퇴 구동부재의 신축작용에 의해 진퇴하는 거상대; 및 상기 하향 굴곡진 지지대의 빗면과 상향 굴곡진 거상대의 빗면에 사이에 외접하여 배치되는 분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거상대는, 진퇴 구동부재의 신장에 의해 지지대와 함께 전진하여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단부를 지면에 지지시킨 지지대의 빗면과 거상대의 빗면 사이에 외접된 분지봉과의 간섭에 의해 상부로 분지되면서, 하체 받침편을 거상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는 좌판 설치부에 진퇴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진퇴 구동부재와 지지대의 후단 및 거상대의 후단 사이에는, 일단과 타단에 힌지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회동점이 형성된 "L"자형의 선회 연동암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후단과 거상대의 후단이 각각 연결된 "L"자형의 선회 연동암의 힌지점에는, 일단을 본체의 후방 일지점에 고정하고 중간부를 진퇴 구동부재의 신장에 의해 좌판 설치부를 따라 전진하는 좌판부에 견착시킨 거상 로프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서,
    상기 진퇴 구동부재가 신장하여 좌판 설치부를 따라 전진하면, 선회 연동암은 거상 로프부재에 의해 전방 상부로 당겨져 상향 회전하여 지지대와 거상대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봉은 본체에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시킨 선회부재의 타단에 고정되어, 외접된 거상대의 빗면과 지지대의 빗면 사이의 간섭에 의해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면서, 거상대의 전반부와 지지대의 전반부를 분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연동암의 회동점에는 선회 연동암을 후방으로 탄성 견인하는 탄성 견인부재가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KR1020160102533A 2016-08-11 2016-08-11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KR10171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533A KR101710047B1 (ko) 2016-08-11 2016-08-11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533A KR101710047B1 (ko) 2016-08-11 2016-08-11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047B1 true KR101710047B1 (ko) 2017-03-08

Family

ID=5840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533A KR101710047B1 (ko) 2016-08-11 2016-08-11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28A (ko) 2018-03-15 2019-09-25 이연선 리클라이닝 소파
KR102233735B1 (ko) * 2020-09-14 2021-03-29 최인구 틸팅 소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249Y1 (ko) 2004-06-30 2004-09-16 홍진표 다기능 쇼파
US20050052067A1 (en) * 2003-09-08 2005-03-10 Hans Fiedler Convertible piece of upholstered furniture with chair and bed function
JP3181035U (ja) * 2012-11-05 2013-01-24 株式会社タイム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101238414B1 (ko) 2010-05-04 2013-02-28 김범진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
KR101353031B1 (ko) 2011-11-28 2014-01-23 조기환 전동소파
KR20150089515A (ko) * 2014-01-28 2015-08-05 윤종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2067A1 (en) * 2003-09-08 2005-03-10 Hans Fiedler Convertible piece of upholstered furniture with chair and bed function
KR200362249Y1 (ko) 2004-06-30 2004-09-16 홍진표 다기능 쇼파
KR101238414B1 (ko) 2010-05-04 2013-02-28 김범진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
KR101353031B1 (ko) 2011-11-28 2014-01-23 조기환 전동소파
JP3181035U (ja) * 2012-11-05 2013-01-24 株式会社タイム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20150089515A (ko) * 2014-01-28 2015-08-05 윤종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81035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28A (ko) 2018-03-15 2019-09-25 이연선 리클라이닝 소파
KR102058559B1 (ko) * 2018-03-15 2020-02-07 이연선 리클라이닝 소파
KR102233735B1 (ko) * 2020-09-14 2021-03-29 최인구 틸팅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WO2015106478A1 (zh) 一种沙发伸缩装置
RU2018114994A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и перестраиваемое кресло-кровать с откидной спинкой и подставкой для ног
CN105962667A (zh) 一种机械伸展装置及座椅单元
CN109288290A (zh) 一种双电机驱动助站躺椅用铁架及其工作方法
KR101710047B1 (ko) 개량된 하체 지지구조를 갖는 소파
KR102175145B1 (ko) 모션 베드
CN112293997B (zh) 一种动力伸展装置
JP2001526556A (ja) ベッド及びその他リクライニングあるいは着座用家具の調節装置
KR20110131818A (ko) 접이식 침대
CN109124120B (zh) 一种助站式躺椅用铁架及其工作方法
EP3949808A1 (en) Seating and reclining furniture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CN104323617A (zh) 沙发
CN209090418U (zh) 一种助站式躺椅用铁架
KR102058559B1 (ko) 리클라이닝 소파
CN210872789U (zh) 联动式按摩椅架
CN209090419U (zh) 一种双电机驱动助站躺椅用铁架
KR20110043357A (ko) 접이식 침대
CN219680169U (zh) 沙发金属骨架和可躺式沙发椅
JP2000508192A (ja) 家具の調節装置
KR200377417Y1 (ko) 허리 젖힘 운동 겸용 의자
CN218869846U (zh) 一种沙发
CN204378513U (zh) 履带式座椅
US20240156262A1 (en) Footrest extension mechanism and seat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