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352B1 -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 Google Patents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352B1
KR101943352B1 KR1020180009796A KR20180009796A KR101943352B1 KR 101943352 B1 KR101943352 B1 KR 101943352B1 KR 1020180009796 A KR1020180009796 A KR 1020180009796A KR 20180009796 A KR20180009796 A KR 20180009796A KR 101943352 B1 KR101943352 B1 KR 101943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unit
user
load
ai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132A (ko
Inventor
윤종규
Original Assignee
윤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규 filed Critical 윤종규
Priority to KR102018000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3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일측에어백부 및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한 후 견인부를 통해 사용자의 하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에 따라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사용자의 척추 즉, 척추측만증을 보다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Prevention equipment through the spinal motion segmen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일측에어백부 및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한 후 견인부를 통해 사용자의 하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에 따라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사용자의 척추 즉, 척추측만증을 보다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오랜 시간 동안 잘못된 자세에 의하여 그 형상이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C'형 또는 'S'형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될 수 있는데 이를 척추측만증이라 한다.
특히, 잘못된 자세에 따라 허리가 아픈 증세인 요통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인간이 진화하여 두발로 서서 활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숙명적인 질환으로서, 남녀노소에 구별없이 전 인구의 약 80%이상이 요통을 앓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요통은 특히, 항상 무거은 짐을 옮기는 노동자,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나 컴퓨터 앞에 앉아서 일하는 회사원 및 장시간 싱크대 앞에 서서 가사를 돌보는 주부 등 모든 사람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척추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자세 반대편으로 척추를 움직여 주는 운동이 필요하며, 요통의 경우, 척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경직이 수반됨으로써 이 근육을 이완시켜 주기만 해도 상당부분 완화될 수 있다.
상기한 요통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들어 다양한 형태의 개선기구가 제안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요통의 근원인 요추 근처의 척추근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완시켜 요통을 완화, 개선할 수 있는 허리 및 목 견인용 의자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953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9537호(허리 및 목 견인용 의자)의 경우 좌판을 하강시켜 하체의 중력에 의해 허리근육을 이완시키도록 하였을 뿐 척처측만증 즉,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척추를 교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95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일측에어백부 및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한 후 견인부를 통해 사용자의 하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에 따라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사용자의 척추 즉, 척추측만증을 보다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하는 둔부안착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둔부안착부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하는 견인부와; 상기 둔부안착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일측 하중 및 타측 하중을 감지하는 일측하중감지부 및 타측하중감지부로 구성되는 하중감지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중간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사용자의 척추부위 중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에어백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사용자의 일측등부위와 타측등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일측에어백부 및 복수의 타측에어백부로 구성되는 에어백부와; 상기 에어백부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복수의 상기 중간에어백부가 사용자의 요추형상에 맞게 부풀어올라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기준공기압력값만큼 복수의 상기 중간에어백부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하중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일측에어백부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한 후 상기 견인부를 제어하여 상기 둔부안착부를 전후이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일측에어백부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정부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일측에어백부 및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를 제공한다.
[수학식 1]
보정된 공기압력값 = K × 기준공기압력값 × (L1 + L2)
여기서, K는 비례상수이고, 기준공기압력값은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값이며, L1은 일측하중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값이고, L2는 타측하중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타측 하중값임.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측하중감지부와 상기 타측하중감지부가 각각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 및 타측 하중의 하중차이값과 기준하중차이범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일측에어백부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에어백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중간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제 1, 2, 3중간에어백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에어백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제 1, 2, 3일측에어백부로 구성되며, 상기 타측에어백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제 1, 2, 3타측에어백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일측에어백부 및 상기 제 3타측에어백부 또는 상기 제 1타측에어백부 및 상기 제 3일측에어백부로 상기 공기공급부가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견인부는 상기 둔부안착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둔부안착부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둔부안착부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둔부안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로드가 구비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일측에어백부 및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한 후 견인부를 통해 사용자의 하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에 따라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사용자의 척추 즉, 척추측만증을 보다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일실시예의 에어백부와 공기공급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일실시예의 중간에어백부가 사용자의 척추부위를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일실시예의 일측에어백부와 타측에어백부가 사용자의 일측 등부위와 타측 등부위를 각각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복수의 에어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복수의 에어백부와 공기공급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견인부를 이루는 엑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둔부안착부(20), 등받이부(30), 견인부(40), 하중감지부(50), 에어백부(60), 공기공급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사각틀형상 또는 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부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지지프레임(110)의 하부 각 모서리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프레임(1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다리(120);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둔부안착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안착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등받이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지지프레임(11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부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30)에는 사용자가 일정 각도로 누울 수 있도록 각도조절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각도조절수단(미도시)은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견인부(40)는 상기 둔부안착부(30)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지지프레임(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하게 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중감지부(50)는 로드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크게, 상기 둔부안착부(2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일측 하중과 타측 하중을 감지하는 일측하중감지부(510)와 타측하중감지부(520)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백부(60)는 중간에어백부(610)와 일측에어백부(620) 및 타측에어백부(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에어백부(610)는 상기 등받이부(30)의 전면 중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척추부위 중 특히 요추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일측에어백부(620)와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는 상기 등받이부(30)의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일측등부위와 타측등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도 4는 일실시예의 에어백부와 공기공급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공급부(70)는 에어컴프레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압공기공급라인(71)을 통해 상기 에어백부(6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71)은 주공급라인(710)과 분기공급라인(7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공급라인(710)의 타측은 상기 공기공급부(70)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기공급라인(720)은 상기 주공급라인(710)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기공급라인(720)의 일측, 중간 및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중간에어백부(610) 및 타측에어백부(630)와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기공급라인(720)의 일측, 중간 및 타측에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기공급라인(720)의 일측, 중간 및 타측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7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부(60)에는 상기 에어백부(60)의 내부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에어백부(60)로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출라인(6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640)에도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상기 배출라인(64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5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하중감지부(50)가 감지한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전원공급부(8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공급부(70)를 제어하여 상기 등받이부(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한 후 상기 견인부(40)를 제어하여 상기 둔부안착부(20)를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의 중간에어백부가 사용자의 척추부위를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기준공기압력값만큼 상기 중간에어백부(610)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작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9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분기공급라인(720)의 중간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730)가 상기 분기공급라인(720)의 중간을 완전개폐 또는 부분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척추부위(도 5의 일점쇄선 참조.)중 특히, 요추형상에 따라 상기 중간에어백부(61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이 조절될 수 있어 상기 중간에어백부(610)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추형상에 맞게 부풀어올라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일실시예의 일측에어백부와 타측에어백부가 사용자의 일측 등부위와 타측 등부위를 각각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10)와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20)가 각각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 및 타측 하중의 하중차이값과 상기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기준하중차이범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10)와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20)가 각각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 및 타측하중의 하중차이값이 상기 기준하중차이범위값내에 속한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의 척추가 일직선상태로 올바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중간에어백부(610) 및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로 상기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기준공기압력값만큼 동일한 공기압력량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10)와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20)가 각각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 및 타측 하중차이값이 상기 기준하중차이범위값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의 척추가 척추측만증에 의해 척추의 형상이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C'형 또는 'S'형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20)가 감지한 사용자의 타측 하중값이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10)가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의 척추가 신체의 우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에어백부(630)가 상기 일측에어백부(620)보다 더 부풀어 올라 사용자의 타측 등부위를 사용자의 전방방향으로 밀도록 상기 공기공급부(70)와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71)의 분기공급라인(72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7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값은 상기 중간에어백부(61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값보다 크고, 상기 일측에어백부(62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값은 상기 중간에어백부(61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값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일측하중감지부(510)가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값이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20)가 감지한 사용자의 타측 하중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의 척추가 신체의 좌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에어백부(620)가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보다 더 부풀어올라 사용자의 일측 등부위를 사용자의 전방방향으로 밀도록 상기 공기공급부(70)와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71)의 분기공급라인(72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7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에어백부(62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값은 상기 중간에어백부(61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값보다 크고,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값은 상기 중간에어백부(61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값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마다 서로 상이한 체중값에 따라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보정하는 보정부(도 3의 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정부(10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보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보정부(100)에 의해 보정된 공기압력값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부(70)와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71)의 분기공급라인(72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730)를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1]
보정된 공기압력값 = K × 기준공기압력값 × (L1 + L2)
여기서, K는 비례상수이고, L1은 상기 일측하중감지부(510)가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값이며, L2는 상기 타측하중감지부(520)가 감지한 사용자의 타측 하중값임.
도 8은 복수의 에어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에어백부(610),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30)의 전측 일측, 전면 중간 및 전면 타측에 각각 상기 등받이부(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중감지부(50)가 감지한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부(70)를 제어하여 복수의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및 복수의 상기 타측에어백부(630) 모두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에어백부와 공기공급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압공기공급라인(71)의 분기공급라인(720)의 일측 중간 및 타측은 각각 복수의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복수의 상기 중간에어백부(610) 및 복수의 상기 타측에어백부(630)와 각각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중간에어백부(610)는 상기 등받이부(30)의 전면 중간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 2, 3중간에어백부(611, 612, 61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에어백부(620)는 상기 등받이부(30)의 전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 2, 3일측에어백부(621, 622, 6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는 상기 등받이부(30)의 전면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 2, 3타측에어백부(631, 632, 6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공기공급부(70)는 상기 조작부(9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일측에어백부(621) 및 상기 제 3타측에어백부(633)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제 1일측에어백부(621) 및 상기 제 3타측에어백부(633)가 부풀어오르면서 사용자의 일측 상부 등부위를 사용자의 타측 하부 등부위를 사용자의 전방방향으로 밀면서 트위스팅상태로 안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70)는 상기 조작부(9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타측에어백부(637) 및 상기 제 3일측에어백부(623)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제 1타측에어백부(631) 및 상기 제 3일측에어백부(623)가 부풀어오르면서 사용자의 타측 상부 등부위와 사용자의 일측 하부 등부위를 사용자의 전방방향으로 밀면서 트위스팅상태로 안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견인부를 이루는 엑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견인부(40)는 상기 둔부안착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9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둔부안착부(20)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견인부(40)를 이루는 상기 엑추에이터는 일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리드스크류(410)와 구동모터(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410)는 상기 둔부안착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몸체(2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20)는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41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견인부(40)를 이루는 상기 엑추에이터는 다른예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가 신축되는 로드(431)가 구비되는 실린더(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430)의 로드(431)의 일측은 상기 둔부안착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몸체(210)에 일체연결되거나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30)의 실린더몸체(432)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상기 일측에어백부(620)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63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한 후 상기 견인부(40)를 통해 사용자의 하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에 따라 신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된 사용자의 척추 즉, 척추측만증을 보다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둔부안착부,
30; 등받이부, 40; 견인부,
50; 하중감지부, 60; 에어백부,
70; 공기공급부, 80; 제어부.

Claims (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하는 둔부안착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둔부안착부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하지를 견인하는 견인부와;
    상기 둔부안착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일측 하중 및 타측 하중을 감지하는 일측하중감지부 및 타측하중감지부로 구성되는 하중감지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중간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사용자의 척추부위 중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에어백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사용자의 일측등부위와 타측등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일측에어백부 및 복수의 타측에어백부로 구성되는 에어백부와;
    상기 에어백부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복수의 상기 중간에어백부가 사용자의 요추형상에 맞게 부풀어올라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기준공기압력값만큼 복수의 상기 중간에어백부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하중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하중값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일측에어백부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한 후 상기 견인부를 제어하여 상기 둔부안착부를 전후이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일측에어백부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정부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일측에어백부 및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수학식 1]
    보정된 공기압력값 = K × 기준공기압력값 × (L1 + L2)
    여기서, K는 비례상수이고, 기준공기압력값은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값이며, L1은 일측하중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값이고, L2는 타측하중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타측 하중값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측하중감지부와 상기 타측하중감지부가 각각 감지한 사용자의 일측 하중 및 타측 하중의 하중차이값과 기준하중차이범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일측에어백부 및 상기 타측에어백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에어백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중간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제 1, 2, 3중간에어백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에어백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제 1, 2, 3일측에어백부로 구성되며,
    상기 타측에어백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제 1, 2, 3타측에어백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일측에어백부 및 상기 제 3타측에어백부 또는 상기 제 1타측에어백부 및 상기 제 3일측에어백부로 상기 공기공급부가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둔부안착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둔부안착부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둔부안착부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둔부안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로드가 구비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KR1020180009796A 2018-01-26 2018-01-26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KR101943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96A KR101943352B1 (ko) 2018-01-26 2018-01-26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96A KR101943352B1 (ko) 2018-01-26 2018-01-26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437A Division KR20170067591A (ko) 2015-12-08 2015-12-08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132A KR20180014132A (ko) 2018-02-07
KR101943352B1 true KR101943352B1 (ko) 2019-01-29

Family

ID=6120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796A KR101943352B1 (ko) 2018-01-26 2018-01-26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3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4092A (ja) 2009-05-15 2010-11-25 Nitring Enterprise Inc 座椅子調整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1130811A (ja) 2009-12-22 2011-07-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マッサージ機
KR101551575B1 (ko) 2014-06-05 2015-09-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자세 교정 방석 및 그 운용방법
KR101567324B1 (ko) 2014-01-28 2015-11-20 윤종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JP5827713B2 (ja) 2014-03-11 2015-12-0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537Y1 (ko) 2005-08-09 2005-10-25 김광일 허리 및 목 견인용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4092A (ja) 2009-05-15 2010-11-25 Nitring Enterprise Inc 座椅子調整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1130811A (ja) 2009-12-22 2011-07-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マッサージ機
KR101567324B1 (ko) 2014-01-28 2015-11-20 윤종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JP5827713B2 (ja) 2014-03-11 2015-12-0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KR101551575B1 (ko) 2014-06-05 2015-09-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자세 교정 방석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132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KR102124863B1 (ko)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CN113727628B (zh) 用于对身体定位的设备
CN106942931A (zh) 可调节的座椅组件
KR102124864B1 (ko)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CN105784079A (zh) 一种用于气垫床的体重量测方法
KR101943352B1 (ko)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JP2011010695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11683636A (zh) 脊椎牵引装置及脊椎牵引方法
KR20170067591A (ko)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KR20140112855A (ko) 삼중 곡면 구조의 등받이형 척추 교정장치
EP2389843A1 (en) Mattress with an intrinsic contour feature
JP7377549B2 (ja) 改善された座席、人間工学椅子、又は車椅子の座席アセンブリ
KR20190048682A (ko) 자세 교정용 의자
CN114554954A (zh) 用于对人的盆骨进行位置和姿态确定的方法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2506043B1 (ko) 사용자 신체 맞춤형 요추 견인기
WO2022039001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又はシート
KR20210053002A (ko) 허리 보호 및 자세 교정 의자
EP4234199A3 (en) Seating apparatus
KR2003249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2383417Y (zh) 一种护腰坐具
RU28088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тела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а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JPH0910067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