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64B1 -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64B1
KR102124864B1 KR1020190146291A KR20190146291A KR102124864B1 KR 102124864 B1 KR102124864 B1 KR 102124864B1 KR 1020190146291 A KR1020190146291 A KR 1020190146291A KR 20190146291 A KR20190146291 A KR 20190146291A KR 102124864 B1 KR102124864 B1 KR 10212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traction
user
compressed air
air
cerv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규
배하석
Original Assignee
(주)씨비에이치
배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비에이치, 배하석 filed Critical (주)씨비에이치
Priority to KR102019014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64B1/ko
Priority to PCT/KR2019/015602 priority patent/WO202109593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61H2201/1607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판부 및 상기 등판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머리부를 견인하는 경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 견인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를 견인 방향으로 견인하도록 구동되는 실린더 구동부 및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승시키거나 감싸는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경추 견인부는,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구동부가 경추 견인 구동력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가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주입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 견인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TRACTION APPARATUS FOR CERVICAL VERTEBR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가 아픈 증세인 요통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인간이 진화하여 두발로 활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숙명적인 질환으로 남녀노소에 구별 없이 전 인구의 약 80% 이상이 요통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상술한 요통뿐만 아니라, 최근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장시간 고개를 숙이는 현상을 통해 이른 바 일자목(또는 거북목) 증상과 같은 경추 부위의 통증 질환도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상기 척추 질환은 특히 무거운 짐을 옮기는 노동자, 대부분의 시간을 잘못된 자세로 의자나 컴퓨터 앞에 앉아서 일하는 회사원 및 장시간 싱크대 앞에 서서 가사를 돌보는 주부 등 모든 사람에게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척추 질환은 디스크질환, 강직성 척추염, 척추판 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 분리증, 디스크 내장증, 급만성 요추염좌, 일자목, 거북목 증상 등으로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척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경직이 수반됨으로써 이 근육을 이완시켜주기만 해도 상당부분 완화될 수 있다.
상기한 척추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다양한 형태의 개선기구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들 개선 기구의 일례로는 주로 병원의 물리치료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견인장치 및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허리교정장치(복대)가 있다.
그러나 상기 견인장치는 장소에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물리치료사)의 협조가 동반되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야기되며, 상기 가정에서 사용하는 복대의 경우에는 척추 질환 중 요통의 개선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99537호(이하, '선행특허'라 한다)에 제안된 바와 같이, 하부에 지지 다리가 설치되고, 실린더기구의 조작에 따라 좌판이 선택적으로 승,하강 작동하는 의자를 구성한다.
선행특허는, 상기 실린더기구의 실린더 외측에 상, 하 이송 가능하게 등판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등판 지지대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좌판과 분리상태로 작동하는 등판으로 이루어지며, 현수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턱을 받쳐줌으로써 좌판의 하강시 체중에 상, 하체가 동시에 하강함으로써 목근육이 집중적으로 이완되어 목 디스크를 개선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척추를 구성하는 뼈와 뼈 사이의 Facet Joints(후관절) 공간을 복대를 이용하여 강제 인장시키는 점에서,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근육의 이완을 통한 목 디스크를 개선한다고는 하지만, 사용자(척추질환자)가 반드시 좌식 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급작스러운 이완에 의하여 무리를 사용자의 경추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9537호 (2005년 10월 18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경추를 견인함에 있어서 정상 척추 곡률의 범위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척추 교정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경추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판부 및 상기 등판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머리부를 견인하는 경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 견인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를 견인 방향으로 견인하도록 구동되는 실린더 구동부,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승시키거나 감싸는 경추 견인 에어 포켓,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가 지지되고, 전단부에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이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등판부에 형성된 경추견인부 설치홈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매개 결합시키는 매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 견인부는,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구동부가 경추 견인 구동력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가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주입되고,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압축 공기가 유동되는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실린더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분기 배관 및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연결되는 제2분기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의 경추 견인 준비를 위해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2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공급한 후,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실린더 구동부로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삭제
또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메인 배관과 상기 제1분기 배관 및 상기 제2분기 배관의 압축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 유동 제어 밸브;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을 통해 상승 및 감싸도록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압축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압축 공기가 주입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실린더 구동부로 경추 견인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은,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중앙을 상승시키도록 배치된 센터 에어 포켓 및 상기 사용자 목 뒷 부분 좌우 측부를 압박하도록 배치된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 및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추견인부 설치홈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경추 견인 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상기 경추 견인 가이드바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배면측 좌우 양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블록의 레일 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는, 좌판부 및 등판부에 착석한 사용자를 경추 견인 전에 상기 등판부를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등판부에 구비된 경추 견인부의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승 및 감싼 다음,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상기 경추 견인부를 견인하도록 구비된 실린더 구동부로 공급하여 사용자의 목 부위를 견인하되,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가 지지되고, 전단부에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이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등판부에 형성된 경추견인부 설치홈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매개 결합시키는 매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추 견인부를 이용하여 견인하고,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압축 공기가 유동되는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실린더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분기 배관, 및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연결되는 제2분기 배관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조절부의 구성 중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2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공급한 후,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실린더 구동부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제1분기 배관 및 제2분기 배관의 압축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공기 유동 제어 밸브 및 상기 제2분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 중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중앙을 상승시키도록 구비된 센터 에어 포켓과 연결되는 센터 에어 배관,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 중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좌우 측부를 압박하도록 구비된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 및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과 각각 연결된 좌측 사이드 에어 배관 및 우측 사이드 에어 배관의 압축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개별 제어 밸브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목 부위를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 및 상기 개별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이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승 및 감싸도록 제어한 후,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구동부로 상기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승 및 감싼 후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경추를 견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측면도로서 회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측면도로서 회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경추 견인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경추 견인부의 공압 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체적인 공압 배관을 나타낸 연결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경추 견인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추를 견인하기 전 및 후 모습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a 및 도 6b에 따른 목 상태를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측면도로서 회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측면도로서 회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된 좌판부(20)와, 좌판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위가 지지되고, 좌판부(20)의 후단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등판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1)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척추측만증, 요통 및 거북목 증후군 등을 교정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환자로 한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와 같은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척추측만증 등을 포함하는 요통 또는 거북목 증후군을 포함하는 경통 등을 예방하고자 하는 일반 정상적인 사용자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거북목 증후군을 앓고 있으면서 이를 교정하고자 하는 교정 환자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등판부(30)는, 도 2a 및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좌판부(20)의 후단부에 대하여 그 선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이하에서는 각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방향을 지시할 때, 도 2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등판부(30)가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등판부(30)의 상단부 또는 상부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지지되는 측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등판부(30)의 하단부 또는 하부는 그 반대 측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좌판부(100)는, 도 1 내지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좌우로 소정거리 이격되되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좌측 바닥 프레임(도면부호 미표기) 및 우측 바닥 프레임(도면부호 미표기)과,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전후로 소정거리 이격되되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일단과 타단이 각각 좌측 바닥 프레임 및 우측 바닥 프레임에 연결되는 전방 바닥 프레임(도면부호 미표기) 및 후방 바닥 프레임(도면부호 미표기)으로 짜여진 사각 형상 프레임과, 사각 형상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 또는 이에 인접되는 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좌판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4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 프레임(도면부호 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측의 좌판부(20) 및 후방부의 등판부(30)를 움직이는 좌판측 구동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좌판측 구동부(40) 중 일부는 좌판부(2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게 착석한 사용자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도록 좌판부(20)를 상하로 움직이거나, 사용자의 하반신을 전방으로 견인하도록 좌판부(20)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판측 구동부(40) 중 일부는 좌판부(20)를 소정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도록 움직이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40) 중 일부는, 좌판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반신을 등판부(30)를 회동시켜 뒤로 눕힐 수 있도록 등판부(30)를 움직일 수 있다. 즉, 등판부(30)는, 좌판부(20)의 후단부에 구비된 힌지 구조체(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하여 상단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40) 중 일부가 등판부(3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40)는, 작동 중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물리적 충격이 완화되도록 공압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고,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되는 피스톤에 결합된 다양한 링크 연결 구조체(도면부호 미표기)를 통해 각각 좌판부(20) 및 등판부(30)에 독립적 또는 연동하여 소정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등판부(30)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 및 견인하는 구성으로써, 등판 가이드 레일(35)을 통해 움직임이 안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판부(20)의 후단부에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등판 가이드 레일(35)이 평행되게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등판 가이드 레일(35)은, 사용자의 좌측 부위를 지지 및 가이드 하도록 구비된 좌측 등판 레일(35a)과, 사용자의 우측 부위를 지지 및 가이드 하도록 구비된 우측 등판 레일(35b)을 포함할 수 있다.
등판부(30)는, 좌측단부가 한 쌍의 등판 가이드 레일(35a,35b) 중 좌측에 위치된 좌측 등판 레일(3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우측단부가 한 쌍의 등판 가이드 레일(35a,35b) 중 우측에 위치된 우측 등판 레일(35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등판부(30)의 배면 측에는 등판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소정의 구동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경추 견인부(6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소정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등판측 구동부(50a,50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등판부(30)를 구동시키는 것은 요추 견인 구동부(50a)라 칭하고, 경추 견인부(60)를 구동시키는 것은 경추 견인 구동부(50b)라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좌측 등판 레일(35a)과 우측 등판 레일(35b)에 연결된 등판부(30)는, 등판측 구동부(50a,50b)의 구성 중 요추 견인 구동부(50a)의 구동에 의하여 한 쌍의 등판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요추를 견인할 수 있다. 실제 사용자의 요추를 견인할 경우에는 등판부(30)의 선단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견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판부(30)는, 대략 4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로써, 상측에 후술하는 경추 견인부(60)가 구비될 수 있는 설치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추 견인부(60)의 하측으로써, 등판부(30)의 중앙 부분에는 상하로 길게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척추 형태를 검출하는 척추 형상 검출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척추 형상 검출부는, 사용자가 경추 견인부(60)의 후술하는 헤드 레스트(61)에 머리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 부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무빙되어 사용자의 척추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척추 형상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척추 형태에 따라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 질환을 진단할 수 있고, 척추 형상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 따른 적절한 요추 견인량 및 경추 견인량을 설정할 수 있다.
좌판부(20)와 등판부(3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 및 지지되도록 미도시의 쿠션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쿠션부는, 골격 형태로 구비된 좌판부(20)와 등판부(30)의 외면을 감싸는 구성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채용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좌판부(20)의 상면과 등판부(30)의 전면에는 다수의 에어 포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에어 포켓은, 내부로 압축 공기가 주입될 경우, 좌판부(20)와 쿠션부 및 등판부(30)와 쿠션부 사이에서 부풀어 오르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수의 에어 포켓이 사용자를 가압하게 되면, 사용자는 해당하는 에어 포켓에 대한 압축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좌판부(20)에 착석한 상태 또는 좌판부(20)와 등판부(30)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요동될 수 있다.
다수의 에어 포켓에는 압축 공기가 개별적으로 주입되거나 배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좌판부(20) 및 등판부(30)에 착석 또는 누워 있는 상태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요동시켜 사용자에게 진단된 척추 질환 등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와는 무관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경추 견인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경추 견인부의 공압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4의 구체적인 공압 배관을 나타낸 연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경추 부위를 견인하는 경추 견인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추 견인부(60)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등판부(30)의 상단부 일부를 점하도록 등판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 견인부(60)는, 등판부(30)의 상단부 중앙에서 하측으로 절개된 사각형 형상으로 절개된 경추견인부 설치홈(33)에 설치될 수 있다.
경추 견인부(60)는, 등판부(3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 견인부(60)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부분(특히, 후두부)이 지지되는 헤드 레스트(61)와, 헤드 레스트(61)가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61)를 등판부(30)의 경추견인부 설치홈(33)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3)와, 헤드 레스트(61)를 슬라이딩 플레이트(63)에 매개 결합시키는 매개 플레이트(65)를 포함할 수 있다.
경추견인부 설치홈(33)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경추 견인 가이드바(66)가 구비되고, 경추 견인 가이드바(66)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3)의 배면측 좌우 양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블록(64)의 레일 홈(도면부호 미표기)에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64)은 슬라이딩 플레이트(63)의 배면 좌우 양측에 각각 단수개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경추 견인부(60)의 구성 중 헤드 레스트(61)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부(특히, 후두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후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헤드 레스트(61)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목 뒷 부분 및 좌우 측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이 구비될 수 있다.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은, 좌판부(20) 및 등판부(30)에 누워 있는 상태의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중앙을 상승시키도록 배치된 센터 에어 포켓(62a)과, 센터 에어 포켓(62a)의 좌우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좌우 측부를 압박하는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62b) 및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62c)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에어 포켓(62a)과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62b) 및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62c)은 동시에 압축 공기가 주입되면 부풀어 오르면서,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중앙과 목 뒷 부분 좌우 측부를 감싸면서 경추 견인부(60)가 사용자의 경추를 견인하기 위하여 상부(사용자가 누운 상태인 경우 등판부(30)의 후방)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경추 견인 동작을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이 구비되지 않고, 헤드 레스트(61)에만 사용자의 머리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경추 견인 동작이 진행될 경우, 사용자의 머리부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거북목 증후군에 따른 통증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데,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은 상술한 통증 유발을 방지하면서도 후술하는 경추 견인 구동부(50b)가 제공하는 기 설정된 구동력에 대응되는 경추 견인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아울러, 등판부(30)의 배면 측에는 등판측 구동부(50a,50b)의 구성 중 요추 견인 구동부(50a)와는 별개로 경추 견인부(6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소정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추 견인 구동부(50b)가 구비될 수 있다.
요추 견인 구동부(50a)와 경추 견인 구동부(50b)는 각각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작동 구성이 등판부(30) 및 경추 견인부(60)로써 상이하나, 압축 공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점에서 공통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 견인 구동부(50b)는, 압축 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피스톤(51a)을 동작시키는 실린더 구동부(51)로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구동부(51)는, 일단부가 헤드 레스트(61) 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피스톤(51a)의 선단부에 연결된 연결 로드(52)를 매개로 헤드 레스트(61)에 경추 견인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로드(52)는 피스톤(51a)의 이동 거리와 동일한 이동 거리로 이동될 수 있고, 연결 로드(52)의 이동 거리만큼 헤드 레스트(61)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경추를 견인할 수 있다.
연결 로드(52)와 헤드 레스트(61) 사이에는 하중 감지부(후술하는 도 6a 및 도 6b의 도면부호 "5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하중 감지부(53)는, 사용자의 머리부에 의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중 감지부(53)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나 로드 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린더 구동부(51)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등판부(30)의 배면 측에 구비된 압축공기 조절부(55)에 의한 압축 공기의 주입 및 배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구동부(51)의 피스톤(51a)을 경추 견인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압축공기 조절부(55)는, 압축 공기를 생성하여 공급하거나 수용하는 탱크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 공기의 실린더 구동부(51)에 대한 주입 및 배기가 가능한 구성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채용도 가능하다.
압축공기 조절부(55)에 의하여 생성된 압축 공기는, 상술한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의 작동에도 관여할 수 있다. 즉,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조절부(55)와 실린더 구동부(51) 및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 사이에는 메인 배관(56)과, 제1분기 배관(57a) 및 제2분기 배관(57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배관(56)과 제1분기 배관(57a) 및 제2분기 배관(57b) 사이에는 공기 유동 조절 밸브(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배관(56)은, 압축공기 조절부(55)와 제1분기 배관(57a) 및 제2분기 배관(57b) 사이에서 압축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유동로이고, 제1분기 배관(57a)은 공기 유동 조절 밸브(58)에 의하여 메인 배관(56)과 실린더 구동부(51) 사이에서 압축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유동로이며, 제2분기 배관(57b)은 공기 유동 조절 밸브(58)에 의하여 메인 배관(56)과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 사이에서 압축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유동로일 수 있다.
메인 배관(56)과, 제1분기 배관(57a) 및 제2분기 배관(57b)은 금속 배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고무 재질의 호스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분기 배관(57a)은 실린더 구동부(51)가 피스톤(51a) 외에 나머지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금속 배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제2분기 배관(57b)은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이 구비된 헤드 레스트(61)가 움직이도록 구비된 점에서 호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과 연결된 제2분기 배관(57b)에는 각각의 에어 포켓에 대한 압축 공기 주입량 및 배기량을 조절하는 개별 제어 밸브(5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분기 배관(57b)은 개별 제어 밸브(59)를 매개로 각각 센터 에어 포켓(62a)과 연결되는 센터 에어 배관(62a')과,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62b)과 연결되는 우측 사이드 에어 배관(62b') 및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62c)과 연결되는 좌측 사이드 에어 배관(6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제어 밸브(59)는, 사용자의 목 형태 및 경추 질환 증상 정도에 따라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 중 센터 에어 포켓(62a)에 대한 압축 공기 주입량을 상이하게 제어하여 센터 에어 포켓(62a)에 의해 상승하는 사용자 목(경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제어 밸브(59)는, 상술한 하중 감지부(53)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머리부 하중에 따라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 중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62b) 및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62c)에 대한 압축 공기 주입량을 상이하게 제어하여 사용자의 목(경추)을 감싸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제어 밸브(59)는,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62b) 및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62c)에 주입되는 압축 공기의 주입량을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부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심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추 견인 또는 경추 견인 과정에서 사용자의 척추 질환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 및 사용자에게 최적의 교정이 이루어지는 자세로 견인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경추 견인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추를 견인하기 전 및 후 모습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a 및 도 6b에 따른 목 상태를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경추 견인을 위하여 사용자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1)의 구성 중 좌판부(20)에 착석시킨 후 등판부(30)를 좌판측 구동부(40)를 이용하여 좌판부(20)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 회동시켜 사용자를 좌판부(20) 및 등판부(30) 위에 눕는 자세로 변경한다. 이때, 사용자는 머리부가 경추 견인부(60)의 구성 중 헤드 레스트(61)에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경추 견인 구동부(55)를 일시적으로 작동시켜 경추 견인부(60)의 위치가 사용자의 머리부와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 및 척추 질환 정도에 따라 좌판측 구동부(40)를 이용하여 좌판부(20)의 높이 및 등판부(30)의 회동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좌판부(20) 및 등판부(30)에 누운 자세의 사용자 경추 견인을 위하여, 도 6a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조절부(55)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메인 배관(56)-제2분기 배관(57b)-[센터 에어 배관(62a'), 우측 사이드 에어 배관(62b') 및 좌측 사이드 에어 배관(62c')]을 통하여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로 공급되도록 공기 유동 제어 밸브(58) 및 개별 제어 밸브(59)를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의 목 부위(N)는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 중 센터 에어 포켓(62a)에 의하여 상측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 중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62b) 및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62c)에 의하여 안정적인 경추 견인이 가능하도록 감싸여진다.
다음으로,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부위(N)를 경추 견인 에어 포켓(62a,62b,62c)을 이용하여 경추 견인 준비를 완료한 다음, 압축공기 조절부(55)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메인 배관(56)-제1분기 배관(57a)-실린더 구동부(51)로 공급되도록 공기 유동 제어 밸브(58)를 제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실린더 구동부(51)의 피스톤(51)의 이동 경로만큼 등판부(30)에 대하여 견인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경추를 견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경추 견인 장치 10: 베이스 프레임
20: 좌판부 30: 등판부
35: 등판 가이드 레일 40: 좌판측 구동부
50: 등판측 구동부 50a: 요추 견인 구동부
50b: 경추 견인 구동부 51: 실린더 구동부
51a: 피스톤 52: 연결 로드
53: 하중 감지부 55: 압축공기 조절부
56: 메인 배관 57a: 제1분기 배관
57b: 제2분기 배관 58: 공기 유동 조절 밸브
59: 개별 제어 밸브 60: 경추 견인부
61: 헤드 레스트 62a: 센터 에어 포켓
62b: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 62c: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
63: 슬라이딩 플레이트 64: 가이드 블록
65: 매개 플레이트 66: 경추 견인 가이드바

Claims (11)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판부; 및
    상기 등판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머리부를 견인하는 경추 견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 견인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를 견인 방향으로 견인하도록 구동되는 실린더 구동부;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승시키거나 감싸는 경추 견인 에어 포켓;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가 지지되고, 전단부에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이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등판부에 형성된 경추견인부 설치홈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매개 결합시키는 매개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 견인부는,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구동부가 경추 견인 구동력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가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주입되고,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압축 공기가 유동되는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실린더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분기 배관; 및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연결되는 제2분기 배관; 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의 경추 견인 준비를 위해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2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공급한 후,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실린더 구동부로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경추 견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메인 배관과 상기 제1분기 배관 및 상기 제2분기 배관의 압축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 유동 제어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경추 견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을 통해 상승 및 감싸도록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압축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를 제어하는, 경추 견인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압축 공기가 주입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실린더 구동부로 경추 견인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를 제어하는, 경추 견인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은,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중앙을 상승시키도록 배치된 센터 에어 포켓; 및
    상기 사용자 목 뒷 부분 좌우 측부를 압박하도록 배치된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 및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 을 포함하는, 경추 견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견인부 설치홈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경추 견인 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상기 경추 견인 가이드바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배면측 좌우 양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블록의 레일 홈에 삽입 결합되는, 경추 견인 장치.
  9. 좌판부 및 등판부에 착석한 사용자를 경추 견인 전에 상기 등판부를 상기 좌판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등판부에 구비된 경추 견인부의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승 및 감싼 다음,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상기 경추 견인부를 견인하도록 구비된 실린더 구동부로 공급하여 사용자의 목 부위를 견인하되,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가 지지되고, 전단부에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이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등판부에 형성된 경추견인부 설치홈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매개 결합시키는 매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상기 경추 견인부를 이용하여 견인하고,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압축 공기가 유동되는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실린더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분기 배관, 및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연결되는 제2분기 배관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조절부의 구성 중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2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에 공급한 후,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분기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를 상기 실린더 구동부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경추 견인 장치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제1분기 배관 및 제2분기 배관의 압축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공기 유동 제어 밸브; 및
    상기 제2분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 중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중앙을 상승시키도록 구비된 센터 에어 포켓과 연결되는 센터 에어 배관,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 중 사용자의 목 뒷 부분 좌우 측부를 압박하도록 구비된 좌측 사이드 에어 포켓 및 우측 사이드 에어 포켓과 각각 연결된 좌측 사이드 에어 배관 및 우측 사이드 에어 배관의 압축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개별 제어 밸브; 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목 부위를 견인하는, 경추 견인 장치의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조절부는,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 및 상기 개별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경추 견인 에어 포켓이 사용자의 목 부위를 상승 및 감싸도록 제어한 후, 상기 공기 유동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구동부로 상기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경추 견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146291A 2019-11-15 2019-11-15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91A KR102124864B1 (ko) 2019-11-15 2019-11-15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15602 WO2021095930A1 (ko) 2019-11-15 2019-11-15 경추 견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추 견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91A KR102124864B1 (ko) 2019-11-15 2019-11-15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64B1 true KR102124864B1 (ko) 2020-06-23

Family

ID=7113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291A KR102124864B1 (ko) 2019-11-15 2019-11-15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4864B1 (ko)
WO (1) WO20210959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4327A (zh) * 2020-06-24 2020-09-29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一种颈椎辅助治疗装置
CN112022614A (zh) * 2020-08-28 2020-12-04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放疗后上肢护理锻炼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217A (ko) * 2022-01-12 2023-07-20 (주)씨비에이치 척추 스트레칭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37B1 (ko) 2000-05-23 2003-09-26 김영인 3차원 가상현실 쇼핑몰을 통한 구매장치 및 그 방법
KR100817886B1 (ko) * 2007-08-31 2008-03-31 주식회사 나인텍 경추 견인용 의자
KR100886667B1 (ko) * 2008-12-02 2009-03-04 주식회사 나인텍 자중 경추견인의자
KR20100002612U (ko) * 2008-08-29 2010-03-10 박영근 경추 견인 기구
JP2011160937A (ja) * 2010-02-09 2011-08-25 Og Giken Co Ltd 牽引治療装置
KR20160010790A (ko) * 2014-07-18 2016-01-28 (주)우리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KR20180055624A (ko) * 2016-11-16 2018-05-25 윤종규 척추 곡률에 따른 척추 인장 및 교정 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37B1 (ko) 2000-05-23 2003-09-26 김영인 3차원 가상현실 쇼핑몰을 통한 구매장치 및 그 방법
KR100817886B1 (ko) * 2007-08-31 2008-03-31 주식회사 나인텍 경추 견인용 의자
KR20100002612U (ko) * 2008-08-29 2010-03-10 박영근 경추 견인 기구
KR100886667B1 (ko) * 2008-12-02 2009-03-04 주식회사 나인텍 자중 경추견인의자
JP2011160937A (ja) * 2010-02-09 2011-08-25 Og Giken Co Ltd 牽引治療装置
KR20160010790A (ko) * 2014-07-18 2016-01-28 (주)우리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KR20180055624A (ko) * 2016-11-16 2018-05-25 윤종규 척추 곡률에 따른 척추 인장 및 교정 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4327A (zh) * 2020-06-24 2020-09-29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一种颈椎辅助治疗装置
CN111714327B (zh) * 2020-06-24 2022-04-12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一种颈椎辅助治疗装置
CN112022614A (zh) * 2020-08-28 2020-12-04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放疗后上肢护理锻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5930A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64B1 (ko)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20200236B2 (en) An orthopedic chair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2124863B1 (ko)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KR101582872B1 (ko)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925101B2 (en) Balance bed
US20100037397A1 (en) Bed
SG189446A1 (en) Chair-type mass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hair-type massage device
JP2008178491A (ja) マッサージ椅子
WO2015023089A1 (ko)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180032050A (ko) 욕창방지 및 자세교정 방석
KR100739020B1 (ko) 요추 견인 치료장치
US20210361513A1 (en) Spinal traction device
KR102164336B1 (ko) 자세교정용 좌판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KR102007328B1 (ko) 척추 견인장치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KR101198554B1 (ko) 좌석 시트의 안착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0930446B1 (ko) 척추 교정 기능을 구비한 의자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KR20210053002A (ko) 허리 보호 및 자세 교정 의자
CN211583887U (zh) 一种骨科患者专用座椅
KR101943352B1 (ko) 척추 분절운동을 통한 예방기기
AU2005201183B2 (en) Physical Therapy Support Su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Therapy
RU2661585C2 (ru) Способ разгрузки позвоночного столб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