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886B1 - 경추 견인용 의자 - Google Patents

경추 견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886B1
KR100817886B1 KR1020070088370A KR20070088370A KR100817886B1 KR 100817886 B1 KR100817886 B1 KR 100817886B1 KR 1020070088370 A KR1020070088370 A KR 1020070088370A KR 20070088370 A KR20070088370 A KR 20070088370A KR 100817886 B1 KR100817886 B1 KR 10081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chanism
chair
cylinder
nec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화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텍
Priority to KR102007008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경추를 운동 및 자세 교정할 수 있도록 된 경추 견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구동장치(200)를 이용하여 목받침대(100)를 회동시켜, 목받침대(100)가 사용자의 목 둘레부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승강구동장치(300)로 목받침대(100)를 상승시켜 사용자의 머리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경추를 운동 및 자세교정 시키므로써, 경추의 운동부족 또는 자세불량에 의해 통증이나 질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경추 견인용 의자{cervical vertebrae training chair}
본 발명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경추를 운동 및 자세 교정할 수 있도록 된 경추 견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시트부와, 등받이부 및 등받이부의 상측에 구비된 헤드레스트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부와 헤드레스트에 등과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부의 하측에는 시트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그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부는 필요에 따라 뒤쪽으로 기울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최근들어, 장시간 의자에 앉은 상태로 사무를 보거나 공부 또는 컴퓨터를 하는 경우가 늘어감에 따라, 자세불량이나 운동부족에 의해 목이나 어깨근육에 통증이 발생되고 심할 경우, 경추가 틀어지는 목관절 퇴행현상이 발생되어 이에따른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간단하게 경추를 운동 및 자세교정 할 수 있도록 된 경추 견인용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부와;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의 상측에 구비된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측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목 양측 둘레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한쌍의 목받침대와;
상기 목받침대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장치와;
상기 목받침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는 회동구동장치(200)를 이용하여 목받침대(100)를 회동시켜, 목받침대(100)가 사용자의 목 둘레부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승강구동장치(300)로 목받침대(100)를 상승시켜 사용자의 머리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경추를 운동 및 자세교정 시키므로써, 경추의 운동부족 또는 자세불량에 의 해 통증이나 질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10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는 시트부(10)와; 등받이부(20)와; 등받이부(20)의 상측에 구비된 헤드레스트(30)가 구비된 것은 종래의 의자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시트부(10)의 하측에는 시트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그(40)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부(20)는 필요에 따라 뒤쪽으로 기울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30)는 등받이부(2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의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된 쿠션부(3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에는, 상기 등받이부(20)의 배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2 실린더기구(330)와, 상기 헤드레스트(3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실린더기구(3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목받침대(100)와, 상기 목받침대(100)에 연결된 제1 실린더기구(240)와,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에 연결되어 제2 실린더기구(330)를 신축시키므로써 목받침대(1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300)와,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에 연결되어 제1 실린더기구(240)를 신축시키므로써 목받침대(100)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장치(2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20)의 배면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목받침대(10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는 상기 등받이부(20)의 배면에 구비된 실린더(331)와, 상기 실린더(33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332)과, 상기 피스톤(332)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333)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피스톤로드(333)의 상단에 상기 목받침대(100)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장치(30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신축되어, 헤드레스트(30)의 양측에 구비된 목받침대(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목받침대(100)는 강도가 높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프레임의 외부에 쿠션재를 씌워 구성된 것으로, 기단부가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의 피스톤로드(333)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져,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목 양측 둘레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목받침대(100)는 프레임의 기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피니언기어(102)가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의 피스톤로드(3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므로써, 제2 실린더기구(330)의 피스톤로드(33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30)의 지지프레임(31)에 구비된 실린더(241)와, 상기 실린더(241)의 내부에 장착되는 한쌍의 피스톤(244)과, 상기 피스톤(244)에 각각 연결되어 실린더(241)의 양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둘레면에는 상기 목받침대(100)의 피니언기어(102)와 치합되는 랙기어부(246)가 형성된 한쌍의 피스톤로드(245)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241)는 상기 헤드레스트(30)의 지지프레임(31) 중간부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며, 길이방향 중앙부와 양단에는 상기 회동구동장치(200)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 통기공(242,24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동구동장치(200)을 이용하여 제1 또는 제2 통기공(242,243)을 통해 실린더(24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각 피스톤(244)과 상기 피스톤(244)에 연결된 피스톤로드(245)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전후진되면서 제1 실린더기구(240)의 길이가 신축되어, 랙기어부(246)와 치합된 피니언기어(102) 및 목받침대(100)를 회동시킨다.
상기 피스톤로드(245)는 상기 피스톤(244)에 직결된 제1 피스톤로드(245a)와, 상기 제1 피스톤로드(245a)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랙기어부(246)가 형성된 제2 피스톤로드(245b)로 구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기어(102)의 상하단에는 플랜지부(102a)가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45)가 플랜지부(102a)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승강구동장치(300)는 도 5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에어공급라인(340)을 통해 제2 실린더기구(330)에 연결되어 제2 실린더기구(33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펌프(310)와; 상기 제2 에어공급라인(34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절환밸브(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공기펌프(3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10)의 왼쪽 측면에 고정장착된 실린더(311)와, 실린더(311)의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312)과, 상기 피스톤(312)에 연결되며 실린더(311)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로드(313)와, 상기 시트부(10)의 왼쪽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부에 상기 피스톤로드(313)가 연결된 회동레버(314)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311)의 일측는 상기 제2 에어공급라인(340)에 연결된 배기구(315)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회동레버(314)를 손으로 잡고 전후로 밀어 회동시키면, 피스톤로드(313)와 피스톤(312)이 전후진되며, 배기구(315)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제2 절환밸브(3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322)이 형성되고 둘레면에 상기 관통공(322)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기구(323)가 형성된 밸브바디(321)와, 상기 관통공(322)에 기밀하게 삽입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기구(323)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흡기구(326)가 형성된 회전블록(32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기구(326)는 제2 공기펌프(310)의 배기구(315)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구(323)는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블록(325)을 회전시켜 흡기구(326)를 배기구(323)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면, 제1 공기펌프(220)에서 공급되는 제2 실린더기구(33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2 실린더기구(330)를 각기 별도로 신장시키거나, 동시에 신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2개의 제2 실린더기구(330)를 동시에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구동장치(2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에어공급라인(210)을 통해 제1 실린더기구(240)에 연결되어 제1 실린더기구(24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펌프(220)와; 상기 제1 에어공급라인(2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절환밸브(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공기펌프(220)는 전술한 승강구동장치(300)의 제2 공기펌프(3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회동레버(224)를 전우방으로 회동시켜 고압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트부(10)의 오른쪽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절환밸브(230)는 승강구동장치(300)의 제2 절환밸브(320)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에 연결되는 도시안된 2개의 배기구가 형성된 밸브바디(232)와, 상기 밸브바디(232)에 설치되어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회전블록(231)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회전블록(231)을 회전시켜 각 배기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의 제1 및 제2 통기공(242,243)으로 공급하므로써, 제1 실린더기구(240)를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같이 구성된 경추견인용 의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부(20)를 편안한 각도로 눕혀 고정한 후, 상기 제1 절환밸브(230)를 조임으로 설정한 후 제1 공기펌프(220)를 작동시키면, 제1 실린더기구(240)가 신장되어 목받침대(100)가 회동되면서 점점 조여져 목의 둘레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2개의 제2 실린더기구(330)가 모두 신장되도록 제2 절환밸브(320)를 조절한 후, 제2 공기펌프(310)를 작동시키면, 2개의 제2 실린더기구(330)가 동시에 신장되면서 목받침대(10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므로써, 경추와 경추를 감싸는 근육을 신장시켜 운동 및 자세 교정시킨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30)는 목받침대(100)의 상승에 추종하여 같이 상승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2개의 제2 실린더기구(330)중에서 한쪽만 신장되도록 제2 절환밸브(320)를 조절한 후, 제2 공기펌프(310)를 작동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목받침대(100)만 상승되며, 이에 추종하여,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가 회동되면서 헤드레스트(30)가 상승되어, 목의 한쪽 근육을 스트레칭하거나 목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의 피스톤로드(245)는 제2 피스톤로드(245b)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중간부가 구부러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술한 과정의 반대 단계를 거쳐 운동을 끝낼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경추 견인용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회동구동기구와 승강구동기구를 작동시켜 목받침대(100)로 목을 감싼 상태에서 상측으로 잡아당겨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운동부족이나 자세불량에 의해 목이나 어깨근육에 통증이 발생되거나, 경추가 틀어지는 목관절 퇴행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경추 견인용 의자는 평상시에는 일반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만 경추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경추운동을 위한 별도의 기구가 필요 없어서 기구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공기펌프(220,310)가 수동식으로 구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식 공기펌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동기구의 제1 실린더기구(240)는 랙기어부(246)와 피니언기어(102)를 이용하여 목받침대(100)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었으나, 한쌍으로 구성된 제1 실린더기구(240)의 피스톤로드(245)를 목받침대(100)의 프레임에 각각 힌지결합하여, 제1 실린더기구(240)의 신축에 의해 목받침대(100)가 회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 제1 실린더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 승강구동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의 승강구동장치의 제2 공기펌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 승강구동장치의 제2 절환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 승강구동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삭제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 회동구동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용 의자의 승강구동장치의 사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Claims (3)

  1. 시트부(10)와; 등받이부(20)와; 등받이부(20)의 상측에 구비된 헤드레스트(30)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2 실린더기구(330)와;
    상기 헤드레스트(3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기단부가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져,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목 양측 둘레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한쌍의 목받침대(100)와;
    상기 목받침대(100)에 연결되어 신축시 상기 목받침대(100)를 회동시키는 제1 실린더기구(240)와;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에 연결되어 제2 실린더기구(330)를 신축시키므로써 목받침대(1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300)와;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에 연결되어 제1 실린더기구(240)를 신축시키는 회동구동장치(2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견인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장치(300)는
    제2 에어공급라인(340)을 통해 제2 실린더기구(330)에 연결되어 제2 실린더기구(33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펌프(310)와;
    상기 제2 에어공급라인(34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린더기구(330)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절환밸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동장치(200)는
    제1 에어공급라인(210)을 통해 제1 실린더기구(240)에 연결되어 제1 실린더기구(24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펌프(220)와;
    상기 제1 에어공급라인(2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실린더기구(240)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절환밸브(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용 의자.
KR1020070088370A 2007-08-31 2007-08-31 경추 견인용 의자 KR100817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370A KR100817886B1 (ko) 2007-08-31 2007-08-31 경추 견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370A KR100817886B1 (ko) 2007-08-31 2007-08-31 경추 견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886B1 true KR100817886B1 (ko) 2008-03-31

Family

ID=3941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370A KR100817886B1 (ko) 2007-08-31 2007-08-31 경추 견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8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84B1 (ko) 2011-09-16 2013-07-08 박상일 목 디이스크환자를 위한 견인장치
KR101374570B1 (ko) * 2011-05-24 2014-03-25 박영순 기능성 의자
KR20180064752A (ko) * 2016-12-06 2018-06-15 이상필 거북목 교정용 의자
CN108379034A (zh) * 2018-04-18 2018-08-10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促进脑脊液循环与交换的老年痴呆症治疗装置系统
KR102124864B1 (ko) * 2019-11-15 2020-06-23 (주)씨비에이치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29510A (ko) * 2019-09-06 2021-03-16 이상필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CN114451748A (zh) * 2021-12-21 2022-05-10 袁嘉艺 一种纠正坐姿的装置及纠正方法
CN116473805A (zh) * 2023-04-24 2023-07-25 仪征市人民医院 一种多功能颈椎牵引下颌托架支撑器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145A (en) 1975-07-07 1976-06-01 Scarbrough Gilbert R Heat therapy and spinal traction chair
KR200216138Y1 (ko) 2000-09-19 2001-03-15 유한길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323761Y1 (ko) 2003-06-02 2003-08-19 정철웅 경추교정의자
KR200324938Y1 (ko) 2003-06-03 2003-09-02 유한길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422529Y1 (ko) 2005-10-25 2006-07-31 황종혁 요추이완장치가 구비된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145A (en) 1975-07-07 1976-06-01 Scarbrough Gilbert R Heat therapy and spinal traction chair
KR200216138Y1 (ko) 2000-09-19 2001-03-15 유한길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323761Y1 (ko) 2003-06-02 2003-08-19 정철웅 경추교정의자
KR200324938Y1 (ko) 2003-06-03 2003-09-02 유한길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422529Y1 (ko) 2005-10-25 2006-07-31 황종혁 요추이완장치가 구비된 의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570B1 (ko) * 2011-05-24 2014-03-25 박영순 기능성 의자
KR101283784B1 (ko) 2011-09-16 2013-07-08 박상일 목 디이스크환자를 위한 견인장치
KR20180064752A (ko) * 2016-12-06 2018-06-15 이상필 거북목 교정용 의자
CN108379034A (zh) * 2018-04-18 2018-08-10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促进脑脊液循环与交换的老年痴呆症治疗装置系统
KR20210029510A (ko) * 2019-09-06 2021-03-16 이상필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KR102253084B1 (ko) * 2019-09-06 2021-05-14 이상필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KR102124864B1 (ko) * 2019-11-15 2020-06-23 (주)씨비에이치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95930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씨비에이치 경추 견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추 견인 방법
CN114451748A (zh) * 2021-12-21 2022-05-10 袁嘉艺 一种纠正坐姿的装置及纠正方法
CN114451748B (zh) * 2021-12-21 2023-11-24 袁嘉艺 一种纠正坐姿的装置及纠正方法
CN116473805A (zh) * 2023-04-24 2023-07-25 仪征市人民医院 一种多功能颈椎牵引下颌托架支撑器具
CN116473805B (zh) * 2023-04-24 2023-11-24 仪征市人民医院 一种多功能颈椎牵引下颌托架支撑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886B1 (ko) 경추 견인용 의자
KR102124863B1 (ko)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JP4320196B2 (ja) 休息用椅子型施療機
CN106510924A (zh) 一种可个性化调节曲度的分段式脊柱牵伸床
CN106726192A (zh) 病人护理轮椅
KR200434785Y1 (ko)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
CN108743312B (zh) 一种用于缓解康复颈椎病的靠背椅
JP2003289975A (ja) 椅 子
KR101841223B1 (ko) 목과 척추의 스트레칭 견인을 이용한 기능성 신체 교정장치
CN211797559U (zh) 脊椎牵引器
CN208626168U (zh) 一种背部理疗设备
KR20160055427A (ko)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
CN1204502A (zh) 椅式按摩机
CN211132078U (zh) 按摩椅
KR200385453Y1 (ko) 개량된 구조를 가진 스트레칭 기구
CN209107833U (zh) 一种方便调节座椅宽度的医疗康复轮椅
KR20120080706A (ko) 스트레칭 기구
CN207493117U (zh) 一种全自动健身运动椅
KR20210053002A (ko) 허리 보호 및 자세 교정 의자
JP4154934B2 (ja) マッサージ椅子
CN220588871U (zh) 一种折叠电动倒立机
CN220025508U (zh) 一种靠背角度可调节的按摩椅
CN219001092U (zh) 一种按摩座椅
TWI744904B (zh) 可倒立按摩椅之作動流程及結構
CN218484092U (zh) 一种多功能健身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