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790A -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790A
KR20160010790A KR1020140090921A KR20140090921A KR20160010790A KR 20160010790 A KR20160010790 A KR 20160010790A KR 1020140090921 A KR1020140090921 A KR 1020140090921A KR 20140090921 A KR20140090921 A KR 20140090921A KR 20160010790 A KR20160010790 A KR 2016001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ack plate
cervical vertebrae
cervic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임찬
이윤섭
유진석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 filed Critical (주)우리
Priority to KR102014009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790A/ko
Publication of KR2016001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3Constructive detail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위에 전신을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경추 부위를 안정적으로 견인하고 근력강화에 탁월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안히 누울 수 있도록 상부에 시트 및 등판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떠받치는 하부 베이스로 된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판의 양측에 결합하여 어깨에 걸쳐지는 견착구; 상기 등판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각도조절구를 가지는 헤드레스트;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면 하부 양측에 부착하여 얼굴의 턱 부분을 받치는 턱받침;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면에 돌출하여 후두부에 접촉하는 견인봉; 상기 등판에 결합되며 작동로드에 결합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면에 구비되어 쿠션을 제공하는 에어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The pulling of cervical vertebrae and strengthening of muscular strength equipment}
본 발명은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위에 전신을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경추 부위를 안정적으로 견인하고 근력강화에 탁월한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경추(목)는 상체와 머리를 이어주는 매우 중요한 부위로 머리뼈와 등뼈 사이에 있는 목등뼈, 목뼈 등으로 불리며, 척추동맥(제7경추 제외), 정맥, 교감신경총이 지나간다. 즉, 경추는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평상시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경추 근력강화운동, 마사지 등에 의해 지속적인 컨디션 유지가 아주 중요하며, 디스크 등이 발병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여기서, 경추의 견인을 위해, 등받이의 상부에 밴드나 스트랩 등의 형태로 된 마스크로 턱 부위를 감싸고 이 마스크를 등받이 상부에 설치된 행거에 매달아서 위로 당기는 견인방식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머리를 행거에 매달아서 견인하게 되면 머리가 불규칙하게 흔들리거나 회전하면서 견인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며 올바른 견인작용 및 견인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렵다. 이처럼 불안정한 견인자세로 인해 오히려 견인치료중이나 치료 후에 경추를 비롯한 턱관절, 중추 계통의 통증, 두통을 호소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경추의 견인장치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들을 참조하면 보다 용이하게 이해가 될 것이다. 이에 따른 특허문헌으로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3-0017256호(2003.06.02.) 내지는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8-0011669호(2008.08.29.), 국내특허출원 제10-2007-0115564호(2007.11.13.), 국내특허출원 제10-2014-0003685호(2014.01.12) 등이 공지된 바에 있으며, 이미 공지된 바에 따라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체중이 아래쪽으로 쏠려 있어서 경추에 무리를 주며 신체 중심이 기울거나 흐트러지는 등 견인자세가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경추의 신경계통을 불필요한 자극으로 인해 통증이나 심한 진통을 유발하는 등, 환부를 더욱 악화시키는 등의 역효과가 예상되며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1.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3-0017256호(2003.06.02.) 2.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8-0011669호(2008.08.29.) 3.국내특허출원 제10-2007-0115564호(2007.11.13.) 4.국내특허출원 제10-2014-0003685호(2014.01.12.)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에어백으로 경추가 받쳐짐과 함께 견인봉 및 턱받침이 후두부 및 턱 부위를 받쳐서 안정적인 견인자세를 유지함과 함께 안전하게 경추를 견인할 수 있게 되며, 상기의 에어백에는 찜질팩을 구비하여 근골격계통의 찜질작용으로 근육 이완 및 피로회복, 혈액순환에 탁월한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체중)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견인력을 가변시킬 수 있어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최적의 경추 견인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치료 후 이완된 경추계통에 필수적인 근력강화운동을 위해 압력센서를 헤드레스트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측두부로 압력센서를 누르면서 스스로 근력강화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안히 누울 수 있도록 상부에 시트 및 등판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떠받치는 하부 베이스로 된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판의 양측에 결합하여 어깨에 걸쳐지는 견착구; 상기 등판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각도조절구를 가지는 헤드레스트;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면 하부 양측에 부착하여 얼굴의 턱 부분을 받치는 턱받침;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면에 돌출하여 후두부에 접촉하는 견인봉; 상기 등판에 결합되며 작동로드에 결합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면에 구비되어 쿠션을 제공하는 에어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체중감지센서; 상기 체중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체중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측두부로 가압하게 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 의한 측정값을 컨트롤러에서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에어백에 부착되는 찜질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체의 시트 및 등판에 편안하게 누워서 어깨를 견착구로 밀착하고 머리를 헤드레스트에 눕히면 에어백이 후두부를 편안하게 바쳐서 경추 견인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하게 되며, 하부의 턱받침으로 턱을 편안하게 받쳐서 머리가 임의대로 흔들리거나 이완되지 않고 안전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에 구비되는 찜질팩으로 경추 및 후두부위의 찜질효과를 제공하며 경추의 견인효과를 높인다. 또 상기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견인봉이 후두부(유양돌기)에 접촉하면서 경추를 잡아주고 접촉부위를 자극하여 마사지효과를 함께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체중감지센서로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신체조건에 따라 견인력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에 적합한 최적의 조건에서 견인 동작을 수행하게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과도한 견인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고 안전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측방에 구비되는 압력센서를 측두부로 누르면서 경추계통의 근력강화에 매우 효과적이며, 이때 측두부로 누르는 운동상태 및 운동량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 짐으로 근력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구성을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안히 누울 수 있도록 상부에 시트(12) 및 등판(14)이 구비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떠받치는 하부 베이스(16)로 된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판(14)의 양측에 결합하여 어깨에 걸쳐지는 견착구(15); 상기 등판(14)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각도조절구(34)를 가지는 헤드레스트(20);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전면 하부 양측에 부착하여 얼굴의 턱 부분을 받치는 턱받침(22);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전면에 돌출하여 후두부에 접촉하는 견인봉(24); 상기 등판(14)에 결합되며 작동로드(32)에 결합된 헤드레스트(20)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액추에이터(30);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쿠션을 제공하는 에어백(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100)는 본체(10), 헤드레스트(20), 액추에이터(30), 에어백(40), 체중감지센서(50), 압력센서(60), 컨트롤러(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의 전신을 편안히 눕힐 수 있도록 상부에 시트(12) 및 등판(14)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떠받치는 하부 베이스(16)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하부 베이스(16)와 연결되는 승강지지대(18)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받쳐지고 있고 승강지지대(18)를 움직여 본체의 높낮이를 가변시키게 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으로는 승강지지대(18)를 일정구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기어박스 또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실린더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레스트(20)는 등판(14)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머리의 후두부를 받친다. 이때, 사용자가 시트(12) 및 등판(14) 위에 누우면 상기 등판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견착구(15)에 어깨가 걸쳐지게 되며, 얼굴의 턱 부분이 턱받침(22)에 안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턱받침(22)은 헤드레스트(2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턱 부분을 받치게 되며, 이때 액추에이터(30)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아래로 당겨져 있어서 턱받침 사이로 목 부분이 간섭없이 투입된다.
상기 견인봉(24)은 후두부 좀더 구체적으로는 귀 뒤쪽의 유양돌기(Mastoid process)부위를 받치게 되며, 상기 헤드레스트(20)의 턱받침 조금 위에 한 쌍으로 돌출하여 목 뒷부분이 투입된다.
상기 액추에이터(30)는 헤드레스트의 상하 위치를 가변시켜 경추를 견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등판(14)에 결합하여 작동로드(32)가 상향 돌출되고 이 작동로드에 헤드레스트(20)가 결합된다. 또 상기 헤드레스트(20)는 작동로드(32)의 끝단에 결합하여 각도조절구(34)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각도조절구(34)는 헤드레스트의 전후 경사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면서 사용자의 후두부 및 경추를 편안하게 받쳐서 견인 자세가 안정된다. 한편, 경추 및 두개골의 각도변화에 따른 두개천골요법의 작용으로 두통이나 강직 상태를 호전하고 척추 및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는 등의 치료효과가 수반된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3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로드를 직선으로 일정 구간 왕복으로 동작하게 되는 유압실린더 또는 고압실린더, 전기모터에 의해 작동로드가 직선으로 구간 왕복 작동하게 되는 전기실린더 등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 에어백(40)은 헤드레스트(20)의 전면에 결합하여 후두부를 편안하게 받치며 이때, 상기 에어백(40)으로 후두부를 받쳐서 'C'자형의 경추가 곧게 펴지도록 하고 바른 견인 자세로 유지된다. 상기 에어백(40)은 도 3에서처럼, 전면이 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하여 목 부분 및 후두부의 신체 곡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접촉하면서 편안한 쿠션을 제공한다. 또 상기 에어백(40)에는 일면에 공기출입구(42)를 구비하여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하며, 견인봉(24)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에어백(40)에 부착되는 찜질팩(44)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찜질팩(44)은 에어백(40)에 접촉하는 후두부 및 경추에 찜질작용을 제공하여 경추 견인효과를 증대시킨다. 상기 찜질팩(44)은 전기에너지에 의해 온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백(4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열전소자를 일정간격으로 부착하여서 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는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한 것으로, pn접합된 반도체의 일면이 냉각작용을 하고 타 측면이 발열작용을 한다. 즉,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면과 발열면이 번갈아가면서 위로 향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함에 따라, 냉각용 열전소자에 전원이 인가되면 냉찜질을 하고 또는 발열용 열전소자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온찜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체중감지센서(50); 상기 체중감지센서(50)에서 수신된 체중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본체(10) 위에 누운 사용자의 체중을 체중감지센서(50)로 감지하고, 이 체중감지센서에 감지된 체중(값)을 컨트롤러(70)의 제어부(72)로 전송하여 데이터 처리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70)는 사용자의 체중과 메모리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에 적합한 구동력(견인력)을 산출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신호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측두부로 가압하게 되는 압력센서(60); 상기 압력센서(60)에 의한 측두부의 측정값을 컨트롤러(70)에서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7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60)는 안면프레임(62)의 내측에 구비되며 측두부에 의한 가압력을 측정하도록 된다. 즉 상기 헤드레스트(20)에 머리를 누인 상태에서 좌우 측방으로 머리를 움직이면서 측두부로 압력센서(60)를 가압하게 되며 이때의 가압력을 압력센서에서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데이터 처리하게 된다. 이렇게 처리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74)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상태 및 운동량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의 디스플레이(74)를 통해서 메모리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운동프로그램을 보여주면서 프로그램의 안내에 따라 운동효과를 높일 수가 있게 된다. 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하며 근력강화 및 운동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70)는 사용자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부(76),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78), 데이터저장부, 타이머,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양측에는 안면을 커버하는 안면프레임(62)이 구비된다. 상기 안면프레임(62)은 안면 및 시야가 가려지지 않도록 절반으로 분할된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여 양쪽으로 개폐되는 절첩식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60)는 안면프레임(62) 내측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안면프레임을 닿으면 측두부의 양측에 압력센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머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번갈아 움직이면서 측두부로 압력센서(60)를 가압함에 따라 경추 및 목 부위의 단련과 함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100)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눕힘과 함께 턱받침에 턱을 올리고 견인봉에는 귀 뒤쪽의 유양돌기(Mastoid process)부분이 접촉한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하게 된다. 또, 경추의 견인작용으로 연부조직을 신장시키거나 관절표면, 골편을 분리시키는 작용으로 통증완화와 함께 주변 연부조직이 이완되며, 척수신경근 압박의 증상과 징후에 탁월하다. 또 상기 헤드레스트 및 견착구에 의해 머리(후두부) 및 상반신이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며 견인 자세가 일정하고 안정적이다.
이러한, 경추 견인에 의한 생리적 작용으로는 추간공을 확대시키고 골단관절을 분리시키며 근육과 인대를 신장시킬 수 있으며 자세를 바르게 하고 후종인대를 팽팽하게 당겨서 섬유륜을 안쪽으로 밀어줌과 함께 추간거리를 늘려준다. 이와 함께, 견인봉에 의한 두개천골요법의 시행으로 두개골이나 천골을 조작함으로써, 두통이나 강직상태의 호전 그리고 일반적인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여기서, 경추 견인시 목은 대략 15~30도 전방으로 머리를 숙인 자세에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추의 정상적인 'C'라인 굴곡이 직선에 가깝게 유지하면서 후관절이 열리고 추간공을 넓히며 후연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게 된다.
또, 신체에 적용되는 견인력(인장력)은 환자 체중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계산된다. 신체의 머리는 전체 몸무게의 대략 8%로 설명을 하지만 더 큰 정도의 힘은 경부 근육조직과 다른 연부조직들 때문에 척추 구조물을 넓게 만들 필요가 있다. 한편 경추 견인 때 권장되는 초기 견인력은 3.5~4.5kgf이 바람직하며, 약 7kgf은 근육신장에 효과적이다. 이에 13.5kgf의 힘으로 7초간 힘을 주고 5초간 쉬는 것을 반복하면 추체분리는 25분 후에 최대로 관찰되며, 견인이 끝난 후에 액추에이터가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10:본체, 12:시트, 14:등판, 15:견착구, 16:하부 베이스, 18:승강지지대, 20:헤드레스트, 22:턱받침, 24:견인봉, 30:액추에이터, 32:작동로드, 34:각도조절구, 40:에어백, 42:공기출입구, 44:찜질팩, 50:체중감지센서, 60:압력센서, 62:안면프레임, 70:컨트롤러, 72:제어부, 74:디스플레이, 76:조작부, 78:전원부

Claims (4)

  1. 사용자가 편안히 누울 수 있도록 상부에 시트(12) 및 등판(14)이 구비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떠받치는 하부 베이스(16)로 된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판(14)의 양측에 결합하여 어깨에 걸쳐지는 견착구(15);
    상기 등판(14)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각도조절구(34)를 가지는 헤드레스트(20);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전면 하부 양측에 부착하여 얼굴의 턱 부분을 받치는 턱받침(22);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전면에 돌출하여 후두부에 접촉하는 견인봉(24);
    상기 등판(14)에 결합되며 작동로드(32)에 결합된 헤드레스트(20)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액추에이터(30);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쿠션을 제공하는 에어백(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체중감지센서(50);
    상기 체중감지센서(50)에서 수신된 체중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측두부로 가압하게 되는 압력센서(60);
    상기 압력센서(60)에 의한 측정값을 컨트롤러(70)에서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7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40)에 부착되는 찜질팩(4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KR1020140090921A 2014-07-18 2014-07-18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KR20160010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21A KR20160010790A (ko) 2014-07-18 2014-07-18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21A KR20160010790A (ko) 2014-07-18 2014-07-18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90A true KR20160010790A (ko) 2016-01-28

Family

ID=5530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921A KR20160010790A (ko) 2014-07-18 2014-07-18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79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499A (ko) * 2018-02-06 2019-08-29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한 기능성 수면 캡슐
KR20200014083A (ko) * 2018-07-31 2020-02-10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CN110946737A (zh) * 2019-12-05 2020-04-03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颈椎牵引系统
CN110946738A (zh) * 2019-12-05 2020-04-03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颈椎牵引系统理疗参数设定方法及颈椎牵引方法
KR102124864B1 (ko) * 2019-11-15 2020-06-23 (주)씨비에이치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94971A (ko) 2019-01-31 2020-08-10 허정욱 견인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61Y1 (ko) 2003-06-02 2003-08-19 정철웅 경추교정의자
KR20070115564A (ko) 2006-05-30 2007-12-0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프로세싱 챔버용 링 조립체
KR20100002612U (ko) 2008-08-29 2010-03-10 박영근 경추 견인 기구
KR20140003685A (ko) 2012-06-22 2014-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61Y1 (ko) 2003-06-02 2003-08-19 정철웅 경추교정의자
KR20070115564A (ko) 2006-05-30 2007-12-0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프로세싱 챔버용 링 조립체
KR20100002612U (ko) 2008-08-29 2010-03-10 박영근 경추 견인 기구
KR20140003685A (ko) 2012-06-22 2014-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499A (ko) * 2018-02-06 2019-08-29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한 기능성 수면 캡슐
KR20200014083A (ko) * 2018-07-31 2020-02-10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KR20200094971A (ko) 2019-01-31 2020-08-10 허정욱 견인운동장치
KR102124864B1 (ko) * 2019-11-15 2020-06-23 (주)씨비에이치 경추 견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95930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씨비에이치 경추 견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추 견인 방법
CN110946737A (zh) * 2019-12-05 2020-04-03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颈椎牵引系统
CN110946738A (zh) * 2019-12-05 2020-04-03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颈椎牵引系统理疗参数设定方法及颈椎牵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0661B2 (en) Health-regain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20160010790A (ko)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KR101564674B1 (ko) 가변형 경추베개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KR101706587B1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KR101865480B1 (ko)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KR101521716B1 (ko) 전신 마사지기
KR20170137349A (ko)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KR101010822B1 (ko) 관절 인장 타격기능이 구비된 거꾸리 지압장치
KR20180081342A (ko) 경추 견인장치
CN107072866A (zh) 恢复身体均衡的下身及脊椎关节运动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6345882A (ja) 牽引装置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KR101458714B1 (ko) 척추견인 장치
KR20160125825A (ko)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20180001747U (ko) 척추 스트레칭 장치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101378163B1 (ko) 멀티자세 교정기
JP2008253631A (ja) マッサージ機
KR101706586B1 (ko)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JP6403275B2 (ja) 頸椎牽引装具及び頸椎牽引装具ユニット
KR102294502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척추 및 장기 이완기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