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685A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685A
KR20140003685A KR1020120067443A KR20120067443A KR20140003685A KR 20140003685 A KR20140003685 A KR 20140003685A KR 1020120067443 A KR1020120067443 A KR 1020120067443A KR 20120067443 A KR20120067443 A KR 20120067443A KR 20140003685 A KR20140003685 A KR 2014000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left eye
right eye
frame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631B1 (ko
Inventor
이재윤
박윤재
오충섭
이정아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631B1/ko
Priority to US13/691,194 priority patent/US9196220B2/en
Publication of KR2014000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복수의 우안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고,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블랙 데이터에 대응하는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3차원 제어부,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은 제1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픽셀마다 그리고 제2 방향으로 소정 픽셀마다 번갈아 배열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3D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정의 응답 속도에 의한 표시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2차원 평면 영상을 표시한다. 최근 영화, 의료영상, 게임, 광고, 교육, 군사 등 여러 분야에서 3차원 입체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사람의 두 눈을 통한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의 원리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두 눈은 일정 정도 떨어져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눈으로 다른 각도에서 관찰한 영상은 뇌에 입력된다.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관찰자로 하여금 입체성을 느끼게 하여 공간감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관찰자의 특수 안경의 착용 여부에 따라 안경식(stereo-scopic) 및 비안경식(auto stero-scopic)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안경식에는 배리어(barrier) 방식, 렌티큘라(lenticular) 방식 등이 있다. 안경식은 편광 방식과 셔터 글래스 방식 등을 포함하고, 비안경식은 페러렉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방식 및 렌티큘라(lenticular) 방식 등을 포함한다.
특히 셔터 글래스 방식은 표시 패널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프레임 단위로 표시될 때 그에 동기하여 셔터 안경의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번갈아 개폐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액정 표시 장치를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 구현할 경우, 좌안 프레임 동안 좌안 영상이 표시 패널에 표시된 후 우안 프레임 동안 우안 영상이 표시될 때 액정의 느린 응답 속도로 인해 좌안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우안 프레임의 우안 영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전 프레임의 영상이 다음 프레임의 영상에 영향을 주는 경우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질이 개선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표시 장치는: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복수의 우안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고,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블랙 데이터에 대응하는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3차원 제어부,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은 제1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픽셀마다 그리고 제2 방향으로 소정 픽셀 마다 번갈아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어부는,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블랙 데이터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고,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블랙 데이터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매 프레임마다 상기 좌안 영상 신호,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블랙 영상 신호 그리고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순으로 변화하고,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매 프레임마다 상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우안 영상 신호 그리고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순으로 변화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안 프레임은 제1 및 제2 좌안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은 제1 및 제2 우안 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안 프레임, 상기 제2 좌안 프레임,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상기 제1 우안 프레임, 상기 제2 우안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 상기 좌안 영상 신호,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그리고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고,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우안 영상 신호, 상기 우안 영상 신호 그리고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어부는, 상기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그리고 상기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상기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3차원 표시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신호에 응답해서 동작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어부는, 상기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와, 이전 프레임의 상기 좌안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의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연산기와, 이전 프레임의 상기 좌안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의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연산기, 그리고 상기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상기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그리고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영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그리고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영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3차원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제3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3 영상 신호가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다수의 게이트 라인 그룹들로 나눌 때 상기 게이트 라인 그룹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대향하여 배열된 복수의 광원 그룹들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 그룹들 각각은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과 연결된 좌안 픽셀들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의해서 좌안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될 때 또는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과 연결된 우안 픽셀들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의해서 우안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될 때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 그룹들 각각은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과 연결된 좌안 픽셀들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의해서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될 때 또는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과 연결된 우안 픽셀들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의해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될 때 순차적으로 디세이블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3차원 영상 신호를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표시하기 위한 동작 방법은: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와,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우안 픽셀들로 블랙 데이터에 대응하는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은 제1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픽셀마다 그리고 제2 방향으로 소정 픽셀마다 번갈아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데이터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데이터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전 프레임의 상기 좌안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이전 프레임의 상기 좌안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의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패널의 픽셀들을 좌안 영상이 표시되는 좌안 픽셀과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우안 픽셀을 구분 영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액정 응답의 폴링 시간이 길더라도 크로스토크 현상이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블랙 영상이 표시되는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들 동안 블랙 계조보다 높은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및 블랙 계조보다 낮은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로 제공함으로써 액정 응답의 폴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표시 영상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용 픽셀들과 우안용 픽셀들의 배열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에서의 액정 응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다른 동작 예에 따라서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에서의 액정 응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의 액정 응답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의해서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에서의 액정 응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의해서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에서의 액정 응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광 발생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안용 픽셀들 및 우안용 픽셀들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3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다른 동작 예에 따라서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8a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3차원 제어부(120), 타이밍 컨트롤러(130), 데이터 드라이버(140), 게이트 드라이버(15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60)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는 셔터 안경(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30), 데이터 드라이버(140) 및 게이트 드라이버(150)는 표시 패널(11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표시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1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전계 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10)은 액정 표시패널인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표시 패널(110)은 제1 방향(X1)으로 신장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과 제2 방향(X2)으로 신장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1~Dm) 그리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1~Dm)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에 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픽셀들(PX)을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1~Dm)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은 서로 절연되어 있다. 화소들(203)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T1), 액정 커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픽셀들(PX)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화소의 구성을 설명함으로써, 픽셀들(PX) 각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픽셀(PX)의 박막 트랜지스터(T1)는 복수 게이트 라인(G1~Gn) 중 제1 게이트 라인(G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 중 제1 데이터 라인(D1)에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액정 커패시터(CLC)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구비한다. 액정 커패시터(CLC)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각각의 일단은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에 병렬 연결된다. 액정 커패시터(CLC)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각각의 타단은 공통 전압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PX)은 복수의 좌안용 픽셀들과 복수의 우안용 픽셀들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용 픽셀들과 우안용 픽셀들의 배열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제2 방향(X2)으로 2개의 픽셀들마다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이 번갈아 배열되고, 제1 방향(X1)으로 매 픽셀마다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이 번갈아 배열된다.
다른 예로,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5)은 제2 방향(X2)으로 2개의 픽셀들마다 우안용 픽셀(RPX)과 좌안용 픽셀(LPX)이 번갈아 배열되고, 제1 방향(X1)으로 매 픽셀마다 우안용 픽셀(RPX)과 좌안용 픽셀(LPX)이 번갈아 배열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 표시 패널들(110, 115)은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의 위치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설명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 배열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100)의 동작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는 도 2a의 표시 패널(110)뿐만 아니라 도 2b의 표시 패널(115)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제어부(120)는 3차원 모드 신호(3D_EN)에 응답해서 외부로부터의 제1 영상 신호(DATA1)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3차원 제어부(120)는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제1 영상 신호(DATA1)를 좌안 영상 신호(L) 및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하고, 좌안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를, 상기 우안 픽셀들(RPX)로 블랙 데이터에 대응하는 블랙 영상 신호(B)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하고, 우안 프레임(F(n+2))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를,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3 영상 신호(DATA3)를 출력한다. 3차원 제어부(120)는 표시 패널(110) 내 좌안 픽셀들(LPX) 및 우안 픽셀들(RPX)의 배열 형태에 따라서 그리고 디스플레이 주파수에 따라서 제3 영상 신호(DATA3)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3차원 제어부(1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추후 상세히 설명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3차원 제어부(120)로부터 제2 영상 신호(DATA2)를 입력받고,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들(CTRL)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메인 클럭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제공받는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제어 신호들(CTRL)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신호(DATA2)를 표시 패널(11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처리한 제3 영상 신호(DATA3) 및 제1 제어 신호(CTRL1)를 데이터 드라이버(140)로 제공하고, 제2 제어 신호(CTRL2)를 게이트 드라이버(150)로 제공한다. 제1 제어 신호(CTRL1)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 클럭 신호 및 라인 래치 신호를 포함하고, 제2 제어 신호(CTRL2)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 출력 인에이블 신호, 게이트 펄스 신호, 그리고 더미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40)는 타이밍 컨트롤러(130)로부터의 제3 영상 신호(DATA3) 및 제1 제어 신호(CTRL1)에 응답해서 데이터 라인들(D1~Dm)을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50)는 타이밍 컨트롤러(130)로부터의 제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해서 게이트 라인들(G1~Gn)을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게이트 구동 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산화물 반도체, 비정질 반도체, 결정질 반도체, 다결정 반도체 등을 이용한 회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60)은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픽셀들(PX)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백라이트 유닛(160)은 타이밍 컨트롤러(130)로부터의 백라이트 제어 신호(LCS)에 응답해서 온/오프될 수 있다.
셔터 안경(170)은 타이밍 컨트롤러(130)로부터의 셔터 제어 신호(ST)에 응답해서 좌안 셔터(STL) 및 우안 셔터(STR)를 번갈아 개폐시킨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셔터 제어 신호(ST)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셔터 안경(170)은 셔터 제어 신호(ST)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에 좌안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셔터 안경(170)의 좌안 셔터(STL)는 열리고, 우안 셔터(STR)는 닫힌다. 또한 표시 패널(110)에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셔터 안경(170)의 좌안 셔터(STL)는 닫히고, 우안 셔터(STR)는 열림으로써 셔터 안경(170)을 착용한 사용자는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차원 제어부(12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2) 및 데이터 변환부(124)를 포함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0)는 3차원 모드 신호(3D_EN)에 응답해서 제1 영상 신호(DATA1)를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출력한다. 예컨대,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0)는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순차적으로 번갈아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로서 출력한다. 또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는 제1 영상 신호(DATA1)보다 2배 빠른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상 신호(DATA1)의 주파수가 60Hz인 경우,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는 이보다 2배 빠른 120Hz이다.
데이터 변환부(124)는 3차원 모드 신호(3D_EN)에 응답해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예컨대, 데이터 변환부(124)는 좌안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를, 우안 픽셀들(RPX)로 블랙 영상 신호(B)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124)는 우안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를,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3차원 제어부(120)는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블랙 영상 신호(B)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영상이 표시 패널(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3차원 제어부(120)는 우안 프레임(F(n+1))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우안 프레임(F(n)) 동안 우안 영상이 표시 패널(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에서의 액정 응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픽셀들(LPX)에 좌안 영상이 표시된 후 우안 프레임(F(n+1)) 동안 우안 픽셀들(RPX)에 우안 영상이 표시된다. 좌안 프레임(F(n))과 우안 프레임(F(n+1))은 번갈아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좌안 픽셀(LPX)로 제공될 좌안 제2 영상 신호(L_DATA2)는 좌안 영상 신호(L)와 블랙 영상 신호(B)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우안 픽셀(RPX)로 제공될 우안 제2 영상 신호(R_DATA2)는 블랙 영상 신호(B)와 우안 영상 신호(L)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프레임 단위로 표시될 때 그에 동기하여 셔터 안경(170)의 좌안 셔터(STL)와 우안 셔터(STR)를 번갈아 개폐함으로써 입체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좌안 픽셀(LPX)로 좌안 영상 신호(L)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후 블랙 영상 신호(B)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때 좌안 픽셀(LPX)의 투과율(transmittance: T) 변화 즉, 좌안 픽셀(LPX)의 액정 응답(L_RES1)의 폴링 시간은 소정의 지연 시간을 갖는다. 특히, 좌안 영상 신호(L)가 화이트 계조에 가까울수록 좌안 영상 신호(L)에서 블랙 영상 신호(B)로 변화하는 시점에 액정 응답(L_RES1)의 폴링 시간은 더 길어진다.
마찬가지로, 우안 픽셀(RPX)로 우안 신호(R)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후 블랙 영상 신호(B)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때 우안 픽셀(RPX)의 투과율(T) 변화 즉, 우안 픽셀(RPX)의 액정 응답(R_RES1)의 폴링 시간은 소정의 지연 시간을 갖는다. 우안 영상 신호(R)가 화이트 계조에 가까울수록 우안 영상 신호(R)에서 블랙 영상 신호(B)로 변화하는 시점에 액정 응답(R_RES1)의 폴링 시간은 더 길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좌안 픽셀들(LPX)은 좌안 영상 신호(L) 만을 표시하고, 우안 픽셀들(RPX)은 우안 영상 신호(R) 만을 표시한다. 좌안 픽셀들(LPX)은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영상 신호(L)를 표시한 후 우안 프레임(F(n+1)) 동안 블랙 영상 신호(B)를 표시하므로, 액정 응답의 폴링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좌안 프레임(F(n))의 좌안 영상이 우안 프레임(F(n+1))의 우안 영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있다. 마찬가지로 우안 픽셀들(RPX)은 우안 프레임(F(n+1)) 동안 우안 영상 신호(R)를 표시한 후 좌안 프레임(F(n+2)) 동안 블랙 영상 신호(B)를 표시하므로, 액정의 응답 속도가 느리더라도 우안 프레임(F(n+1))의 우안 영상이 좌안 프레임(F(n+2))의 좌안 영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있다.
표시 패널(110)이 3840x2160인 UD(Ultra High Definition)의 해상도를 갖는 경우, 좌안 픽셀들(LPX)과 우안 픽셀들(RPX)로 분리하는 것에 의해 3차원 표시 모드에서 해상도는 1920×1080인 FHD(Full High Definition) 수준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다른 동작 예에 따라서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3차원 제어부(120) 내 데이터 변환부(124)는 좌안 프레임(F(n))과 우안 프레임(F(n+2)) 사이에 제1 서브 프레임(F(n+1))의 제2 영상 신호(DATA2)와 우안 프레임(F(n+2))과 우안 프레임(F(n+4)) 사이에 제2 서브 프레임(F(n_3))의 제2 영상 신호(DATA2)를 더 출력한다. 예컨대, 3차원 제어부(120) 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2)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영상 신호(FDATA)의 주파수가 120Hz일 때 제2 영상 신호(DATA2)의 주파수는 240Hz이다.
데이터 변환부(124)는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블랙 영상 신호(B)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영상이 표시 패널(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4)는 제1 서브 프레임(F(n+1)) 동안 좌안 픽셀들(LPX)과 우안 픽셀들(RPX) 모두에 블랙 영상 신호(B)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1 서브 프레임(F(n+1)) 동안 표시 패널(110)에는 블랙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4)는 우안 프레임(F(n+2))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우안 프레임(F(n+2)) 동안 우안 영상이 표시 패널(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F(n+3)) 동안 좌안 픽셀들(LPX)과 우안 픽셀들(RPX) 모두에는 블랙 영상 신호(B)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제2 서브 프레임(F(n+3)) 동안 표시 패널(110)에는 블랙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에서의 액정 응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영상 신호(L)가 표시 패널(110)의 좌안 픽셀들(LPX)에 표시된 후 제1 서브 프레임(F(n+1)) 동안 블랙 영상 신호(B)가 표시 패널(110) 전체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우안 프레임(F(n+2)) 동안 표시 패널(110)의 우안 픽셀들(RPX)에 우안 영상이 표시된 후, 제2 서브 프레임(F(n+3)) 동안 블랙 영상 신호(B)가 표시 패널(110) 전체에 표시된다. 좌안 프레임(F(n)), 제1 서브 프레임(F(n+1)), 우안 프레임(F(n+2)) 그리고 제2 서브 프레임(F(n+3))은 번갈아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좌안 픽셀(LPX)로 제공될 좌안 제2 영상 신호(L_DATA2)는 좌안 영상 신호(R), 블랙 영상 신호(B), 블랙 영상 신호(B) 그리고 블랙 영상 신호(B)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우안 픽셀(RPX)로 제공될 우안 제2 영상 신호(R_DATA2)는 블랙 영상 신호(B), 블랙 영상 신호(B), 우안 영상 신호(L) 그리고 블랙 영상 신호(B)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에 좌안 영상이 표시된 후 제1 서브 프레임(F(n+1)) 동안 블랙 영상을 표시하고, 그리고 우안 영상이 표시된 후 제2 서브 프레임(F(n+3)) 동안 블랙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액정의 느린 응답 속도로 인해 좌안 프레임(F(n))의 좌안 영상이 우안 프레임(F(n+1))의 우안 영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3차원 제어부(22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22), 제1 연산기(224), 데이터 변환부(226) 그리고 제2 연산기(228)를 포함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20)는 3차원 모드 신호(3D_EN)에 응답해서 제1 영상 신호(DATA1)를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출력한다. 예컨대,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22)는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순차적으로 번갈아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로서 출력한다. 또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는 제1 영상 신호(DATA1)보다 2배 빠른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상 신호(DATA1)의 주파수가 60Hz인 경우,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는 이보다 2배 빠른 120Hz이다.
데이터 변환부(226)는 3차원 모드 신호(3D_EN)에 응답해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예컨대, 데이터 변환부(226)는 좌안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를, 우안 픽셀들(RPX)로 블랙 영상 신호(B)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226)는 우안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를,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데이터 변환부(226)는 좌안 프레임과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제공하고, 우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226)는 우안 프레임과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제공하고, 우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연산기(224)는 데이터 변환부(226)로부터의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입력받아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데이터 변환부(226)로 출력한다. 제1 연산기(224)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은 연산에 의해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BL = -GL(FDATA) * FDATA
여기서 GL는 각 계조 별 비례 상수이다. 즉, GL(FDATA)는 프레임 영상 신호(FDATA)의 계조에 따른 비례 상수이다. GL(FDATA)는 별도로 구비된 룩-업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는 프레임 영상 신호(FDATA)가 입력될 때마다 즉, 매 프레임마다 다시 계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의 계조값에 따라서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들 각각의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가 갱신될 수 있다.
제2 연산기(228)는 데이터 변환부(226)로부터의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입력받아서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출력한다.
제2 연산기(228)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은 연산에 의해서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
BH = GH(FDATA) * FDATA
여기서 GH는 각 계조 별 비례 상수이다. 즉, GH(FDATA)는 프레임 영상 신호(FDATA)의 계조에 따른 비례 상수이다. GH(FDATA)는 별도로 구비된 룩-업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는 프레임 영상 신호(FDATA)가 입력될 때마다 즉, 매 프레임마다 다시 계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의 계조값에 따라서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들 각각의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가 갱신될 수 있다. 예컨대, 비례 상수들 GL 및 GH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좌안 프레임(F(n)) 동안 표시 패널(110)의 좌안 픽셀들(LPX)은 좌안 영상 신호(L)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안 픽셀들(RPX)은 블랙 영상 신호(B)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서브 프레임(F(n+1)) 동안 표시 패널(110)의 좌안 픽셀들(LPX)은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안 픽셀들(RPX)은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디스플레이한다. 우안 프레임(F(n+2)) 동안 표시 패널(110)의 좌안 픽셀들(LPX)은 블랙 영상 신호(B)를, 우안 픽셀들(RPX)은 우안 영상 신호(R)를 디스플레이한다. 제2 서브 프레임(F(n+3)) 동안 표시 패널(110)의 좌안 픽셀들(LPX)은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안 픽셀들(RPX)은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의 액정 응답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좌안 픽셀(LPX)로 제공될 좌안 제2 영상 신호(L_DATA2)는 좌안 영상 신호(L),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 블랙 영상 신호(B) 그리고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우안 픽셀(RPX)로 제공될 우안 제2 영상 신호(R_DATA2)는 블랙 영상 신호(B),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 우안 영상 신호(R) 그리고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좌안 프레임(F(n)) 이후 제1 서브 프레임(F(n+1))에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좌안 픽셀들(LPX)로 제공함으로써 좌안 픽셀들(LPX)의 액정 응답(L_RES3)은 도 7에 도시된 액정 응답(L_RES2)보다 폴링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프레임(F(n+1))에서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우안 픽셀들(RPX)로 제공함으로써 우안 픽셀들(RPX)의 액정 응답(R_RES3)은 도 7에 도시된 액정 응답(R_RES2)보다 라이징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안 프레임(F(n+2)) 이후 제2 서브 프레임(F(n+3))에서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좌안 픽셀들(LPX)로 제공함으로써 좌안 픽셀들(LPX)의 액정 응답(L_RES3)은 도 7에 도시된 액정 응답(L_RES2)보다 라이징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프레임(F(n+3))에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우안 픽셀들(RPX)로 제공함으로써 우안 픽셀들(RPX)의 액정 응답(R_RES3)은 도 7에 도시된 액정 응답(R_RES2)보다 폴링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좌안 영상이 우안 영상에 영향을 주고, 우안 영상이 좌안 영상에 영향을 주는 크로스토크 현상이 최소화되어서 3차원 표시 영상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의해서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 변환부(226)는 3차원 모드 신호(3D_EN)에 응답해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예컨대, 데이터 변환부(226)는 좌안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를, 우안 픽셀들(RPX)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226)는 우안 프레임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제2 영상 신호(DATA2)의 주파수는 프레임 영상 신호(FDATA)의 주파수와 동일한 120Hz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에서의 액정 응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좌안 픽셀(LPX)로 제공될 좌안 제2 영상 신호(L_DATA2)는 좌안 영상 신호(L)와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우안 픽셀(RPX)로 제공될 우안 제2 영상 신호(R_DATA2)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와 우안 영상 신호(L)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좌안 프레임(F(n)) 이후 우안 프레임(F(n+1)) 동안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좌안 픽셀들(LPX)로 제공함으로써 좌안 픽셀들(LPX)의 액정 응답(L_RES4)은 도 5에 도시된 액정 응답(L_RES1)보다 폴링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우안 프레임(F(n+1)) 이후 좌안 프레임(F(n+2))에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우안 픽셀들(RPX)로 제공함으로써 우안 픽셀들(RPX)의 액정 응답(R_RES4)은 도 5에 도시된 액정 응답(R_RES1)보다 폴링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의해서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면, 데이터 변환부(226)는 3차원 모드 신호(3D_EN)에 응답해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이 예에서, 프레임 영상 신호(FDATA)의 주파수가 120Hz일 때 제2 영상 신호(DATA2)의 주파수는 360Hz이다.
데이터 변환부(226)는 연속된 2개의 좌안 프레임들(F(n)), F(n+1))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가 연속해서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와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좌안 프레임(F(n+1)) 이후 제1 서브 프레임(F(n+2))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연속된 2개의 우안 프레임들(F(n+3)), F(n+4)) 동안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가 연속해서 제공되고, 좌안 픽셀들(LPX)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와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
우안 프레임(F(n+4)) 이후 제2 서브 프레임(F(n+5))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서브 프레임(F(n+2)) 및 제2 서브 프레임(F(n+5)) 각각의 주기는 좌안 프레임들(F(n)), F(n+1)) 및 우안 프레임들(F(n+3)), F(n+4))의 주기의 1/2이다. 이와 같이, 블랙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서브 프레임(F(n+2)) 및 제2 서브 프레임(F(n+5))의 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는 증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좌안 픽셀 및 우안 픽셀 각각에서의 액정 응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좌안 픽셀(LPX)로 제공될 좌안 제2 영상 신호(L_DATA2)는 좌안 영상 신호(L), 좌안 영상 신호(L),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 그리고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2 영상 신호(DATA2) 중 우안 픽셀(RPX)로 제공될 우안 제2 영상 신호(R_DATA2)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 우안 영상 신호(L), 우안 영상 신호(L) 그리고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1 서브 프레임(F(n+2)) 및 제2 서브 프레임(F(n+5)) 각각의 주기가 좌안 프레임들(F(n)), F(n+1)) 및 우안 프레임들(F(n+3)), F(n+4))의 주기의 1/2로 단축됨에 따라서 우안 픽셀들(RPX)의 액정 응답(R_RES5) 사이클이 도 10에 도시된 액정 응답(R_RES3)보다 1/2 주기 앞당겨 진다. 그러므로 블랙 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이 단축되어서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는 증가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60)은 백라이트 제어부(162) 및 광원부(164)를 포함한다. 광원부(164)는 복수의 광 발생 블록들(BL1-BL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광원부(164)는 8 개의 광 발생 블록들(BL1-BL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광원부(164)에 구비되는 광 발생 블록들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광 발생 블록(BL1~BL8) 각각에는 다수의 레드 발광 유닛(미 도시됨), 다수의 그린 발광 유닛(미 도시됨) 및 다수의 블루 발광 유닛(미 도시됨)이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제어부(162)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130)로부터의 백라이트 제어 신호(LCS)에 응답해서 제1 내지 제8 광 발생 블록(BL1~BL8) 각각을 온/오프하기 위한 블록 제어 신호(CBL1~CBL8)를 발생한다. 제1 내지 제8 광 발생 블록(BL1~BL8)은 대응하는 블록 제어 신호(CBL1~CBL8)에 응답해서 온/오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광 발생 블록(BL1)은 블록 제어 신호(CBL1)에 응답해서 온/오프되고, 제2 광 발생 블록(BL2)은 블록 제어 신호(CBL2)에 응답해서 온/오프된다.
제1 내지 제8 광 발생 블록(BL1~BL8)은 블록 제어 신호(CBL1~CBL8)에 응답해서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즉, 제1 광 발생 블록(BL1)이 온 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제2 광 발생 블록(BL2)이 온 된다. 또한 제2 광 발생 블록(BL2)이 온 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제3 광 발생 블록(BL3)이 온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내지 제8 광 발생 블록(BL1~BL8)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광 발생 블록(BL1~BL8)은 액정 패널(110)의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을 8개의 게이트 라인 그룹들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의 게이트 라인 그룹에 대응한다. 예컨대, 제1 광 발생 블록(BL1)은 제1 게이트 라인 그룹에 대응한다. 제1 광 발생 블록(BL1)은 제1 게이트 라인 그룹 내 첫 번째 게이트 라인이 게이트 온 전압으로 구동될 때 온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광 발생 블록(BL2)은 제2 게이트 라인 그룹에 대응한다. 제2 광 발생 블록(BL2)은 제2 게이트 라인 그룹 내 첫 번째 게이트 라인이 게이트 온 전압으로 구동될 때 온 된다.
도 16은 광 발생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제3 영상 신호(DATA3)에 동기해서 블록 제어 신호(CBL1~CBL8)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한다. 블록 제어 신호(CBL1~CBL8)들 각각이 하이 레벨로 활성되는 구간은 액정 응답(L_RES3 및 R_RES3)에 의해서 실제 영상이 시인되는 시간에 대응한다. 제1 내지 제8 광 발생 블록들(BL1-BL8)은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에 속하는 첫 번째 게이트 라인과 연결된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가 제공될 때 온되고, 마지막 게이트 라인과 연결된 좌안 픽셀들(LPX) 및 우안 픽셀들(RPX)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가 제공될 때 오프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들(F(n+1), F(n+3))에서 제1 내지 제8 광 발생 블록들(BL1-BL8)이 오프되므로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가 현재 프레임에 잔상으로 남아서 생기는 컬러 믹스(color mix)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
도 1, 도 8 내지 도 10, 그리고 도 17을 참조하면, 3D 제어부(120) 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22)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1 영상 신호(DATA1)를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한다(S110).
3D 제어부(120) 내 데이터 변환부(226)는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를, 우안 픽셀들(RPX)로 블랙 영상 신호(B)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S120).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제2 영상 신호(DATA2)와 3D 변환부(120)로부터의 제2 영상 신호(DATA2)와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해서 제1 제어 신호(CTRL1) 및 제3 영상 신호(DATA3)를 데이터 드라이버(140)로 제공하고, 게이트 드라이버(150)로 제2 제어 신호(CTRL2)를 제공하며, 백라이트 유닛(160)으로 백라이트 제어 신호(LCS)를 그리고 셔터 안경(170)으로 셔터 제어 신호(ST)를 제공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40), 게이트 드라이버(150) 및 백라이트 유닛(160)의 제어에 의해서 표시 패널(110)에는 좌안 영상이 표시된다.
데이터 변환부(226)는 제1 서브 프레임(F(n+1))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제공하고, 우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제공한다(S130). 타이밍 컨트롤러(130), 데이터 드라이버(140), 게이트 드라이버(150) 및 백라이트 유닛(160)의 제어에 의해서 표시 패널(110)에는 블랙 영상이 표시된다.
데이터 변환부(226)는 우안 프레임(F(n+2))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를,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 영상 신호(FDATA)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변환한다(S140). 타이밍 컨트롤러(130), 데이터 드라이버(140), 게이트 드라이버(150) 및 백라이트 유닛(160)의 제어에 의해서 표시 패널(110)에는 우안 프레임(F(n+2)) 동안 우안 영상이 표시된다.
데이터 변환부(226)는 제2 서브 프레임(F(n+2))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를 제공하고, 우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를 제공한다(S150). 타이밍 컨트롤러(130), 데이터 드라이버(140), 게이트 드라이버(150) 및 백라이트 유닛(160)의 제어에 의해서 표시 패널(110)에는 블랙 영상이 표시된다.
제1 서브 프레임(F(n+1))과 제2 서브 프레임(F(n+3))에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BL) 픽셀들로 제공함으로써 액정 응답의 폴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프레임(F(n+1))과 제2 서브 프레임(F(n+3))에서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BH) 픽셀들로 제공함으로써 액정 응답의 라이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안용 픽셀들 및 우안용 픽셀들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8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310)은 제1 방향(X1)으로 2개의 픽셀들마다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이 번갈아 배열되고, 제2 방향(X1)으로 매 픽셀마다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이 번갈아 배열된다.
다른 예로, 도 18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315)은 제1 방향(X1)으로 2개의 픽셀들마다 우안용 픽셀(RPX)과 좌안용 픽셀(LPX)이 번갈아 배열되고, 제2 방향(X2)으로 매 픽셀마다 우안용 픽셀(RPX)과 좌안용 픽셀(LPX)이 번갈아 배열된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표시 패널들(310, 315)은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의 위치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도 19는 도 3에 도시된 3차원 제어부의 다른 동작 예에 따라서 출력되는 제2 영상 신호에 의해서 도 18a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19를 참조하면, 3차원 제어부(120)는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좌안 영상 신호(L)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블랙 영상 신호(B)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좌안 프레임(F(n)) 동안 좌안 영상이 표시 패널(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3차원 제어부(120)는 우안 프레임(F(n+1)) 동안 좌안 픽셀들(LPX)로 블랙 영상 신호(B)가 제공되고, 우안 픽셀들(RPX)로 우안 영상 신호(R)가 제공되도록 제2 영상 신호(DATA2)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우안 프레임(F(n)) 동안 우안 영상이 표시 패널(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와 도 19를 비교해 볼 때 좌안 픽셀(LPX)과 우안 픽셀(RPX)의 배열 형태에 따라서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가 표시되는 위치만 달라질 뿐 구동 방식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표시 패널의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2개의 픽셀마다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이 번갈아 배열된 경우들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2개의 픽셀마다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이 번갈아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규칙을 가지고 표시 패널에 좌안용 픽셀(LPX)과 우안용 픽셀(RPX)이 배열될 수도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3차원 제어부 130: 타이밍 컨트롤러
140: 데이터 드라이버 150: 게이트 드라이버
160: 백라이트 유닛 170: 셔터 안경
122: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124: 데이터 변환부
222: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224: 제1 연산기
226: 데이터 변환부 228: 제2 연산기

Claims (18)

  1.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복수의 우안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고,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블랙 데이터에 대응하는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3차원 제어부;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은 제1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픽셀마다 그리고 제2 방향으로 소정 픽셀마다 번갈아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어부는,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블랙 데이터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고,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블랙 데이터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매 프레임마다 상기 좌안 영상 신호,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블랙 영상 신호 그리고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순으로 변화하고,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매 프레임마다 상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우안 영상 신호 그리고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순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프레임은 제1 및 제2 좌안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은 제1 및 제2 우안 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안 프레임, 상기 제2 좌안 프레임,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상기 제1 우안 프레임, 상기 제2 우안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 상기 좌안 영상 신호,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그리고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이고,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제공될 상기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 상기 우안 영상 신호, 상기 우안 영상 신호 그리고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어부는,
    상기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그리고
    상기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상기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3차원 표시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신호에 응답해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어부는,
    상기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와;
    이전 프레임의 상기 좌안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의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연산기와;
    이전 프레임의 상기 좌안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의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연산기; 그리고
    상기 3차원 표시 모드 동안, 상기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그리고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그리고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3차원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제3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3 영상 신호가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다수의 게이트 라인 그룹들로 나눌 때 상기 게이트 라인 그룹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대향하여 배열된 복수의 광원 그룹들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 그룹들 각각은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과 연결된 좌안 픽셀들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의해서 좌안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될 때 또는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과 연결된 우안 픽셀들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의해서 우안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될 때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그룹들 각각은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과 연결된 좌안 픽셀들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의해서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될 때 또는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그룹과 연결된 우안 픽셀들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의해서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될 때 순차적으로 디세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3차원 영상 신호를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복수의 우안 픽셀들에 표시하기 위한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영상 신호를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와;
    좌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우안 픽셀들로 블랙 데이터에 대응하는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우안 프레임 동안 상기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상기 우안 픽셀들로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은 제1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픽셀마다 그리고 제2 방향으로 소정 픽셀 마다 번갈아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 사이의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데이터보다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우안 프레임과 상기 좌안 프레임 사이의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우안 픽셀들로 상기 블랙 데이터보다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좌안 픽셀들로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이전 프레임의 상기 좌안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저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이전 프레임의 상기 좌안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의 상기 고계조 블랙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067443A 2012-06-22 2012-06-22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10199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43A KR101998631B1 (ko) 2012-06-22 2012-06-22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US13/691,194 US9196220B2 (en) 2012-06-22 2012-11-30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43A KR101998631B1 (ko) 2012-06-22 2012-06-22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685A true KR20140003685A (ko) 2014-01-10
KR101998631B1 KR101998631B1 (ko) 2019-07-11

Family

ID=4977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443A KR101998631B1 (ko) 2012-06-22 2012-06-22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96220B2 (ko)
KR (1) KR1019986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790A (ko) 2014-07-18 2016-01-28 (주)우리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CN113010020A (zh) * 2021-05-25 2021-06-22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时序控制器和显示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441667A (zh) * 2013-04-26 2014-11-01 Wintek Corp 立體影像顯示方法及相關裝置
KR102364355B1 (ko) * 2015-06-25 2022-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70301301A1 (en) * 2016-04-17 2017-10-19 Mediatek Inc.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ack frame insertion thereof
KR102582841B1 (ko) * 2016-07-07 2023-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154851B (zh) 2016-12-02 2020-08-11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纸显示设备的时序控制器电路
CN109256089B (zh) * 2018-10-31 2020-11-10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以及显示面板的显示方法
CN115695772B (zh) * 2022-11-14 2023-12-05 广东欧谱曼迪科技有限公司 立体影像播放、接收方法、播放、接收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9883A1 (en) * 2007-11-28 2010-1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ereocopic visualisation
KR20110073670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20003575A (ko) * 2010-07-05 2012-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20015009A (ko) * 2010-08-11 2012-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9721B2 (ja) * 1995-05-22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JPH0915532A (ja) * 1995-06-29 1997-01-17 Canon Inc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KR100728777B1 (ko) * 2004-04-07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럴랙스 베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0637530B1 (ko) 2004-09-08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2d/3d 겸용 영상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패널
JP2010078985A (ja) 2008-09-26 2010-04-08 Sharp Corp シーケンシャル型立体表示装置
KR20100095832A (ko) 2009-02-23 2010-09-01 재단법인 인천광역시정보산업진흥원 영상 분할 표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분할 재생 장치
CN102356638A (zh) * 2009-03-16 2012-02-15 Lg电子株式会社 显示三维图像数据的方法和处理三维图像数据的设备
KR20110024238A (ko) 2009-09-01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10054834A (ko) * 2009-11-18 2011-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623595B1 (ko) 2009-12-17 2016-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TWI419135B (zh) * 2010-02-08 2013-12-11 Amtran Technology Co Ltd 以調整背光亮度產生立體影像效果的液晶顯示系統及方法
KR20110107670A (ko) 2010-03-25 2011-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110121826A (ko) 2010-05-03 2011-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662987B1 (ko) 2010-05-18 2016-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d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110137664A (ko) 2010-06-17 2011-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03456B1 (ko) 2010-06-22 2013-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데이터 변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279128B1 (ko) 2010-07-08 2013-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712203B1 (ko) 2010-07-15 2017-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9883A1 (en) * 2007-11-28 2010-1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ereocopic visualisation
KR20110073670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20003575A (ko) * 2010-07-05 2012-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20015009A (ko) * 2010-08-11 2012-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790A (ko) 2014-07-18 2016-01-28 (주)우리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CN113010020A (zh) * 2021-05-25 2021-06-22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时序控制器和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42590A1 (en) 2013-12-26
US9196220B2 (en) 2015-11-24
KR101998631B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63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10132346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5483432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133041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50204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9196184B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30104054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30115620A (ko) 표시 장치
EP257536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 image
US201303425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US8854440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13198166A (ja) 表示装置
KR20120053747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7809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50086824A (ko) 3d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27604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20160087459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9234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10057535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763935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773197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픽셀 방전 시간 제어 방법
US2015022126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863140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21963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773608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