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238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238A
KR20110024238A KR1020090082146A KR20090082146A KR20110024238A KR 20110024238 A KR20110024238 A KR 20110024238A KR 1020090082146 A KR1020090082146 A KR 1020090082146A KR 20090082146 A KR20090082146 A KR 20090082146A KR 20110024238 A KR20110024238 A KR 20110024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an
eye image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범
박정진
최낙원
윤상운
성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4238A/ko
Priority to US12/758,310 priority patent/US20110050865A1/en
Priority to EP10162045A priority patent/EP2290995B1/en
Priority to JP2010128673A priority patent/JP2011053648A/ja
Publication of KR2011002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체영상을 위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와,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보기위한 안경부의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간의 스캔구간의 마진이 발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 및 백라이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입체영상의 휘도가 감소되는 현상을 해소하여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스캔시간, 응답속도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입체영상의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3차원 입체영상은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입체영상은 셔터방식의 입체안경을 이용하여 볼 수 있는데, 화면에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교대로 빠르게 표시하고,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과 동기되도록 셔터방식의 입체안경을 개폐시킴으로써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즉, 화면에 좌안영상이 화면에 표시될 때에는 입체안경의 좌안셔터는 개방, 우안셔터는 패쇄되고, 화면에 우안영상이 표시될 때에는 입체안경의 우안셔터는 개방, 좌안셔터는 패쇄된다. 이러한 셔터방식의 입체안경은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셔터방식의 입체안경이 액정을 이용하는 경우, 동기신호에 응답하여 액정이 동작함에는 응답시간이 필요하다. 도 1은 액정을 이용하는 셔터방식의 입체안경의 응답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안셔터 또는 우안셔터가 개방되는 구간은 응답시간을 포함하는 불완전 개방구간(b, b')과 완전 개방구간(a)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개방구간(a, b, b')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데, 완전 개방구간(a)의 경우 선명한 입체영상을 볼 수 있으나, 불완전 개방구간(b,b')의 경우 좌안셔터 또는 우안셔터가 개방 또는 폐쇄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입체영상의 휘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명한 입체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스캔시간 또는 백라이트 스캔시간을 단축하여 불완전 개방구간에서 입체영상의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입체영상을 위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와,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보기위한 안경부의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간의 스캔구간의 마진이 발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 및 백라이 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캔구간의 마진은 상기 안경부의 상기 좌측셔터부 및 상기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불완전개방구간과 일치할 수 있으며, 스캔구간의 시점은 고정하고, 스캔구간의 종점을 앞당김으로써 스캔구간의 마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화면의 일부 영역이 스캔방향으로 순차 스캐닝되도록 백라이트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는 LCD 패널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LCD 패널에 대한 데이터 스캔속도가 스캔 구간의 마진에 대응하도록 LCD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백라이트부의 스캔속도가 디스플레이부의 데이터 스캔속도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부는 CNT 또는 OLED를 이용할 수 있으며, 스캔구간은 데이터 스캔구간 또는 백라이트 스캔구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입체영상을 위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OLED 패널부와,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를 구비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입체영상을 보기위한 안경부의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간의 스캔구간의 마진이 발생하도록 OLED 패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영상의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스캔시간을 단축하여 액정의 응답에 따른 입체안경의 응답속도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처리부(200), 디스플레이부(210), 백라이트부(250),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20)와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부(250)는 광원구동부(260)와 광원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00)는 입력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23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하며, 디스플레이 구동부(220)는 영상처 리부(200)에서 처리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동한다. 백라이트부(250)의 광원부(270)는 디스플레이(230)에 빛을 제공하며, 광원구동부(260)는 광원부(270)를 구동한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20), 광원구동부(260)를 제어하여 데이터 스캔시간 또는 백라이트 스캔시간을 제어하며, 안경부(280)의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가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대응하여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입체영상은 안경부(280)를 이용하여 볼 수 있는데, 안경부(280)는 액정을 이용한 셔터방식의 입체안경으로서,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대응하여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가 개폐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백라이트부(250)는 임펄시브(Impulsive) 구동을 한다. 즉, 입력된 입체영상이 영상처리부(200)에서 처리된 후 디스플레이 구동부(220)에서 디스플레이(230)를 구동하여 데이터를 스캔(주사)하면 광원부(270)는 입체영상이 디스플레이(230)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0)의 일부 영역별로 빛을 공급한다. 이때, 광원부(270)는 전체가 온(ON) 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온 상태로 있지만, 그 외는 오프(OFF) 상태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백라이트부(250)를 구동하기 위해 광원부(27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탄소나노튜브(CNT),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원구동부(260)는 일부 영역별로 구성한 후 각 영역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다중 구동부로 구성할 수 있다. 백라이트부(250)가 임펄시브 구동을 하면 화면 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120[hz]로 구동되는 경우, 입력되는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은 8.3[ms] 시간동안 표시된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스캔시간은 8.3[ms]인데, 수직귀선구간(VBI; Vertical blanking interval)으로 지칭되는 송신에서의 휴지시간도 포함한다. 데이터 스캔이 이루어지면, 백라이트 스캔이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안경부(28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입체영상을 시청한다. 이때 사용자는 안경부(280)의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의 전이 구간인 불완전개방구간(b, b')에서도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입체영상을 시청한다. 한편, 불완전개방구간(b,b')에서는 입체영상의 휘도가 감소되는데, 사용자가 불완전개방구간(b,b')에서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입체영상을 보는 시간이 짧을수록 선명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불완전개방구간(b,b')에서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제어부(240)가 광원구동부(26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스캔(310,320)시간을 단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데이터 스캔(300)시간은 변화없이, 백라이트 스캔(310,320)시간은 단축하여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 백라이트 스캔(310,320)이 마무리 되도록 한다. 도 3에서 실선은 변경전의 백라이트 스캔(310)을 나타내며, 점선은 변경후, 즉, 스캔시간이 단축된 경우의 백라이트 스캔(320)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광원구동부(26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스캔(310,320)이 안경부(280)의 좌측셔터부(292) 또는 우측셔터부(294)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불완전개방구간(b)에서 마무리 되도록 한다.
예를들면, 120[hz]로 구동되는 경우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스캔(300)은 8.3[ms] 시간동안 이루어진다. 반면, 백라이트 스캔(320)은 불완전 개방구간이 1[ms] 정도 되므로, 완전 개방구간(a)으로부터 불완전 개방구간(b)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7.3[ms] 시간 보다 짧은 시간동안 스캔 되도록 한다. 여기서,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백라이트 스캔(320)은 완전 개방구간(a)에서 시작되므로 완전 개방구간(a)이 시작하는 시점 전의 불완전 개방구간(b')은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 앞서 표시되는 다른 프레임이 표시되는 구간이므로 제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교번적으로 표시되고,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은 완전 개방구간(a)에서 백라이트 스캔(320)이 시작되므로, 현재 좌안영상에 대한 프레임이 표시되고 있다면, 불완전 개방구간(b')은 우안영상에 대한 프레임이 표시되는 구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경우 앞서 입력된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백라이트 스캔의 종료시점과 현재 입력되는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백라이트 스캔(320)의 시작시점, 즉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백라이트 스캔구간 사이의 마진(간격)이 안경부(290)의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인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 레이장치(100)는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 백라이트 스캔(320)이 이루어지지만, 그 스캔시간이 짧다. 이러한 방식으로 백라이트 스캔(320)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230)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백라이트 스캔(320)속도가 빠르게 되도록 광원구동부(260)를 제어함으로써 백라이트 스캔(320)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터 스캔(400)시간은 변화없이, 백라이트 스캔(410,420)시간만 단축한다. 도 4에서 실선은 변경전의 백라이트 스캔(410)을 나타내며, 점선은 변경후 백라이트 스캔(420)을 나타낸다. 화면의 휘도가 감소하는 영역은 안경부(280)의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의 전이구간인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 발생하므로,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는 백라이트 스캔(420)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완전 개방구간(a)에서만 백라이트 스캔(420)이 이루어지도록 광원구동부(26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경우 120[hz]로 구동되면, 완전 개방구간(a)이 존재하는 6.3[ms] 시간동안 백라이트부(250)가 구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 일부 백라이트 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백라이트 스캔시간이 더 단축되므로, 디스플레이(230)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 백라이트 스캔(420)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백라이트 스캔(420)속도를 더 빠르게하여 완전 개방구간(a)에서만 백라이트 스캔(420)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백라이트 스캔(420)이 완 전 개방구간(a)에서만 이루어지므로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 백라이트 스캔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휘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어 선명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입력된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백라이트 스캔(420)의 종료시점과 현재 입력되는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백라이트 스캔의 시작시점은 안경부(290)의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의 개폐가 전이되는 구간, 즉, 불완전 개방구간(b)만큼 마진(간격)이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데이터 스캔(500,510)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백라이트 스캔(520,530)시간을 단축한다. 도 5에서, 실선은 변경전의 데이터 스캔(500), 백라이트 스캔(520)을 나타내며, 점선은 변경후 데이터 스캔(510), 백라이트 스캔(530)을 나타낸다. 제어부(240)는 광원구동부(26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스캔(520,530)이 데이터 스캔(500,510)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스캔(500,510)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백라이트 스캔(520,530)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데이터 스캔(500,510)시간이 단축되면 백라이트 스캔(520,530)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스캔(530)이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 일부 이루어지거나, 완전 개방구간(a)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30)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데이터 스캔(510)속도를 빠르게 한다. 광원구동부(260)는 데이터 스캔(510)에 대응하도록 광원부(270)를 구동하므로, 데이터 스캔(510)시간이 단축되면, 백라이트 스캔(530)시 간도 단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백라이트 스캔(530)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스캔(510)시간이 단축되어 수직귀선구간(VBI)으로 지칭되는 데이터 송신에서의 휴지기가 길어진다. 이로인해 안경부(290)의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의 액정의 응답에 따른 안경부(290)의 응답속도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처리부(600), OLED 패널부(610), 제어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LED 패널부(610)는 OLED 패널 구동부(620)와 디스플레이(63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600)는 입력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63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하며, OLED 패널부(610)는 영상처리부(600)에서 처리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630)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동한다. 제어부(240)는 OLED 패널 구동부(620)를 제어하여 데이터 스캔시간을 제어하며, 안경부(650)의 좌측셔터부(660) 및 우측셔터부(670)가 디스플레이(630)에 표시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대응하여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OLED 픽셀은 직접 빛을 내기 때문에 빛의 표현 범위가 LCD보다 더 크며 백라이트가 필요없다. 따라서, 일반 LC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달리, 영상처리부(600)에서 처리된 입체영상에 대한 데이터 스캔만으로 입체영상을 디스 플레이(630)에 표시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면의 휘도가 감소하는 불완전 개방구간(b)에서는 데이터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스캔(700, 710)시간을 단축한다. 실선은 변경전의 데이터 스캔(700)을 나타내며, 점선은 변경후 데이터 스캔(710)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제어부(640)는 완전 개방구간(a)에서만 데이터 스캔(710)이 이루어지도록 OLED 패널 구동부(620)를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이 입력(800)되면, 영상처리부(200)는 입력영상을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810). 이후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기위한 안경부(290)의 좌측셔터부(292) 및 우측셔터부(294)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간의 스캔구간의 마진(간격) 발생하도록 제어부(240)가 디스플레이부(210) 또는 백라이트부(250)를 제어(820)한다. 즉, 제어부(240)가 광원구동부(26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스캔시간을 단축하거나, 디스플레이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데이터 스캔시간을 단축하고, 광원구동부(260)을 제어하여 백라이트 스캔이 데이터 스캔에 대응하도록 하여 백라이트 스캔시간을 단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230)에 영상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안경부(290)를 통하여 표시된 영상을 시청(830)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이 입력(900)되면, 영상처리부(600)는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63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910). 이후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660) 및 우측셔터부(670)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63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기위한 안경부(650)의 좌측셔터부(660) 및 우측셔터부(670)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간의 데이터 스캔구간의 마진(간격) 발생하도록 제어부(640)가 OLED패널 구동부(620)를 제어(920)한다. 즉, 제어부(640)가 OLED 패널 구동부(620)를 제어하여 데이터 스캔시간을 단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630)에 영상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안경부(650)를 통하여 표시된 영상을 시청(930)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액정을 이용하는 셔터방식의 입체안경의 응답시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영상처리부 210: 디스플레이부
220: 디스플레이 구동부 230: 디스플레이
240: 제어부 250: 백라이트부
260: 광원구동부 270: 광원부
290: 안경부 292: 좌측셔터부
294: 우측셔터부

Claims (22)

  1. 입체영상을 위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를 구비하는 안경부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와;
    상기 좌측셔터부 및 상기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간의 스캔구간의 마진이 발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백라이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간의 마진은 상기 좌측셔터부 및 상기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불완전개방구간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간의 시점은 고정하고, 상기 스캔구간의 종점을 앞당김으로써 상기 스캔구간의 마진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의 일부 영역이 스캔방향으로 순차 스캐닝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LCD 패널에 대한 데이터 스캔시간이 상기 스캔구간의 마진에 대응하도록 상기 LCD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부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부는 OLED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간은 데이터 스캔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간은 백라이트 스캔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부의 스캔시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캔시간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입체영상을 위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를 구비하는 안경부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OLED 패널부와;
    상기 좌측셔터부 및 상기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간의 스캔구간의 마진이 발생하도록 상기 OLED 패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체영상을 위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를 구비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기위한 안경부의 상기 좌측셔터부 및 상기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간의 스캔구간의 마진이 발생하도록 데이터 스캔시간 및 백라이트 스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간의 마진은 상기 좌측셔터부 및 상기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불완전개방구간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간의 시점은 고정하고, 상기 스캔구간의 종점을 앞당김으로써 상기 스캔구간의 마진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이 스캔방향으로 순차 스캐닝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LCD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LCD 패널에 대한 데이터 스캔시간이 상기 스캔 구간의 마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백라이트 스캔시간은 데이터 스캔시간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스캔은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스캔은 OLED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간은 데이터 스캔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간은 백라이트 스캔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22. OLED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체영상을 위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좌측셔터부 및 우측셔터부를 구비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기위한 안경부의 상기 좌측셔터부 및 상기 우측셔터부의 개폐가 전이되는 동안 대응하는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간의 데이터 스캔구간의 마진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90082146A 2009-09-01 2009-09-0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10024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46A KR20110024238A (ko) 2009-09-01 2009-09-0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2/758,310 US20110050865A1 (en) 2009-09-01 2010-04-12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10162045A EP2290995B1 (en) 2009-09-01 2010-05-05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for 3D displays with shutter glasses
JP2010128673A JP2011053648A (ja) 2009-09-01 2010-06-04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46A KR20110024238A (ko) 2009-09-01 2009-09-0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38A true KR20110024238A (ko) 2011-03-09

Family

ID=4230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46A KR20110024238A (ko) 2009-09-01 2009-09-0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50865A1 (ko)
EP (1) EP2290995B1 (ko)
JP (1) JP2011053648A (ko)
KR (1) KR20110024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2402B2 (en) 2011-12-05 2015-12-01 Samsung Display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8062A1 (en) * 2008-10-20 2011-09-22 Macnaughton Boyd 3D Glasses with OLED Shutters
KR20110065205A (ko) * 2009-12-09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WI520568B (zh) * 2010-05-25 2016-02-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三維顯示控制裝置及方法
JP5545060B2 (ja) * 2010-06-18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シャッター眼鏡、並びに表示装置
TW201225050A (en) * 2010-12-08 2012-06-16 Acer Inc Video display apparatus which collaborates with three-dimensional glasses for presenting stereoscopic image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video display apparatus
TWI442093B (zh) * 2011-01-27 2014-06-21 Acer Inc 於快門眼鏡操作於二維影像觀看模式時調整快門眼鏡所接收之周遭環境亮度的方法、快門眼鏡以及調整快門眼鏡所接收之週遭環境亮度的電子裝置
TWI462570B (zh) * 2011-06-16 2014-11-21 Innolux Corp 立體顯示裝置
KR101998631B1 (ko) 2012-06-22 2019-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JP6514651B2 (ja) 2016-02-15 2019-05-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開眼度検出システム、居眠り検知システム、自動シャッタシステム、開眼度検出方法及び開眼度検出プログラム
CN108376535B (zh) * 2018-03-14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驱动方法、虚拟现实眼镜、驱动方法及虚拟现实系统
JP2021117255A (ja) * 2020-01-22 2021-08-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224A (ja) * 1999-03-30 2000-10-13 Idemitsu Kosan Co Ltd 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JP4141708B2 (ja) * 2002-03-11 2008-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6727645B2 (en) * 2002-05-24 2004-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rganic LED device
JP3944458B2 (ja) * 2003-03-12 2007-07-11 株式会社ソフィア 画像表示装置及び遊技機
JP2005195734A (ja) * 2004-01-05 2005-07-21 Fujitsu Ltd 発光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060158455A1 (en) * 2005-01-18 2006-07-20 Kazutora Yoshino Real clear 3D multi-user communicator
WO2007024313A1 (en) * 2005-05-27 2007-03-01 Imax Corporation Equipment and methods for the synchronization of stereoscopic projection displays
US7724211B2 (en) * 2006-03-29 2010-05-25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stereo glasses shutters
US8154493B2 (en) * 2006-06-02 2012-04-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8203647A (ja) * 2007-02-21 2008-09-04 Nec Lcd Technologies Ltd 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US8355097B2 (en) * 2007-06-05 2013-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83659B1 (ko) * 2008-07-11 2015-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장치
US20100238274A1 (en) * 2009-03-16 2010-09-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and an apparatus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KR101291799B1 (ko) * 2009-05-29 2013-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2402B2 (en) 2011-12-05 2015-12-01 Samsung Display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0865A1 (en) 2011-03-03
EP2290995A1 (en) 2011-03-02
EP2290995B1 (en) 2012-12-12
JP2011053648A (ja)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423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27664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10292041A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734458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071056B1 (ko)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EP2265033B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5526029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9025013B2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reduced crosstalk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147426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2032710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ircuit,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20033042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observing system,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110254932A1 (en) 3d display using partial screen illumination and synchronized shutter glass
JP5713657B2 (ja) 立体映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188348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view system
KR20100064859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TWI413093B (zh) 背光模組驅動系統及其驅動方法
KR101609903B1 (ko) 입체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475529B (zh) 立體影像顯示系統及方法
KR101724023B1 (ko)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입체영상 표시 장치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셔터 안경
KR20100073321A (ko) 입체 영상 시스템
KR1017618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722647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観察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KR102217327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10774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