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859A -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859A
KR20100064859A KR1020080123503A KR20080123503A KR20100064859A KR 20100064859 A KR20100064859 A KR 20100064859A KR 1020080123503 A KR1020080123503 A KR 1020080123503A KR 20080123503 A KR20080123503 A KR 20080123503A KR 20100064859 A KR20100064859 A KR 2010006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image
image data
liquid crystal
unit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859A/ko
Priority to US12/464,991 priority patent/US8310526B2/en
Publication of KR2010006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859A/ko
Priority to US13/646,174 priority patent/US8570364B2/en
Priority to US14/038,222 priority patent/US912487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신호원으로부터 평면영상 데이터 또는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수신부와; 상기 평면영상 데이터와 입체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 후방에 마련되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모듈과, 상기 액정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에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절전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최적의 입체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입체영상, 수직동기신호, 수직공백구간

Description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3 DIMENSIO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차원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아날로그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며, 최근에는 3차원 영상신호(이하 입체영상신호라 칭함)라 하는 입체영상을 모니터 또는 텔레비젼과 같은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입체영상신호는 2차원 영상신호(이하 평면영상신호라 칭함)와 상이하게 우측 및 좌측의 인간의 눈에 따라 콘텐츠가 분리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분리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가 우안 및 좌안으로 각각 분리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터를 장착한 편광안경 방식과 셔터를 온/오프하면서 좌우 화면이 교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셔터 글라스 방식으로 화면을 봐야 한다.
본 발명은, 입체영상신호 처리에 있어서, 입체영상신호가 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입체영상신호 처리에 있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소비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되는 영상이 평면영상신호 또는 입체영상신호 인지에 따라 사용자가 최적의 화질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되는 영상이 일반 영상신호 또는 입체영상신호인지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환경 설정이 조종되어 최적의 화질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신호원으로부터 평면영상 데이터 또는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수신부와; 상기 평면영상 데이터와 입체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 후방에 마련되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모듈과, 상기 액정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에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절전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고, 전면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이 위치하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구동전원으로 인가하기 위한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절전모드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직공백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에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체영상모드 또는 평면영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입체영상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입체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핫키(Hot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OSD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입체영상모드 또는 평면영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OSD 화면을 생성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냉음극 형광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 시,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음극 형광 램프가 오프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는 복 수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 시,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 상기 복 수의 LED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절전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정상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이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례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서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10)는 제 1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신호원(1)인 컴퓨터로부터 평면영상 데이터 또는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수신부(11)와, 평면영상 데이터와 입체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패널(12-1)과, 액정 표시패널의 후방에 마련되는 백라이트 유닛(12-2)을 포함하는 액정모듈(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액정 모듈(12)에 전원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3)와, 영상신호 수신부(1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입체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입체영상 데이터가 액정 패널(12-1)에 주사되는 동안에 백라이트 유닛(12-1)이 절전모드로 동작되도록 전원공급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 신호원(1)은 컴퓨터 외에도 각종 멀티 미디어 디지털 파일을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 재생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 수신부(11)는 외부 신호원(1)과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는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DVI(Digital Video Interface) 커넥터로 구현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D-Sub 커넥터로 구현 될 수 있고, 또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와 같은 각종 직렬방식의 인터페이스 포트로 구현되거나, 유선 및 무선 방식의 네트워크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와 연결되는 버퍼 메모리(14-1)는, 제어부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액정패널(12-1)로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해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액정모듈(12)은, 제 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2-2)으로 복 수의 냉음극 램프(12-3)를 수용하고, 전면에 액정 표시패널(12-1)이 위치하는 수납용기(12-4)와, 수납 용기의 배면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부(13)를 통하여 공 급받은 전원을 백라이트 유닛(12-2)에 구동전원으로 인가하기 위한 인버터(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액정모듈(12)은 백라이트 유닛(12-2)과 액정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한 도광판(12-6) 및 각종 복 수의 광학 시트(12-7)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12-2)을 통하여 발생된 광은 각종 광학 시트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2)은 제 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이 도광판의 배면 방향으로부터 광을 발생하는 직하 방식(direct type)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도광판의 측면에 광원이 위치하는 측면 방식(edge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12-2)은, 적어도 하나의 이상이 냉음극 형광 램프(CCFL), 외부광 형광 램프(EEFL) 또는 복수의 LED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3)는 외부에서 통상적으로 교류전원을 공급받고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교류전원를 액정 모듈의 백라이트 유닛(12-2)을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에 직류 또는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제 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 신호원(1)에서 출력하는 2차원 영상인 평면영상 데이터 또는 3차원 영상인 입체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평면영상 또는 입체영상 데이터는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수직동기신호 에 의해 하나의 프레임이 액정표시패널에 디스플레이 된다. 하나의 수직동기구간 즉, 하나의 프레임이 형성되는 구간은 데이터가 주사되는 활성구간과, 데이터가 주사가 완료되는 수직공백구간(VBI:Vertical Blanking Interval)으로 이루어진다.
즉, 수직공백구간(VBI:Vertical Blanking Interval)에 의하여 각 프레임이 구별될 수 있는데, 수직공백구간은 CRT의 내부에 있는 전자총으로부터 전자빔이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 가기 위해 제공되는 시간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소자가 액정표시패널인 경우에 필요가 없으나, 디스플레이 소자 간의 호환성을 유지하여 위해 영상신호에는 수직공백구간이 제공되고 있다. CRT 디스플레이 소자인 경우에는 수직공백구간에 화면에 영상 데이터 표시되지 않으나, 액정표시패널에서는 각각의 픽셀이 액정패널 구동에 의해 그 색상 및 강도가 유지됨에 따라 수직공백구간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표시된다.
제 2 도의 (a)는, 평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의 수직동기구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 이때 수직공백구간은 전체 구간의 전체 수직동기구간의 25 % 이내로 구현되며, 이는 액정표시패널(12-1)에서 표시될 수 있는 해상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입체영상 데이터가 액정표시패널(12-1)에 표시될 때는 제 2 도의 (b)와 같이, 수직공백구간이 평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보다 크며, 전체 수직동기구간의 25 %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역시 액정표시패널(12-1)에서 표시될 수 있는 해상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수직공백구간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감상하기 위해 사용자가 셔터 방식의 안경을 이용할 경우에 좌안 셔터(left eye shutter) 또는 우안 셔터(right eye shutter)가 개방되는 시간에 대응된다.
액정표시패널(12-1)에 표시되는 입체영상 데이터를 감상하기 위해 사용자는 셔터방식의 입체안경을 착용하게 되고, 액정표시패널(12-1)에는 좌안용 영상 데이터와 우안용 영상 데이터가 교차적으로 표시된다. 좌안용 영상 데이터와 우안용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입체안경의 우안 셔터와 좌안 셔터가 교호적으로 개방되어 사용자는 액정표시패널(12-1)에 표시되는 영상을 감상하게 된다.
이때 좌안용 영상 데이터가 액정표시패널(12-1)에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구간은 좌안용 영상 데이터가 패널에 주사가 완료된 후인 수직공백구간 동안이며, 우안용 영상 데이터도 우안용 영상 데이터가 패널에 주사가 완료된 후인 수직공백구간이다.
따라서, 셔터 방식의 입체안경인 경우에 수직공백구간에 이전 주사되는 활성구간에 우안용 영상 데이터가 주사되면 우안 셔터가 개방되고, 이전 주사되는 활성구간에 좌안용 영상 데이터가 주사되면 좌안 셔터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수직공백구간이 길수록 각 셔터의 개방시간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영상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증가되고, 그것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에 대한 인지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우안용 영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영상 데이터가 주사되는 활성구간에는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는 폐쇄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입체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화면을 볼 수 없다.
제2도의 (c)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12-2)을 절전모드로 구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가 주사되는 활성구간에서는 절전모드로 구동되고, 수직공백구간에서는 정상모드로 구동된다. 제3a도를 참조하여, 이에 대한 제어방법을 정리한다. 우선,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10). 제어부(14)는 입체영상 데이터가 스캐닝 동안, 즉 활성구간 동안에는 절전모드로 백라이트 유닛(12-2)을 구동하고, 좌안 및 우안 셔터가 개방되는 수직공백구간 동안에는 정상모드로 백라이트 유닛(12-2)을 구동한다(S20).
제3b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2-2)에 공급되는 전원 제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영상신호가 수신되면(S10), 제어부(14)는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카운트한다(S21).
그런 후,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파악하고 수직동기구간에 포함된 수직공백구간의 크기가 이전에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기간 또는 기 설정된 구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판단 결과,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의 크기가 이전에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기간 또는 기 설정된 구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고(S23), 입체영상 데이터가 주사되는 활성구간동안 액정 모듈(12)의 백라이트 유닛(12-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절전모드를 구현한다(S24). 절전모드는 백라이트 유닛(12-2)이 포함하고 있는 냉음극 형광 램프 또는 LED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키거나 차단 즉, 전원을 오프시킴 으로써 실행된다. 복수의 램프 또는 LED 중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고, 전체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4)는 백라이트 유닛(12-2)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원공급부(13)로부터 인버터(12-5)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한다. 물론, 좌안용 또는 우안용 데이터가 액정표시패널(12-1)의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수직공백구간에는 백라이트 유닛(12-2)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모드를 구현한다.
이때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평면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과 비교되는 기 설정구간은 액정표시패널의 픽셀 수에 대응되는 해상도 및 액정표시패널의 구동 타이밍에 따라 사용자 모는 또는 공장 제조 모드에서 인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기설정 구간은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된 이전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으로 설정하여 현재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이 이전에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보다 클 경우에 현재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여 수직공백구간에만 정상모드로 동작되도록 백라이트 유닛(12-2)에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하여 영상 데이터가 주사되는 구간에 절전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판단 결과,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의 크기가 이전에 수신된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기간 또는 기 설정된 구간보다 작으면 현재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평면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고(S25), 백라이트 유닛(12-2)을 정상모드로 구동한다(S26).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5)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OSD 화면을 발생시키는 OSD 발생부(16), OSD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7)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5)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형성되어 있거나 원격제어장치 등에 포함되어 있는 핫키(Hot Key)와 같은 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터치패널이나 마우스 등과 같은 통상적인 입력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5)를 통하여 입체영상모드 또는 평면영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메모리(17)에는 OSD 화면(Ⅰ)에 포함되는 문자의 크기, 색채 또는 이미지 등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OSD 발생부(16)는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체영상모드 또는 평면영상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OSD 화면(Ⅰ)을 발생시키고, 이를 액정표시패널(12-1)에 표시한다. 제5도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OSD 화면(Ⅰ)을 도시한 도면이다. OSD 화면(Ⅰ)은 "입체영상모드"와 "평면영상모드"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고, 액정표시패널(12-1)에 표시되어 있던 영상신호와 오버랩된다. 이때, OSD 화면(Ⅰ)의 투명도는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OSD 화면(Ⅰ)의 각 항목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하이라이트 된다.
제 6 도는 제4도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 어흐름도이다. 제6도를 참조하여 제어부(14)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 후(S10), 제어부(14)는 사용자 입력부(15)에 의하여 영상모드가 입체영상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하여 입체영상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체영상 데이터가 스캐닝 되는 동안 백라이트 유닛(12-2)을 절전모드로 동작시킨다(S40). 즉,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입체영상 데이터가 입력될 때, 사용자는 백라이트 유닛(12-2)을 특정 구간 동안 절전모드로 구동시키는 제어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체영상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와 같이 입체영상 데이터가 스캐닝 되는 동안 백라이트 유닛(12-2)을 절전모드로 구동시킨다.
반면, 사용자에 의하여 입체영상모드가 아닌 평면영상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4)는 영상신호가 입체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여부와 상관없이 백라이트 유닛(12-2)을 정상모드로 동작시킨다(S50).
본 발명은 입체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특정 구간 동안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적으로 절전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발명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1b도는 제1a도 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액정모듈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실시예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OSD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6도는 제4도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Claims (11)

  1.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원으로부터 평면영상 데이터 또는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수신부와;
    상기 평면영상 데이터와 입체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 후방에 마련되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모듈과,
    상기 액정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에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절전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고, 전면에 상기 액정 표시패널이 위치하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구동전원으로 인가하기 위한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절전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직공백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에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입체영상모드 또는 평면영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입체영상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입체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핫키(Hot Ke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OSD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입체영상모드 또는 평면영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OSD 화면을 생성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냉음극 형광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 시,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음극 형광 램프가 오프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는 복 수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 시,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 상기 복 수의 LED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장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9.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제 어 방법에 있어서,
    입체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가 상기 액정 패널에 주사되는 동안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절전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공백구간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정상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123503A 2008-12-05 2008-12-05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64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503A KR20100064859A (ko) 2008-12-05 2008-12-05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US12/464,991 US8310526B2 (en) 2008-12-05 2009-05-13 3-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13/646,174 US8570364B2 (en) 2008-12-05 2012-10-05 3-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14/038,222 US9124878B2 (en) 2008-12-05 2013-09-26 3-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503A KR20100064859A (ko) 2008-12-05 2008-12-05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859A true KR20100064859A (ko) 2010-06-15

Family

ID=4223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503A KR20100064859A (ko) 2008-12-05 2008-12-05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310526B2 (ko)
KR (1) KR201000648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7101B2 (en) 2010-11-19 2013-09-17 Samsung Display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9245467B2 (en) 2013-05-28 2016-01-26 Samsung Display Co., Lt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71B1 (ko) * 2008-09-17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2006489B (zh) * 2009-08-27 2015-02-04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用于立体显示的帧频转换装置及方法
KR101356321B1 (ko) * 2010-02-19 2014-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20110267441A1 (en) * 2010-04-29 2011-11-03 Yan Yan Lee 3-d moving picture viewing apparatus
TWI520568B (zh) * 2010-05-25 2016-02-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三維顯示控制裝置及方法
KR20110139497A (ko) * 2010-06-23 2011-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04867432B (zh) 2015-06-12 2017-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的测试方法和测试装置
US10657859B2 (en) 2015-06-12 2020-05-1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esting method for splicing screen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3142A (ja) 1999-04-09 2000-10-20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673217B2 (ja) * 2001-12-20 2005-07-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2007065067A (ja) * 2005-08-29 2007-03-15 Seijiro Tomita 立体映像表示装置
US7580089B2 (en) * 2005-10-31 2009-08-25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13975B1 (ko) 2006-02-27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해상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535802B1 (ko) * 2007-11-28 2015-07-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스테레오코픽 가시화
US9124870B2 (en) * 2008-08-20 201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video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on screen display applied there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7101B2 (en) 2010-11-19 2013-09-17 Samsung Display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9245467B2 (en) 2013-05-28 2016-01-26 Samsung Display Co., Lt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1741A1 (en) 2010-06-10
US9124878B2 (en) 2015-09-01
US8570364B2 (en) 2013-10-29
US8310526B2 (en) 2012-11-13
US20130027376A1 (en) 2013-01-31
US20140028814A1 (en)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4859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101301322B1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01697595B (zh) 用于3d图像显示的方法、电视机及一种眼镜
US8659641B2 (en) Stereoscopic 3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black data insertion
KR101427664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2104787B (zh) 图像显示设备、图像显示观看系统和图像显示方法
US9618758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backlight thereof
KR10170536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9340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5619863B2 (ja) 無眼鏡立体映像表示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8982193B2 (en) Multiviewabl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11199841A (ja) 立体映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TWI413093B (zh) 背光模組驅動系統及其驅動方法
JP201208516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制御方法
TWI423223B (zh) 液晶顯示裝置及其背光調整方法
KR101662987B1 (ko) 3d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08010723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57616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applying the same
KR101678215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829461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72033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689666B1 (ko) 3d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1811059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20016538A (ko) 영상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120003758A (ko) 스캐닝 백라이트 구동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