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217A - 척추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217A
KR20230109217A KR1020220004841A KR20220004841A KR20230109217A KR 20230109217 A KR20230109217 A KR 20230109217A KR 1020220004841 A KR1020220004841 A KR 1020220004841A KR 20220004841 A KR20220004841 A KR 20220004841A KR 20230109217 A KR20230109217 A KR 20230109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seat
backrest
sp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규
Original Assignee
(주)씨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비에이치 filed Critical (주)씨비에이치
Priority to KR102022000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217A/ko
Priority to PCT/KR2022/016586 priority patent/WO2023136434A1/ko
Publication of KR20230109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2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는, 대상자의 척추부가 기대어지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다리구조체, 상기 대상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를 상기 등받이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는 견인부 및 상기 대상자의 요추부를 상기 좌석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요추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척추 스트레칭 장치는 요추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요추부를 대상자의 머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통해 대상자의 척추를 효과적을 감압시킨다.

Description

척추 스트레칭 장치{SPINE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은 척추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태 또는 침대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의자 형태로 제작될 때에는 대상자가 의자에 앉은 이후에 의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침대 형태로 제작될 때에는 대상자의 다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제작되어, 대상자의 척추를 스트레칭 시키는 장치로 대상자에게 마사지 또는 치료 등의 행위를 제공할 수 있게 제작된 척추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가 아픈 증세인 요통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인간이 진화하여 두발로 활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숙명적인 질환으로 남녀노소에 구별없이 전 인구의 약 80% 이상이 요통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상술한 요통 뿐만 아니라, 최근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장시간 고개를 숙이는 현상을 통해 이른 바 일자목(또는 거북목) 증상과 같은 경추 부위의 통증 질환도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상기 척추 질환은 특히 무거운 짐을 옮기는 노동자, 대부분의 시간을 잘못된 자세로 의자나 컴퓨터 앞에 앉아서 일하는 회사원 및 장시간 싱크대 앞에 서서 가사를 돌보는 주부 등 모든 사람에게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척추 질환은 디스크질환, 강직성 척추염, 척추판 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 분리증, 디스크 내장증, 급만성 요추염좌, 일자목, 거북목 증상 등으로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척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경직이 수반됨으로써 이 근육을 이완시켜주기만 해도 상당부분 완화될 수 있다.
상기한 척추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척추 견인에 의한 척추 감압 물리치료이다. 척추 견인의 기본 원리는 오랫동안 척추 지압사, 정골 요법사, 및 다른 적절한 교육을 받은 보건 전문가들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견인 및 감압 요법은 모두, 통증을 완화시키고 추간판 팽륜증, 퇴행성 디스크 또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최적의 치유 환경을 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적용된다. 추간판 탈출 물질 또는 추간판 팽륜 물질을 수축하거나 재배치하는 것 및/또는 치유 영양분 및 다른 물질의 디스크에의 유입을 야기하는 저압을 디스크에 형성하는 것을 조장하도록, 추간판 내에 부압을 형성한 결과, 통증이 완화된다. 추가적으로, 척추 감압은 척수 또는 척추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된 신경근에 대한 압력을 완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척추 신경 요소의 감압은, 신경근병, 골수병, 파행 등과 같은 척추 이상의 치료에 있어서 핵심 요소이다. 척추 감압 요법은 요통 완화를 목표로, 트랙션 장치 또는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척추를 신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척추 디스크 감압을 용이하게 하고 개인에게 요통의 완화를 제공하도록, 견인력을 몸통에 가하는 장치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감압 장치는 부피가 크고, 조작하기 어려우며, 테이블에 엎드려 누워 있는 것 등과 같이, 사용자가 계속 단일 위치에서 단일 자세로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현재의 장치는 특정 몸통 타입에 제한되어 있어, 많은 고통을 받고 있을 수 있는 개인들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나치게 크고 비싸서 가정에서 쓰기 힘들어 개인의 접근이 어려웠던 병원용 견인/감압 치료기를 가정용으로도 쓸 수 있게 의자형 또는 침대형으로 제작하여 개인들도 쉽게 척추 견인 감압 치료를 받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KR 10-2124863 B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추부와 요추부가 대상자를 고정시키고 경추부와 요추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갖춘 장치를 확보함으로써 대상자의 척추를 감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는, 대상자의 척추부가 기대어지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다리구조체, 상기 대상자의 둔부 를 지지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를 상기 등받이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는 견인부 및 상기 대상자의 요추부를 상기 좌석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요추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에서, 상기 요추부 고정부는, 상기 대상자의 요추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에서 상기 요추부를 바라보는 면에 배치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요추부를 상기 좌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밀착시키는 에어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는, 상기 대상자의 상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등받이부에 배치되는 상체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단을 향하는 방향인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며 상기 좌석부와 결합되는 견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 고정부의 위치는 상기 등받이부 상에서 이동되지 않으면서 상기 견인체가 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대상자의 척추를 스트레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는, 상기 다리구조체 상에 상기 좌석부를 받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대상자가 상기 좌석부가 착석할 때 상기 좌석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에서,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다리구조체는 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대상자가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이후,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다리구조체에 대해 기울어지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좌석부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좌석부가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척추 스트레칭 장치는 요추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요추부를 대상자의 머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통해 대상자의 척추를 효과적을 감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척추 스트레칭 장치는 대상자의 척추의 기울기를 척추 감압에 알맞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람의 다양한 척추 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초 상태의 척추 스트레칭 장치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을 진행하는 척추 스트레칭 장치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추부 고정부가 적용된 척추 스트레칭 장치의 다기능 침대형 장치의 사용상태도; 및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 배치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를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2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는, 대상자(P)의 척추부가 기대어지는 등받이부(100), 상기 등받이부(100)를 지지하는 다리구조체(200), 상기 대상자(P)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부(300), 상기 좌석부(300)를 상기 등받이부(100) 상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는 견인부(400) 및 상기 대상자(P)의 요추부를 상기 좌석부(3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요추부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는 등받이부(100), 다리구조체(200), 좌석부(300), 견인부(400) 및 요추부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대상자(P)에게 척추 스트레칭 기능을 부여하지 않은 최초의 상태(제1 상태)를 나타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리칭 장치(1)가 대상자(P)에게 척추 스트레칭 기능을 부여할 때의 상태(제2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등받이부(100), 다리구조체(200) 및 좌석부(300)의 구조는 통상적인 의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100)의 각도를 지면과 수평하게 조절하여 척추 스트레칭 장치(1)를 침대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요추부 고정부(500)는 대상자(P)의 요추부를 좌석부(3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도 3a 및 도 3b에서는 요추부 고정부(500)가 좌석부(300)에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둔부라고 함은 엉덩이 또는 허벅다리 부분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의자형으로 사용될 때는 좌석부(300)가 둔부인 엉덩이를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침대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좌석부(300)가 둔부인 허벅다리 부분을 직접 지지할 수 있는 것은 신체의 해부학적 및 의자 또는 침대의 구조적으로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100)는 대상자(P)의 척추부가 기대어지는 역할을 하고, 다리구조체(200)는 등받이부(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좌석부(300)는 대상자(P)의 둔부를 지지하여 대상자(300)가 앉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는 견인부(400)를 포함한다. 견인부(400)는 좌석부를 등받이부(100) 상에서 미끄럼 운동을 시키는 구성으로, 견인부(400)의 역할로 인해 대상자(P)의 요추부를 감압시키는 스트레칭 기능이 사용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견인부(400)와 요추부 고정부(500)가 동시에 구비되어 있고, 요추부 고정부(500)가 대상자(P)의 요추부를 좌석부(3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며, 이 상태에서 견인부(400)가 좌석부(300)를 등받이부(100) 상에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대상자(P)의 척추를 스트레칭시켜 감압시킬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100)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침대형으로 형성될 때에는, 좌석부(300)의 각도가 등받이부(100)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대상자(P)의 요추부가 감압될 수 있는 최적의 다리 각도로 대상자(P)의 다리 각도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석부(300)의 각도 조절 기능은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의자 형태로 제작될 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요추부 고정부(500)를 자세히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에서, 상기 요추부 고정부(500)는, 상기 대상자(P)의 요추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벨트부(510) 및 상기 벨트부(510)에서 상기 요추부를 바라보는 면에 배치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요추부를 상기 좌석부(300) 및 상기 등받이부(100)에 밀착시키는 에어포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의 요추부 고정부(500)는 벨트부(510) 및 에어포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벨트부(510)는 대상자(P)의 복부를 둘러싸서 요추부를 좌석부(3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어포켓(520)은 벨트부(510)에서 요추부를 바라보는 면에 배치되어 요추부를 좌석부(300)와 등받이부(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벨트부(510)의 버클이 서로 결착되고 나서 에어포켓(520)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함으로써 대상자(P)의 복부를 등받이부(100)와 좌석부(300) 방향으로 밀어내어, 등받이부(100)와 좌석부(300)에 대상자(P)의 요추부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b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의 견인부(400)의 구조를 자세히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는, 상기 대상자(P)의 상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등받이부(100)에 배치되는 상체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단을 향하는 방향인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410) 및 상기 레일부(41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며 상기 좌석부(300)와 결합되는 견인체(420)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 고정부(미도시)의 위치는 상기 등받이부(100) 상에서 이동되지 않으면서 상기 견인부(400)가 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대상자(P)의 척추를 스트레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는 상체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체 고정부(미도시)와 요추부 고정부(500)는 각가 대상자(P)의 상체와 요추부를 고정시키이 위한 구성이다. 대상자(P)의 척추를 견인하여 감압시키기 위해서는 척추를 양방향으로 늘려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척추 스트레칭 장치(1)에서는 대상자(P)의 척추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체 고정부(미도시)와 요추부를 고정하기 위한 요추부 고정부(500)를 구비하여, 상체 고정부(미도시)는 등받이부(100)에서 고정되어 있고 견인부(400)의 이동에 의해 상체 고정부(미도시)와 요추부 고정부(500)의 이격 거리가 늘어나게 되어 대상자(P)의 척추에 감압 치료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의 견인부(400)는 레일부(410) 및 견인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2b를 보면, 견인부(400)의 구성인 레일부(410)와 견인체(420)가 도시된 것을 볼 수 있다. 레일부(410)는 등받이부(100)의 하단에 일단이 배치되고, 일단에서 등받이부(100)의 상단을 향하는 방향인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부(410)는 등받이부(100)의 하단 부근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해준다. 견인체(420)는 레일부(41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며, 좌석부(300)와 결합되어 좌석부(30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체 고정부의 위치는 등받이부(100)에서 이동되지 않으면서, 견인부(400)가 대상자(P)의 척추를 늘리는 방향인 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대상자(P)의 척추를 감압시키는 스트레칭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b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의 제2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는, 상기 다리구조체(200) 상에 상기 좌석부(300)를 받치는 지지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600)는 상기 대상자(P)가 상기 좌석부(300)가 착석할 때 상기 좌석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에서, 상기 등받이부(100)와 상기 다리구조체(200)는 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대상자(P)가 상기 좌석부(300)에 착석한 이후,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다리구조체(200)에 대해 기울어지면서 상기 지지부(600)와 상기 좌석부(300)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견인부(400)가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의 등받이부(100)와, 등받이부(100)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인 좌석부(300), 견인부(400) 및 요추부 고정부(500) 등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진행되기 위해 도 1a의 제1 상태에서 도 2a의 제2 상태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제1 상태에서는 대상자(P)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좌석부(300)가 다리구조체(200)에 지지되는데,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제2 상태로 변경되려면 좌석부(300) 앞쪽은 다리구조체(200)에서 떨어져야 한다. 따라서 다리구조체(200) 상에서는 좌석부(300)를 받치는 지지부(600) 구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장치(1)의 등받이부(100)와 다리구조체(200)는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부(100)와 다리구조체(200)의 결합은 등받이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P)가 좌석부(300)에 착석한 제1 상태에서, 등받이부(100)가 다리구조체(200)에 대해 기울어지기 시작하면서 지지부(600)와 좌석부(300)가 서로 이격된다. 이때, 제1 상태에서의 좌석부(300)는 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타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하였으나, 등받이부(100)가 기울어지기 시작하면서 좌석부(300)가 지지부(600)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타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져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제2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견인부(400)에는 견인체(4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장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또한 등받이부(1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각도조절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에어포켓(520)에 결합되는 공압 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 또한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침대형 장치(1)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등받이부(100)의 대상자(P)의 등이 닿는 부분에 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압력센서(110)가 배치될 수 있다. 등받이부(100)가 기울어지면서 척추 스트레칭 장치(1)가 제2 상태가 될 때, 대상자(P)의 척추를 가장 효과적으로 감압시킬 수 있는 등받이부(100)의 각도를 제어부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가 등받이부(100)의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는 등받이부(100)에서 일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격된 복수의 압력센서(110)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제어부의 역할은 등받이부(100)가 대상자(P)의 몸체를 기울려 척추를 견인해 감압시키기 가장 알맞은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때 복수의 압력센서(110)를 통해 측정된 압력수치를 통해 대상자(P)의 몸체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인간의 척추는 누웠을 때 S자 곡선에 의해 척추뼈의 일부가 바닥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 같은 경우에는 척추를 상체 고정부와 요추부 고정부(500)가 서로 멀어지면서 스트레칭시킬때, 대상자(P)의 척추가 효율적으로 감압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상자(P)의 척추가 등받이부(100)에 최대한 달라붙게 하기 위하여 등받이부(100)을 다리구조체(200)에 대하여 기울이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는 도 4에서와 같은 배치로 형성된 압력센서(110)에서 측정되는 압력값의 편차가 일정범위 내로 형성되었을 때, 대상자(P)의 척추가 최대한 펴져 등받이부(100)에 달라붙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등받이부(100)가 각도조절부에 의해 다리구조체(200)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면서 복수의 압력센서(110)에서 압력값을 측정한다. 이때 복수의 압력센서(110)에서 측정된 압력값 평균에서 일정 퍼센트 범위 내에 모든 압력센서(110) 측정값이 속할 때, 등받이부(100)의 그 각도가 해당 대상자(P)에게 가장 알맞는 척추 감압 각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압력센서(110)는 척추의 라인을 따라 배치되도록 등받이부(100)의 폭방향 중심에서 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압력센서(110)에서 측정된 값의 평균보다 5% 범위 내에 모든 압력센서(110)의 측정값이 배치될 때, 제어부는 대상자(P)에게 알맞은 몸체 기울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P : 대상자 1 : 척추 스트레칭 장치
100 : 등받이부 110 : 압력센서
200 : 다리구조체 300 : 좌석부
400 : 견인부 410 : 레일부
420 : 견인체 500 : 요추부 고정부
510 : 벨트부 520 : 에어포켓
600 : 지지부

Claims (5)

  1. 대상자의 척추부가 기대어지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다리구조체;
    상기 대상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를 상기 등받이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는 견인부; 및
    상기 대상자의 요추부를 상기 좌석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요추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척추 스트레칭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추부 고정부는,
    상기 대상자의 요추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에서 상기 요추부를 바라보는 면에 배치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요추부를 상기 좌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밀착시키는 에어포켓;을 포함하는, 척추 스트레칭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상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등받이부에 배치되는 상체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단을 향하는 방향인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며 상기 좌석부와 결합되는 견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 고정부의 위치는 상기 등받이부 상에서 이동되지 않으면서 상기 견인체가 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대상자의 척추를 스트레칭시키는, 척추 스트레칭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리구조체 상에 상기 좌석부를 받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대상자가 상기 좌석부가 착석할 때 상기 좌석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척추 스트레칭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다리구조체는 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대상자가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이후,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다리구조체에 대해 기울어지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좌석부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좌석부가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는, 척추 스트레칭 장치.
KR1020220004841A 2022-01-12 2022-01-12 척추 스트레칭 장치 KR20230109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841A KR20230109217A (ko) 2022-01-12 2022-01-12 척추 스트레칭 장치
PCT/KR2022/016586 WO2023136434A1 (ko) 2022-01-12 2022-10-27 척추 스트레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841A KR20230109217A (ko) 2022-01-12 2022-01-12 척추 스트레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217A true KR20230109217A (ko) 2023-07-20

Family

ID=8727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841A KR20230109217A (ko) 2022-01-12 2022-01-12 척추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9217A (ko)
WO (1) WO202313643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863B1 (ko) 2018-07-31 2020-07-07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020B1 (ko) * 2006-02-10 2007-07-12 신정훈 요추 견인 치료장치
KR20100080974A (ko) * 2009-01-05 2010-07-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치료 장치
KR101567324B1 (ko) * 2014-01-28 2015-11-20 윤종규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WO2021095930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씨비에이치 경추 견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추 견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863B1 (ko) 2018-07-31 2020-07-07 (주)씨비에이치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434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92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US6626494B2 (en) Chair and method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CA2847270C (en) An orthopedic chair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CN106264827B (zh) 一种人体舒展牵引设备
US9486375B2 (en) Back support device
CN113727628B (zh) 用于对身体定位的设备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CN106820697A (zh) 一种智能健康椅
KR100763474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Li et al. Biomechanical evaluation of a novel wheelchair backrest for elderly people
KR20030032790A (ko) 척추 교정용 의자
Reinecke et al. Continuous passive lumbar motion in seating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20230109217A (ko) 척추 스트레칭 장치
JP2006068025A (ja) 椅子用の腰痛軽減補助装置
US5570703A (en) Contoured therapeutic spinal support
KR20230109218A (ko) 다기능 침대형 장치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20230134163A (ko) 다기능 침대형 장치
US11744375B2 (en) Seat configuration
KR102319974B1 (ko) 입식 의자
RU28088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тела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а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20230414002A1 (en) Seat configuration
RU2661585C2 (ru) Способ разгрузки позвоночного столб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