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974B1 - 입식 의자 - Google Patents

입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974B1
KR102319974B1 KR1020200181030A KR20200181030A KR102319974B1 KR 102319974 B1 KR102319974 B1 KR 102319974B1 KR 1020200181030 A KR1020200181030 A KR 1020200181030A KR 20200181030 A KR20200181030 A KR 20200181030A KR 102319974 B1 KR102319974 B1 KR 10231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user
hip
main frame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현
김병환
박진성
Original Assignee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입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입식 의자는,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고 상기 입식 의자의 하중을 부담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중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와 평행하도록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하중의 소정 부분을 부담하는 좌대부, 상기 좌대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힙이 접촉되는 힙 지지부 및 상기 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가까운 상기 힙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척추를 지지하는 만곡 지지부를 포함하는 쿠션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의 목을 교정하는 목 자세 교정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쿠션부의 만곡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힙 지지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경우, 상기 힙 지지부의 공기가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서 상기 만곡 지지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만곡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입식 의자{Standing chair}
본원은 입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요통환자들은 앉은 자세에서 허리의 추간판 내 압력이 선 자세에서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오랜시간 동안 앉은 자세를 유지하면 통증과 추간판 탈출증의 재발 현상이 빈번하다.
이와 관련하여, 현대인의 생활패턴상 작업, 업무 등으로 지속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생활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는 허리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또한, 장기간 앉은 자세 혹은 운동량 부족은 추간판이 받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몸통근육의 소실로 추간판의 과압력을 유발시켜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disk)를 야기한다.
또한, 구부정하게 앉은 자세를 유지하면, 추간판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과압력이 발생하고, 이는 향후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환자로 발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 유지는 허리에 전달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장시간 앉아있는 작업/업무 습관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한데 최근 높은 책상 혹은 높이 조절 책상이 출현함으로 허리의 부담이 있는 사람들은 선 자세에서 일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선 자세에서 일하는 것은 다리에 큰 부담을 주어 발바닥 통증과 다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동시에 허리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올바른 척추 만곡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696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앉아 있는 자세로 작업/업무를 진행하는 경우 척추에 무리가 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입식 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 자세로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척추 만곡을 유지할 수 있는 입식 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는,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고 상기 입식 의자의 하중을 부담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중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와 평행하도록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하중의 소정 부분을 부담하는 좌대부, 상기 좌대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힙이 접촉되는 힙 지지부 및 상기 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가까운 상기 힙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척추를 지지하는 만곡 지지부를 포함하는 쿠션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의 목을 교정하는 목 자세 교정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쿠션부의 만곡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힙 지지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경우, 상기 힙 지지부의 공기가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서 상기 만곡 지지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만곡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식 의자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가까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등을 받칠 수 있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의 만곡 지지부는, 상기 좌대부의 등받이부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는,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진 2개의 힙 지지부 및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진 2개의 만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의 만곡 지지부는 상기 우측의 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의 만곡 지지부는 상기 좌측의 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는, 사용자가 상기 좌대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상기 쿠션부의 힙 지지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경우, 상기 좌측의 힙 지지부의 공기는 상기 우측의 만곡 지지부로 이동하고, 상기 우측의 힙 지지부의 공기는 상기 좌측의 만곡 지지부로 이동함으로써, 하중이 부여되는 좌우 균형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척추의 균형을 교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가 결합되는 일측의 저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목자세 교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후두하근을 자극하도록 후두골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대부는,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져 상기 사용자의 입식 자세를 유지하고,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 자세 교정부는, 상기 입식 의자의 전면 방향으로 길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되,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입식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연장이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연장부는, 상기 좌대부와 상기 목 자세 교정부가 독립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입식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앉아 있는 자세로 작업/업무를 진행하는 경우 척추에 무리가 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입식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선 자세로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척추 만곡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의 쿠션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의 쿠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의 쿠션부의 보다 자세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허리의 만곡을 없애는 앉은 자세(허리 굽힘 자세)는 척추 기립근의 역할을 변경시키고, 이것은 몸에 부하되는 앞쪽 전단력을 막아주는 능력을 감소시킨다(Clinical Biomechanics 15 (2000) 777-780). 앞쪽 전단력은 디스크 발병에 영향을 끼치는 부하 방향임으로 많이 부하될수록 디스크의 후방탈출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일할 때 80%가 앉아있는 자세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자세는 허리 굽힘 자세이다. 이 때 허리 근육의 활성도도 떨어진다. 앉아 있는 자세는 근 활성도를 떨어트려 힘의 부하가 근육보다는 뼈대계와 인대 등 수동적인 구조물로 지나가게 함으로써 뼈대계의 부하를 더욱 주고, 이것이 앉아있는 사람의 요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선 자세에서 정상적인 허리 만곡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요통 예방과, 요통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한편, 성인은 정상적으로 4개의 척추 만곡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생리적 만곡이라 한다. 위로부터 경부만곡(cervical curvature), 흉부만곡 (thoracic curvature), 요부만곡(lumbar curvature), 천미 만곡(sacrococcygeal curvature)이 있고, 이것은 인류가 직립 보행을 하면서 중력에 대한 몸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생성된 것이다.
이러한 척추의 만곡은 경추, 흉추, 요추 모두 연관성을 지녀 한 곳이라도 만곡이 정상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전체적인 척추의 시상면 균형(sagittal balance)이 깨져버리고 이것이 척추의 다양한 질환으로 유발된다. 특히 요통이나 경추통은 만곡이 깨짐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경추와 요추의 생리학적 범위의 전만이 사라지고, 흉추의 생리학적 후만이 증가되는 것은 일반적인 요통이나 경추통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는,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다리에 부담을 덜할 수 있는 입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척추의 만곡을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는 입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의자(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받침부(110), 메인 프레임부(120), 등받이부(140), 좌대부(130), 쿠션부(150) 및 목 자세 교정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받침부(110)는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며, 본 장치(100)의 하중을 부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받침부(11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본 장치(100)를 이용할 때 상기 사용자의 발을 디딜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받침부(110)는 일측에 메인 프레임부(120)와 결합될 수 있는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예를 들어, 홈과 같은 형태를 포함하여, 내부에는 암나사선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부(120)의 일측단의 수나사선과 결합함으로써,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110)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120)가 결합되는 일측의 저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바퀴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받침부(110)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에 바퀴를 구비함으로써, 본 장치(100)를 이동시킬 때, 무게 중심이상기 메인 프레임부(120)가 결합되는 일측 쪽에 있기 때문에, 다소 적은 힘으로도 본 장치(100)를 기울일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메인 프레임부(120)는 원통 형태의 긴 지지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부(120)는 예를 들어, 받침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부(120)는 예시적으로, 본 장치(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장이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부(120)는 상하로 연장(10)이 가능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키 또는 앉은 키 등에 따라 높낮이를 맞출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부(120)는 예를 들어, 후술할 좌대부(130)와 목 자세 교정부(160)가 독립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장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좌대부(130)는 상술한 메인 프레임부(120)의 중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110)와 평행하도록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하중의 소정 부분을 부담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좌대부(130)는 사용자가 서있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본 장치(100)를 이용할 때, 걸터서 앉을 수 있도록 수단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다리 또는 발바닥 등에 부담을 덜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대부(130)는 받침부(110)의 방향인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져 사용자의 입식 자세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좌대부(130)는 예시적으로 경사(30)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좌대부(130)는 소정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자세 또는 편의에 따라서,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대부(130)는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쿠션부(15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본 장치(100)의 목적과 효과에 맞도록 종래에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결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결합 부재는 가시도트 단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등받이부(140)는 메인 프레임부(120)와 가까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등을 받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등받이부(140)는 사용자가 본 장치(100)에 대하여 착석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등을 감싸는 형태(형상, 모양)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등받이부(140)는 예시적으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쿠션부(15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본 장치(100)의 목적과 효과에 맞도록 종래에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결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쿠션부(15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쿠션부(150)는 사용자가 앉아 하중을 부과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등 부분에 대한 압박(41)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부(150)는 사용자의 척추의 만곡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대하여 부푸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쿠션부(150)는 예를 들어, 내부에 공기(에어)가 포함될 수 있는 에어 쿠션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쿠션부(150)는 좌대부(130)의 상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힙이 접촉되는 힙 지지부(151) 및 상기 힙 지지부(151)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되, 메인 프레임부(120)와 가까운 상기 힙 지지부(151)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지지하는 만곡 지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15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힙 지지부(151)에 하중을 부여하는 경우, 상기 힙 지지부(151)의 내측에 포함되는 공기가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서 만곡 지지부(152)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만곡을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부(15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하중이 힙을 통하여 힙 지지부(151)를 압박(51)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상기 힙 지지부 내측에 구비된 공기(에어)는 공기(에어)가 통하는 통로를 통하여 만곡 지지부(152)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만곡 지지부(152)는 팽창(52)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도면에는 예시적으로 좌측 및 우측이 나뉘어진 힙 지지부(151) 및 만곡 지지부(152)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힙 지지부(151)는 상술한 좌대부(1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만곡 지지부(152)는 상술한 등받이부(140)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쿠션부(15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부(150)는 좌측(c) 및 우측(d)으로 2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힙 지지부(151) 및 좌측(a) 및 우측(b)으로 2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만곡 지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구역으로 분리되는 것은 예를 들어, 좌측의 공기와 우측의 공기는 이동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쿠션부(150)는 분리되지 않은 각각의 힙 지지부(151) 및 만곡 지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예시적으로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좌측(a)의 만곡 지지부(152)는 우측(d)의 힙 지지부(151)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게되고, 우측(b)의 만곡 지지부(152)는 좌측(c)의 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좌대부(130)에 상면에 위치되는 쿠션부(150)의 힙 지지부(151)에 하중을 부여하는 경우, 좌측(c)의 힙 지지부(151)의 공기는 우측(b)의 만곡 지지부(152)로 이동하고, 우측(d)의 힙 지지부(151)의 공기는 좌측(a)의 만곡 지지부(152)로 이동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는 대부분 분균형한 신체를 가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앉는 자세에서 이러한 불균형을 아는 것은 굉장히 힘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로, 이는 짝다리와 같은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고, 비대칭적인 부하가 몸통 회전을 일으켜 나쁜 자세로 유지되는 것을 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쿠션부(15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간이 나누어진 쿠션부(150)의 힙 지지부(151)의 일측에 압박(61)이 가해지는 경우, 대각선 방향의 만곡 지지부(152)가 팽창(62)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대각선 방향이 아닌, 동일한 방향이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좌측(c)의 힙 지지부(151)에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좌측(a)의 만곡 지지부(152)가 팽창함으로써, 좌측에 쏠리는 하중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자세를 교정하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힙 지지부(151)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좌측에서부터 제1힙 지지부(미도시), 제2힙 지지부(미도시) 및 제3힙 지지부(미도시)라고 명명하는 경우에 따라서, 만곡 지지부(152) 역시 제1내지 제3만곡지지부(미도시)로 명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에 존재하는 제1만곡지지부(미도시)는 우측에 존재하는 제3힙 지지부(미도시)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측에 존재하는 제3만곡지지부(미도시)는 제1힙 지지부(미도시)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중간에 위치한 제2만곡지지부는 제2힙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목 자세 교정부(160)는 메인 프레임부(1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을 교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목 자세 교정부(160)는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후두하근을 자극할 수 있도록 후두골의 형상(형태, 모양)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종래의 공지된 목 자세 교정용 형태 또는 향후 개발될 목 자세 교정용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목 자세 교정부(160)는 턱을 수평으로 뒤로 당기면서 후두하근의 경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 자세 교정부(160)는 본 장치(100)의 전면 방향으로 길이 조절(20)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목 자세 교정부(16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한 본 장치(100)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목 자세 교정부(160)는 턱 당김 자세(chin in)를 유도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북목 자세는 턱 내밈 자세(chin out)로 흉쇄유돌근, 후두하근이 짧아짐(경직)과 목의 만곡을 지지하는 깊은목굽힘근(longus colli 등)이 약화될 수 있는데 턱 당김 자세(chin in)은 이러한 근육들을 강화하는 운동이 턱 당김(chin in exercise)이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 자세 교정부(160)는 후두하근이 있는 곳을 뒤로 눌러줌으로써, 사용자의 올바른 턱당김(chin in) 자세가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자세 교정부(160)는 후두하근을 자극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부 혈액순환에 효과적인 것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입식 의자
110: 받침부 120: 메인 프레임부
130: 좌대부 140: 등받이부
150: 쿠션부 160: 목 자세 교정부

Claims (7)

  1. 입식 의자로서,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고 상기 입식 의자의 하중을 부담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중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와 평행하도록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하중의 소정 부분을 부담하는 좌대부;
    상기 좌대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힙이 접촉되는 힙 지지부 및 상기 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가까운 상기 힙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척추를 지지하는 만곡 지지부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의 목을 교정하는 목 자세 교정부; 및
    상기 좌대부의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가까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등을 받칠 수 있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쿠션부의 만곡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힙 지지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경우, 상기 힙 지지부의 공기가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서 상기 만곡 지지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경부만곡, 흉부만곡, 요부만곡, 천미만곡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만곡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되,
    상기 힙 지지부는 좌우 방향을 따라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되는 제1힙 지지부, 제2힙 지지부 및 제3힙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만곡 지지부는 상기 3개의 구역에 각각 대응하는 제1만곡 지지부, 제2만곡 지지부 및 제3만곡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만곡 지지부는 상기 제3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만곡 지지부는 상기 제2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3만곡 지지부는 상기 제1힙 지지부와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 지지부 및 힙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힙 지지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경우, 상기 제1힙 지지부의 공기는 상기 제3만곡 지지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2힙 지지부의 공기는 상기 제2만곡 지지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3힙 지지부의 공기는 상기 제1만곡 지지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중의 좌우 균형에 따라서, 상기 만곡 지지부의 좌우균형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척추 균형을 교정하는 것인,
    입식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가 결합되는 일측의 저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목 자세 교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후두하근을 자극하도록 후두골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인,
    입식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부는,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져 상기 사용자의 입식 자세를 유지하고,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인,
    입식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목 자세 교정부는,
    상기 입식 의자의 전면 방향으로 길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되,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입식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연장이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연장부는,
    상기 좌대부와 상기 목 자세 교정부가 독립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인,
    입식 의자.
KR1020200181030A 2020-12-22 2020-12-22 입식 의자 KR10231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30A KR102319974B1 (ko) 2020-12-22 2020-12-22 입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30A KR102319974B1 (ko) 2020-12-22 2020-12-22 입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974B1 true KR102319974B1 (ko) 2021-11-01

Family

ID=7851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030A KR102319974B1 (ko) 2020-12-22 2020-12-22 입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9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786Y1 (ko) * 2002-01-24 2002-05-16 박홍재 의자용 머리받침
KR200319575Y1 (ko) * 2003-04-14 2003-07-12 안영직 입좌식 의자
KR20090132857A (ko) * 2008-06-23 2009-12-31 박진규 좌석용 쿠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786Y1 (ko) * 2002-01-24 2002-05-16 박홍재 의자용 머리받침
KR200319575Y1 (ko) * 2003-04-14 2003-07-12 안영직 입좌식 의자
KR20090132857A (ko) * 2008-06-23 2009-12-31 박진규 좌석용 쿠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egan Alterations of the lumbar curve related to posture and seating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US5114209A (en) Chair insert having a contoured back support portion and a seat support portion
US20080079301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proprioception and core health of the human body
JP2005516709A (ja) 腰掛装置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JP2022518824A (ja) チェアー、押圧デバイス
JP6535229B2 (ja) 仰側臥位対応ベッド
CN102105085A (zh) 用于矫正姿势的椅子
KR102250315B1 (ko) 무브 체어
KR200477364Y1 (ko) 등쿠션
Keegan The medical problem of lumbar spine flattening in automobile seats
KR102319974B1 (ko) 입식 의자
US20030014818A1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WO2022039001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又はシート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200357018Y1 (ko) 허리 교정용 의자
CN111938995A (zh) 一种脊柱治疗用按摩仪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US4331361A (en) Posture chair back
WO2013045481A1 (en) Ergonomic therapeutic sea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