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253A -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 Google Patents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253A
KR20160096253A KR1020150017215A KR20150017215A KR20160096253A KR 20160096253 A KR20160096253 A KR 20160096253A KR 1020150017215 A KR1020150017215 A KR 1020150017215A KR 20150017215 A KR20150017215 A KR 20150017215A KR 20160096253 A KR20160096253 A KR 20160096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inge
user
variable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성
김주형
김형나
윤홍원
황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김주형
김형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김주형, 김형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to KR102015001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6253A/ko
Publication of KR2016009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과 등받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편안하게 작업하거나 쉴 수 있고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한 좌판 및 가변 구조의 등받이를 이용하여 척추전만(로도시스, Lordosis) 및 척추후만(카이포시스, Kyphosis)을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다리(11)(12) 한 쌍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받침부(10)와; 사용자가 착석하며 후단 중간 부분이 상기 다리(1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후단 중간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 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좌판(20)과;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며 하단 부분이 상기 좌판(2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등받이 부위를 분절 구조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등받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Segmental Motion Spine Health Chair}
본 발명은 앉아서 작업을 하거나 쉬기 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판과 등받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작업하거나 쉴 수 있고 가변 구조의 등받이를 이용하여 척추전만(로도시스, Lordosis)과 척추후만(카이포시스, Kyphosis)을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네발로 움직이는 일반 척추 동물과는 달리 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 발로 걷는 직립 보행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의 척추(脊椎)는 다른 동물들과는 다른 형상의 만곡(彎曲)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척추는 목 부근의 경추(頸椎)와, 엉덩이 꼬리뼈 부분의 천추(遷推), 허리 부근의 요추(腰椎), 그리고 경추와 요추 사이에 위치하는 흉추(胸椎)로 구분되고 있다. 이 중 경추와 요추에서 나타나는 앞으로 볼록한 전방철(前方凸)의 만곡을 전만(前彎)이라 하고, 흉추에서 나타나는 뒤쪽으로 볼록한 후방철(後方凸)의 만곡을 후만(後彎)이라 한다. 이러한 척추의 전만이나 후만과 같은 만곡 형상은 상하로부터의 충격을 추간판(椎間板)과 함께 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적인 척추는 옆에서 바라보았을 때 경추부(목쪽)와 요추부(허리쪽)는 앞으로 볼록 나온 모양(전만곡, Lordosis)을, 흉추부(가슴쪽)와 천추부(엉덩이쪽)는 뒤로 휜 모양(후만곡, Kyphosis)을 나타낸다. 그러나, 추체, 추간판 및 주위 근육의 이상으로 인해 이러한 척추의 정상 모양이 아니고 흉부의 후만곡이 증가되어 있거나, 경부와 요부에서 후만 변형이 보일 때를 후만증이라 부른다.
이와 같이, 경추와 요추는 전만곡을 그리고 흉추는 후만곡을 형성해야 하는 이유는 두개골의 무게를 앞으로 볼록 나온 경추에서 완화하고, 경추와 반대로 뒤로 볼록 나온 흉추에서 다시 완화 후 앞으로 볼록 나온 요추에서 다시 완화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항상 중력을 받기 때문에 신체가 중력을 덜 받게 해야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직립 보행하는 인간의 흉추는 경추의 커브와 반대로 형성되어 그 중력을 완화하며 요추는 흉추의 커브와 반대로 형성되어 그 중력을 다시 완화하고 있다. 그리고 커브는 전체적으로 경추, 흉추, 요추, 천추가 척추 중심선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균형 잡힌 척추의 S라인은 신체에 가해지는 중력을 완화한다.
경추와 요추가 일자가 되거나 후만이 되면 중력중심선이 추체의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무게 중심은 수핵 위로 이동하게 되고 추체가 불안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또한, 흉추가 일자가 되거나 전만이 되면 중력중심선이 추체의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무게 중심은 수핵 위로 이동하게 되고 추체가 불안정한 위치게 놓이게 된다. 그로 인해 수핵은 상대적으로 경계가 취약한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생기고 그 결과로 수핵 탈출증(디스크)이 쉽게 유발될 수 있으므로 경추와 요추의 전만각과 흉추의 후만각을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의자는 착석자에게 보다 안락하고 편리한 상태로 안착할 수 있도록 신체에 알맞게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는 착석 가능한 대응형상의 좌판과, 이 좌판의 후단에 연결되어 대략 직각을 이루는 등받이와, 상기 좌판의 하부면 중심에 상단이 고정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지지대를 포함하며, 착석자의 편의 및 안락감을 주기 위하여 좌판 양측에 설치되는 팔걸이 및 등받이의 상단에 설치되어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의자에 앉을 경우 요추의 전만 구조로 인해 신체의 허리 부분과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허리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스트레스와 육체 피로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장시간 지속되면 요통이 생기게 되고, 심할 경우 척추 변형이 유발되어 성장기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제작되는 의자들은 등받이를 척추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피로가 가중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등받이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고 좌판과 등받이 사이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자세를 변경하거나 편안한 휴식을 취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고, 전만곡과 후만곡 유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의자를 이용한 운동을 통해 사용자의 척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의자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일부가 특허로 출원되어 있다.
참고로, 특허문헌 1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 및 경추부분의 전후 스트레칭은 물론 상체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부와 경추부를 각각 분할 지지하여 보다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흉추부분과 경추부분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는 평상시 허리를 곧바로 펴고 앉아 있을 시에는 허리요추 받이가 척추와 일치하도록 요추 부위를 받쳐 주고, 허리를 뒤로 눕힐 시에는 허리요추 받이가 허리 눕힌 각도 만큼 회전하여 척추를 곧바로 펴 주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어도 요추에 무리를 주지 않고, 디스크 등의 허리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항상 편안하게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허리요추 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들에 기재된 의자에 의하는 경우 등받이는 움직임이 가능하나 좌판이 고정되어 있어 허리를 뒤로 젖힐 때 다리의 허벅지 부위와 허리 부위가 힘을 많이 받게 되어 요추, 흉추, 경추의 로도시스(Lordosis) 및 카이포시스(Kyphosis)에 변형이 초래될 염려가 있다. 또한, 의자의 등받이를 사용자의 취향이나 체형에 맞게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KR 10-2011-0075605 A KR 20-0464707 Y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의자 좌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여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와 같이 몸의 움직임에 따라 좌판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움직이고 등받이도 병행하여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허벅지와 등(요추, 흉추 및 경추 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아 척추의 만곡(전만곡 및 후만곡)을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척추 건강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판과 등받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작업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가변구조의 등받이를 이용조절하여 척추전만(로도시스, Lordosis) 및 척추후만(카이포시스, Kyphosis)을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척추 건강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형 등받이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자세로 앉아 있더라도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형상의 변경이 용이하고 변형된 형상이 쉽게 변화되지 않아 갑작스런 형상 변경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리 한 쌍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받침부와; 사용자가 착석하며 후단 중간 부분이 상기 다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후단 중간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 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좌판과;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며 하단 부분이 상기 좌판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등받이 부위를 분절 구조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등받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에 따르면, 상기 다리의 양 상단 사이에 상기 좌판이 배치되고, 제1힌지는 좌판의 후방 중간 부분과 다리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가해지는 하중의 위치에 따라 좌판이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며 상기 가변형 등받이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레스트와; 상기 좌판과 가변형 등받이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힌지와; 상기 가변형 등받이와 헤드 레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3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에 따르면, 상기 가변형 등받이는 좌판에 제2힌지로 연결되는 하부판과, 상기 헤드 레스트에 제3힌지로 연결되는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과, 상기 상부판과 중간판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4힌지와, 상기 하부판과 중간판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5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힌지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좌판이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서로 연결되는 양측 부재 사이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양측 부재 사이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는, 허리를 뒤로 젖힐 때 의자 좌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여 등받이와 좌판이 함께 움직임으로써 허벅지와 등(요추, 흉추 및 경추 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아 척추의 만곡(전만곡 및 후만곡)을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시와 같이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에도 좌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여 좌판이 움직이고 등받이도 등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허벅지와 등에 무리가 가지 않아 척추의 만곡(전만곡 및 후만곡)을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좌판과 가변형 등받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휴식시 또는 작업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가변형 등받이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척추전만(로도시스, Lordosis) 및 척추후만(카이포시스, Kyphosis)을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에 따르면, 가변형 등받이의 구조 변화를 통해 가변형 등받이의 힌지를 척추의 요추나 흉추에 밀착시킬 수 있고 가변형 등받이와 헤드 레스트 사이의 힌지를 경추에 밀착시킬 수 있어 척추 각부에 가해진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에 따르면,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만 의자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어 갑작스런 의자의 형상 변경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형상으로의 변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체를 구성하는 척추(Spine)의 올바른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의 측면도.
도 4는 휴식시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작업시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내지 11은 본 발명의 요부인 가변형 등받이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는 도 2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11)(12) 한 쌍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받침부(10)와 사용자가 착석하며 후단 중간 부분이 상기 다리(1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후단 중간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 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좌판(20)과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며 하단 부분이 상기 좌판(2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등받이 부위를 분절 구조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등받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받이 부위를 마디 마디의 분절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추, 흉추 및 경추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11)(12)의 양 상단 사이에 상기 좌판(20)이 배치되고, 제1힌지(15)는 좌판(20)의 후방 중간 부분과 다리(11)(12)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15)를 중심으로 하여 가해지는 하중의 위치에 따라 좌판(20)이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며 상기 가변형 등받이(3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레스트(40)와 상기 좌판(20)과 가변형 등받이(3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힌지(25)와 상기 가변형 등받이(30)와 헤드 레스트(40) 사이에 설치되는 제3힌지(45)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가변형 등받이(30)는 좌판(20)에 제2힌지(25)로 연결되는 하부판(31)과, 상기 헤드 레스트(40)에 제3힌지(45)로 연결되는 상부판(33)과, 상기 하부판(31)과 상부판(33)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32)과, 상기 상부판(33)과 중간판(32)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4힌지(34)와, 상기 하부판(31)과 중간판(32)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5힌지(3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15)를 축으로 하여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좌판(20)이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힌지(15)를 축으로 하여 전방부, 즉 허벅지 부위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좌판(20)이 하부로 회동하며, 제1힌지(15)를 축으로 하여 후방부, 즉 엉덩이 부위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좌판(20)이 상부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25)(34)(35)(45)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서로 연결되는 양측 부재 사이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양측 부재 사이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힌지(15)(25)(34)(35)(45)에 점도가 강한 윤활제가 내장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서 작업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척추전만(로도시스, Lordosis)과 척추후만(카이포시스, Kyphosis)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평상시 또는 식사시와 같이 허리를 펴고 앉아야 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좌판(20)을 수평 상태로 두고 가변형 등받이(30)는 수직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가변형 등받이(30)에 등을 대고 앉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제1힌지(15)를 이용하여 좌판(20)은 아래로 기울어지게 회동시키고 가변형 등받이(30)는 제2힌지(25)를 이용하여 뒤로 젖혀지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약간 누운 상태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또 컴퓨터 작업 등 책상에 앉아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자세가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도 5와 같이 좌판(20)은 제1힌지(15)를 이용하여 앞쪽이 올라가게 회동시키고 가변형 등받이(30)는 제2힌지(25)를 이용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작업할 때에도 사용자의 등이 가변형 등받이(30)에 밀착되어 비교적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수평 상태의 좌판(20)에 앉았을 때 상기 가변형 등받이(30)의 하부판(31)은 수직 상태로 두고 중간판(32)과 상부판(33), 그리고 헤드 레스트(40)는 뒤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추의 전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체의 휴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7과 같이 수평 상태의 좌판(20)에 앉았을 때 상기 가변형 등받이(30)의 하부판(31)과 중간판(32)은 수직 상태로 두고 가변형 등받이(30)의 상부판(33)과 헤드 레스트(40)는 뒤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흉추 부분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로 인해 흉추 부분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상기 좌판(20)은 수평 상태로, 상기 가변형 등받이(30)는 전체가 수직 상태가 되도록 하고, 헤드 레스트(40)만 뒤로 기울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경추 부분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사용자의 목 부분에 대한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기 좌판(20)을 수평 상태로 한 상태에서 상기 가변형 등받이(30)의 하부판(31)은 수직 상태, 중간판(32)은 뒤로 기울어진 상태, 그리고 상부판(33)은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 레스트(40)는 수직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가변형 등받이(30) 및 헤드 레스트(40)의 측면 형상을 척추 형태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의자에 앉았을 때 척추의 요추와 흉추 및 경추에 각각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척추전만 및 척추후만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변형 등받이(30) 및 헤드 레스트(40)의 측면 형상은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20)의 앞쪽을 아래로 기울게 하는 휴식시에나 상기 좌판(20)의 앞쪽이 위로 올라가게 하는 작업시에도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항상 척추전만 및 척추후만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 의자의 경우는 엉덩이 부분이 본 발명의 의자에서와 같이 움직일 수가 없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허리를 뒤로 젖힐 때 다리의 허벅지 부위와 허리가 힘을 많이 받게 되어 요추, 흉추 및 경추의 전만곡 및 후만곡에 변형을 초래할 염려가 있었다. 그러나, 도 9 내지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좌판(20)의 후방부, 즉 제1힌지(15)를 축으로 하여 좌판(20)과 가변형 등받이(30)가 움직이도록 하게 되면, 허벅지 부분과 등(요추, 흉추 및 경추) 부분에 무리가 가지 않아 척추의 전만곡과 후만곡에 변형이 생기지 않고 유지가 가능하다.
사람은 앉아 있을 때가 서있을 때보다 척추에 더 무리가 가게 되는데, 좌판(20)에 앉아서 등을 뒤로 젖힐 때 좌판(20)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는 허벅지와 등에 무리가 많이 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와 같이 허벅지의 하중에 의해 좌판(20)의 전방부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게 되면 허벅지와 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된다. 앉아 있지만 서서 있는 경우와 같이 척추에 무리를 덜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받침부
11,12...다리
15...제1힌지
20...좌판
25...제2힌지
30...가변형 등받이
31...하부판
32...중간판
33...상부판
34...제4힌지
35...제5힌지
40...헤드 레스트
45...제3힌지

Claims (6)

  1. 다리(11)(12) 한 쌍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받침부(10)와;
    사용자가 착석하며 후단 중간 부분이 상기 다리(1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후단 중간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 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좌판(20)과;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며 하단 부분이 상기 좌판(2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등받이 부위를 분절 구조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등받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1)(12)의 양 상단 사이에 상기 좌판(20)이 배치되고, 제1힌지(15)는 좌판(20)의 후방 중간 부분과 다리(11)(12)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15)를 중심으로 하여 가해지는 하중의 위치에 따라 좌판(20)이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며 상기 가변형 등받이(3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레스트(40)와;
    상기 좌판(20)과 가변형 등받이(3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힌지(25)와;
    상기 가변형 등받이(30)와 헤드 레스트(40) 사이에 설치되는 제3힌지(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등받이(30)는 좌판(20)에 제2힌지(25)로 연결되는 하부판(31)과, 상기 헤드 레스트(40)에 제3힌지(45)로 연결되는 상부판(33)과, 상기 하부판(31)과 상부판(33)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32)과, 상기 상부판(33)과 중간판(32)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4힌지(34)와, 상기 하부판(31)과 중간판(32)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5힌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15)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좌판(20)이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5)(34)(35)(45)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서로 연결되는 양측 부재 사이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양측 부재 사이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1020150017215A 2015-02-04 2015-02-04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20160096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215A KR20160096253A (ko) 2015-02-04 2015-02-04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215A KR20160096253A (ko) 2015-02-04 2015-02-04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253A true KR20160096253A (ko) 2016-08-16

Family

ID=5685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215A KR20160096253A (ko) 2015-02-04 2015-02-04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625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806A (zh) * 2017-06-06 2018-12-14 王景发 一种健身椅
KR20200017894A (ko) 2018-08-10 2020-02-19 양동현 척추 맞춤형 의자
KR20200066414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능동적 척추 지지를 위한 의자의 등판 굴곡 장치
DE102020104698A1 (de) 2020-02-21 2021-08-26 Flaviu Bragoi Stuhl
WO2021165522A1 (de) 2020-02-21 2021-08-26 Schueller Hans Stuhl
CN113768303A (zh) * 2021-08-24 2021-12-10 上海摩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脊柱健康拉伸椅
WO2024025455A1 (en) * 2022-07-27 2024-02-01 Oremi Ai Private Limited An apparatus for automatic multi-sensory and kinaesthetic stimu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605A (ko) 2009-12-28 2011-07-06 김수렬 의자용 등받이
KR200464707Y1 (ko) 2011-09-28 2013-01-15 (주)씨에이시스템 허리요추 받이를 구비한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605A (ko) 2009-12-28 2011-07-06 김수렬 의자용 등받이
KR200464707Y1 (ko) 2011-09-28 2013-01-15 (주)씨에이시스템 허리요추 받이를 구비한 의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806A (zh) * 2017-06-06 2018-12-14 王景发 一种健身椅
KR20200017894A (ko) 2018-08-10 2020-02-19 양동현 척추 맞춤형 의자
KR20200066414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능동적 척추 지지를 위한 의자의 등판 굴곡 장치
DE102020104698A1 (de) 2020-02-21 2021-08-26 Flaviu Bragoi Stuhl
WO2021165522A1 (de) 2020-02-21 2021-08-26 Schueller Hans Stuhl
DE202021004046U1 (de) 2020-02-21 2022-06-29 Aeteron Gmbh Stuhl
US11844440B2 (en) 2020-02-21 2023-12-19 Aeteron Gmbh Chair
CN113768303A (zh) * 2021-08-24 2021-12-10 上海摩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脊柱健康拉伸椅
CN113768303B (zh) * 2021-08-24 2024-04-19 上海摩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脊柱健康拉伸椅
WO2024025455A1 (en) * 2022-07-27 2024-02-01 Oremi Ai Private Limited An apparatus for automatic multi-sensory and kinaesthetic stimu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US8864230B2 (en) Ergometric chair apparatus
US9585478B1 (en) Adjustable seating
DK2822426T3 (en) BALANCE RENTAL
KR100768480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JP2005516709A (ja) 腰掛装置
JP6954985B2 (ja) 調節可能な人間工学に基づく椅子
US20130057038A1 (en) Seat device
KR20140046443A (ko) 좌석
US6655731B2 (en) Therapeutic chair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0763474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250315B1 (ko) 무브 체어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ITVI20110118A1 (it) Struttura snodata da utilizzare per la realizzazione di poltrone, sedie, sedili, carrozzelle per disabili ed altri prodotti consimili.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KR101920533B1 (ko) 회전롤러가 구비된 경사운동의자
KR100846733B1 (ko) 의자
RU2497427C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стул
CN114845600A (zh) 人体工程学座椅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EP2179681A1 (en) Work chair with foreward tiltable seating part and support for upper body
KR102319974B1 (ko) 입식 의자
JP6112768B2 (ja) 着座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