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733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33B1
KR100846733B1 KR1020010033133A KR20010033133A KR100846733B1 KR 100846733 B1 KR100846733 B1 KR 100846733B1 KR 1020010033133 A KR1020010033133 A KR 1020010033133A KR 20010033133 A KR20010033133 A KR 20010033133A KR 100846733 B1 KR100846733 B1 KR 10084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support plate
cushion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732A (ko
Inventor
이병오
Original Assignee
이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오 filed Critical 이병오
Priority to KR102001003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7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사무실등에서 사용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의자는, 압축된 합판을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 등 하체 형상에 따른 곡면으로 압착 및 절곡, 절단하여 형성된 좌판의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쿠션체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착석자의 하체가 안정되게 안착되는 좌판쿠션부와; 상기 착석자의 상체 등쪽 형상에 따른 곡면형태로 절곡된 후면받침판의 양측면에 탄성고정체의 탄성작용을 통해 일정범위의 각도내에서 양측으로 벌어지고 원위치로 복원되는 한 쌍의 측면압착판이 결합되고, 상기 후면받침판 및 측면압착판의 전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쿠션체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착석자의 상체 등쪽 전체와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이 입체적으로 받쳐주게 형성되며, 내부에 승강작동수단이 구비된 등받이쿠션부와; 상기 등받이쿠션부 상단에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해 곡면형태로 형성된 받침판이 형성되고, 그 전체면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쿠션체 및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쿠션부의 승강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직접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헤드 레스트와; 상기 좌판쿠션부 및 등받이쿠션부의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과 함께 상기 좌판쿠션부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에 따라 좌판쿠션부 및 등받이쿠션부 전체가 후방으로 젖혀짐과 아울러 상단은 좌판쿠션부의 하부면 중심에 고정되고 하단은 지면에 접촉되면서 착석자 선택에 따라 자유 이동되게 캐스터들이 구비된 고정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자의 상체 등쪽과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三面)에서 입체적으로 압착되면서 받쳐줌과 아울러 착석자의 신체에 따라 손쉽고 편리하게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선택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구조를 갖추고 있어, 비교적 허리가 약한 노약자 내지 장시간 착석이 요구되는 업종 종사자 및 성장기 어린이, 학생등 사용시 올바른 착석자세를 유지시킴은 물론 착석 자세의 교정에 도움을 주고 요통발생률을 최소화시켜 장시간 착석시 척추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척추의 피로를 극소화시키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착석이 가능하므로 신체의 피로도를 낮추고 하체로 원활한 혈액순환 등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학업 내지 업무 중 잠시 휴식을 위하여 잠이 들 경우에도 상체가 좌/우측으로 치우치거나 불안정한 자세로 흐트러짐을 막아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좌판쿠션부, 등받이쿠션부, 후면받침판, 탄성고정체, 측면압착판, 승강작동부, 고정지지대, 팔거치대, 헤드 레스트

Description

의자{A ch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사시사진,
도 2는 본 발명 의자 정면사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의자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 레스트 승강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의자의 각부분이 조절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프레임 사시도,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각각의 프레임 사시도들,
도 8a,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각각의 프레임 사시도들,
도 9a, 9b는 본 발명 의자의 헤드 레스트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의자, 110 : 좌판쿠션부
111 : 좌판, 112(125,162): 쿠션체
113(124, 163): 외피, 120 : 등받이쿠션부
121 : 후면받침판, 122(162) : 탄성고정체
123(123a): 측면압착판, 130 : 승강작동부
131 : 가이드관체, 131a: 고정브라켓트
132 : 회전축, 133 : 베벨기어
134 : 기어하우징, 134a: 안내관
135 : 작동축, 135a: 핸들
135b: 결합부, 136 : 승강관체
140 : 고정지지대, 141 : 캐스터
150 : 팔거치대, 151 : 프레임
160 : 헤드 레스트, 161 : 받침판
161a: 보조받침판, S : 수용공간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사무실등에서 사용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른 착석(着席)자세를 유지시킴은 물론 착석 자세의 교정 및 요통발생을 막고 착석자의 상체 등쪽과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三面)에서 입체적으로 밀착되어 받쳐줌과 동시에 착석자의 신체에 따라 손쉽고 편리하게 헤드 레스트(head-rest)의 높낮이를 선택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구조를 갖추고 있어 장시간 착석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함은 물론 신체의 피로 발생율이 낮아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倚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사용하고 있는 의자(chair)는 착석자에게 보다 안락하고 편리한 상태로 착석할 수 있도록 설계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그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착석 가능한 대응형상의 좌판쿠션부와, 이 좌판쿠션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대략 직각을 이루는 등받이쿠션부와, 상기 좌판쿠션부의 하부면 중심에 상단이 고정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되도록 구비된 고정지지대로 기본적 구성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의자의 일반적 구성에서 착석자의 편의 및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좌판쿠션부 양측에 다양한 형상을 갖춘 팔거치대 내지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 레스트 등을 선택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갖추어져 있고, 또 착석한 상태에서 근거리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지대 하단에 다수개의 캐스터(caster)가 설정간격을 두고 장착됨은 물론 좌우 회동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등과, 또 편안함을 주기위해 후방으로 일정각도 젖혀질 수 있는 관절식으로 이루어져 다기능이 갖추어진 의자들이 현재 가정 및 사무실등에 보급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착석자를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제공하기 위한 노력은 오늘날 급 속히 발전되어 변모하는 현사회 속에서 생존을 위한 무한경쟁으로 인하여 많은 정신적ㆍ육체적 스트레스가 현대인에게 과중되는 실정이고, 이러한 스트레스 및 육체적 피로등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다중적 방안을 모색하게되면서 무수히 많은 신규 개발품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랜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게 되면서 시작된 것으로, 특히 직종에 따라 평생을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해야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앉는 자세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할 것이다. 자세가 바르지 못할 경우 쉽게 피로해지고 신체에 통증을 유발시켜 투약 내지 물리치료를 받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처럼 바르지 못한 자세가 습관화될 경우 특히 신체의 척추의 기형화는 물론 하체에 혈액을 원활히 공급 받지 못하게 되고, 특히 성장기의 어린이 및 청소년의 신체발달을 저해하고 척추의 기형에 따른 신체적 장애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편, 일상생활 속에서의 자세(姿勢 / body posture)라 함은 신체를 유지하는 모양ㆍ정적인 모양이 아니라 동적인 것을 말하며, 인간의 자세는 두부ㆍ척추ㆍ골반ㆍ하지 및 이것에 부착하여 조절역할을 하는 인대근육(靭帶筋肉)의 협동작용에 의하여 유지된다. 그 중심은 척추이며, 이것은 많은 추체(椎體)가 추간판(椎間板 / 디스크)이라고 하는 탄성고정체(연골)에 의하여 결합된 아주 유연한 기둥으로서, 많은 굴절과 신전이 길항적(拮抗的)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자세를 변화하게 된다. 척추의 굴근으로는 복근ㆍ대둔근ㆍ대퇴굴근이 있고, 신근으로서는 체간직립근ㆍ대퇴사두근이 주로 이완 내지 수축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일상생활에서의 일반적인 바른자세를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먼저, 직립(直立)상태의 바른자세의 양부(良否)는 일반적으로 정지상태로 서 있을 때의 측면자세에 의해 평가한다. 미국의 켄달은 생리학적·역학적 견지에서 추를 실에 매단 수선(垂線)을 기준으로 한 중심선(重心線)을 지침으로 삼고 있다. 즉, 좋은 자세에서는 중심선이 귀에서 견관절을 지나 흉곽ㆍ복부의 중앙과 대전자(大轉子)를 거쳐 슬관절의 중앙보다 다소 전방을 통과하여 외과의 앞쪽에 이르고 있다. 이 선에서 벗어난 것을 불량자세로 분류하고 있으나 몸의 일부가 일정한 배열에서 벗어나면 대상적(代償的)으로 다른 부분이 이동하여 평형관계를 유지한다는 생각에서 현재에 있어서의 자세판정에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바른 자세란 무의식적으로 근육의 긴장 또는 몸의 각 부분의 균형이 잡혀진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피로도 적다. 몸을 뒤로 젖힌 자세는 근육긴장에 의한 에너지의 소모가 커서 피로를 초래하고, 지나치게 이완된 자세는 에너지의 소비는 적으나, 인대에 무리가 가해진다.
또한, 의자에 앉는 바른자세는 자동차의 보급과 노동형태의 변화는 인간으로 하여금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을 많게 하였다. 미국의 웰즈는 자세를 극단적인 형으로 분류하여 인류형(人類型)과 유인형(類人型)으로 나누고 있는데, 문명의 발달과는 반대로 유인형의 자세로 퇴화되어 가고 있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현재는 서 있는 자세보다도 장시간을 보내는 의자에 앉은 자세의 양부(良否) 쪽이 더 중요하다. 서 있을 때의 자세는 자기 의사로 조절이 되나 의자에 앉았을 때는 자기의 의사보다는 인공적인 요소에 지배되므로 편한 자세로 앉을 수 있는 의자의 선택이 필요하다. 주된 지침으로는 좌면(坐面)의 높이ㆍ깊이ㆍ각도ㆍ등받이의 경사ㆍ만곡부의 형상 등이 중요하다. 높이는 하퇴의 길이와 일치되는 것으로 대퇴부가 수평이 되거나 무릎이 다소 높아지는 것이 좋고, 이보다 높으면 허리의 신근(伸筋)이 작용하게 되므로 피로하기 쉽다. 깊이는 대퇴부의 길이보다 다소 짧지 않으면 무릎 후면이 압박되고 오랜 시간에는 하지의 혈행장애를 일으킨다. 경사각도는 대략 사무용의 경우 약 3 ∼ 5°, 휴식용은 약 15°정도가 적당하다. 등받이의 경사각도는 사무용의 경우 약 100 ∼ 110°, 휴식용은 약 115 ∼ 130°정도가 좋다. 등받이의 만곡부는 서 있을 때의 요부(腰部)의 만곡부보다 완만해야 한다. 만약, 만곡부가 강할 때는 추간판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므로 허리가 피로하기 쉽다. 좋은 의자에서는 허리의 신전이나 굴절도 작용하지 않고 균형이 잡힌 상태이지만, 중요한 것은 아무리 좋은 의자에 앉아도 똑같은 자세를 계속하면 근육과 추간판이 휘어지기 쉬우므로, 착석자 본인이 수시로 자세를 바꾸고 움직여 준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잠자리에서의 눕는 바른자세는 배와위(背臥位)에서는 베개가 높으면 경부(頸部)가 전굴위가 되어 어깨결림의 원인이 되고, 또 측와위(側臥位)에서는 경부가 척추에 평행이 되도록 높은 편이 좋다. 침대가 부드러운지 딱딱한지에 따라 눕는 자세가 지배된다.
따라서 푹신하고 부드러운 침대에서는 배와위를 취하면 척추 전체가 둥글게 되어 내장을 압박하고 호홉을 방해하며 배근이 신장되어 아침에 피로감이 남게되고 또, 측와위에서는 척추가 측만(側彎)을 일으키며, 다소 딱딱한 침대에서는 측와위를 취하면 척추의 중심선이 침대에 병행하게 되어 좋으므로 눕는 곳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바른자세를 유지한다.
이처럼, 오랜기간 불량한 자세로 의자에 착석하게 되면 피로가 누적되어 척추의 변형을 유발하게 되어 척추분리증(脊椎分離症 / spondylolysis), 척추탈위증(脊椎脫位症 / spondylolisthesis), 추간판헤르니아(hernia of intervertebral discs), 변형성척추증(變形性脊椎症 / spondylosis deformans) 등의 증세를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자세에 따라 신체의 변화는 다양하게 전개되므로 오랜시간의자에 착석하여 바른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신체에서 중요한 골격을 유지하도록 지탱하는 척추(脊椎/vertebra)는 신체의 골격중 중심이 되는 매우 중요한 뼈(骨)로서, 척추골 또는 추골(椎骨)이라고도 하며, 이 척추는 단골(短骨)에 속하고 중심체가 되는 추체(椎體)와, 후상방으로 나와 있는 활 모양의 추궁(椎弓)과, 다시 여러 돌기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추체와 추궁에 둘러싸여 중앙에 커다란 추공(椎孔)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인간의 척추는 경추(頸椎) 7개, 흉추(胸椎) 12개, 요추(腰椎) 5개, 천추(薦椎) 5개, 미추(尾椎) 4 ∼ 5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추골군은 각기 특유의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판별이 용이하다. 경추는 전반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추공이 크다. 특히 제1경추는 형태가 다른데, 추체가 결여되어 있어서 거의 고리 모양이 되므로 환추(環椎)라고도 하며, 또 제2경추의 형태도 좀 달라 추체의 위쪽에 이빨 모양의 돌기(치상돌기)가 새끼손가락 끝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환추는 이것을 축으로 하여 두개골을 실은 채로 회전하므로 축추(軸椎)라고도 한다.
여기에서, 치상돌기는 환추의 추체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 돌기 때문에 축추는 책상다리를 한 사람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고 흉추 및 요추는 전반적으로 하위(下位)일수록 대형으로 되며 상기 천추는 5개가 융합되어 천골이 되고 미추는 작고 추궁이 없다.
이처럼, 착석시 의자의 전체적 구조에 따라 착석자의 자세에 영향을 주고, 또 자세에 따라 신체에 상당한 영향을 주므로, 착석자의 바른자세 및 인체공학적 설계에 따른 의자의 구조가 요구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의자 구조가 착석자의 신체를 바르게 받쳐줄 수 있는 구조에 의해 바른자세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좋은 조건과 환경을 갖춘 의자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착석자가 불량한 자세로 앉아 있다면 척추의 기형화를 촉진시키는 원인을 제공함은 물론 하체에 원활한 혈액을 공급 하지 못하여 성장기의 어린이 및 청소년의 신체발달을 저해하고 척추의 기형, 요통, 피로 누적등 신체적 장애 증세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의자는 단순히 착석하는 물건에서 인체공학적이면서 착석자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받쳐줌과 동시에 착석자의 체형에 알맞게 압지하여 바른자세를 유지시켜 척추기형을 막고 요통 및 피로감이 발생이 없어야만 장시간 착석후에도 신체적 이상이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의 중심이 되는 척추는 의자의 구조 및 착석자세와 상호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다수의 제품들이 바른자세를 유지시켜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노력과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들 중 다수는 국내 선 출원되어 특징적 구성을 갖추고 등록특허 제156492 호의 자세 교정 기능을 가지는 등받이 의자와, 공개특허 제98-56979호의 척추 보호스프링 의자, 동 제01-28552호의 척추 및 허리 당김 건강의자와, 공개실용신안 제99-4006호 및 제99-12624호, 제01-1083호의 바른자세용 의자 및 요통을 방지하는 의자,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들이 각각 제안된 바 있다.
또 다른 종래 의자중 하나로 등받이쿠션부가 균등하게 양분되어 신체의 척추분위만을 제외한 등쪽 양측부위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도록 형성된 듀얼백구조를 갖춘 의자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단순히 착석자의 등부분을 양분하여 중심을 제외한 양면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탄성적으로 받쳐주도록 하여 통상적인 의자의 등받이쿠션 보다 안락하고 편한하게 하는 정도로 바른 착석자세를 유도하는 기능은 갖추고 있지 않아 기대 이상의 효과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허리가 약한 노약자 내지 장시간 착석이 요구되는 업종 종사자 및 성장기 어린이, 학생등 사용시 올바른 착석(着席)자세를 유지시킴은 물론 착석자세의 교정 및 요통발생률이 최소화되게 착석자의 상체 등쪽과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三面)에서 입체적으로 압착되면서 받쳐줌과 더불어 착석자의 신체에 따라 손쉽고 편리하게 헤드 레스트(head-rest)의 높낮이를 선택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구조를 갖추고 있어 장시간 착석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함은 물론 신체의 피로 발생율이 낮아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므로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倚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된 합판을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 등 하체 형상과 합치하는 곡면으로 압착 및 절곡, 절단하여 형성된 좌판의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쿠션체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착석자의 하체가 안정되게 안착되는 좌판쿠션부와; 상기 착석자의 상체 등쪽 형상에 따른 곡면형태로 절곡된 후면받침판의 양측면에 탄성고정체의 탄성작용을 통해 탄성고정체의 탄성한도 각도내에서 양측으로 벌어지고 원위치로 복원되는 한 쌍의 측면압착판이 결합되고, 상기 후면받침판 및 측면압착판의 전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쿠션체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착석자의 상체 등쪽 전체와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이 입체적으로 받쳐주게 형성되며, 내부에 가이드 관체를 구비하고, 그 하단에 후술하는 헤드 레스트의 승강작동수단이 구비된 등받이쿠션부와; 상기 등받이쿠션부 상단에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해 곡면형태로 형성된 받침판이 형성되고, 그 전체면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쿠션체 및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쿠션부의 승강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직접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헤드 레스트와; 상기 좌판쿠션부 및 등받이쿠션부의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과 함께 상기 좌판쿠션부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에 따라 좌판쿠션부 및 등받이쿠션부 전체가 후방으로 젖혀짐과 아울러 상단은 좌판쿠션부의 하부면 중심에 고정되고 하단은 지면에 접촉되면서 착석자 선택에 따라 자유 이동되게 캐스터들이 구비된 고정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좌판쿠션부의 좌판 하부면 양측에는 착석자가 앉은자세에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자세를 유지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한 쌍의 프레임이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 프레임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어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프레임들을 따라 각각 높낮이 조절후 고정하여 사용 가능하게 구조를 갖춘 다양한 형상의 팔거치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등받이쿠션부의 측면압착판은 신체의 양측 허리곡선인 양측 옆구리에 밀착되도록 외향으로 만곡진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받침판과 측면압착판을 결합하는 탄성고정체 역시 착석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후면받침판으로부터 측면압착판이 양측으로 벌어지고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지는 탄성강도를 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탄성고정체는 원통형의 탄성부와, 이 원통형의 일부를 절결하고, 절결된 양 단부를 외향으로 확장형성한 고정부를 형성하여 그 평면모양이 대략 "Ω"형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원통형의 탄성부는, 양측의 고정부가 외압에 의해 외향으로 밀리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등받이쿠션부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의 승강작동수단은, 후면받침판의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을 이루도록 한쌍의 가이드관체를 고정브라켓트로 고정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체중 어느 하나의 하단 내부에 끼워져 정역회동 가능한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수직ㆍ수평으로 교차되어 동력을 직각으로 전달되도록 중심에 키홈을 갖춘 축삽입구가 관통 형성된 한 조의 베벨기어, 상기 한 조의 베벨기어들이 수직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정적으로 내부에 수납되고 상부면이 개방되며 일측면에서 일정길이 연장된 안내관이 구비된 기어하우징과, 이단으로 직각 절곡되어 일단에 핸들이 형성되고 타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가 상기 기어하우징의 안내관을 통하여 상기 한 조의 베벨기어중에서 수평상태에 놓여진 베벨기어의 축삽입구에 끼워져 견고하게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 작동축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체의 내부에 삽입되게 대응된 간격으로 상기 헤드 레스트의 받침판 일측면에 승강관체를 고정하되, 이 중 하나의 관체 하단에 내부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한쌍의 승강관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조의 베벨기어중에서 수평상태에 놓여진 베벨기어의 축삽입구에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끼워져 전원 및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정역회동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헤드 레스트는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된 단일체의 받침판을 적용하거나, 또는 상기 단일체의 받침판 양측에 별도의 탄성고정체를 사용하여 상기 받침판의 양측단에서 전방으로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돌출 연장되도록 보조받침판들이 설치 고정된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 양측의 일정부분이 동일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 연장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면압착판은 후면받침판 양측 수용공간에 각각 단일체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균등하게 나누어진 한 조의 측면압착판들로 선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판 및 후면받침판은 상호 연결된 단일체 상태로 형성되거나 각각 별도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 구조적 형상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후면받침판의 양측의 일정부분이 동일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 연장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착석자의 상체 등쪽과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三面)에서 입체적으로 압착되면서 받쳐줌과 동시에 착석자의 신체에 따라 손쉽고 편리하게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선택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구조를 갖추고 있어, 비교적 허리가 약한 노약자 내지 장시간 착석이 요구되는 업종 종사자 및 성장기 어린이, 학생등 사용시 올바른 착석자세를 유지시킴은 물론 착석자세의 교정에 도움을 주고 요통발생률을 최소화시켜 장시간 착석시 척추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척추의 피로를 극소화시키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착석이 가능하므로 신체의 피로도를 낮추고 하체로 원활한 혈액순환등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학업 내지 업무중 잠시 휴식을 위하여 잠이들 경우에도 상체가 좌/우측으로 치우치거나 불안정한 자세로 흐트러짐을 막아 편리하고 안정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사진과 정면사진이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 - A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의자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 레스트 승강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의자의 각부분이 조절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각각의 프레임 사시도들이며, 도 8a,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각각의 프레임 사시도들이고, 도 9a, 9b는 본 발명 의자의 헤드 레스트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0a, 10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고정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100)는 도 1 내지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시 착석자의 둔부(臀部) 및 허벅지 등 하체를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신체의 굴곡을 따라 상응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좌판쿠션부(110)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져 하단부가 상기 좌판쿠션부(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착석자의 상체 등쪽 전체를 받쳐주게 형성된 등받이쿠션부(120)와, 상기 좌판쿠션부(110)의 하부면 중심에 상단이 고정되어 다수개의 캐스터(141)들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구비된 고정지지대(140)와, 상기 좌판쿠션부(110) 양측에 다양한 형상을 갖춘 팔거치대(150)와, 상기 등받이쿠션부(120) 상단에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게 형성된 헤드 레스트(1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대(140)의 경우 의자(100) 중 상기 좌판쿠션부(110) 및 등받이쿠션부(120)의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과 함께 편안함을 주기 위해 상기 좌판쿠션부(11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레버(14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좌판쿠션부(100) 및 등받이쿠션부(120) 전체가 고정지지대(14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젖혀지는 구조를 이루는 등 인체공학적 설계 및 다기능성이 겸비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레버(142)를 작동하여 의자(100)를 후방으로 젖히는 작동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사무용 및 책상용 의자에 적용되는 통상의 구조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로 형성된 고정지지대(140)의 상단은 좌판쿠션부(110)의 하부면 중심에 고정되고 하단은 여러개의 다리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지면과 접촉되는 캐스터(141)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쿠션부(110)의 좌판(111) 하부면 양측에는 착석자가 앉는 자세에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자세를 유지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한 쌍의 프레임(151)이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 프레임(151)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어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프레임(151)들을 따라 각각 높낮이 조절후 고정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형상의 팔거치대(1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팔거치대(150)의 경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태나 또는 도 7a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팔거치대(15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쿠션부(110)는 압축된 합판을 인체의 착석자세에 따른 둔부(臀部) 및 허벅지 및 무릎의 굴곡형상에 따라 상응하는 굴곡면으로 형성된 좌판(111)의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쿠션체(112) 외피(113)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 등 하체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쿠션부(120)는 인체의 착석자세에 따른 상체 등쪽 형상에 따른 곡면형태를 따라 상응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후면받침판(121)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받침판(121)의 양측면엔 탄성고정체(122)의 탄성작용을 통해 일정범위의 각도내에서 양측으로 벌어지고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면압착판(123)이 결합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탄성고정체(122)를 통해 측면압착판(123)이 고정되는 후면받침판(121) 양측면의 경우 상기 후면받침판(121) 상에 수용공간(S)이 확보되게 동일한 크기로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받침판(121) 및 측면압착판(123)의 전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쿠션체(125) 외피(124)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착석자의 상체 등쪽 전체와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이 입체적으로 받쳐주게 형성되며 내부에 승강작동수단인 승강작동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쿠션부(120)의 구성요소인 측면압착판(123)의 경우 신체의 양측 허리곡선인 양측 옆구리에 밀착되도록 착석자의 신체조건 즉, 신장 및 체중에 따른 체형별 표준치를 기준으로 하여 이에 상응하는 착석자의 허리곡선을 따라 가공 형성되고, 상기 후면받침판(121)과 측면압착판(123)을 결합하는 탄성고정체(122) 역시 착석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후면받침판(121)으로부터 측면압착판(123)이 양측으로 벌어지고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지는 최적의 탄성강도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착석자의 신장 및 체중에 따른 체형별 표준치에 따라 가공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허리에서 어깨까지의 길이, 둔부에서 무릎까지의 길이 및 둔부의 크기가 달라지게 됨은 당연하므로, 신체의 길이 및 몸무게에 따라 미리 측정된 수치를 적용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되, 각 항목별로 평균치를 계산하여 3종 내지 5종의 의자를 제작함을 뜻한다.
즉, 신체사이즈 150~160cm의 경우 165cm를 평균신체사이즈로 적용하고, 이들의 평균 몸무게를 50kg으로 적용한다 라고 하는 표준치를 미리 설정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측면압착판(123)의 경우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받침판(121)의 양측면에 상기 후면받침판(121)의 수용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단일체로 측면압착판(123)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등하게 나누어진 한 조의 측면압착판(123a)들로 형성하여 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좌판(111) 및 후면받침판(121)의 경우 상호 연결된 단일체 상태로 형성되거나 각각 별도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 구조적 형상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후면받침판(121)의 양측의 일정부분이 동일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 연장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등받이쿠션부(120)의 후면받침판(121)과 측면압착판(123)을 연결하는 탄성고정체(122)는, 도 10 a, 도 10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관체(122a)를 상하로 길게 절결하여 절결부(122b)를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122b)의 절단면을 외향으로 절곡 연장하여 고정부(122c)를 형성하며, 상기 관체(122a)의 일부를 절결하여 공간부(122d)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원통형의 관체(122a)에 형성된 공간부(122d)는 상기 탄성고정체(122)를 이루는 소재가 가진 고유의 탄성강도를 약화시켜, 적은 압력에도 반응할 수 있도록 탄성강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탄성고정체(122)는, 고정부(122c)에 압력이 가해져 뒷쪽으로 밀리면, 관체(122a)가 벌어지면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탄성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등과 옆구리에 측면압착판(123)이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탄성고정체(122)의 탄력으로 측면압착판(123)이 착석자의 옆구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등받이쿠션부(120)에 설치되는 승강작동부(1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받침판(121)의 전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131a)들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관체(131)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체(131)중 어느 하나의 하단 내부에 끼워져 정역회동 가능한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132)과, 수직ㆍ수평이 교차되어 동력을 직각으로 전달되도록 중심에 키홈을 갖춘 축삽입구가 관통 형성된 한 조의 베벨기어(133), 상기 한 조의 베벨기어(133)들이 수직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정적으로 내부에 수납되고 상부면이 개방되며 일측면에서 일정길이 연장된 안내관(134a)이 구비된 기어하우징(134)과, 이단으로 직각 절곡되어 일단에 핸들(135a)이 형성되고 타단에 결합부(135b)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135b)가 상기 기어하우징(134)의 안내관(134a)을 통하여 상기 한 조의 베벨기어(133)중에서 수평상태에 놓여진 베벨기어(133)의 축삽입구에 끼워져 견고하게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 작동축(135)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체(131)의 내부에 삽입되게 대응된 간격으로 상기 헤드 레스트(160)의 받침판(161) 일측면에 고정되고, 이 중 하나의 관체 하단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32)이 회전되면서 삽입되게 형성된 한 쌍의 승강관체(13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조의 베벨기어(133)중에서 수평상태에 놓여진 베벨기어(133)의 축삽입구에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끼워져 전원 및 전기적 신호의 온(ON)/오프(OFF) 작동에 따라 정역회동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레스트(160)는 상기 등받이쿠션부(120) 상단에 착석자의 머리(頭上)를 받쳐주기 위해 곡면형태로 형성된 받침판이 형성되고, 그 전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쿠션체(162) 및 외피(163)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쿠션부(120)의 승강작동수단인 승강작동부(130)와 연결되어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직접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켜 사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 레스트(160)의 경우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된 단일체의 받침판(161)을 사용하거나 또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일체의 받침판(161) 양측에 별도의 탄성고정체(162)를 사용하여 상기 받침판(161)의 양측단에서 전방으로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돌출 연장되도록 보조받침판(161a)들이 설치 고정된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상기 받침판(161)의 양측의 일정부분이 동일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 연장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고정체(162)의 구성은 상기 등받이쿠션부(120)의 후면받침판(121)과 측면압착판(123)을 연결고정할 때 사용된 탄성고정체(12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의자를 도 6과 대비하여 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의자(100)에 대한 작동과정 중 팔거치대(150)의 높낮이 조절과정으로서, 좌판쿠션부(110) 중 좌판(111) 하부면 양측에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견고히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프레임(151) 상단에 끼움 결합된 팔거치대(150)를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팔거치대(150)를 프레임(151)으로부터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상기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상기 팔거치대(15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팔거치대(150)에 대한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의자(100)에 대한 작동과정 중 헤드 레스트(160)의 높낮이 조절과정으로서, 등받이쿠션부(120)의 구성요소 중 고정브라켓트(131a)에 의해 후면받침판(121) 상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관체(131) 내에 베벨기어(133)를 통해 핸들(135a) 및 작동축(135)과 연결된 회전축(132)과 헤드 레스트(160)의 받침판(161) 상에 일단이 고정된 승강관체(136)가 삽입된 상태로 상호 나사산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헤드 레스트(160)를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핸들(135a)을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축(135)을 통해 치합된 베벨기어(133)가 상호 대향 회전하면서 이와 대응되어 회전축(13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132)과 나사산 결합된 승강관체(136) 역시 상기 회전축(132)의 회전작용을 통해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헤드 레스트(160)의 승하강에 따른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의자(100)에 대한 작동과정 중 좌판쿠션부(110) 및 등받이쿠션부(120) 전체가 고정지지대(140)의 상단을 지점으로 하여 후방으로 젖혀지는 조절과정으로서, 하단에 캐스터(141)가 설치된 고정지지대(140)의 상단에 좌판쿠션부(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쿠션부(11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레버(14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지지대(140)의 상단으로부터 좌판쿠션부(110)의 전후 회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상기 좌판쿠션부(110) 및 등받이쿠션부(120)가 후방으로 젖혀지거나 또는 젖혀졌던 상태에서 원위로 복원되는 등 이에 대한 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면서 본 발명의 의자(100)를 더욱 편안하고 안락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자의 상체 등쪽과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三面)에서 입체적으로 압착되면서 받쳐줌과 아울러 착석자의 신체에 따라 손쉽고 편리하게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선택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구조를 갖추고 있어, 비교적 허리가 약한 노약자 내지 장시간 착석이 요구되는 업종 종사자 및 성장기 어린이, 학생등 사용시 올바른 착석자세를 유지시킴은 물론 착석 자세의 교정에 도움을 주고 요통발생률을 최소화시켜 장시간 착석시 척추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척추의 피로를 극소화시키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착석이 가능하므로 신체의 피로도를 낮추고 하체로 원활한 혈액순환 등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학업 내지 업무 중 잠시 휴식을 위하여 잠이 들 경우에도 상체가 좌/우측으로 치우치거나 불안정한 자세로 흐트러짐을 막아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압축된 합판을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 등 하체 형상에 따른 곡면으로 압착 및 절곡, 절단하여 형성된 좌판의 상부면 전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쿠션체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착석자의 하체가 안정되게 안착되는 좌판쿠션부와;
    상기 착석자의 상체 등쪽 형상에 따른 곡면형태로 절곡된 후면받침판의 양측면에 금속제 판체를 절곡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한 탄성고정체의 탄성작용을 통해 일정범위의 각도내에서 양측으로 벌어지고 원위치로 복원되는 한 쌍의 측면압착판이 결합되고, 상기 후면받침판 및 측면압착판의 전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쿠션체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착석자의 상체 등쪽 전체와 양측 옆구리를 동시에 감싸 안은 듯 삼면이 입체적으로 받쳐주게 형성되며, 내부에 승강작동수단이 구비된 등받이쿠션부와;
    상기 등받이쿠션부 상단에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해 곡면형태로 형성된 받침판이 형성되고, 그 전체면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쿠션체 및 외피가 순차적으로 감싸져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쿠션부의 승강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직접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헤드 레스트와;
    상기 좌판쿠션부 및 등받이쿠션부의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과 함께 상기 좌판쿠션부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에 따라 좌판쿠션부 및 등받이쿠션부 전체가 후방으로 젖혀짐과 아울러 상단은 좌판쿠션부의 하부면 중심에 고정되고 하단은 지면에 접촉되면서 착석자 선택에 따라 자유 이동되게 캐스터들이 구비된 고정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쿠션부의 측면압착판은, 신체의 양측 허리곡선인 양측 옆구리에 밀착되도록 착석자의 허리곡선의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 형성되고, 상기 후면받침판과 측면압착판을 탄성고정체로 연결고정하여, 착석한 상태에서 후면받침판으로부터 측면압착판이 양측으로 벌어지고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지는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쿠션에는, 고정브라켓트들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관체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체중 어느 하나의 하단 내부에 끼워져 정역회동 가능한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수직ㆍ수평이 교차되어 동력을 직각으로 전달되도록 중심에 키홈을 갖춘 축삽입구가 관통 형성된 한 조의 베벨기어,
    상기 한 조의 베벨기어들이 수직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정적으로 내부에 수납되고 상부면이 개방되며 일측면에서 일정길이 연장된 안내관이 구비된 기어하우징과,
    이단으로 직각 절곡되어 일단에 핸들이 형성되고 타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가 상기 기어하우징의 안내관을 통하여 상기 한 조의 베벨기어중에서 수평상태에 놓여진 베벨기어의 축삽입구에 끼워져 견고하게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 작동축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체의 내부에 삽입되게 대응된 간격으로 상기 헤드 레스트의 받침판 일측면에 고정되고, 이 중 하나의 관체 하단에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삽입되게 형성된 한 쌍의 승강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는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된 단일체의 받침판을 적용하거나 또는 상기 단일체의 받침판 양측에 별도의 탄성고정체를 사용하여 상기 받침판의 양측단에서 전방으로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돌출 연장되도록 보조받침판들이 설치 고정된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의 받침판은 양측의 일정부분이 동일한 각도가 유지되면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 연장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압착판은 후면받침판 양측 수용공간에 각각 단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균등하게 나누어진 한 조의 측면압착판들로 선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및 후면받침판은 상호 연결된 단일체 상태로 형성되거나 각각 별도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 구조적 형상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삭제
KR1020010033133A 2001-06-13 2001-06-13 의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84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133A KR100846733B1 (ko) 2001-06-13 2001-06-13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133A KR100846733B1 (ko) 2001-06-13 2001-06-13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732A KR20020094732A (ko) 2002-12-18
KR100846733B1 true KR100846733B1 (ko) 2008-07-16

Family

ID=2770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1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6733B1 (ko) 2001-06-13 2001-06-13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7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42B1 (ko) 2008-12-24 2009-06-26 주식회사 닥터스생활과학 의자
KR101003756B1 (ko) 2010-03-11 2010-12-28 양문석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KR101209210B1 (ko) 2011-07-28 2012-12-06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
KR20230079721A (ko) * 2021-11-29 2023-06-07 이명대 등받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060A (ko) * 2002-07-22 2004-01-31 김정룡 논-쿠션형 의자
KR100768480B1 (ko) * 2006-06-01 2007-10-19 박창준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564Y1 (ko) * 1988-01-19 1991-06-29 이훈 회전의자
KR19990046125A (ko) * 1999-03-26 1999-06-25 차석출 의자등받이
KR200199864Y1 (ko) * 2000-05-18 2000-10-16 이병오 착탈구조를 갖춘 요추받침용 쿠션이 부설된 의자
KR20000019631U (ko) * 1999-04-16 2000-11-15 김선기 안마장치가 내장된 사무용 의자
KR20000019966U (ko) * 1999-04-24 2000-11-25 정해차어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564Y1 (ko) * 1988-01-19 1991-06-29 이훈 회전의자
KR19990046125A (ko) * 1999-03-26 1999-06-25 차석출 의자등받이
KR20000019631U (ko) * 1999-04-16 2000-11-15 김선기 안마장치가 내장된 사무용 의자
KR20000019966U (ko) * 1999-04-24 2000-11-25 정해차어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0199864Y1 (ko) * 2000-05-18 2000-10-16 이병오 착탈구조를 갖춘 요추받침용 쿠션이 부설된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42B1 (ko) 2008-12-24 2009-06-26 주식회사 닥터스생활과학 의자
KR101003756B1 (ko) 2010-03-11 2010-12-28 양문석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WO2011112039A3 (ko) * 2010-03-11 2012-03-15 Yang Moon Seok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KR101209210B1 (ko) 2011-07-28 2012-12-06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
KR20230079721A (ko) * 2021-11-29 2023-06-07 이명대 등받이
KR102767420B1 (ko) * 2021-11-29 2025-02-14 이명대 등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732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3194B1 (en) Lumbar flexing seating pad
US4500137A (en) Physiological chair
AU2016287479B2 (en) Back support
US5824013A (en) Spinal brace for correcting lordosis
RU21992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US4696516A (en) Contoured aircraft and car seat
US8931837B2 (en) Thoracic back support
JP2004508891A (ja) 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椅子およびこの椅子で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方法
US8596717B2 (en) Posture trainer
US9486375B2 (en) Back support device
KR102473998B1 (ko) 자세 교정 및 허리 견인 기능성 의자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102250315B1 (ko) 무브 체어
KR100846733B1 (ko) 의자
US20230017245A1 (en) Seat configuration
CN215650076U (zh) 一种人体工学健康椅
Vollowitz Furniture prescription for the conservative management of low-back pain
CN201684051U (zh) 多功能脊椎平衡坐卧养生垫
CN101088434A (zh) 一种用于腹部依托/支撑的椅靠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JP7440901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トレーニング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椅子
CN113768303B (zh) 一种脊柱健康拉伸椅
JP3241681U (ja) 背当てクッション
KR200220097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6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