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64Y1 - 등쿠션 - Google Patents

등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364Y1
KR200477364Y1 KR2020140008058U KR20140008058U KR200477364Y1 KR 200477364 Y1 KR200477364 Y1 KR 200477364Y1 KR 2020140008058 U KR2020140008058 U KR 2020140008058U KR 20140008058 U KR20140008058 U KR 20140008058U KR 200477364 Y1 KR200477364 Y1 KR 200477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ebra
support
lumbar support
lumba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백호진
오환경
Original Assignee
김민호
백호진
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호, 백호진, 오환경 filed Critical 김민호
Priority to KR2020140008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3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를 지지하여 척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앞가슴이 펴지면서 어깨가 펴지도록 하여 흉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허리나 척추의 통증 유발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고 올바른 자세를 손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쿠션에 관한 것으로, 본 등쿠션은 흉추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요추의 하부까지 전체 척추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척추의 커브에 대응하여 전면에 볼록하게 돌출되는 전면돌출부가 형성되며, 탄성 복원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되는 척추지지체와; 상기 척추지지체의 전면 중앙을 따라 척추의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수개의 원형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지지홈의 양측으로 상기 척추지지체의 전면에 돌출되면서 상하로 길게 한 쌍의 돌출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지지턱에 함몰되게 다수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되는 척추지지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등쿠션{BACK CUSHION}
본 고안은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를 지지하여 척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앞가슴이 펴지면서 어깨가 펴지도록 하여 흉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허리나 척추의 통증 유발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고 올바른 자세를 손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등뼈)는 인체의 가장 중심을 이루는 골격으로서, 척추 속에는 중추 신경인 척수(등골)가 들어 있기 때문에 척추의 기형화는 중추신경인 척수에 불필요한 자극을 주게 되어 통증은 물론 디스크 현상과 같은 무서운 질병을 유발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척수의 기능은 대소변을 배설하는 기능과, 뜨거운 것을 만졌을때 손을 움추리는 무의식적인 반사작용과, 두뇌의 명령을 신체의 다른 부분에 전달하거나 또는 말초신경에서 받은 자극을 대뇌에 전달할 때 운동신경 및 감각신경의 통로 구실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척수가 척추의 기형으로 자극을 받을 경우 심하면 대뇌의 명령이 전달되지 않아 손발이 마비되는 등의 신체불구자가 되기도 한다.
한편, 학생 또는 직장인들은 신체에 맞지 않는 낮은 책걸상 사용과 나쁜 자세 의 운전습관,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 및 장시간 공부 등으로 인해 척추에 변형을 초래하는 나쁜 자세가 발생되어 척추자세 교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척추에 이상이 오게 되면 수술, 입원치료, 복대착용 등의 치료를 받아야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히, 잘못된 자세로 인한 척추의 변형은 갑작스런 외상이나 만성적인 외상이 보다 잘 일어나고, 요통, 좌골 신경통, 디스크 질환, 척추측만증, 요추전만증, 척추후만증, 목통증 등의 척추 질환과 팔다리 저림증, 감각 이상, 근위축, 팔다리의 마비, 만성 소화불량과 같은 장기능의 저하 등 신경학적인 질환 및 뼈, 관절 등의 각종 퇴행성 변화, 견비통, 만성두통, 만성피로 등의 구조적인 질환들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에 척추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한편, 기술이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안락하게 앉을 수 있는 의자의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이용자의 신체구조가 서로 다르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자세도 제각각이므로, 의자만으로 모든 이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통상적으로 사람이 의자나 자동차 시트에 앉을 때 엉덩이와 허리의 뒷부분에 쿠션을 받쳐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쿠션은 커버의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 또는 발포폼 등이 충진된 구조를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쿠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인체 공학적으로 볼 때 사람이 앉은 자세의 각도는 대퇴부에서부터 요선부, 즉 요추에서 흉추까지 전체의 척추의 각도가 최소한 105ㅀ에서 135ㅀ의 정상적인 커브를 가져야 하지만, 종래의 쿠션은 주로 대퇴부와 요추를 받치는 역할만을 함으로써 척추가 정상적인 커브를 유지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에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91452호 "차량의자용 등쿠션"(2002.09.26.)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척추를 지지하여 척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앞가슴이 펴지면서 어깨가 펴지도록 하여 흉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허리나 척추의 통증 유발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고 올바른 자세를 손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쿠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반지지턱을 통해 골반뼈와 함께 허리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등쿠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버와 고정벨트를 통해 의자에 대한 설치나 고정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쿠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등쿠션"은, 흉추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요추의 하부까지 전체 척추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척추의 커브에 대응하여 전면에 볼록하게 돌출되는 전면돌출부가 형성되며, 탄성 복원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되는 척추지지체와; 상기 척추지지체의 전면 중앙을 따라 척추의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수개의 원형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지지홈의 양측으로 상기 척추지지체의 전면에 라운드지게 돌출되면서 상하로 길게 한 쌍의 돌출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지지턱에 함몰되게 다수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되는 척추지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등쿠션"의 상기 척추지지체는, 그 전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척추지지체의 하단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하부받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등쿠션"의 상기 척추지지체는, 상기 전면돌출부의 양측으로 상기 척추지지체의 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골반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등쿠션"의 상기 척추지지체는, 상기 골반지지턱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 골반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등쿠션"은, 상기 척추지지체가 수용되고, 배면에 상하로 지퍼가 설치되며, 양측에 상호 결합 및 분해 가능한 고정벨트가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척추를 지지하여 척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앞가슴이 펴지면서 어깨가 펴지도록 하여 흉추의 커브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허리나 척추의 통증 유발이 미연에 방지되고,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올바른 자세를 손쉽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둔부지지턱을 통해 둔부와 함께 허리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안함이 보다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커버와 고정벨트를 통해 의자에 대한 설치나 고정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은 탄성재 재질의 척추지지체(10)와,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척추지지홈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척추지지체(10)는 발포폼과 같이 탄성 복원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되고 흉추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요추의 하부까지 전체 척추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척추의 커브에 대응하여 전면에 볼록하게 돌출되는 전면돌출부(11)가 형성되는 것으로, 인체의 척추에 대응하여 인체의 등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면돌출부(11)는 인체의 요추에 형성되는 만곡된 커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전면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돌출부위가 커지다가 요추 부위에 대응하여 완전히 돌출되면서 인체의 척추의 커브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척추지지체(10)는 그 전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12)과, 상기 척추지지체(10)의 하단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하부받침턱(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12)은 인체의 척추의 양측면을 따라 상하로 경사지게 지지하여 상기 척추지지체(10)가 인체의 척추를 지지할 때 앞가슴이 보다 원활히 펴지면서 어깨가 보다 원활하게 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받침턱(13)은 인체의 요추의 하단, 즉 둔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인체의 요추의 하부로 천추와 미추 부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척추지지홈부(20)는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전면 중앙을 따라 척추의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수개의 원형지지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지지홈(21)의 양측으로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전면에 라운드지게 돌출되면서 상하로 길게 한 쌍의 돌출지지턱(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지지턱(22)에 함몰되게 다수의 돌기삽입홈(23)이 형성되는 것으로, 인체의 척추의 돌출된 뼈가 적절히 삽입되어 인체의 척추를 보다 긴밀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원형지지홈(21)은 인체의 척추의 극돌기가 삽입되면서 인체의 척추가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전면에 보다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지지턱(22)은 인체의 척추의 양측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돌기삽입홈(23)은 인체의 척추의 횡돌기가 삽입되면서 인체의 척추가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전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은 상기 척추지지체(10)가 수용되고 배면에 상하로 지퍼(31)가 설치되며 양측에 상호 결합 및 분해 가능한 고정벨트(32)가 설치되는 커버(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30)는 직물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체(1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지퍼(31)는 상기 커버(30)의 내부로 상기 척추지지체(10)를 집어넣거나 뺄 수 있도록 상기 커버(30)를 개폐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고정벨트(32)는 고정 클립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체(10)가 상기 커버(30)에 수용된 상태로 의자(S)의 등받이(B)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등쿠션은 상기 고정벨트(32)와 커버(30)에 의해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맞추어 상기 의자(S)의 등받이(B)에 적절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30)는 상기 전면돌출부(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 전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등쿠션은 의자(S)의 등받이(B)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에 배치된 상태로 사용자가 누워서 척추의 커브를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자세를 교정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상기 척추지지체(10)는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양측으로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골반지지턱(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골반지지턱(14)은 인체의 골반, 즉 엉덩이뼈의 상단을 지지하여 상기 척추지지체(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인체의 척추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골반이 뒤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요추 부위를 밀어 허리의 정상적인 커브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척추지지체(10)는 상기 골반지지턱(14)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 골반삽입홈(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골반삽입홈(15)은 상기 골반을 이루는 엉덩이뼈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골반지지턱(14)이 인체의 골반에 보다 정확하면서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쿠션은 상기 척추지지체(10)가 수용되고 배면에 상하로 지퍼(31)가 설치되며 양측에 상호 결합 및 분해 가능한 고정벨트(32)가 설치되는 커버(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30)는 직물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체(1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지퍼(31)는 상기 커버(30)의 내부로 상기 척추지지체(10)를 집어넣거나 뺄 수 있도록 상기 커버(30)를 개폐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고정벨트(32)는 고정 클립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체(10)가 상기 커버(30)에 수용된 상태로 의자(S)의 등받이(B)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등쿠션은 상기 고정벨트(32)와 커버(30)에 의해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맞추어 상기 의자(S)의 등받이(B)에 적절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30)는 상기 골반지지턱(14)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등쿠션은 의자(S)의 등받이(B)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에 배치된 상태로 사용자가 누워서 척추의 커브를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자세를 교정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척추지지체
11 : 전면돌출부 12 : 경사면
13 : 하부받침턱 14 : 골반지지턱
15 : 골반삽입홈
20 : 척추지지홈부
21 : 원형지지홈 22 : 돌출지지턱
23 : 돌기삽입홈
30 : 커버
31 : 지퍼 32 : 고정벨트

Claims (5)

  1. 흉추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요추의 하부까지 전체 척추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척추의 커브에 대응하여 전면에 볼록하게 돌출되는 전면돌출부(11)가 형성되며, 탄성 복원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되는 척추지지체(10)와;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전면 중앙을 따라 척추의 돌출된 부위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수개의 원형지지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지지홈(21)의 양측으로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전면에 라운드지게 돌출되면서 상하로 길게 한 쌍의 돌출지지턱(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지지턱(22)에 함몰되게 다수의 돌기삽입홈(23)이 형성되는 척추지지홈부(20)와;
    상기 척추지지체(10)가 수용되고, 배면에 상하로 지퍼(31)가 설치되며, 양측에 상호 결합 및 분해 가능한 고정벨트(32)가 설치되는 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지지체(10)는,
    그 전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12)과,
    상기 척추지지체(10)의 하단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하부받침턱(13)과,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양측으로 상기 척추지지체(10)의 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골반지지턱(14)과,
    상기 골반지지턱(14)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 골반삽입홈(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쿠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8058U 2014-11-05 2014-11-05 등쿠션 KR200477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58U KR200477364Y1 (ko) 2014-11-05 2014-11-05 등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58U KR200477364Y1 (ko) 2014-11-05 2014-11-05 등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364Y1 true KR200477364Y1 (ko) 2015-06-03

Family

ID=5351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058U KR200477364Y1 (ko) 2014-11-05 2014-11-05 등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3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80B1 (ko) * 2016-12-12 2018-03-12 김민호 배낭
KR101928164B1 (ko) * 2017-01-26 2018-12-11 문경환 요추지지고정용 등쿠션
KR20200032575A (ko)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굿먼데이 등쿠션
KR102508782B1 (ko) 2022-03-08 2023-03-10 김주열 인체공학 설계를 통한 바른 척추자세에 도움을 주는 척추 스트레칭 및 등받이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468U (ko) * 1986-10-28 1988-06-27 이종원 의자용 등 받침구
KR950002885U (ko) * 1993-07-30 1995-02-16 서정호 여행용 목베개
JPH09508300A (ja) * 1994-02-04 1997-08-26 ニール サマーズ バックレストデバイス
US20090259151A1 (en) * 2008-04-11 2009-10-15 Great Innovations, Inc. Portable pressure point massage b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468U (ko) * 1986-10-28 1988-06-27 이종원 의자용 등 받침구
KR950002885U (ko) * 1993-07-30 1995-02-16 서정호 여행용 목베개
JPH09508300A (ja) * 1994-02-04 1997-08-26 ニール サマーズ バックレストデバイス
US20090259151A1 (en) * 2008-04-11 2009-10-15 Great Innovations, Inc. Portable pressure point massage be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80B1 (ko) * 2016-12-12 2018-03-12 김민호 배낭
KR101928164B1 (ko) * 2017-01-26 2018-12-11 문경환 요추지지고정용 등쿠션
KR20200032575A (ko)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굿먼데이 등쿠션
KR102508782B1 (ko) 2022-03-08 2023-03-10 김주열 인체공학 설계를 통한 바른 척추자세에 도움을 주는 척추 스트레칭 및 등받이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4812B2 (ja) 背もたれ
KR101590068B1 (ko)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JP5894277B2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US9839554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KR200477364Y1 (ko) 등쿠션
US20170112702A1 (en) Spinal column support
US9999304B2 (en) Lumbar support cushion
AU2014270173B2 (en) Modular device for dorsal protection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KR20170128374A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KR20180029328A (ko) 매트리스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TWM504517U (zh) 用於預防脊椎疾病的坐式裝置
JP4341845B2 (ja) 腰痛障害者用自動車座席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KR102599666B1 (ko) 거북목 교정장치
KR101574902B1 (ko) 가슴받침 안면 베개 겸용 디스크 감압견인 장치
KR102088842B1 (ko) 다기능 허리베개
JP7490209B2 (ja) 安産準備パッド、安産準備椅子
KR100785993B1 (ko) 보조등받이
US20230414000A1 (en) Seat
KR20110125800A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CA2965181C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