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800A - 골반 고정식 착석물 - Google Patents

골반 고정식 착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800A
KR20110125800A KR1020100045367A KR20100045367A KR20110125800A KR 20110125800 A KR20110125800 A KR 20110125800A KR 1020100045367 A KR1020100045367 A KR 1020100045367A KR 20100045367 A KR20100045367 A KR 20100045367A KR 20110125800 A KR20110125800 A KR 20110125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support
hemisphere
seating uni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635B1 (ko
Inventor
안강
Original Assignee
안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강 filed Critical 안강
Priority to KR102010004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착석시 골반의 치골 사이의 중앙부를 받치고 장골 양측 및 후방 천미골을 지지하여 골반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골반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골반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장골 양측 및 천미골 후측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에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는 환형의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며 상기 착석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착석부의 하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는 착석부 받침을 포함하여, 착석자의 골반이 착석부 내에 안착되어 고정되면서도 착석자가 자세를 편안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반 고정식 착석물 {A SEAT FOR STABILIZATION OF PELVIC GIRDLE}
본 발명은 착석자의 골반을 고정시켜 근육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서있는 상태보다 앉은 자세에서의 근육의 피로도가 더 높다. 앉은 상태에서는 정면에서 봤을 때, 척추가 측면으로 휘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바른 자세이며, 측면에서는 완만한 S곡선을 이루는 자세가 근육이 가장 편안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자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를 유지하기는 쉽지 않다.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 골격이 변형되고 휘어져 디스크 등의 질환이 야기될 수 있으며, 또한, 골격의 변화에 따라 체형이 변하여 정상적인 몸매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도 1은 사람의 골반과 척추를 나타낸 골격 해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은 척추(20)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같은 역할을 하며, 자세변화의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골반(10)은 대략 역삼각형 형상(입체적으로는 뒤집어진 원추형상)이며, 양측으로 장골(11)과 장골 하측으로 관골구를 이루는 좌골(13)과 좌골 하부에서 관골의 하반부를 형성하는 치골(12)과 후측의 천골로 이루어진다. 척추(20)를 중심으로 양측 치골 사이는 원추형으로 공간(A)이 형성된다.
착석시에는 서 있는 자세보다 근육에 약 25%의 부하가 더 가해진다. 또한, 거북목 상태에서는 앉아 있는 자세에서보다 약 25%의 부하가 근육에 더 가해지며, 몸을 앞으로 굽힌 상황에서는 서 있는 자세에서보다 약 200%의 부하가 근육에 더 가해진다. 이와 같은 근육의 부하에 의하여, 근육을 피로하게 되고, 경추 및 요추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진다.
도 2는 골반과 척추의 자세를 고정할 수 없는 착석물에 착석한 자세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의 자세가 앞뒤로 고정되지 않는 착석물에서는 통상적으로 거북목 자세(A영역)가 취해진다. 거북목 자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근육에 큰 부하가 가해지며, 그 이상으로 상체를 숙이는 경우 자세가 유지되지 못하고 진동하거나(B영역), 근육에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계속적으로 가해져서(C영역) 더 큰 부하가 가해진다. 또한, 척추가 측면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3은 골반은 고정할 수 없고 척추만 후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착석물에 착석한 자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러한 자세를 알렉산더 자세라고 한다. 이러한 자세는 업무의 집중력을 높이고 거북목을 예방하지만, 최장근(Longissimus), 장늑골간근(Iliocostalis), 극돌기간근(Spinalis) 등과 같은 척추 기립근(허리를 펴기 위한 근육)을 강하게 긴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척추의 긴장을 낮추기 위하여 허리를 후측으로 더욱 기댄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착석물이 대두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착석물에서는 허리 근육의 긴장은 완화할 수 있으나,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정면을 바라보기가 힘들기 때문에, 목의 근육(반극근(Semispinalis muscle))은 긴장 상태가 지속되며, 얼굴이 책상 또는 모니터와 같은 업무기재와 멀기 때문에, 집중력이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골반이 고정되지 않은 경우의 척추와 골반의 자세를 도시한 골격해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면, 척추(20)가 수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좌우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면에서 봤을 때에도, 안정된 S자 곡선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척추의 자세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착석시 척추를 지탱하는 골반을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착석시 골반을 착석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골반이 고정되어 착석자가 자세를 조금씩 변경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에 착석자의 골반을 착석물에 고정시키면서도 착석자가 편리하게 자세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착석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착석시 착석자의 역삼각형으로 생긴 골반이 이와 대응하게 생긴 착석부 내에 안착되도록 하여 요추 및 경추가 좌우로 휘지 않고 수직으로 유지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안정된 S곡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골반이 착석부에 고정되면서도 착석자가 편리하게 자세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골반이 고정된 착석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기준 위치에서 상기 착석부가 이동하면 기준 위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소정의 각도 이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석부를 받치는 착석부 받침의 전후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석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착석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은 착석자의 장골 양측 및 천미골 후측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에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착석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며, 상기 착석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착석부의 하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는 착석부 받침; 및 상기 착석부 및 착석부 받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착석부가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준 위치 방향으로 상기 착석부에 힘을 가하는 착석부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착석부 지지수단은 상기 착석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난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상기 기준 위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착석부 지지수단은 상기 착석부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우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 지지수단; 및 상기 착석부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좌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2 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착석자의 장골 양측 및 천미골 후측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에 일정곡률 반경을 갖는 반구형상의 유동반구가 구비되는 착석부; 및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고, 그 상면에 상기 유동반구가 위치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유동반구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유동반구 중 가장 직경이 큰 부분이 그 내면에 접할 수 있는 크기로 요입되게 유동요홈이 형성되는 착석부 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반구와 상기 착석부의 사이에는 상기 유동반구와 상기 착석부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연결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석부 받침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일정곡률반경을 갖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반구; 상기 착석부 받침을 지지하고, 그 상면에 상기 착석부 받침의 결합반구가 설치되는 회전공간이 상기 결합반구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도록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결합반구의 중간부분이 상기 회전공간의 둘레에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반구결합부; 상기 반구결합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결합반구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착석부 받침과 상기 반구결합부를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과 상기 반구결합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착석부 받침이 상기 반구결합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반구결합부에 압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시 착석자의 역삼각형으로 생긴 골반이 이와 대응하게 생긴 착석부 내에 안착되도록 하여 요추 및 경추가 좌우로 휘지 않고 수직으로 유지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안정된 S곡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자의 골반이 착석부에 고정되면서도 착석자가 편리하게 자세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자의 골반이 고정된 착석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기준 위치에서 상기 착석부가 이동하면 기준 위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소정의 각도 이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부를 받치는 착석부 받침의 전후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석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착석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부가 착석부 받침에서 자유롭게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어 척추 신경의 자극에 의한 뇌 활동이 더욱 활발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부 받침이 반구결합부에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어 착석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착석부에 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람의 골반과 척추를 도시한 골격 해부도이다.
도 2는 자세고정 수단이 없는 착석물에 착석한 착석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골반은 고정할 수 없고 척추만 후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착석물에 착석한 착석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골반이 고정되지 않은 경우의 착석자의 척추와 골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골격 해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받침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지지수단을 통하여 상기 착석부 및 착석부 받침이 지지되는 것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 착석부 받침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받침에 윤활부재가 형성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받침이 상, 하부로 나뉘어 구성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상부에 착석부 커버가 형성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구성을 보인 일부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 착석부 받침과 착석부 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 착석부 받침이 착석부 지지대에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 의해 골반의 위치가 교정된 경우 앉은 자세에서 척추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은 착석부(100), 착석부 받침(200), 착석부 지지수단(300), 등받이(400) 및 다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착석물에서는 착석자의 골반이 착석부에 고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착석부가 다리 등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착석자가 앉은 상태에서 조금씩 움직이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올바른 자세 형성을 위하여 착석자의 골반이 착석부(1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골반이 착석부(100)에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착석자가 조금씩 자세를 바꾸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착석부(100)를 다리(500) 등에 직접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착석부의 아래에 착석부 받침(200)을 별도로 두어 착석부(100) 자체가 착석부 받침(200) 위에서 소정의 각도 이내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골반을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자세를 조금씩 바꾸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 때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위에서 고정되지 않은 채로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착석부(100)가 유동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안정된 착석감을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는 착석부(100) 및 착석부 받침(200) 사이에서 착석부(10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착석부 지지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석부 지지수단(300)은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위에서 기준 위치에서부터 이동하게 되면 상기 기준 위치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위치에서 이동한 거리에 따라서 점점 큰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특정 범위 이상의 각도로 착석부(100)가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착석부(100)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한데, 너무 큰 각도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면 착석감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각도가 너무 작게 되면 착석자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각 방향별로 0° 내지 30°이내의 각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100)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100)는 내측으로 경사지며 중앙부분에 중공부(110)가 형성되고, 전방에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중공부(110)는 중앙 부분이 관통되거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골반의 고정을 위하여 주변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면 족하며, 관통 여부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돌출부(120)는 사용자가 착석시 치골 사이의 원추형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돌출부(120) 내측의 경사는 사용자의 착석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 너무 완만한 경우 골반을 고정하는 효과가 감소한다. 따라서 돌출부의 형태는 주먹을 쥔듯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석부(100)의 하부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는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자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착석부(100)가 단순히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착석부(100)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여야 착석자의 자세변경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척추측만증 환자와 같이 척추가 골반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지 않고 일측으로 휘어진 착석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착석부(100)의 하부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착석부(100)가 이동함에 따라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착석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곡면은 착석부(100)가 좌우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만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착석부(100)가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각도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반구와 같은 형태로 모든 방향으로 휘어지는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0)의 양측 및 후측은 중앙의 중공부(110)를 향할수록 낮아지는 구배를 갖도록 경사진다. 이는 대략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인 착석자의 골반이 안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 45˚ 내지 80˚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석부(100)의 후측은 골반의 천골(천미골)이 지지되도록 양측보다 더 높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착석시 사용자의 골반(10)의 장골 양측과 천골 후측이 착석부 중앙부에 안착되어 골반이 착석부(100)의 중앙에 고정된다. 이 때, 중공부(110)는 착석자의 피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받침(2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은 종래의 착석물과는 달리 착석부(100) 및 착석부 받침(200)이 구분되어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면에서와 같이 착석부 받침(200)은 착석부(100)를 지지하며, 착석부(1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에 착석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곡면과 동일한 곡률은 가지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석부(100)의 하부 및 착석부 받침(200)의 상부에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볼록하고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착석부(100)가 상기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동에 따라서 착석부(100)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착석부 받침(200)에 형성되는 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착석부(100)가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착석부(100)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착석부(100)가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착석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반구 형상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곡면의 형태 및 곡률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착석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곡면의 형태 및 곡률이 착석부 받침(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곡면의 형태 및 곡률과 일치하도록 구성될 것이 요구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지지수단(300)을 통하여 상기 착석부(100) 및 착석부 받침(200)이 지지되는 것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착석자가 착석부(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착석부가 제한 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면, 오히려 불안정한 착석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는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위에서 정해진 범위 이내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골반 고정식 착석물은 착석부(100) 및 착석부 받침(200)에 각각 연결되고 착석부(100)가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준 위치 방향으로 상기 착석부(100)에 힘을 가하는 착석부 지지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준 위치는 착석부(100)가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하지 않고 가운데에 위치할 때의 착석부(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착석부 지지수단(300)은 착석자가 착석부(100)를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는 경우,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착석부 지지수단(300)은 착석부(100)의 이동에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가지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용수철과 같은 자재가 이용될 수 있다. 용수철은 용수철의 탄성계수 및 용수철의 확장 길이에 따라서 복원력이 주어지므로, 본 발명에서 착석부 지지수단(300)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용수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소재로 착석부 지지수단(30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지속적인 사용에도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자재라면 어떤 자재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착석부 지지수단(300)의 구성형태에 의하여 제한 받지 아니한다.
이 때, 착석부 지지수단(300)은 상기 착석부(100)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난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기준 위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착석부(100)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고, 안정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석부(100)가 이동할 수 있는 각도의 범위는 0° 내지 30°이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와 같이 착석부(10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착석부 지지수단(300)은 착석부(100)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 우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 지지수단 및 착석부(100)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 좌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2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수단 및 제2 지지수단은 서로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100)가 좌우방향뿐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전후 각 방향을 지지하기 위한 착석부 지지수단(300)이 더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 받침(200)에는 착석부 받침(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1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100)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착석부 받침(200)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착석부 받침(200)의 전후 방향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착석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착석부 받침(200)의 각도 조절로 착석부(100)의 후측이 높아지면, 착석부(100)가 수평인 경우보다 척추의 측면 곡선이 안정된 S곡선을 유지할 수 있다. 착석부(100)의 각도가 수평면에 비해 후측이 높은 경우, 착석자의 자세를 지탱하기 위해 허벅지나 척추기립근에 큰 부하가 걸릴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착석부(100)에는 전방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착석자의 골반 전방부를 지지할 수 있어서 근육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착석자는 각도조절장치(130)를 이용하여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착석부(100)의 각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착석부(100)의 각도는 수평면에 대해 2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10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 착석부 받침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 받침(200)의 상부에는 가이드 홈(140)이 형성되고, 착석부(100)에는 상기 가이드 홈(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홈(140)이 도면에서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홈(140)을 형성함으로써, 착석부(10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므로, 착석부(100)가 좌우 방향만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거나, 전후 방향만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정해진 방향에 따라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하므로, 안정적인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돌출부(150)가 가이드 홈(140)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40)이 돌출부(150)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40)의 크기에 따라서,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 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범위가 제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받침에 윤활부재가 형성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는 착석부(100)의 하부 및 착석부 받침(200)의 상부에 곡면이 형성되어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위에서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고 있는데, 착석부(100) 및 착석부 받침(200)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착석부 받침(200)의 상부에 윤활부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윤활부재(160)는 도면에서와 같이 베어링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착석부(100)의 이동 방향이 좌우로만 한정되는 경우에는 롤러 등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윤활부재(160)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착석부(100)의 부드러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어떤 부재도 이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받침이 상, 하부로 나뉘어 구성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은 착석부 받침(200)이 상측 착석부 받침(210) 및 하측 착석부 받침(220)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측 착석부 받침(210)은 상술한 착석부 받침(2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착석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상부에 형성할 수 있고, 그 하부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착석부 받침(220)은 상기 상측 착석부 받침(210)의 하부에 형성된 볼록한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이 상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착석부(100)는 상측 착석부 받침(210)의 위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측 착석부 받침(210)은 하측 착석부 받침(220)의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석부(100)가 상측 착석부 받침(210)의 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곡면을 형성하고, 상측 착석부 받침(210)은 하측 착석부 받침(220)의 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곡면을 형성하여,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착석부(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착석부(100) 및 상측 착석부 받침(210) 사이와 상측 착석부 받침(210) 및 하측 착석부 받침(220) 사이에는 각각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 지지수단(300)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사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착석부(100) 및 상측 착석부 받침(210)이 각각 가이드 홈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착석자가 착석부(100)와 상측 착석부 받침(210) 사이 또는 상측 착석부 받침(210)과 하측 착석부 받침(220) 사이 중 원하는 곳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의 위에서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착석부 받침(200)을 2단계로 구성하고 각각의 사이에서 좌우 및 전후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인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착석자가 좌우방향의 이동 또는 전후방향의 이동 중 어느 한 방향의 이동만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서, 착석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착석물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상부에 착석부 커버가 형성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100)에는 착석부 커버(17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착석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착석부 커버(170)는 착석부(10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착석부(100)가 골반의 고정을 위하여 단단한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폭신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착석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 커버(170)의 하면 및 착석부(100)의 측면에는 각각 벨크로(180)의 양 측이 형성되어, 착석부 커버(170)를 부착하였을 때에, 착석부 커버(170)가 상기 착석부(1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반 고정식 착석물은 골반의 고정을 위하여 그 형태가 다른 의자들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미감을 다소 해칠 우려가 있으나, 이와 같이 착석부 커버(170)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착석감을 향상시키면서 착석물에 대한 미감을 증진시켜 착석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반 고정식 착석물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석부(100)와 착석부 받침(200)의 연결구조가 상이한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착석부(100)의 하면에는 연결돌출부(190)가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연결돌출부(190)의 하측에는 일정곡률 반경을 갖는 반구형상의 유동반구(195)가 구비된다. 이때, 착석부(100)의 연결돌출부(190)는 반드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즉, 착석부(100)의 하면에 유동반구(19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와 대응되도록 착석부 받침(200)의 상면에는 유동반구(195)의 곡률반경보다 더 작은 곡률반경을 갖도록 요입되게 형성되고, 유동반구(195)가 설치되는 유동요홈(205)이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 보듯이, 유동반구(195)가 유동요홈(205)에 삽입 설치되도록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는 착석자가 고정식 착석물에 착석한 상태에서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에서 일정각도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로 착석부(100)와 착석부 받침(200)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두지 않았다. 유동반구(195)가 유동요홈(205)에서 기울어진 각도가 커지도록 움직일 때, 유동반구(195)의 외면과 유동요홈(205)의 내면이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접촉면적의 증가하면서 유동반구(195)와 유동요홈(205) 사이의 마찰력 또한 증가한다. 따라서, 이 마찰력에 의해 유동반구(195)가 유동요홈(205)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지고 그 범위 안에서만 착석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범위가 설정되기 위해서는 유동요홈(205)의 크기가 유동반구(195)의 크기보다 더 커야 한다. 즉, 유동반구(195) 중 그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이 유동요홈(205)의 내면에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골반을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면, 골반의 움직임에 의해 척추의 신경이 자극되고 이렇게 전달된 자극이 뇌의 활발한 활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착석자는 고정식 착석물에 착석한 상태에서 착석부(100)를 착석부 받침(200)에서 유동적으로 전후 좌우로 일정각도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척추 신경자극에 따른 뇌의 자극이 동반되는 것으로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 착석부 받침과 착석부 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서 착석부 받침이 착석부 지지대에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석부 받침(200)을 지지하는 구조의 변경에 그 핵심요소가 있다. 본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은 착석부 받침(200)을 착석부 지지대(600)에 장착하여 착석부 받침(200)이 착석부 지지대(600)에서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착석부 받침(200)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착석부(100)가 착석부 받침(200)에서 움직이도록하여 착석자에게 알맞도록 조금씩 바꿀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람은 그 척추가 만곡된 정도가 생활태도 및 습관에 따라 모두 다르다. 따라서 초기에는 착석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각도에서 즉, 각각의 척추가 만곡된 정도에 따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각도에서 자세를 조금씩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착석자의 척추 교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각도를 수정할 필요 없이 정확한 자세로 착석하여 최종적으로 척추 교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받침(200)의 바닥면에는 결합반구(24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합반구(240)는 후술할 착석부 지지대(600)의 반구결합부(7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결합반구(240)는 후술하겠지만 반구결합부(700)의 회전공간(810)보다 그 곡률 반경이 더 크도록 형성된다. 이는 결합반구(240)가 회전공간(810) 입구 둘레 부분에 접촉하도록 하여 각도 조절이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합반구(240)에는 후술할 고정핀(870)의 선단이 나사체결되는 나사결합공(24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착석부 받침(200)을 지지하는 착석부 지지대(600)는 크게 반구결합부(700)와 받침부(800)로 구성된다. 반구결합부(700)는 도 7에서 보듯이, 그 곡률반경이 착석부 받침(200)의 결합반구(240)의 곡률반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반구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구 형상이나, 필요에 따라 타원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반구결합부(700)의 내부에는 회전공간(810)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회전공간(810)은 결합반구(240)의 일부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결합반구(240)가 반구결합부(700)에서 일정각도로 움직일 때, 회전공간(810)의 둘레부분에 접한 상태로 전후좌우 사방으로 일정각도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착석자가 착석부 받침(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와 척추가 이루는 각도에 알맞도록 착석부 받침(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구결합부(700)에는 관통공(82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관통공(820)은 회전공간(810)과 반구결합부(700)의 외부의 공간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할 고정핀(870)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관통공(820)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을 이루어 구비되도록 구성되었다.
반구결합부(700)에서 관통공(820)이 형성된 부분에는 관통공(820)의 둘레 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관통공(820) 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되는 고정판(850)이 설치된다. 고정판(850)은 그 중앙에 핀홀(850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핀(870)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핀(870)은 고정판(850)의 핀홀(850a)을 통과하고 관통공(820)을 통해 그 선단이 결합반구(240)의 나사결합공(245)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된다. 고정핀(870)은 고정판(850)을 반구결합부(700)의 외면에 압착시켜 착석부를 반구결합부(700)에서 일정각도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착석자가 착석부 받침(200)을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각도로 조절한 다음 그 위치에서 고정핀(870)을 회전시켜 결합반구(240)에 나사결합시킨다. 고정핀(870)은 결합반구(240)에 나사결합되면서 결합반구(24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되고 동시에 고정판(850)이 그 압력에 의해 반구결합부(700)의 외면에 접한 상태로 압착 고정된다. 고정판(850)이 반구결합부(700)에 압착되면 그 압착력에 의해 착석부 받침(200)은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주보도록 고정핀(870)이 설치되었다. 필요에 따라 고정핀(870)의 개수는 늘어날 수 있다. 이때, 고정핀(870)은 각 부분에 고루 배치되어야 되는데 이는 착석부 받침(200)을 고정시키는 일측의 고정핀(870)에 집중되지 않도록 골고루 배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만약 고정핀(870)이 3개가 사용될 경우 반구결합부(7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120°각도로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네 개의 고정핀(870)을 사용할 경우에는 90°로 설정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판(850)과 관통공(820)의 둘레부분이 접하는 면은 그 표면이 거칠기가 큰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판(850)이 반구결합부(700)의 외면에 보다 견고하게 접하여 그 마찰력에 의해 착석부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착석부 받침(200)의 결합반구(240)가 회전공간(810)에서 회전할 때 고정핀(870)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핀(870)이 관통공(820)에 접하여 방해되지 않도록 관통공(820)의 크기가 조절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고정식 착석물의 착석부 받침(200)과 반구결합부(700)의 구성은 앞서 살펴본 도 5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식 착석물에 의해 골반의 위치가 교정된 경우 앉은 자세에서 척추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있는 자세보다 앉아 있는 자세에서 척추기립근이 긴장상태가 되어 근육이 더 피로해진다. 그러나 골반이 고정되면, 척추기립근뿐만 아니라, 다열근(multifidus muscle)과 같은 척추심부근의 긴장이 현저히 완화된다. 따라서, 착석하여 오랜 시간 업무를 수행하는 착석자들의 골반이 고정되면, 허리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고, 디스크 탈출증이나 퇴행성 척추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부(100)에 착석하면, 착석부(100)의 경사와 중공부(110)에 의해 골반의 중심이 착석부(100)의 중심에 위치되고, 골반(10)을 양측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착석자의 골반 상측 장골 부분이 중공부(110)의 둘레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골반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척추가 좌우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골반(10)이 착석부(100)의 중앙에 위치함에 따라, 치골(12) 사이 공간(A)에 돌출부(120)가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120)는 치골 사이의 공간(A)을 누르며 받치게 된다. 따라서 골반의 전후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따라서, 착석자는 골반(10)이 착석부(100) 중앙에서 전후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골반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앉을 수 있다. 골반의 위치가 고정되면, 척추(20) 또한 좌우로 휘어지지 않고 곧게 유지된다. 따라서, 골격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하중이 일측으로 치우쳐 가해지지 않으므로, 척추(20)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무게중심이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으므로, 최소한의 근육의 힘으로도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서 근육의 피로도가 줄어들고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을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착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증 및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착석자는 각도조절장치(130)를 이용하여 스스로 가장 편안한 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척추가 측면 방향에서 완만한 S자 곡선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착석부 110 : 중공부
120 : 돌출부 130 : 각도조절장치
200 : 착석부 받침 210 : 상부 착석부 받침
220 : 하부 착석부 받침 230 : 각도 조절 장치
300 : 착석부 지지수단 600 : 착석부 지지대
700 : 반구결합부 800 : 받침부

Claims (6)

  1. 착석자의 장골 양측 및 천미골 후측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에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착석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며, 상기 착석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착석부의 하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는 착석부 받침; 및
    상기 착석부 및 착석부 받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착석부가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준 위치 방향으로 상기 착석부에 힘을 가하는 착석부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 지지수단은
    상기 착석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난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상기 기준 위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 지지수단은
    상기 착석부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우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 지지수단; 및
    상기 착석부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좌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2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
  4. 착석자의 장골 양측 및 천미골 후측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에 일정곡률 반경을 갖는 반구형상의 유동반구가 구비되는 착석부; 및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고, 그 상면에 상기 유동반구가 위치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유동반구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유동반구 중 가장 직경이 큰 부분이 그 내면에 접할 수 있는 크기로 요입되게 유동요홈이 형성되는 착석부 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반구와 상기 착석부의 사이에는 상기 유동반구와 상기 착석부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연결돌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 받침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일정곡률반경을 갖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반구;
    상기 착석부 받침을 지지하고, 그 상면에 상기 착석부 받침의 결합반구가 설치되는 회전공간이 상기 결합반구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도록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결합반구의 중간부분이 상기 회전공간의 둘레에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반구결합부;
    상기 반구결합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결합반구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착석부 받침과 상기 반구결합부를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과 상기 반구결합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착석부 받침이 상기 반구결합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반구결합부에 압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1020100045367A 2010-05-14 2010-05-14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10118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67A KR101187635B1 (ko) 2010-05-14 2010-05-14 골반 고정식 착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67A KR101187635B1 (ko) 2010-05-14 2010-05-14 골반 고정식 착석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00A true KR20110125800A (ko) 2011-11-22
KR101187635B1 KR101187635B1 (ko) 2012-10-05

Family

ID=4539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367A KR101187635B1 (ko) 2010-05-14 2010-05-14 골반 고정식 착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07B1 (ko) * 2011-06-03 2013-03-25 성순만 반신욕 장치
US20220273102A1 (en) * 2019-08-05 2022-09-01 Jsp Corporation Cushion Body For Sit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362A (ja) *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多目的椅子
KR100887312B1 (ko) * 2007-06-05 2009-03-06 안강 골반고정식착석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07B1 (ko) * 2011-06-03 2013-03-25 성순만 반신욕 장치
US20220273102A1 (en) * 2019-08-05 2022-09-01 Jsp Corporation Cushion Body For Sitting
US11882940B2 (en) * 2019-08-05 2024-01-30 Jsp Corporation Cushion body for si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635B1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JP2014525303A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US8282171B1 (en) Seat assembly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200477364Y1 (ko) 등쿠션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200393967Y1 (ko)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KR101134572B1 (ko) 슬라이딩식 골반 교정용 좌판을 구비한 의자
JP2007098007A (ja) 椅子
KR200230508Y1 (ko) 척추가 편한 의자
KR20110130796A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0887312B1 (ko) 골반고정식착석물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KR101633223B1 (ko) 의자 등받이 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압의자
KR200357018Y1 (ko) 허리 교정용 의자
KR102359635B1 (ko) 요추지지방석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010044318A (ko) 척추가 편한 의자
KR101813106B1 (ko) 자세교정을 위한 개량형 탈착식 척추지지대
KR102628170B1 (ko) 경사형 등받이와 수직형 등받이가 결합 된 등받이가 이중 구조된 의자
KR200220097Y1 (ko) 의자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KR101945833B1 (ko)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
KR102319974B1 (ko) 입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