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312B1 - 골반고정식착석물 - Google Patents

골반고정식착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312B1
KR100887312B1 KR1020070055124A KR20070055124A KR100887312B1 KR 100887312 B1 KR100887312 B1 KR 100887312B1 KR 1020070055124 A KR1020070055124 A KR 1020070055124A KR 20070055124 A KR20070055124 A KR 20070055124A KR 100887312 B1 KR100887312 B1 KR 10088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elvis
seat
seated
pelv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157A (ko
Inventor
안강
Original Assignee
안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강 filed Critical 안강
Priority to KR102007005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31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고정식착석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착석시 골반의 치골 사이의 중앙부를 받치고 장골 양측 및 후방 천미골을 지지하여, 골반을 고정하는 골반고정식착석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은 착석자의 장골 양측 및 천미골 후측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환형의 착석부를 포함하며, 착석자의 골반이 상기 착석부 내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자세, 골반, 척추, 장골, 치골, 천미골, 중공부, 돌출부, 의자, 착석

Description

골반고정식착석물{A SEAT FOR STABILIZATION OF PELVIC GIRDLE}
도 1은 사람의 골반과 척추를 도시한 골격 해부도,
도 2는 자세고정 수단이 없는 착석물에 착석한 착석자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골반은 고정할 수 없고 척추만 후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착석물에 착석한 착석자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골반이 고정되지 않은 경우의 착석자의 척추와 골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골격 해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착석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착석부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 착석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에 의해 골반의 위치가 교정된 경우 앉은 자세에서 척추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골반 11: 장골
12: 치골 13: 좌골
20: 척추 100: 착석부
110: 중공부 120: 돌출부
121: 돌출부 전면 122: 돌출부 후면
A: 치골의 사이 원추형 공간
본 발명은 골반고정착석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석시 골반의 자세를 고정하여 근육에 부하가 과도하게 가해지지 않으면서도, 척추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거북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골반고정식착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서있는 상태보다 앉은 자세에서의 근육의 피로도가 더 높다. 앉은 상태에서는 정면에서 봤을 때, 척추가 측면으로 휘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바른 자세이며, 측면에서는 완만한 S곡선을 이루는 자세가 근육이 가장 편안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자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를 유지하기는 쉽지 않다.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 골격이 변형되고 휘어져 디스크 등의 질 환이 야기될 수 있으며, 또한, 골격의 변화에 따라 체형이 변하여 정상적인 몸매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도 1은 사람의 골반과 척추를 나타낸 골격 해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은 척추(20)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같은 역할을 하며, 자세변화의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골반(10)은 대략 역삼각형 형상(입체적으로는 뒤집어진 원추형상)이며, 양측으로 장골(11)과 장골 하측으로 관골구를 이루는 좌골(13)과 좌골 하부에서 관골의 하반부를 형성하는 치골(12)과 후측의 천골로 이루어진다. 척추(20)를 중심으로 양측 치골 사이는 원추형으로 공간(A)이 형성된다.
착석시에는 서 있는 자세보다 근육에 약 25%의 부하가 더 가해진다. 또한, 거북목 상태에서는 앉아 있는 자세에서보다 약 25%의 부하가 근육에 더 가해지며, 몸을 앞으로 굽힌 상황에서는 서 있는 자세에서보다 약 200%의 부하가 근육에 더 가해진다. 이와 같은 근육의 부하에 의하여, 근육을 피로하게 되고, 경추 및 요추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진다.
도 2는 골반과 척추의 자세를 고정할 수 없는 착석물에 착석한 자세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의 자세가 앞뒤로 고정되지 않는 착석물에서는 통상적으로 거북목 자세(A영역)가 취해진다. 거북목 자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근육에 큰 부하가 가해지며, 그 이상으로 상체를 숙이는 경우 자세가 유지되지 못하고 진동하거나(B영역), 근육에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계속적으로 가해져서(C영역) 더 큰 부하가 가해진다. 또한, 척추가 측면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3은 골반은 고정할 수 없고 척추만 후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착석물에 착 석한 자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러한 자세를 알렉산더 자세라고 한다. 이러한 자세는 업무의 집중력을 높이고 거북목을 예방하지만, 최장근(Longissimus), 장늑골간근(Iliocostalis), 극돌기간근(Spinalis) 등과 같은 척추 기립근(허리를 펴기 위한 근육)을 강하게 긴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척추의 긴장을 낮추기 위하여 허리를 후측으로 더욱 기댄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착석물이 대두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착석물에서는 허리 근육의 긴장은 완화할 수 있으나, 업무를 수행해야하는 경우 정면을 바라보기가 힘들기 때문에, 목의 근육(반극근(Semispinalis muscle))은 긴장 상태가 지속되며, 얼굴이 책상 또는 모니터와 같은 업무기재와 멀기 때문에, 집중력이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골반이 고정되지 않은 경우의 척추와 골반의 자세를 도시한 골격해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면, 척추(20)가 수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좌우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면에서 봤을 때에도, 안정된 S자 곡선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척추의 자세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착석시 척추를 지탱하는 골반을 고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석시 착석자의 대략 역삼각형으로 생긴 골반이 이와 대응하게 생긴 착석부 내에 안착되도록 하여 요추와 경추가 좌우로 휘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유지되고 측면에서 봤을 때에도 안정된 S곡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고정식착석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은 착석자의 장골 양측 및 천미골 후측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환형의 착석부를 포함하며, 착석자의 골반이 상기 착석부 내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착석부의 양측 및 후측은 그 단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석부 중앙은 상하로 관통되어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석부의 전방 중앙에는 착석자 골반의 치골 사이의 원추형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석부 후측으로 등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석부가 수평면과 이루는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의 각도를 착석자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석부의 중앙 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돌출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착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내측으로 경사지며, 중앙부 분에 중공부(110)가 형성된 환형의 착석부(100)와, 착석부(100)의 전방에 형성된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돌출부(120)는 사용자가 착석시 치골 사이의 원추형 공간(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돌출부(120) 내측의 경사는 사용자의 착석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해야하지만, 너무 완만한 경우 골반을 고정하는 효과가 감소한다. 따라서, 돌출부의 형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먹을 쥔 듯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착석부의 정단면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0)의 양측 및 후측은 중앙의 중공부(110)를 향할수록 낮아지는 구배를 갖도록 경사진다. 이는 대략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인 착석자의 골반이 안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 45°이상 80°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석부(100)의 후측은 골반의 천골(천미골)이 지지되도록 양측보다 더 높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착석시 사용자의 골반(10)의 장골 양측과 천골 후측이 착석부 중앙부에 안착되어 골반이 착석부(100)의 중앙에 고정된다. 중공부(110)는 사용자의 피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내측으로 경사지며, 중앙부분에 중공부(110)가 형성된 환형의 착석부(100)와, 착석부(100)의 전방에 형성된 돌출부(120)와, 등받이(200)와, 다리(300)를 포함한다. 즉, 착석부(100)와 돌출부(120)에 의해 골반이 고정되고, 착석부(100) 후측에 형성된 등받이(200)에 의해 척추가 지지되어, 착석자는 골반(10)과 척추(20) 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100)에는 착석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130)가 구비된다. 착석부(100)의 후측이 높아지면, 착석부(100)가 수평인 경우보다 척추의 측면 곡선이 안정된 S곡선을 유지할 수 있다. 착석부(100)의 각도가 수평면에 비해 후측이 높은 경우, 착석자의 자세를 지탱하기 위해 허벅지나 척추기립근에 큰 부하가 걸릴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착석부(100)에는 전방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착석자의 골반 전방부를 지지할 수 있어서 근육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착석자는 각도조절장치(130)를 이용하여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착석부(100)의 각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착석부(100)의 각도는 수평면에 대해 2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착석부(100)의 각도조절장치(130)는 착석부 후측의 높이를 변화시켜 착석부(100)의 전후 방향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 착석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0)의 중앙 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0)는 가이드홈(10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식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홈(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121)가 구비된다. 따라서, 착석자가 돌출부(120)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100)는 좌우로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다(100''). 이는 척추측만증 환자와 같이, 척추 가 골반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지 않고 일측으로 휘어진 착석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착석부(100)의 좌우 방향의 각도를 조절하여 척추가 수직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있는 자세보다 앉아 있는 자세에서 척추기립근이 긴장상태가 되어 근육이 더 피로해진다. 그러나 골반이 고정되면, 척추기립근뿐만 아니라, 다열근(multifidus muscle)과 같은 척추심부근의 긴장이 현저히 완화된다. 따라서, 착석하여 오랜 시간 업무를 수행하는 착석자들의 골반이 고정되면, 허리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고, 디스크 탈출증이나 퇴행성 척추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고정식착석물에 의해 골반의 위치가 고정된 경우 앉은 자세에서 척추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부(100)에 착석하면, 착석부(100)의 경사와 중공부(110)에 의해 골반의 중심이 착석부(100)의 중심에 위치되고, 골반(10)을 양측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착석자의 골반 상측 장골 부분이 중공부(110)의 둘레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골반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척추가 좌우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골반(10)이 착석부(100)의 중앙에 위치함에 따라, 치골(12) 사이 공간(A)에 돌출부(120)가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120)는 치골 사이의 공간(A)을 누르며 받치 게 된다. 따라서 골반의 전후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따라서, 착석자는 골반(10)이 착석부(100) 중앙에서 전후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골반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지 않은 자세로 앉을 수 있다. 골반의 위치가 고정되면, 척추(20) 또한 좌우로 휘어지지 않고 곧게 유지된다. 따라서, 골격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하중이 일측으로 치우쳐 가해지지 않으므로, 척추(20)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무게중심이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으므로, 최소한의 근육의 힘으로도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서 근육의 피로도가 줄어들고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을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착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증 및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착석자는 각도조절장치(130)를 이용하여 스스로 가장 편안한 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척추가 측면 방향에서 완만한 S자 곡선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착석부와, 치골 사이를 받치는 돌출부에 의해, 착석시 골반이 착석부 내에 안착되어 고정되므로 착석자의 골반이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이동하지 않으므로, 척추가 좌우로 휘어지지 않고 측면에서 봤을때 완만한 S곡선을 유지하여 착석시 근육의 피로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시 착석자의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이러한 자세 유지를 위하여 골격과 근육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착석자의 통증 및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착석자의 장골 양측 및 천미골 후측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환형의 착석부를 포함하며,
    착석자의 골반이 상기 착석부 내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착석부의 양측 및 후측은 그 단면이 상기 착석부의 중앙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고, 상기 착석부의 중앙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석부의 전방 중앙에는 착석자 골반의 치골 사이의 원추형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골반고정식착석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 후측으로 등받이를 더 포함하는 골반고정식착석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가 수평면과 이루는 전후 방향의 각도를 착석자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골반고정식착석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가 수평면과 이루는 좌우 방향의 각도를 착석자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골반고정식착석물.
  8. 제1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중앙 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 골반고정식착석물.
KR1020070055124A 2007-06-05 2007-06-05 골반고정식착석물 KR10088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124A KR100887312B1 (ko) 2007-06-05 2007-06-05 골반고정식착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124A KR100887312B1 (ko) 2007-06-05 2007-06-05 골반고정식착석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57A KR20080107157A (ko) 2008-12-10
KR100887312B1 true KR100887312B1 (ko) 2009-03-06

Family

ID=4036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124A KR100887312B1 (ko) 2007-06-05 2007-06-05 골반고정식착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35B1 (ko) * 2010-05-14 2012-10-05 안강 골반 고정식 착석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51B1 (ko) * 2002-09-10 2005-04-27 하전호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
KR200400504Y1 (ko) * 2005-08-16 2005-11-08 대일광업 주식회사 인체의 골반 교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51B1 (ko) * 2002-09-10 2005-04-27 하전호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
KR200400504Y1 (ko) * 2005-08-16 2005-11-08 대일광업 주식회사 인체의 골반 교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35B1 (ko) * 2010-05-14 2012-10-05 안강 골반 고정식 착석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57A (ko)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JP6028108B2 (ja) 椅子
KR102256839B1 (ko)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KR101910413B1 (ko) 틸팅 의자
KR20100137221A (ko) 자세교정용 의자
JP2005533538A (ja) 着座装置
JP2009160195A (ja) 椅子
KR100887312B1 (ko) 골반고정식착석물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1134572B1 (ko) 슬라이딩식 골반 교정용 좌판을 구비한 의자
WO2012152358A1 (en) Articulated structure to be used for making armchairs, chairs, seats, wheelchairs for the disabled and other similar products
KR101436747B1 (ko) 자세교정 의자
KR200230508Y1 (ko) 척추가 편한 의자
JP2007098007A (ja) 椅子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EP1261263B1 (en) Ergonomically designed chair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JP2003052486A (ja) 椅 子
KR200220097Y1 (ko) 의자
JP6889498B2 (ja) 椅子の構造
KR102628170B1 (ko) 경사형 등받이와 수직형 등받이가 결합 된 등받이가 이중 구조된 의자
KR102359635B1 (ko) 요추지지방석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