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97Y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97Y1
KR200220097Y1 KR2020000031816U KR20000031816U KR200220097Y1 KR 200220097 Y1 KR200220097 Y1 KR 200220097Y1 KR 2020000031816 U KR2020000031816 U KR 2020000031816U KR 20000031816 U KR20000031816 U KR 20000031816U KR 200220097 Y1 KR200220097 Y1 KR 200220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leg
seat plate
adjusting mean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탄환
Original Assignee
유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탄환 filed Critical 유탄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97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정상적으로 만곡된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상체와 하체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부분(11,12)과, 상기 제1 및 제2부분(11,12)에 연장되어 그 제1 및 제2부분(11,12)을 지지하는 다리(13)로 구성된 의자 프레임(10);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에 각각 지지되어 사람의 상체부분을 받쳐줄 수 있게 상하측으로 양분되어 있는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제2부분(12)에 지지되어 사람의 하체부분을 받쳐주는 사각형상의 좌판(31);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 각각을 제1부분(11)에 대하여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 및 상기 좌판(31)을 제2부분(12)에 대하여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좌우전후로 휘어진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정도에 따라 상하측등받이 및 좌판의 기울기를 좌우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착석자세를 유도하여 척추가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는 등의 척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비정상적인 척추의 만곡정도를 정상적인 생리만곡으로 교정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전후로 휘어진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정도에 따라 등받이와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척추의 이상 만곡 정도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척추는 위쪽으로 머리를 받치고 아래쪽은 골반과 연결되어 체중을 하지로 전달하며, 33개의 척추골과 그 사이의 섬유연골성 추간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두개골로부터 골반골 부근의 선골까지 강한 인대와 근육으로 강화되어 신체를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며, 척주관내의 척수를 보호하고 각 척추 신경근이 분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인체의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그 속에 있는 중요한 신경을 보호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척추 구조를 갖는 인체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면 선골의 탈관절 및 탈기저에 의해 우선적으로 척추골 즉, 경추 및 요추의 전만곡도와 흉추의 후만곡도에 변화가 온다. 이는 신체의 각 부분이 받는 무게중심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신체의 자세까지 변화를 야기해 결국에는 척추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앞에서 말한 외부의 자극이란 청소년들의 바르지 못한 공부자세, 만성피로, 각종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부상, 자동차 사고 및 영양의 불균형 등이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바르지 못한 공부자세의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음식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학생들의 성장속도와 체형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의자의 대부분이 70년대와 80년대에 획일화된 높이로 보급된 것이어서 성장속도가 빠른 학생들의 체형을 따라 가지 못하는 열악한 교육환경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바르지 못한 착석자세는 심하게 척추를 변형시키는데, 그 예로서는 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척추골이 휘어지는 좌우측만증과 척추골이 전방을 향하여 휘어지는 전만증 및 척추골이 후방을 향하여 휘어지는 후만증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척추의 변형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척추골격으로 교정하기 위하여 의학계에서는 현재까지도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단순히 교정보조기구의 사용과 함께 운동요법, 견인요법, 전기자극 등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좌우전후로 휘어진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정도에 따라 등받이와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척추의 이상 만곡 정도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 보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상측 및 하측등받이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상측 및 하측등받이를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1의 상측 및 하측등받이를 전방으로 위치이동시키는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1의 좌판을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좌판을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1의 좌판을 상방으로 위치이동시키는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a는 도 5의 상측 및 하측등받이를 좌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1의 상측 및 하측등받이를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의자 프레임 11... 제1부분
12... 제2부분 13... 의자 다리
21... 상측등받이 22... 하측등받이
31... 좌판 35... 관통공
36... 나사축 37... 탄성스프링
38... 암나사부 39... 와셔
41,52a,61a... 결합공
42... 지지브라켓 43... 연장부
44... 장공 51... 돌출봉
51a,62... 결합홈 52... 수용편
61... 보조다리 64... 미세조정구
B... 고정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사람의 상체와 하체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부분에 연장되어 그 제1 및 제2부분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된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의 제1부분에 각각 지지되어 사람의 상체부분을 받쳐줄 수 있게 상하측으로 양분되어 있는 상측등받이 및 하측등받이; 상기 의자 프레임의 제2부분에 지지되어 사람의 하체부분을 받쳐주는 사각형상의 좌판; 상기 상측등받이 및 하측등받이 각각을 제1부분에 대하여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 및 상기 좌판을 제2부분에 대하여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상측등받이 및 하측등받이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브라켓이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전후방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의 장공과 대응하는 제1부분의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장공을 통과해 제1부분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의자 프레임의 제1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상측등받이 및 하측등받이의 후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축과, 상기 상측등받이 및 하측등받이의 후면과 제1부분 사이에 위치되도록 나사축의 동축 상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나사축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양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그 나사축을 전후진시키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좌판의 각 모서리부분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봉에 대응하는 다리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돌출봉의 전체길이 내지 일부분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편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편의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봉의 삽입 또는 인출을 구속시키는 고정볼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자 프레임의 다리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리길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으로서, 의자 프레임의 다리를 일정길이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보조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다리의 상측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다리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그 보조다리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볼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수단으로서, 상기 보조다리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각각의 다리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조정구를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좌우전후로 휘어진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정도에 따라 상하측등받이 및 좌판의 기울기를 좌우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착석자세를 유도하여 척추가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는 등의 척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척추의 만곡정도를 정상적인 생리만곡으로 교정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사람의 상체와 하체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부분(11,12)과, 상기 제1 및 제2부분(11,12)에 연장되어 그 제1 및 제2부분(11,12)을 지지하는 다리(13)로 구성된 의자 프레임(10);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에 각각 지지되어 사람의 상체부분을 받쳐줄 수 있게 상하측으로 양분되어 있는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제2부분(12)에 지지되어 사람의 하체부분을 받쳐주는 사각형상의 좌판(31);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 각각을 제1부분(11)에 대하여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 및 상기 좌판(31)을 제2부분(12)에 대하여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의자 프레임(10)은 통상적으로 등받이와 좌판이 지지되고, 예컨대, 4개의 의자다리를 이루는 철재 봉형상을 취하고 있다. 부연 설명하면, 이러한 의자 프레임(10)은 사람의 상체 즉, 등쪽의 척추골과 엉덩이 뼈를 받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가 지지되는 제1부분(11)과, 사람의 하체 즉, 엉덩이와 대퇴부(허벅지)를 받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좌판(31)이 지지되는 제2부분(12)과, 이들 제1 및 제2부분(11,12)과 사람의 하중을 지지하고 길이에 따라 전체적인 의자의 높이를 결정하는 의자 다리(13)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는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에 지지되며, 후술되는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전후 방향으로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서, 각각 상하측으로 양분되어 제1부분(11)에 별도로 지지되는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로 구성된다. 다시말하면,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는 통상적인 일체형 등받이를 상하측으로 양분하여 분할시킨 것이며, 이들 각각은 후술되는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에 의해 가변가능하여, 전후이동 또는 좌우전후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는 각각 동일한 종방향의 길이로 분할되는 것이 아니라, 등의 상측부분을 더 넓은 면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측등받이(21)의 종방향 길이를 하측등받이(22)의 종방향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등받이를 각각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로 양분하여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도록 설명되었으나, 대안적으로, 등받이를 상, 중, 하측으로 분할하여 3단으로도 설치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좌판(31)은 좌판프레임(도면부호 미표시)에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판상에 쿠션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의자 프레임(10)의 제2부분(12)에 지지됨과 동시에, 후술되는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에 의해 가변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하이동 또는 좌우전후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은 후술되는 지지브라켓(42)을 지지하는 고정볼트(B)가 결합가능하도록 그 지지브라켓(42)에 대응하는 제1부분(11)의 일측에 결합공(41)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에 한 쌍의 지지브라켓(42)이 그 후면의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브라켓(42)은 후술되는 고정볼트(B)에 간섭되어 상측등받이(21)와 하측등받이(22)의 좌우전후방으로의 기울기 회동 및 전후방의 위치이동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그 지지브라켓(42)의 양단에는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에 대하여 후방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일정길이 만큼 연장된 연장부(43)를 가지고 있으며, 그 연장부(43)에는 전후방을 향하는 장공(44)이 일정길이로 관통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은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기울기 회동과 위치이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그 회동점 및 위치이동점을 구속하여 등받이(21,22)를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볼트(B)를 구비하며, 그 고정볼트(B)는 대략 연장부(43)의 장공(44)을 통과하여 제1부분(11)의 결합공(41)에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볼트지름을 갖고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고정볼트(B)는 장공(44)을 통해 제1부분(11)의 결합공(41)에 결합되어 조임작용으로 지지브라켓(42)의 연장부(43)를 가압밀착하여 회동 또는 위치이동 된 상태에 있는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에 고정시키거나, 조임동작의 역동작으로 그 지지브라켓(42)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장공(44)의 길이범위 내에서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기울기 조절 및 위치이동을 지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좌판(31)의 좌판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록 마련되어 용접식으로 고정되며, 그 좌판프레임의 대략 모서리 부근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만큼 돌출되어 후술되는 수용편(52)에 수용되는 돌출봉(51)을 구비한다. 또한, 다리(13)의 상측부분 즉 돌출봉(51)과 대응되는 제1부분(11) 및 제2부분(12)의 연장지점에, 그 돌출봉(51)을 전체길이 또는 일부분을 수용하여 자유로운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된 수용편(52)이 고정되어 있다. 즉, 좌판(31)은 제2부분(12)에 지지됨과 동시에 돌출봉(51)이 수용편(52)에 수용됨으로써 지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편(52)은, 좌판(31)을 한쪽으로 기울일 때, 돌출봉(51)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그 돌출봉(51)의 너비 보다 상대적으로 큰 너비를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수용편(52)의 일부분에는 후술되는 고정볼트(B)를 체결하여 돌출봉(51)을 가압함으로써 좌판(31)의 회동점 및 위치이동점을 구속할 수 있게 하는 결합공(52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참조부호 51a는 후술되는 고정볼트(B)가 수용편(52)의 결합공(52a)에 결합되어 그 조임작용으로 좌판(31)을 고정시킬 수 있게 돌출봉(51)의 표면에 다수 형성된 결합홈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은 좌판(31)의 좌우전후방으로의 기울기 회동과 상하방의 위치이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그 회동점 및 위치이동점을 구속하는 고정볼트(B)를 구비한다. 즉, 고정볼트(B)는 수용편(52)의 결합공(52a)에 결합되어 그 수용편(52)의 내부영역에 수용되는 돌출봉(51)을 가압하여 좌판(31)의 회동점 및 위치이동점을 구속시킨다. 다시말하면, 상기 고정볼트(B)는, 수용편(52)의 결합공(52a)에 결합되어, 조임작용으로 좌판(31)의 돌출봉(51)을 가압하여 회동 또는 위치이동 상태에 있는 좌판(31)을 고정시키거나, 조임동작의 역동작으로 그 좌판(3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그 좌판(31)의 기울기 조절에 따른 회동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성장속도가 빠른 학생들의 신체적 구조와 맞지 않는 책걸상, 바르지 못한 공부자세, 무거운 책가방 또는 불규칙적인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척추골이 좌우측방 예컨대, 어깨부근의 척추골이 우측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허리와 배부분의 척추골이 좌측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비정상적인 골격변위를 교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실선으로 도시된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각각 좌우측방으로 기울기를 조절한다. 부연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는 최초 상측등받이(21)의 지지브라켓(42)에 결합된 일측 및 타측의 고정볼트(B)를 풀어 상측등받이(21)를 자유스럽게 하고, 그 상측등받이(21)를 좌우측방 중 일측방향 예컨대,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우측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갖도록 회동시킨다. 이 때, 상기 상측등받이(21)는 고정볼트(B)에 지지된 채, 지지브라켓(42)의 장공(44)을 따라 그 장공(44)의 길이범위 내에서 소정각도로 기울어지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하측등받이(22)를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상측등받이(21)의 기울기와 대응되는 타측방향 예컨대,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좌측방향으로 소정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회동시킨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기울기가 조절된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에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 부분을 밀착시키면서 착석하게 되면, 우선 어깨 쪽의 등부분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측등받이(21)의 면상에 완전밀착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몸이 우측으로 틀어져 결국 우측방향으로 휘어진 어깨부근의 척추골은 정상적인 골격으로 교정이 된다. 이와 동시에, 등의 하측부분을 좌측으로 기울어진 하측등받이(22)의 면상에 완전밀착함에 따라, 엉덩이 쪽은 자연스럽게 좌측으로 틀어지게 되어 결국 좌측으로 휘어진 허리와 배부분의 척추골은 정상적인 골격으로 교정이 된다.
또한, 척추골이 전후방향 예컨대, 어깨부근의 척추골이 후방으로 휘어져 있고, 허리와 배부분의 척추골이 전방으로 휘어져 있는 비정상적인 골격변위를 교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실선으로 도시된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전후방을 향하게 기울인다. 즉, 상측등받이(21)를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이고, 이와 동시에, 하측등받이(22)를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기울기가 전후방으로 조절된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에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 부분을 밀착시키면서 착석하게 되면, 우선 등의 상측부분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측등받이(21)의 면상에 완전밀착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몸이 후방쪽으로 젖혀져 결국 후방으로 휘어진 어깨부근의 척추골은 정상적인 골격으로 교정이 된다. 이와 동시에, 등의 하측부분을 전방으로 기울어진 하측등받이(22)의 면상에 완전밀착함에 따라, 엉덩이 쪽은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젖혀지게 되어 결국 전방으로 휘어진 허리와 배부분의 척추골은 정상적인 골격으로 교정이 된다. 다시 말하면, 엉덩이를 후방으로 빼고, 허리부분을 배쪽으로 들어가게 하여 상체를 뒤로 젖히면 자연적으로 허리에 생리만곡을 유지시켜주므로, 척추의 긴장운동으로 신경과 혈액의 흐름을 증가시켜 장시간 공부나 사무에 피로를 덜어주어 건강과 뇌기능 발달에 큰 도움을 준다.
참고적으로, 발바닥이 지면에 닿는 대신 등과 엉덩이가 등받이에 거의 닿지 않는 단신의 어린이가, 본 고안의 의자에 앉을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가 어린이의 등과 엉덩이에 닿을 만큼 그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전방으로 위치이동시킨다. 부연 설명하면, 지지브라켓(42)에 결합된 일측 및 타측의 고정볼트(B)를 푼 다음,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전방으로 잡아 당긴 후, 다시 고정볼트(B)를 조여 그 위치이동점을 구속시킨다. 이 때,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는 고정볼트(B)에 지지된 채 지지브라켓(42)의 장공(44)을 따라 그 장공(44)의 길이범위 내에서 소정길이 만큼 전방으로 위치이동된다. 그러므로, 신장이 작은 어린이라도 등과 엉덩이를 상측 및 하측등받이(21,22)에 완전밀착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석자세가 안정됨에 따라 척추의 골격은 정상적인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비정상적으로 만곡된 척추를 교정하는 것과 더불어, 좌판(31)의 기울기를 동시에 조절하여 척추를 교정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척추가 좌우측방 중 어느 일측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31)을 척추가 휘어진 쪽으로 기울어지게 그 기울기를 좌우측방으로 조절한다. 부연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는, 최초 수평상태의 좌판(31)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B)를 푼 다음, 좌판(31)의 한 쪽을 들어,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판(31)을 원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기울인 후, 다시 고정볼트(B)를 조여 그 기울기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때, 좌판(31)의 돌출봉(51) 중 한 쌍의 돌출봉(51)은 수용편(52)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일정길이 만큼 인출되고, 그 돌출봉(51)은 고정볼트(B)의 조임작용으로 인해 유동이 구속된다. 그러므로, 좌판(31)을 척추가 휘어진 쪽으로 기울이고, 그 좌판(31)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는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히 척추가 휘어진 반대쪽으로 몸을 기울이게 되어 비정상적으로 휘어진 척추를 정상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후방 중 어느 일측으로 척추가 휘어져 있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좌판(31)을 척추가 휘어진 쪽으로 기울어지게 그 기울기를 전후방으로 조절한 다음, 그 좌판(31)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는 자연적으로 척추가 휘어진 반대쪽으로 몸을 기울이게 되어 휘어진 척추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랫배가 나와 요추가 전방으로 휘어진 전만증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좌판(31)의 앞쪽을 들어올리고, 앞서 설명한 상하측등받이를 똑바르게 세운다. 그러면, 사용자의 몸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척추의 만곡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요추가 후방으로 휘어진 후만증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좌판(31)의 앞쪽으로 숙이고, 앞서 설명한 상하측등받이를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조절하면, 사용자의 몸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정상적인 척추의 만곡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좌판(31)과 지면과의 높이가 낮아 착석자세가 불안정한 경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볼트(B)를 풀고, 좌판(31) 전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지면과 좌판(31)과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한 다음, 다시 고정볼트(B)를 조여 좌판(31)을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착석자의 대퇴부(허벅지)는 수평을 이루게 되고, 그 대퇴부와 종아리는 대략 직각을 이루게 되어 바른 자세로의 착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퇴부와 종아리가 수직일 때 대체로 피로가 적게 오고, 학업능률과 사무 및 작업능률이 효율적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은 일 실시예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축(36)과,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과 제1부분(11) 사이에 위치되도록 나사축(36)의 동축 상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37)과, 상기 나사축(36)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양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그 나사축(36)을 전후진시키는 암나사부(38)를 포함한다.
이러한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의 구성을 부연 설명하면, 상기 나사축(36)은,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에 있어서, 그 제1부분(11)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상하측 관통공(35)에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그의 일측은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에 나사결합식으로 고정되며, 타측은 제1부분(11)의 관통공(35)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 있다. 전술한 나사축(36)의 타측에는 후술되는 암나사부(38)가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전술한 나사축(3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11)의 관통공(35)에 나사결합되어 후술되는 암나사부(38)에 의해 그 관통공(35)을 따라 전후진 되나, 대안적으로 관통공(35)과 나사결합되지 않고 그 관통공(35)에 단순히 자유삽입되어 전후진 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37)은, 통상적인 압축스프링으로서, 전술한 나사축(36)의 동축을 둘러 싸도록 그 동축 상에 끼워지되,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과 제1부분(11) 사이에 위치되어 후술되는 암나사부(38)의 회전으로 나사축(36)을 전후진시킬 때, 그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암나사부(38)는, 통상적인 캡형 너트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돌릴 수 있는 파지부(참조부호 미기재)가 마련되고, 그 파지부 내에 나사축(36)의 나사열과 대응되는 나사열이 형성된 소정 깊이의 나사홈(참조부호 미기재)이 형성되어, 그 나사홈에 나사축(36)의 타측이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즉, 암나사부(38)를 일측방향으로 돌리면, 나사축(36)은 나사홈의 깊이 범위 내에서 후진되고, 반대로, 암나사부(38)를 타측방향으로 돌리면, 나사축(36)은 나사홈의 깊이 범위 내에서 전진된다. 즉, 암나사부(38)의 회전에 의해 나사축(36)이 전후진됨에 따라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 상에 기재된 참조부호 39는 탄성스프링(37)의 단부와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 사이 및 제1부분(11)과 암나사부(38)의 접촉단 사이에 개재되는 통상적인 와셔이다.
그러므로, 비정상적으로 휘어진 척추를 교정하고자 할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등받이(21) 또는 하측등받이(22)를 좌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제1부분(11)의 좌측에 마련된 한 쌍의 암나사부(38)를 일측방향으로 돌리고, 우측에 마련된 한 쌍의 암나사부(38)를 타측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좌측의 나사축(36)은 암나사부(38)의 회전으로 인해 그 암나사부(38)의 나사홈 영역을 따라 후방으로 후진되고, 반면 우측의 나사축(36)은 암나사부(38)의 회전으로 인해 그 암나사부(38)의 나사홈 영역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된다. 이와 같이 나사축(36)이 전후진됨에 따라, 상측등받이(21) 또는 하측등받이(22)는,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 만큼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나사축(36)은 암나사부(38)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고,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암나사부(38)를 각각 어느 한 방향으로 돌리면 상측등받이(21) 또는 하측등받이(22)를 좌우측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휘어진 척추를 교정하고자 상측등받이(21) 또는 하측등받이(22)를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제1부분(11)의 좌우측에 마련된 한 쌍의 암나사부(38) 중 상측의 암나사부(38)를 일측방향으로 돌리고, 하측의 암나사부(38)를 타측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상측의 나사축(36)은 암나사부(38)의 회전으로 인해 그 암나사부(38)의 나사홈 영역을 따라 후방으로 후진되고, 반면 하측의 나사축(36)은 암나사부(38)의 회전으로 인해 그 암나사부(38)의 나사홈 영역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된다. 이와 같이 나사축(36)이 전후진됨에 따라, 상측등받이(21) 또는 하측등받이(22)는, 전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 만큼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만약, 발바닥이 지면에 닿는 대신 등과 엉덩이가 등받이에 거의 닿지 않는 단신의 어린이가, 본 고안의 의자에 앉을 경우, 앞서 도시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가 어린이의 등과 엉덩이에 닿을 만큼 그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전방으로 최대한 위치이동시킨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암나사부(38)를 일측방향으로 돌려 나사축(36)을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그러면,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는 나사축(36)이 전진됨에 따라 전방으로 위치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척추를 교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작용대로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를 좌우전후 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지게 하면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제시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나, 의자 프레임(10)의 다리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즉, 상기 다리길이조절수단은 의자 다리(13)의 자유로은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일정길이의 수용공간을 가진 중공파이프 형상의 보조다리(6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조다리(61)의 상측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61a)이 형성되어 있어, 그 결합공(61a)에 후술되는 고정볼트(B)를 체결하여 보조다리(61)를 의자 다리(13)에 고정시켜 위치이동을 구속시킨다. 여기서, 참조부호 62는 후술되는 고정볼트(B)가 보조다리(61)의 결합공(61a)에 결합되어, 조임작용으로 그 보조다리(61)를 고정시킬 수 있게, 의자 다리(13)에 다수 형성된 결합홈이다. 아울러, 상기 다리길이조절수단은 보조다리(61)의 결합공(61a)에 결합되어 그 보조다리(61)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예컨대, 한 쌍의 고정볼트(B)를 구비한다. 즉, 고정볼트(B)는 선단이 결합공(61a)을 통해 의자 다리(13)의 결합홈(62)에 수용됨으로써 보조다리(61)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다리길이조절수단은 보조다리(61)의 하단부의 중공에 나사결합되어 각각의 다리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조정구(64)를 더 구비한다.
그러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장이 너무 커 착석자세가 불안정하고 불편한 경우, 또는, 높은 곳에 위치한 테이블 및 책상에서 작업을 할 경우, 우선, 고정볼트(B)를 풀고, 보조다리(61)를 잡아 빼 원래 의자 다리(13)를 원하는 길이만큼 더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안락한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미세조정구(64)를 돌려 의자의 높이를 각 다리 별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좌우전후로 휘어진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정도 및 각기 다른 신장과 체형에 따라 상하측등받이 및 좌판의 기울기를 좌우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착석자세를 유도하여 척추가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는 등의 척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비정상적인 척추의 만곡정도를 정상적인 생리만곡으로 교정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또한, 유치원생, 초중고생, 또는 성인에게 모두 적용가능하며, 쇼파, 차량의자, 사무용 의자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사람의 상체와 하체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부분(11,12)과, 상기 제1 및 제2부분(11,12)에 연장되어 그 제1 및 제2부분(11,12)을 지지하는 다리(13)로 구성된 의자 프레임(10);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에 각각 지지되어 사람의 상체부분을 받쳐줄 수 있게 상하측으로 양분되어 있는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제2부분(12)에 지지되어 사람의 하체부분을 받쳐주는 사각형상의 좌판(31);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 각각을 제1부분(11)에 대하여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 및
    상기 좌판(31)을 제2부분(12)에 대하여 좌우전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브라켓(42)이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전후방으로 장공(4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43)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43)의 장공(44)과 대응하는 제1부분(11)의 일측에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장공(44)을 통과해 제1부분(11)의 결합공(41)에 결합되는 고정볼트(B)를 마련하여, 고정볼트(B)를 풀어 상기 상측등받이(21) 및/또는 하측등받이(22)를 일측방으로 기울이면 그 고정볼트(B)를 중심으로 하여 장공(44)의 길이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축(36)과,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과 제1부분(11) 사이에 위치되도록 나사축(36)의 동축 상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37)과, 상기 나사축(36)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양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그 나사축(36)을 전후진시키는 암나사부(38)를 포함하여, 상기 암나사부(38)를 어느 한방향으로 돌리면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가 탄성스프링(37)에 탄성지지된 채 전후진되면서 좌우전후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 만큼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좌판(31)의 각 모서리부분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봉(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봉(51)에 대응하는 다리(13)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돌출봉(51)의 전체길이 내지 일부분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편(52)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편(52)의 일측에 결합공(5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공(52a)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봉(51)의 삽입 또는 인출을 구속시키는 고정볼트(B)를 마련하여, 각각의 고정볼트(B)를 풀고 좌판(31)을 일측방으로 기울이면 어느 한 쌍의 돌출봉(51)이 수용편(52)으로부터 일정길이 만큼 인출되어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다리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으로서, 의자 프레임(10)의 다리(13)를 일정길이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보조다리(61)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다리(61)의 상측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6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다리(61)의 결합공(61a)에 결합되어 그 보조다리(61)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볼트(B)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으로서, 상기 보조다리(6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각각의 다리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조정구(64)를 더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은: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브라켓(42)이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전후방으로 장공(4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43)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43)의 장공(44)과 대응하는 제1부분(11)의 일측에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장공(44)을 통과해 제1부분(11)의 결합공(41)에 결합되는 고정볼트(B)를 마련하며,
    상기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은: 상기 좌판(31)의 각 모서리부분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봉(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봉(51)에 대응하는 다리(13)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돌출봉(51)의 전체길이 내지 일부분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편(52)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편(52)의 일측에 결합공(5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공(52a)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봉(51)의 삽입 또는 인출을 구속시키는 고정볼트(B)를 마련하고,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다리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의자 프레임(10)의 다리(13)를 일정길이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보조다리(61)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다리(61)의 상측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6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다리(61)의 결합공(61a)에 결합되어 그 보조다리(61)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B)를 마련하며, 상기 보조다리(6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각각의 다리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조정구(6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기울기조절수단은: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제1부분(1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축(36)과, 상기 상측등받이(21) 및 하측등받이(22)의 후면과 제1부분(11) 사이에 위치되도록 나사축(36)의 동축 상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37)과, 상기 나사축(36)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양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그 나사축(36)을 전후진시키는 암나사부(38)를 포함하며,
    상기 좌판 기울기조절수단은: 상기 좌판(31)의 각 모서리부분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봉(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봉(51)에 대응하는 다리(13)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돌출봉(51)의 전체길이 내지 일부분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편(52)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편(52)의 일측에 결합공(5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공(52a)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봉(51)의 삽입 또는 인출을 구속시키는 고정볼트(B)를 마련하고,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다리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의자 프레임(10)의 다리(13)를 일정길이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보조다리(61)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다리(61)의 상측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6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다리(61)의 결합공(61a)에 결합되어 그 보조다리(61)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B)를 마련하며, 상기 보조다리(6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각각의 다리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조정구(6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20000031816U 2000-10-19 2000-11-14 의자 KR20022009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58 2000-10-19
KR20000029158 2000-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97Y1 true KR200220097Y1 (ko) 2001-04-16

Family

ID=7306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816U KR200220097Y1 (ko) 2000-10-19 2000-11-14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58B1 (ko) * 2002-02-16 2005-03-16 주식회사 리바트 강의용 의자
KR101311814B1 (ko) * 2010-04-27 2013-09-26 김동곤 기능성 의자
WO2022197014A1 (ko) * 2021-03-17 2022-09-22 한형우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58B1 (ko) * 2002-02-16 2005-03-16 주식회사 리바트 강의용 의자
KR101311814B1 (ko) * 2010-04-27 2013-09-26 김동곤 기능성 의자
WO2022197014A1 (ko) * 2021-03-17 2022-09-22 한형우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576A (ko) 누웠을 때는 척주 전만을 감소시키고 착석했을때는 허리곡선을 지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50315B1 (ko) 무브 체어
KR101684475B1 (ko)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유모차
KR200477364Y1 (ko) 등쿠션
KR101527933B1 (ko) 환자 맞춤형 자세 교정 의자
KR200220097Y1 (ko) 의자
KR20170128374A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KR20190048682A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KR200230508Y1 (ko) 척추가 편한 의자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US6251123B1 (en)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US11911332B2 (en) Passive spine elongation device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100846733B1 (ko) 의자
JP4134259B1 (ja) 腰痛治療用椅子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KR20010044318A (ko) 척추가 편한 의자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CN2383417Y (zh) 一种护腰坐具
KR200197815Y1 (ko) 척추를 바르게하는 의자
KR200217668Y1 (ko) 의자용 발 받침대
KR100887312B1 (ko) 골반고정식착석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