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967Y1 -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967Y1
KR200393967Y1 KR20-2005-0015341U KR20050015341U KR200393967Y1 KR 200393967 Y1 KR200393967 Y1 KR 200393967Y1 KR 20050015341 U KR20050015341 U KR 20050015341U KR 200393967 Y1 KR200393967 Y1 KR 200393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earer
weight
armpi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수
Original Assignee
김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수 filed Critical 김한수
Priority to KR20-2005-0015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4Shoulder, e.g. for neck stretching
    • A61H2201/161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 사람이 바른 자세가 아닌 나쁜 자세를 유지한 채 장시간 앉아 있거나, 허리힘으로 동일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경우 허리와 척추 부분에는 상당한 피로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척추의 만곡으로 인한 체형의 변형이나 척추디스크 등의 만성적인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등, 인간이 직립자세로 생활하게 됨에 따라 척추에는 많은 무리가 따르게 되며, 특히, 장시간 앉은 자세로 공부하는 수험생이나 사무직의 직장인 등은 이러한 위험성에 노출되기가 쉬우며, 본 고안은 이렇게 장시간 동안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고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바른 자세의 유지와 허리에 가해지는 체중과 중력의 무게를 분산하는 보조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주고자 개발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본 고안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받침대(10)와, 이 겨드랑이받침대(10)의 하부로 고정된 상부지지대(21)와 이 상부지지대(21) 아래로 순차적으로 끼움이 되는 하부지지대(25)로 구성된 지지수단(20)이 구비되며, 이 하부지지대(25)의 하부를 받쳐주는 바닥받침대(30)로 구성된 지지장치(A)가 좌,우측으로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장치(A)의 양측 하부지지대(25)에는 착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밴드(40)와 전면 배 부위에 착용되는 고정벨트(50)가 각기 결합되고, 상기 지지장치(A)의 좌,우 바닥받침대(30)간에는 받침대밴드(60)를 연결하여 하나의 체중 분산 기구(10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착용하게 되는 경우, 착용자의 겨드랑이는 겨드랑이받침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허리에 가해지는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게 되며, 등받이 밴드와 고정 벨트에 의하여 착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를 구속하여 줌으로써 바른 자세를 유지와 척추를 곧게 펴 줄 수 있어 척추 질환의 예방과 척추 질환자의 통증 완화와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축식 상, 하부지지대에 의하여 착용자의 다양한 신체조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착용상태에서도 이동성이 양호하여 의자나 방바닥 등 어디에 앉더라도 바른 자세를 유지한 채 사용 가능하며, 휴대가 간편한 또 다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 Portable weight dispersion device }
본 고안은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받침대와, 이 겨드랑이받침대의 하부로 고정된 상부지지대와 이 상부지지대 아래로 순차적으로 끼움이 되는 하부지지대로 구성된 지지수단이 구비되며, 이 하부지지대의 하부를 받쳐주는 바닥받침대로 구성된 지지장치가 좌,우측으로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장치의 양측 하부지지대에는 착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밴드와 전면 배 부위에 착용되는 고정벨트가 각기 결합되고, 상기 지지장치의 좌,우 바닥받침대간에는 받침대밴드를 연결하여 하나의 체중분산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고 일하는 사람들에게 바른 자세의 유지와 허리에 가해지는 체중을 허리에 전달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허리의 통증을 완화함과 아울러 척추 질환의 예방과 통증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일상생활을 해 나가면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직장이나 집안 살림 등으로 대부분의 사람이 일상생활 중 상당한 시간을 의자에서 보내고 있는바, 장시간을 앉아 있는 경우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은 서있을 때보다 약 1.5배 가중되어 전달된다.
척추는 통상 24개(천추골 제외)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관절 마디로 연결되어 있고, 각 관절 사이에는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반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중간 고리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이 척추는 우리 인체에서 대들보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신체기관으로 인간의 신체에서 중심을 이루며 특히, 두 발로 서서 일상생활을 하는 인간에 있어서는 모든 하중과 충격을 흡수하고, 명령을 전달하는 모든 신경계통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뇌로부터 각 부분에 명령을 전달하는 연결관인 척수를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다.
옆에서 보는 인간의 척추는 커다란 'S' 자를 보이고, 이는 거대한 판스프링의 역할을 하여 체중을 아주 잘 분산하고 있으며, 앞에서 보는 인간의 척추는 아무런 곡선이 없이 곧게 뻗은 '1' 자형으로 좌우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
각 등골뼈가 제자리에 있을 때에는 척수나 척추신경이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일을 하지만, 잘못된 자세 좋지 못한 자세를 장시간 취하거나 운동부족으로 등이나 허리근육의 약화, 잘못된 생활습관, 스트레스, 사고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척추가 제자리를 찾지 못할 때에는 척추의 원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괴가 되면, 자신의 체중은 엄청난 스트레스로 신체를 누르게 되고, 척추의 미세한 변화를 초래하게 되어 벗어난 등골뼈와 체중을 지탱하느라 뭉친 근육들은 척추신경이나 주변 신경을 압박하게 되고, 큰 통증을 유발하며, 이 통증은 더한 압박을 일으키는 통증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되어 척추에 이상이 생겨, 목이나 허리 디스크(추간판 탈출증)등 각종 척추질환은 물론이고 생리적인 불균형을 초래하여 오장육부의 기능을 저하시켜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척추가 변형된 사람, 디스크 환자, 장시간 앉은 자세에서 일이나 공부를 하는 직장인 또는 수험생의 앉는 자세를 보조하거나 치료하는 장치로서, 종래에 개발된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이는 의자의 등받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좌석에 앉은 사람의 겨드랑이에 끼움되어 겨드랑이를 받쳐주는 겨드랑이 받침구가 일체로 구성된 의자의 형태로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팔걸이형 겨드랑이 받침구가 일체로 형성된 의자의 경우,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중 일어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던 겨드랑이 받침구로부터 겨드랑이는 빠져나오게 되어, 겨드랑이 받침구가 담당하던 체중(하중)이 일시에 척추(허리)로 가중되게 되고, 착석 또는 이석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척추에는 이완과 압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척추)의 상태는 더 악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탈피하고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체중 분산기구의 필요성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러한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가 제안된 바 없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척추가 변형된 사람, 디스크 환자, 장시간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고 앉아서 일을 하는 사람이나 수험생들에게 바른 자세의 유지와 허리에 가해지는 체중을 허리에 전달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허리의 통증을 완화함과 아울러 척추 질환의 예방과 통증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신축식 상,하부 지지대에 의하여 착용자의 다양한 신체조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착용상태에서도 이동성이 양호하여 의자나 방바닥 등 어디에 앉더라도 바른 자세를 유지한 채 사용 가능하며, 휴대가 간편한 체중 분산 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받침대(10)와, 이 겨드랑이받침대(10)의 하부로 고정된 상부지지대(21)와 이 상부지지대(21) 아래로 순차적으로 끼움이 되는 하부지지대(25)로 구성된 지지수단(20)이 구비되며, 이 하부지지대(25)의 하부를 받쳐주는 바닥받침대(30)로 구성된 지지장치(A)가 좌, 우측으로 한쌍이 구비되고, 이 지지장치(A)의 양측 하부지지대(25)에는 착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밴드(40)와, 전면 배 부위에 착용되는 고정벨트(50)가 각기 결합되고, 상기 지지장치(A)의 좌,우 바닥받침대(30)간에는 받침대밴드(60)를 연결하여 하나의 체중 분산 기구(100)를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체중 분산 기구(100)는 겨드랑이받침대(10), 상부지지대(21) 및 하부지지대(25), 바닥받침대(30)로 이루어진 한쌍의 지지장치(A)와, 이를 연결하는 등받이밴드(40), 고정벨트(50), 받침대밴드(60)등의 간편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겨드랑이받침대(10)는 쿠션재(11)와 받침대(12)로 구성되는데, 상기 받침대(12)는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그 윗면이 아래로 오목한 원호 형상을 형성하고, 저면에 일정 깊이의 끼움홈(13)을 형성하고, 이 측면에 상기 끼움홈(13)을 통과하는 관통된 결합용핀구멍(14)을 형성한 받침대(12)로 구성되고, 그 외면 형상이 상기 받침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쿠션재(11)는 일정 두께를 갖는 스펀지, 우레탄 등과 같은 완충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받침대(12)를 덮어 끼울 수 있는 요홈부(11')가 구비되어 있어, 이 요홈부(11')에 상기 받침대(12)의 상면부가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겨드랑이받침대(10)를 구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수단(20)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부지지대(21)는 상단 측면에는 상기 겨드랑이받침대(10)와의 조립을 위한 결합용핀구멍(22)이 형성된 소정의 굵기의 금속봉으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지지대(25)는 속이 빈 중공형 파이프로써, 하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높이조절구멍(26)을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최하단부에는 후술하는 바닥받침대(30)와의 조립을 위한 결합용핀구멍(27)이 형성하여 상기 상부지지대(21)와 하부지지대(25)로 이루어진 지지수단(20)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바닥받침대(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바닥면은 아래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부 중앙에 일정 깊이의 고정홈(31)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31)을 관통하는 결합용핀구멍(32)을 형성하며, 그 아래측으로 받침대밴드(30)의 결합을 위한 장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지지대(25) 및 바닥받침대(30)를 연결하는 등받이밴드(40)와, 고정벨트(50) 및 받침대밴드(60)에 대하여 설명하면, 등받이밴드(40)는 직물 또는 인조가죽인 레쟈 등으로 이루어진 광폭의 벨트로서, 양단에는 암수 매직테이프(41)(41')가 각기 부착되어 있어 이에 의하여 등받이밴드(40)의 탈부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 좌,우 고정벨트(50)는 신축성이 있는 벨트로서, 그 일단을 일정 폭으로 박아 끼움공(50')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지지대(25)에 끼움되도록 하고, 이들 좌,우 고정밸트(50)의 타단에는 암,수 버클(51)(51')이 각기 부착되어 있어, 이들에 의하여 통상의 혁대를 차듯이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받침대밴드(60) 역시 신축성이 있는 벨트로서, 그 양단을 일정 폭으로 박아 핀 결합공(61)을 형성되어 있어, 이를 상기 바닥받침대(30)의 장공(33)을 통하여 끼운 후 타단에서 걸림핀(62)을 결합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중 분산 기구(100)의 조립방법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받침대(12)의 하부 끼움홈(13)에 상부지지대(21)의 상단이 끼움되고, 이들 결합용핀구멍(14)(22)을 일치시킨 후에 고정핀(23)을 끼워 넣어 고정하며, 상기 상부지지대(21)의 하단부를 파이프형의 하부지지대(25)의 중공부내로 끼워 서로 조립하게 된다.
하부지지대(25)의 임의 위치의 높이조절구멍(26)에는 도 4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볼트(28)와 너트(29)가 체결되어 있어, 이 높이조절용 볼트(28)에 상부지지대(21)의 하단이 지지되고, 이 하부지지대(25)의 하단은 바닥받침대(30)의 고정홈(31)에 끼워져 이들의 결합용핀구멍(27)(32)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34)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한쌍의 지지장치(A)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한쌍의 지지장치(A)의 바닥받침대(30)의 장공(33)이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시킨 후, 이 장공(33)에 받침대밴드(60)의 양단부를 통과시켜 장공(33)의 폭보다 지름이 큰 걸림핀(62)을 끼워 넣어 고정하고, 고정벨트(50)는 일정 폭으로 박은 부분을 상기 하부지지대(25)의 같은 높이에 끼워 넣어 조립하고, 이들의 타단부의 버클(51)(51')들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이들에 의하여 혁대를 차듯이 착용자의 배부분을 조여주게 되는 것이다. 또, 등받이밴드(40)의 경우, 직물 또는 인조가죽인 레쟈 등으로 이루어진 광폭의 벨트로서, 양단에는 암수 매직테이프(41)(41')가 각기 부착되어 있어 이에 의하여 좌,우측의 하부지지대(25)들을 감싼 채 부착되도록 하여 등받이밴드(4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겨드랑이받침대(10)의 표면에는 통상의 직물지 또는 인조가죽이나 천연가죽 등으로 제작된 커버 등을 씌움으로써, 장기 사용에 따른 쿠션재(1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커버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영향을 미칠 바 없는 것이어서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밴드(40)는 인조가죽 또는 천연가죽의 재질을 사용하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성능이 우수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조립된 체중 분산 기구(100)의 사용방법을 도 5a와 도 5b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가 겨드랑이받침대(10)에 안착되어 상부지지대(21) 및 하부지지대(25)로 구성된 지지수단(20)에 의해 지지되고, 이 하부지지대(25)의 높이조절구멍(26)에 체결된 높이조절용 볼트(28)와 너트(29)에 의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 하부지지대(21)(2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등받이밴드(40)에 상체의 등 부위를 기대어 밀착한 후에 좌,우 고정벨트(50)의 버클(51) (51')을 채우게 되면 체중 분산 기구(100)는 착용자의 등과 배 부위에 밀착되어 착용자의 상반신의 앞뒤부분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착용 후에도 이동이 가능하고, 착용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지지가 되어 상체가 자연스러운 생리적 만곡도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는 상부지지대(21)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받침대(12)가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장기 사용에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15)을 추가로 장착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15)은 상부지지대(21)의 상단이 끼움되는 짧은 원통형의 브라켓본체(16)와 그 상단에 일체로 장착된 지지플렌지(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의 브라켓본체(16)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 그 속 중공부내로 상부지지대(21)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대(12)와 끼움 결합방식으로 조립되며, 고정용 브라켓(15)의 지지플랜지(17)의 고정구멍(17')을 통하여 고정용 피스(18)를 체결함으로써, 잦은 사용이나 취급부주의로 인해 상부지지대(21)와 겨드랑이받침대(10)의 유동을 방지하고 보강하여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착용자가 착용단계에서의 편리성을 추구하고자 하부지지대(25)의 하단부에 삼발이(70)를 더 구성한 것으로서, 이 삼발이(70)는 하부지지대(25)에 끼움된 상태로 고정되며, 삼방향으로 돌출편(72)이 배치된 삼발이 본체(71)와 이 돌출편(72)에 힌지 결합방식으로 조립된 지지각(73)이 각기 배치되고, 지지각(73)의 밑단에는 고무캡(74)이 장착되어 있어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삼발이(70)를 가진 체중 분산 기구(100)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 우선 삼발이(70)의 지지각(73)을 모두 내려놓아 안전하게 세워둔 상태에서 착용자가 착석하여 체중 분산 기구(100)를 안전하게 착용하고, 착용 후에는 삼발이(70)의 지지각(73)을 모두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착용자가 활동하는데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체중 분산 수단이 되는 겨드랑이받침대와, 높이 조절과 지지수단이 되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밴드, 배 부위를 감싸는 고정벨트, 신축성을 갖는 받침대밴드가 상기 하부지지대에 연결된 구조로써, 착용자의 다양한 신체조건에 맞도록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가능하며,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체중이 허리에 전달하지 않도록 분산시키며, 착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를 당겨줌으로써 척추를 이완시켜 척추 질환의 예방과 통증 치료가 이루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의자에 부착된 고정형 겨드랑이 받침구의 경우 이동시에는 착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따랐으나, 본 고안은 신체에 착용 후에도 이동이 편리하고, 책상의자, 방바닥 등 어디에 앉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부피도 작아서 휴대가 간편함을 가지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고안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일부의 종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일부의 측단면도.
도 5a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시 배면도.
도 5b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받침대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발이 정착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겨드랑이받침대 21 : 상부지지대
25 : 하부지지대 26 : 높이조절구멍
28 : 볼트 29 : 너트
30 : 바닥받침대 40 : 등받이밴드
50 : 고정벨트 60 : 받침대밴드
70 : 삼발이 A : 지지장치

Claims (6)

  1. 착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받침대(10)와, 이 겨드랑이받침대(10)의 하부로 고정된 상부지지대(21)와 이 상부지지대(21) 아래로 순차적으로 끼움이 되는 하부지지대(25)로 구성된 지지수단(20)을 구비하며, 이 지지수단(20)의 하부를 받쳐주는 바닥받침대(30)로 구성된 지지장치(A)가 좌,우측으로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장치(A)의 양측 하부지지대(25)에는 착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밴드(40)와 전면 배 부위에 착용되는 고정벨트(50)가 각기 결합되고, 상기 지지장치(A)의 좌,우 바닥받침대(30)간에는 받침대밴드(60)를 연결하여 착용자의 바른 자세의 유지와 허리에 가해지는 체중을 분산하는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겨드랑이 받침대(10)는, 저면에 상부 지지대(21)의 상단부가 끼움되는 끼움홈(13)이 구비되고 그 윗면이 아래로 오목한 원호 형상의 받침대(12)와, 상기 받침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저면에 상기 받침대(12)를 덮어 끼울 수 있는 요홈부(11')가 구비되어 있는 완충성을 가진 쿠션재(11)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겨드랑이받침대(10)를 구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수단(20)의 하부지지대(25)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높이조절구멍(26)을 형성되어, 이 높이조절구멍(26)의 임의 위치에 볼트(28)와 너트(29)가 체결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지지수단(20)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바닥받침대(30)는, 상면 중앙부에 하부지지대(25) 끼움용 고정홈(31)이 구비되며, 그 저면이 아래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그 측면에는 는 받침대밴드(60)의 결합을 위한 장공(33)이 형성되며, 이에 받침대밴드(60)의 단부가 걸림핀(62)의 결합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 기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겨드랑이받침대(10)와, 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21)의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의 브라켓본체(16)와 일체로 장착되는 고정구멍(17')을 가진 지지플렌지(17)를 더 구비한 고정용 브라켓(15)을 더 구비하여, 고정용 브라켓(15)의 브라켓본체(16)를 상기 상부지지대(21)의 상단에 끼움된 상태에서 고정용 피스(18)에 의해 고정되도록하여 겨드랑이받침대(10)의 유동방지와 보강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 기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지지장치(A)의 각 하부지지대(25)의 하단에 삼발이(70)를 형성하되, 삼방향으로 반원형의 돌출편(72)이 형성된 원형의 삼발이 본체(71)와, 이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각(73)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각(73) 밑단에 고무캡(74)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 기구.
KR20-2005-0015341U 2005-05-30 2005-05-30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KR200393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41U KR200393967Y1 (ko) 2005-05-30 2005-05-30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41U KR200393967Y1 (ko) 2005-05-30 2005-05-30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967Y1 true KR200393967Y1 (ko) 2005-08-31

Family

ID=4369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341U KR200393967Y1 (ko) 2005-05-30 2005-05-30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96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825A (ko) *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20190036815A (ko) * 2017-09-28 2019-04-05 이재우 자세 교정 장치
CN109864843A (zh) * 2019-04-01 2019-06-11 吕夫德 腰双侧可调弹性支撑式护腰装置
US11491745B2 (en) 2017-11-28 2022-11-08 High In 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laminating fibers for direct manufacturing or preform
KR20230080805A (ko) 2021-11-30 2023-06-07 이재우 무릎 관절의 보호를 위한 보조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825A (ko) *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101725227B1 (ko) * 2015-04-22 2017-04-1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20190036815A (ko) * 2017-09-28 2019-04-05 이재우 자세 교정 장치
KR102035811B1 (ko) * 2017-09-28 2019-10-24 이재우 자세 교정 장치
US11491745B2 (en) 2017-11-28 2022-11-08 High In 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laminating fibers for direct manufacturing or preform
CN109864843A (zh) * 2019-04-01 2019-06-11 吕夫德 腰双侧可调弹性支撑式护腰装置
CN109864843B (zh) * 2019-04-01 2024-02-06 吕夫德 腰双侧可调弹性支撑式护腰装置
KR20230080805A (ko) 2021-11-30 2023-06-07 이재우 무릎 관절의 보호를 위한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8790A (en) Selectively arrangeable cushion assembly
JP5139124B2 (ja)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
US6749548B2 (en) Restraint and exercise device
US8931837B2 (en) Thoracic back support
US20020033626A1 (en) Chair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and method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by means of the chair
US5143057A (en) Overpressure device for mechanical treatment of the human body
KR200393967Y1 (ko)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US4583533A (en) Orthopedic lumbar apparatus
US20030130696A1 (en)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pinal adjustment
US20070225627A1 (en) Massa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214848B1 (ko) 자세교정의자
US5637079A (en) Traction apparatus
KR101297399B1 (ko)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US20080105266A1 (en) Therapeutic Massage Ramp
KR20130141827A (ko) 의자에 탈착되는 보조 등받이
US20030014818A1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KR20150025851A (ko) 체중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용 좌석 걸이장치
AU2002305763B2 (en) Restraint and exercise device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JP2000210318A (ja) 腰痛治療器具
KR200357018Y1 (ko) 허리 교정용 의자
KR200270421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270422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JP4134259B1 (ja) 腰痛治療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