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422Y1 - 척추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422Y1
KR200270422Y1 KR2020010039140U KR20010039140U KR200270422Y1 KR 200270422 Y1 KR200270422 Y1 KR 200270422Y1 KR 2020010039140 U KR2020010039140 U KR 2020010039140U KR 20010039140 U KR20010039140 U KR 20010039140U KR 200270422 Y1 KR200270422 Y1 KR 200270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backrest
right fram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호
Original Assignee
배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호 filed Critical 배수호
Priority to KR2020010039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422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허리 디스크등의 척추 질환을 예방하거나 교정하기 위한 척추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척추 교정용 의자는 등받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수직의 장홈(10a)을 통해 "U"자형으로 형성되어 각 단부가 대칭 결합되는 좌,우 프레임(16a)(16b)과, 상기 프레임(16a)(16b)의 중앙부에 좌,우 프레임(16a)(16b)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폭조절수단(17)과,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의 각 단부측에 관통 결합되어 전방 연장부의 직하부로 연장형성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 단부가 삽입 장착되어 좌판부(11) 저면에 결합된 조절레버(23)의 조작에 의해서 등받이(10) 내부에서 수직 이동되는 높이조절수단(12)으로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척추 교정용 의자는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착석자의 겨드랑이에 받침대를 삽입시켜 일정 높이 더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인체의 생리적 곡만도가 유지한 채로 착석자의 허리와 등부위를 당겨줌으로써 인체내의 척추를 이완시켜 눌려있던 신경의 압박으로 유발되는 허리의 통증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바른 자세의 유도에 의해서 척추 질환의 예방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척추 교정용 의자{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본 고안은 허리 디스크등의 척추 질환을 예방하거나 교정하기 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의자 등받이 내부에 에어스프링과 가로지지대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측단부의 결합구에 폭조절수단이 구비된 한 쌍의 좌,우 프레임이 지지프레임을 통해서 수직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좌,우 프레임의 곡면부상에 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인체의 어느 한 부분이 지지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진 구조로써, 상기 받침대가 착석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맞추어 겨드랑이 받침대 또는 팔걸이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자로 하여금 바른 착석 자세의 유도와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생활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학생이나 사무직 근로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중 상당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고 있는 바, 장시간을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은 서있을 때보다 약 1.5배 가중되어 전달된다.
척추는 신체의 기둥으로서 척추의 중심에는 뇌에서 연결되는 척수가 자리잡고 있어 신체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고 조정하게 되며, 척추는 인체의 하중을 받쳐주고 뇌로부터 신체의 각 부분에 명령을 전달하는 연결관인 척수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척수를 보호하는 24개의 척추뼈와 골반 그리고 두개골이 제자리를 유지하는 것은 건강의 기본으로 24개의 뼈가 연결되어 만드는 척추는 골반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중간 고리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각 척추뼈가 제자리에 있을 때에는 척수나 척추 신경이 아무런 장애를 받지않고 일을 하나, 척추가 제자리를 찾지 못할때에는 이 척추 사이를 빠져나가야 하는 우리의 척추 신경은 압박을 받기 시작하고 여러 신경계의 장애가 시작되며, 이러한 신경계의 장애는 신체의 관련 기관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면역기능 또한 저하시켜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질병의 원인은 잘못된 자세, 잘못된 생활습관, 잘못된 운동, 스트레스, 사고등 여러가지이며 이중 심각한 사고나 유전등에 의한 척추의 변형은 장애로 분리되나 아주 미소한 척추의 변위도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옆에서 보는 인간의 척추는 커다란 'S'자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거대한 판스프링의 역할을 하여 체중을 아주 잘 분산시키고 있다. 또한 앞에서 보는 인간의 척추는 아무런 곡선이 없이 곧게 뻗어 좌우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곡선과 직선이 파괴되면 스스로의 체중은 엄청난 스트레스로 신체를 누르게 되며 척추의 미세한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벗어난 척추뼈와 체중을 지탱하느라 뭉친 근육들은 척추 신경이나 주변 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큰 통증을 유발하고 이 통증은 더한 압박을 일으키는 통증의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통상적인 의자는 착석자가 앉았을 때 둔부를 지지하며 하체를 받치게 되는 좌판부와 상체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및 좌판부와 등받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좌판부 양측에 팔걸이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안락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로 구성되어 있다.
인체학적으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상체의 하중이 척추 및 골반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착석자가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게 되면 척추 및 골반과 그 주위의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허리 부분의 피로감이나 통증이 수반되기도 하며, 의자에 앉는 자세가 잘못되거나 의자의 설계가 잘못되어 착석자의 바른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척추디스크병(요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측만증등의 척추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의자 구조의 문제점이나 잘못된 앉은 자세로 인하여 척추(허리)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침 또는 물리치료등으로 치료하거나 추나요법에 의해서 사람의 손으로 척추 부분을 수기 치료하는 방식에 의해서 척추 질환을 치료하고 있다.
또한, 척추 질환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없는 사람들은 간단히 사용될 수 있는 척추 교정기를 이용하여 척추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병행하게 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척추 교정기중에는 단순히 사용자를 거꾸로 세워 척추를 신장시킴으로써 이는 척추 주위의 조직은 늘어나게 되지만 실제로 척추 마디 사이를 신장시키는 작용은 미미하여 특히, 인체의 생리적 곡만도(S자형 곡선)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충분한 치료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고 고혈압 환자에게는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상판이 수평상태로 이루어진 척추 교정용 침대(트랙션기)는 사용자가누워있는 자세에서 사용자의 목뼈 및 척추를 길이방향으로 당기거나 당긴 상태에서 상,하체를 서로 역방향으로 흔들어 척추를 구성하는 추체와 추체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탈출된 척수핵이 제자리로 복원되게 하여 척수를 교정하는 척추 교정기용 침대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침대를 구성하는 상판이 평면을 이루어 인체의 생리적 곡만도를 유지하기가 힘들고 척추 주위의 조직을 강제로 당기기 때문에 근육의 긴장에 따른 신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의 마디 사이를 늘려주는 효과도 미미하다.
특히, 턱을 고정시키고 몸을 당기는 치료 방법은 또 다른 질환으로서의 턱관절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책해야 하며, 상기 척추치료용 침대가 고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척추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병원을 통해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의자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의자 등받이 내부에 에어스프링과 가로지지대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단부에 폭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좌,우 프레임이 지지프레임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좌,우 프레임의 곡면부상에 인체의 어느 한 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고정된 구조로써, 높이조절수단과 연동되는 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킬 경우 받침대가 일반적인 팔받침으로 사용되고 상부로 이동시킬 경우 인체의 겨드랑이 부분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착석자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여 척추 질환을 예방하고 허리와 등부위의 이완 작용에 의해서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의 감소로 인하여 허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부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5와 도6은 본 고안의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의 측면도로서,
도5는 프레임을 등받이 하부에 위치시켰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6은 프레임을 등받이 상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등받이 11. 좌판부
12. 높이조절수단 13. 에어스프링
14. 가로지지대 16a,16b. 좌,우 프레임
17. 폭조절수단 18. 슬라이딩바
20. 지지프레임 21. 받침대
23. 조절레버 24. 회전레버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착석자의 등부위에 밀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면에 수직의 장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압으로 작동되는 에어스프링과 그 상단부에 고정되는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가로지지대의 상부로 폭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수평이동되는 좌,우 프레임이 그 하부로 연장형성된 지지프레임을 통해 가로지지대의 결합구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좌,우 프레임의 단부측에 인체의 한 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전방을 향해 고정된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의자의 등받이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이동되는 좌,우 프레임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프레임이 타측 프레임의 단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고 각 프레임의 중앙 상하부로 프레임의 외주면을 깜싸며 브라켓트가 장착되고 그 직하부로 지지프레임이 연장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는 등받이 내부에서 수직이동되는 에어스프링과 연동될 수 있도록 가로지지대 양측 단부의 결합구상에 삽입 고정되어 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공기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에어스프링에 의해서 좌우 대칭되어 타원형의 형태로 결합된 프레임이 등받이의 양측 장홈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척추 교정용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후에 등부위를 등받이에 지지하고 좌판부 저면에 결합된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높이조절수단과 연동되어 등받이 내부에서 상하 이송되는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고 등받이 배면의 회전손잡이에 의해서 작동되는 폭조절수단에 의해서 좌,우 프레임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등받이 외부로 돌출된 받침대의 폭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평상시에는 등받이 내부의 프레임을 하향 이동시켜 받침대가 일반적인 팔걸이로 사용되도록 하고 허리의 통증이 유발되거나 휴식시에는 조절레버에 의해서 프레임을 상향 이동시켜 받침대가 인체의 겨드랑이에 밀착되도록 하여 허리 부분을 비롯한 등부위의 인장에 따른 척추의 이완작용에 의해서 허리 통증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척추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부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척추 교정용 의자는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10) 양측면에 수직의 장홈(10a)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10) 내부에 에어스프링(13)과 가로지지대(14)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12)이 장착되며, 상기 가로지지대(14)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구(14a)에 "∪"자형으로 구성되어 좌우 대칭 결합되며 내부에 폭조절수단(17)이 구비된 좌,우 프레임(16a)(16b)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의 일측 곡면부상에는 인체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대(21)가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10) 내부에 장착되는 높이조절수단(12)은 등받이 내부에서 상하이동되며 받침대(15)상에 수직고정된 로드(13b)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실린더(13a)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3a)와 로드(13b)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에어스프링(13)와, 상기 에어스프링(13) 상단부에 결합된 가로지지대(14)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지지대(14)는 양단부측에 지지프레임 삽입공이 구비된 결합구(14a)가 형성되어 좌,우 프레임(16a)(16b)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 단부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결합구(14a) 내측부가 등받이(10) 배면측에 수평을 이루어 부착된 한 쌍의 가이드바(22)를 따라 상하로 수직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수단(12) 상단부에 장착되는 좌,우 프레임(16a)(16b)은 각각 결합단부의 직경이 다른 원통형의 프레임이 "U"자 형태로 구성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어 프레임 단부가 결합되며, 각 프레임(16a)(16b)의 곡면부 전방으로 합성수지 또는 목재등으로 이루어진 받침대(21)가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은 "∪"자형을 이루는 각 프레임 단부측이 관통결합되는 브라켓트(25)가 장착되고 상기 상,하부 브라켓트(25)를 연결하며 그 직하부로 지지프레임(20)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은 타원형을 이루어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의 곡면부가 등받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홈(10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의 상하 이송과 아울러 폭조절수단(17)에 의해서 좌우로 프레임(16a)(16b)의 수평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폭조절수단(17)은 좌,우 프레임(16a)(16b)의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면에 다수의 요홈부(18a)가 구비된 슬라이딩바(18)와,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의 중앙에 사각함체의 기어박스(19)가 장착되고 기어박스(19)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기어(19a)와, 상기 기어(19a)와 맞물려 등받이(10)의 배면상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회전레버(24)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의 폭조절은 등받이(10) 배면으로 돌출된 회전레버(24)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기어박스(19) 내부의 기어(19a)에 상하로 교차 결합된 슬라이딩바(18)가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그 단부에 각각 결합된 좌,우 프레임(16a)(16b)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수단(12)의 에어스프링(13)은 등받이(10)이 하부의 좌판부(11) 저면에 결합된 받침구(15)상에 수직하여 장착되고 상기 받침구(15) 저면으로부터 좌판부(11) 일측으로 연장결합된 조절레버(23)의 조작에 의해서 실린더(13a) 내부의 공기압으로 로드(13b)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실린더(13a)를 하부로 원위치시킬때는 조절레버(23)를 누른 상태로 실린더(13a) 내부의 공기압을 제거시킨 후에 실린더(13a) 상단부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실린더(13a)를 로드(13b)의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10) 내부의 에어스프링(13) 양측으로는 수평으로 한 쌍의 가이드바(22)가 등받이 배면측에 부착되어 에어스프링(13)의 실린더(13a)를 따라 상하 유동되는 가로지지대(14)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에 대한 착석자의 사용에 따른 작동 과정을 아래 도시된 도5와 도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와 도6은 본 고안의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의 측면도로서, 도5는 프레임을 등받이 하부에 위치시켰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6은 프레임을 등받이 상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척추 교정용 의자는 등받이(10) 내부에서 높이조절수단(12)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프레임(16a)(16b)을 조절레버(23)를 이용하여 등받이(10)의 최하부까지 하강시키고 등받이(10) 배면으로 돌출된 회전레버(24)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폭조절수단(17)에 의한 프레임(16a)(16b)의 폭조절을 행한후에 착석자의 둔부를 좌판부(11)에 지지한 채 앉게 되면 프레임(16a)(16b) 양측에 고정된 받침대(21)가 팔걸이의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일반적인 의자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착석자가 좌판부(11)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의 등부위를 등받이 전면에 밀착시키고 좌판부(11) 저면의 조절레버(23)를 누르게 되면 등받이(10) 내부에장착된 에어스프링(13)에 공기압이 작용되어 실린더(13a)가 로드(13b)의 상부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에어스프링(13)을 따라 연동되고 등받이 내부에서 타원형으로 결합된 좌,우 프레임(16a)(16b)이 등받이(13) 양측의 장홈(10a)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착석자는 등받이(10) 내부의 프레임(16a)(16b)을 따라 이동된 받침대(21)를 겨드랑이 사이에 삽입시키고 등받이(10) 배면의 회전레버(24)를 이용하여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받침대(21)의 폭을 조절한 후, 다시 좌판부(11) 저면의 조절레버(23)를 이용하여 프레임(16a)(16b)을 일정 높이로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착석자의 허리부분이 생리적 곡만도를 유지한채로 프레임(16a)(16b)의 이동 거리만큼 인장되면서 척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잘못 자리잡은 척추를 부드럽게 이완시켜 허리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척추 교정용 의자는 의자 등받이 내부에 에어스프링과 가로지지대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가로지지대 상부로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폭조절수단이 구비된 한 쌍의 좌,우 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좌,우 프레임의 곡면부에 전방을 향해 인체의 한 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수평 고정된 구조로써, 상기 프레임을 등받이 하부로 위치시킬 경우에는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착석자의 겨드랑이에 받침대를 삽입시켜 일정 높이 더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인체의 생리적 곡만도가 유지한 채로 착석자의 허리와 등부위를 당겨줌으로써 인체내의 척추를 이완시켜 눌려있던 신경의 압박으로 유발되는 허리의 통증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바른 자세의 유도에 의해서 척추 질환의 예방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척추 교정용 의자는 앉은 상태에서 착석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맞추어 조절레버와 등받이 배면의 회전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프레임 및 받침대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프레임을 등받이 하부로 이동시켜 전방으로 돌출 결합된 받침대가 일반적인 팔걸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착석자세의 교정이나 척추 질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착석자의 등부위가 밀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수직의 장홈(10a)을 통해 "U"자형으로 형성되어 각 단부가 대칭 결합되는 좌,우 프레임(16a)(16b)과, 상기 프레임(16a)(16b)의 중앙부에 좌,우 프레임(16a)(16b)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폭조절수단(17)과,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의 각 단부측에 관통 결합되어 전방 연장부의 직하부로 연장형성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 단부가 삽입 장착되어 좌판부(11) 저면에 결합된 조절레버(23)의 조작에 의해서 등받이(10) 내부에서 수직 이동되는 높이조절수단(1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2)은 좌판부(11) 저면에 부착된 받침대(15)와, 상기 받침대(15)상에 수직 고정된 로드(13b) 및 그 상부에 결합되는 실린더(15a)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3a)와 로드(13b)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어 공기압에 의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에어스프링(13)과, 상기 에어스프링(13) 상단부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좌,우 프레임(16a)(16a)과 수직하여 연장형성된 지지프레임(17)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구(14a)가 구비된 가로지지대(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수단(17)은 좌,우 프레임(16a)(16b)의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면에 다수의 요홈부(18a)가 구비된 슬라이딩바(18)와, 상기 좌,우 프레임(16a)(16b)의 중앙에 사각함체의 기어박스(19)가 장착되고 기어박스(19) 내부 일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기어(19a)와, 상기 기어(19a) 외주면에 맞물려 등받이(10)의 배면상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회전레버(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의자.
KR2020010039140U 2001-12-18 2001-12-18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270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40U KR200270422Y1 (ko) 2001-12-18 2001-12-18 척추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40U KR200270422Y1 (ko) 2001-12-18 2001-12-18 척추 교정용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171A Division KR100420965B1 (ko) 2001-10-18 2001-12-17 척추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422Y1 true KR200270422Y1 (ko) 2002-04-03

Family

ID=7311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140U KR200270422Y1 (ko) 2001-12-18 2001-12-18 척추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4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82B1 (ko) 2006-07-28 2008-02-01 이승복 광 투과 치료용 의자
KR20190056068A (ko) * 2017-11-16 2019-05-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균형재활훈련장치
CN113520785A (zh) * 2020-04-14 2021-10-22 韦景川 人体悬吊概念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82B1 (ko) 2006-07-28 2008-02-01 이승복 광 투과 치료용 의자
KR20190056068A (ko) * 2017-11-16 2019-05-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균형재활훈련장치
KR102006633B1 (ko) * 2017-11-16 2019-08-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균형재활훈련장치
CN113520785A (zh) * 2020-04-14 2021-10-22 韦景川 人体悬吊概念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494B2 (en) Chair and method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TWI491387B (zh) 限制、再定位、牽引以及運動裝置及方法
KR101095633B1 (ko) 척추 교정기
KR101725227B1 (ko)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US20030130696A1 (en)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pinal adjustment
KR20090055662A (ko) 체중 견인방식에 의한 척추 교정 기구
KR200393967Y1 (ko)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US11395755B2 (en) Method for applying spinal traction
KR200270422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270421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JP2000139977A (ja) 腰痛治療椅子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JPH11221257A (ja) 腰痛治療椅子
JPWO2005000172A1 (ja) 健康器具
US7041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umbosacral area
KR2003249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JP2000210318A (ja) 腰痛治療器具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KR100930446B1 (ko) 척추 교정 기능을 구비한 의자
WO2003051159A1 (en) Chair for spinal therapy
JPH0717298Y2 (ja) 座椅子式身体牽引装置
KR102613154B1 (ko) 전신을 견인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