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633B1 - 균형재활훈련장치 - Google Patents

균형재활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633B1
KR102006633B1 KR1020170153102A KR20170153102A KR102006633B1 KR 102006633 B1 KR102006633 B1 KR 102006633B1 KR 1020170153102 A KR1020170153102 A KR 1020170153102A KR 20170153102 A KR20170153102 A KR 20170153102A KR 102006633 B1 KR102006633 B1 KR 10200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upper guide
movement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068A (ko
Inventor
원병희
김종현
이창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6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61H2201/0196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A61H2230/625Pos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균형재활훈련장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측면 움직임을 보조하는 상부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균형재활훈련장치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링크부 및 상기 하부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균형재활훈련장치{A balanced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균형재활훈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움직임이 있는 동안 환자가 장치에서 낙상하지 않도록 안전성을 향상시킨 균형재활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뇌병변의 발병률과 함께 이에 따른 대표적인 후유증인 편마비로 인해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뇌병변은 대표적인 노인성질환으로 편마비에 따른 재활환자들 역시 대부분 고령자이다.
고령의 재활환자들의 재활치료를 수행하는 간병인, 의료진 등의 경우 증가하는 환자의 수는 부담일 수 밖에 없다. 이들에 대한 재활치료를 돕고 간병인 및 의료진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많은 재활훈련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활훈련장치의 경우 환자의 실제 동작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특히 서서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환자의 기울임에 대하여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낙상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정적인 재활훈련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의료진 등에 치료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간병인의 노동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균형재활훈련장치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790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환자의 재활훈련 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안정적인 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직접적으로 환자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환자에게 맞는 훈련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측면 움직임을 보조하는 상부가이드유닛; 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상부가이드유닛은 상기 환자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상부링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상기 상부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링크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가 탄성체를 포함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유닛은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상부가이드유닛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는 상기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가 구비된 하부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부가이드유닛은 상기 시트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링크부; 및 상기 하부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환자의 골반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하부가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운동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링크부; 및 상기 하부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골반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하부가이드부; 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환자의 움직임을 보조함으로써 환자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재활훈련을 진행 할 수 있다.
둘째, 환자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기울어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환자에게 맞는 훈련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가이드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가이드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가이드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가이드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는 프레임(100) 및 상부가이드유닛(2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의 바디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가이드레일(120)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20)은 후술할 상부가이드유닛(200)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때,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환자의 운동정보나 환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내용의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화면의 정보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재활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부가이드유닛(200)은 환자의 상반신의 측면 움직임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부가이드유닛(200)은 가이드레일(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레일(120)과 연결된다.
상부가이드유닛(200)은 환자의 상반신 즉, 흉부나 복부의 측면을 감싸 이들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인 환자가 기립한 상태로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흉부 및 복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부가이드유닛(200)이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흉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부가이드유닛(200)이 작동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재활상태 및 사용환경에 따라 작동하는 구성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부가이드유닛(200)은 상부가이드부(220) 및 상부링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가이드부(220)는 환자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가이드부(220)는 단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움직임을 보조 시 환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부가이드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흉부 또는 복부의 측면을 모두 감싸거나 선택적으로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상부가이드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링크부(240)는 상부가이드부(220)와 가이드레일(120)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 때, 상부가이드유닛(200)은 가이드레일(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환자는 재활상태 또는 사용환경에 적합하게 상부링크부(2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의 상부가이드부(220)는 상부링크부(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부가이드부(220)는 상부링크부(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부가이드유닛(200)은 환자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재활훈련 시 예측하지 못하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상부가이드부(220)가 회전하며 환자의 측면을 감싸 환자가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재활 훈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상부가이드부(22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환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처할 수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종래의 경우, 환자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환자의 통제범위를 벗어나는 기울임 또는 자세에 대하여 낙상의 위험이 있으나 본 발명은 상부가이드부(220)와 상부링크부(240)를 통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링크부(24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일부가 탄성체를 포함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부가이드유닛(200)의 구성은 환자가 자연스럽게 재활훈련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부링크부(240)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는 자신의 신체사이즈에 맞추어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링크부(240)는 리니어액츄에이터(linear actua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의 목적과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링크부(240)에 구비되는 탄성체에 의해 환자는 재활 훈련의 효율을 높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부링크부(240)에 탄성체가 구비됨으로써, 환자는 움직임을 통해 상부가이드부(220)에 접촉하게 되더라도 관성에 의해 탄성체가 수축하는 정도까지 움직임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부가이드유닛(200)은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는 상부링크부(240)의 가이드레일(120)에 대한 이동이나 상부링크부(240)의 길이조절 또는 상부가이드부(220)의 회전에 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상부가이드유닛(200)은 환자의 움직임 정도 등을 판단하고 이에 대해 적절하게 동력부를 통해 상부가이드유닛(200)을 작동함으로써, 환자의 운동에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의 수동적인 재활훈련장치에서 벗어나, 환자의 재활훈련을 더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를 갖는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상부가이드유닛(200)은 제어부 및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환자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그 결과 값을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움직임은 센서부가 스캔을 통해 알 수도 있고, 상부가이드부(220) 및 상부링크부(240)의 회전, 길이조절 값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즉, 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면서 회전하는 상부가이드부(220)의 각도, 상부링크부(240)의 수축하는 길이 또는 환자가 상부가이드부(220)에 접촉하는 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의료진 등은 환자는 비슷한 체격을 갖는 건강한 사람 또는 다른 환자와 비교하여 재활훈련의 훈련량 등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함으로써 환자, 의료진 등에 피드백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를 통해 환자마다 맞춤 식 재활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의 측정 값에 따라 상부가이드유닛(200)의 움직임을 컨트롤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센서부의 결과 값을 통해 상부가이드유닛(200)의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컨트롤함으로써, 환자가 더욱 안전하게 재활훈련을 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는 움직임이 자유스럽지 못하고 활동반경이 좁은 환자를 건강할 때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재활훈련 시 요구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는 하부가이드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가이드유닛(300)은 시트부(360), 하부링크부(340) 및 하부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가이드유닛(300)은 환자의 하반신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환자의 골반, 허벅지, 종아리의 측면을 감싸 이들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시트부(360)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을 의미하며 그 형상이나 재질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시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하부링크부(340)는 시트부(360)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부에 탄성체를 포함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부링크부(340)는 시트부(360)가 아닌 가이드레일(140)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하부링크부(340)는 가이드레일(140)에 연결되어 환자가 기립하거나 시트부(360)에 앉은 상태에서 환자의 하반신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하부링크부(340)는 상부링크부(240)와 마찬가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링크부(3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가이드유닛(300)의 하부링크부(340)는 상부가이드유닛(200)의 상부링크부(2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갖거나 구동 될 수 있다.
즉, 하부링크부(340)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신체사이즈에 맞추어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하부링크부(340)는 리니어액츄에이터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부가이드부(320)는 하부링크부(3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하반신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링크부(340)와 마찬가지로, 하부가이드부(320)는 상부가이드부(2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동할 수 있다.
즉, 하부가이드부(320)는 환자의 하반신에 대한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가 시트부(360)에 착석하여 균형재활훈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골반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일어서서 균형재활훈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골반 외에 다리의 측면 부분에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하부가이드유닛(300)은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유닛(300)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환자는 더욱 편리하게 본 발명의 균형재활훈련장치의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부가이드유닛(300)이 고정된 상태인 경우 환자는 시트부(360)에 앉아서 균형재활훈련장치를 사용하다 기립하여 사용 시 시트부(360)와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하부가이드유닛(300)이 이동함에 따라 위와 같은 간섭현상이 제거되므로, 환자는 균형재활훈련장치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위와 같은 하부가이드유닛(300)에 구비되는 구성의 회전 또는 이동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 센서부 및 동력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프레임
120: 가이드레일
140: 디스플레이부
200: 상부가이드유닛
220: 상부가이드부
240: 상부링크부
300: 하부가이드유닛
320: 하부가이드부
340: 하부링크부
360: 시트부

Claims (9)

  1.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환자의 상반신의 측면 움직임을 보조하는 상부가이드유닛; 및
    상기 환자가 착석할 수 있고,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시트부가 구비되는 하부가이드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유닛은
    상기 환자의 상반신의 측면을 감싸는 상부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상부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가이드유닛은
    상기 시트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가 탄성체를 포함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하부링크부; 및
    상기 하부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하반신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하부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상기 상부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링크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가 탄성체를 포함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균형재활훈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유닛은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상부가이드유닛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균형재활훈련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환자의 운동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균형재활훈련장치.
  9. 삭제
KR1020170153102A 2017-11-16 2017-11-16 균형재활훈련장치 KR10200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02A KR102006633B1 (ko) 2017-11-16 2017-11-16 균형재활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02A KR102006633B1 (ko) 2017-11-16 2017-11-16 균형재활훈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68A KR20190056068A (ko) 2019-05-24
KR102006633B1 true KR102006633B1 (ko) 2019-08-02

Family

ID=6667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02A KR102006633B1 (ko) 2017-11-16 2017-11-16 균형재활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6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422Y1 (ko) * 2001-12-18 2002-04-03 배수호 척추 교정용 의자
KR100797812B1 (ko) * 2006-07-27 2008-01-24 원남메디칼 (주)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JP2011067227A (ja) 2009-09-22 2011-04-07 Waseda Univ 歩行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4172B2 (en) * 2004-06-29 2009-06-09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 Enterprises Walk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KR101672711B1 (ko) * 2015-01-16 2016-11-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앉은 자세 균형 훈련용 의자 시스템
KR101885112B1 (ko) 2015-12-30 2018-08-0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훈련 시스템
KR101845961B1 (ko) * 2016-02-29 2018-04-05 백승억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422Y1 (ko) * 2001-12-18 2002-04-03 배수호 척추 교정용 의자
KR100797812B1 (ko) * 2006-07-27 2008-01-24 원남메디칼 (주)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JP2011067227A (ja) 2009-09-22 2011-04-07 Waseda Univ 歩行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68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58B1 (ko) 좌석형 재활 운동장치
JP5117726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並びに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器械
US9565947B2 (en) Standing-up trainer
KR100815477B1 (ko) 사지 강직 환자용 물리치료 장치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AU2015411108B2 (en) Assistance robot
WO2006011408A1 (ja) 運動補助装置
KR102629954B1 (ko) 스텝 운동이 가능한 안마의자와 이를 이용한 운동 및 안마 방법
KR101433281B1 (ko)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875038B1 (ko) 3차원 척추교정 재활운동 기구
KR101639730B1 (ko)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KR102608339B1 (ko) 레그 익스텐션 운동이 가능한 안마의자와 이를 이용한 운동 및 안마 방법
KR102006633B1 (ko) 균형재활훈련장치
KR101868056B1 (ko) 숄더 프레스 운동이 가능한 안마의자와 이를 이용한 운동 및 안마 방법
KR20230001757U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5382508B2 (ja) 起立補助装置
KR20180083118A (ko) 사용자 맞춤형 스트레칭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칭 방법
EP3025694B1 (en) Holder and assisting robot
JP2021511189A (ja) 脊椎牽引機
JP5564660B2 (ja) 牽引治療装置
KR101527593B1 (ko) 전보행 재활 훈련기
US5843004A (en) Device for the diagnosis and/or therapy of a person
JP6633113B2 (ja) 保持具および介助ロボット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RU15125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и леч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