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961B1 -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961B1
KR101845961B1 KR1020160023908A KR20160023908A KR101845961B1 KR 101845961 B1 KR101845961 B1 KR 101845961B1 KR 1020160023908 A KR1020160023908 A KR 1020160023908A KR 20160023908 A KR20160023908 A KR 20160023908A KR 101845961 B1 KR101845961 B1 KR 10184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bration
support
correction
support arm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417A (ko
Inventor
백승억
김국주
Original Assignee
백승억
김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억, 김국주 filed Critical 백승억
Priority to KR102016002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9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parallel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44Multib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46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sliding movements, e.g. simulating movements of a natural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가 직립된 자세로 서서,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켜 근육의 단련을 통해 척추 측만증을 교정하도록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Upright scoliosis orthodontic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가 직립된 자세로 서서,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켜, 근육의 단련을 통해 척추 측만증을 교정하도록 하는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목 부분의 경추, 등 부분의 흉추, 허리 부분의 요추, 천골 부분의 천추, 미골 부분의 미추로 이루어지며 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옆에서 보면 경추와 요추는 앞으로 휘고 흉추와 천추부는 뒤로 휘어져 있다.
반면,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휘어있는 것을 말하는데 약 85~90%가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척추 측만증이라고 한다. 태아 때 척추 생성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발생한 척추 측만증은 선천성 척추 측만증이라 하며, 이 외에 중추 신경계나 신경학적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 근육성 척추 측만증, 신경 섬유종에 의한 척추 측만증과 마르팡(Marfan) 증후군 등 여러 증후군이 동반된 척추 측만증이 있다.
한편 척추 측만증은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치료에 의존하고 있는데 치료방법으로는 수술, 약물, 물리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물리요법은 침대에 환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부분을 잡아 당겨 척추 전체에 견인력이 전달되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식은 기계의 작동을 통해 물리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척추를 견인하는 치료 방법으로 고도로 숙련된 의료인의 직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척추의 경추, 흉추, 요추, 천추, 미추 중 한곳의 부위만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른 부위의 척추는 다른 기구를 이용하거나 의료인이 직접 신체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척추 측만증 환자들은 척추 측만증으로 인하여 허리근육, 등근육, 목근육등이 약해짐으로 상기의 근육을 보완하는 근력운동을 동시에 실시해야 하나 종래의 기술들은 척추 측만증만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어 상기의 근육 운동을 하기 위해서 다른 운동기구를 구입하거나 별도의 운동방법을 찾아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료기구가 침대형태로 누워서 치료를 받아야 함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과 치료를 하는 동안 TV를 시청하는 등의 시각적 행동을 할 수 없어 무료하고 지루한 치료가 되어 많은 환자들이 중도에 포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7-01224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1073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1962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36230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가 교정공간 내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켜 해당 척추 부위의 근육 단련을 통해 척추 측만증을 교정하도록 하는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는,
하부에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양편에 승강 가이드가 직립되게 형성되어 베이스와 승강 가이드 사이에 교정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교정공간의 양편에 배치된 각 승강 가이드의 상반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교정공간 내에 내향 돌출되게 교정단을 형성한 교정 지지암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교정 지지부; 및
상기 각 승강 가이드의 하반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교정공간 내에 내향 돌출된 협지암을 통해 베이스에 직립된 환자의 골반을 지지하는 골반 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교정공간 내에 직립한 척추 측만증 환자는, 골반 협지부을 통해 골반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교정공간의 측부에 내향 돌출된 교정 지지암의 교정단에 측만 교정을 요하는 척추의 교정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켜서, 해당 교정부위의 단련을 통해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교정 지지부는, 승강레일에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승강 가이드와; 상기 승강 가이드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수평 가이드와; 상기 수평 가이드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교정공간의 좌우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교정 지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정을 요하는 교정부위의 높이에 따라 승강 가이드를 상하 승강시켜 교정 지지암의 위상을 조절하고, 척측 측만 교정 정도에 따라 교정 지지암을 수평으로 진퇴시켜서, 환자는 교정을 요하는 척추 측만 부위를 이격된 교정 지지암의 교정단에 자의적으로 밀착시켜 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교정 지지암은, 수평 가이드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진퇴부재와; 단부에 교정단이 형성된 교정부재와; 상기 진퇴부재와 교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교정부재의 수평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도 조절구조를 통해 교정부재를 통한 지지각도를 조절하여 입체적으로 척추 측만을 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도 조절구조는,
상기 교정부재의 후미에 형성되며, 축공과 상기 축공과 동심구조의 원호형의 각도 조절슬롯이 형성된 각도 조절 브라켓과; 상기 각도 조절 브라켓의 축공과 축공이 형성된 진퇴부재를 상하 관통하여, 진퇴부재의 내측단에 교정부재를 회동구조로 고정시키는 고정축과; 상기 각도 조절슬롯을 관통하여 진퇴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각도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각도 조절 브라켓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는 회동 지지구와 상기 회동 지지구에 진퇴구조로 고정되는 교정단, 및 상기 교정단을 내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의적으로 밀착되는 환자의 척추 교정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교정공간 내에는 직립된 환자의 상체 전방과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환자의 상체를 전후로 직립시키는 전방 지지암과 후방 지지암을 포함하는 상체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 지지암과 후방 지지암을 통해 상체의 전방과 후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가 교정공간 내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켜 해당 척추 부위의 근육 단련을 통해 척추 측만증을 교정하도록 한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척추의 교정부위를 강제적으로 가압하여 척추 측만이 발생된 부위를 교정하는 형태가 아니라, 척추 측만환자가 자의적으로 척추 교정부위를 이동시켜 해당 부위를 단련하고 자세를 교정하여 척추 측만을 치료하도록 구성하면, 해당 척추 교정부위의 무리가 가지 아니하고 또 지속적인 단련이 가능하므로 척추 측만 교정 치료에 따른 향상된 효율성이 확보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교정 지지암의 교정단을 수평으로 회전시켜 자의적으로 밀착되는 척추 측만부위를 입체적으로 교정할 수 있어, 척추 교정에 따른 효율성이 배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를 통한 척추 측만 교정 치료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골반 지지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에 있어, 교정 지지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과 도 9는 상기 도 2와 도 3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에 있어, 교정 지지부의 세부 구성, 및 편심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를 통한 척추 측만 교정 치료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골반 지지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에 있어, 교정 지지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과 도 9는 상기 도 2와 도 3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에 있어, 교정 지지부의 세부 구성, 및 편심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척추 측만증이 발생된 환자가 교정공간 내에 직립된 자세로 서서, 교정을 요하는 지점으로 척추의 교정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켜 해당 척추 부위의 근육 단련과 자세 교정을 통해 척추 측만증을 교정 치료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척추 측만이 발생된 교정부위를 강제적으로 밀어 해당 부위를 척추 측만이 발생된 해당 부위를 교정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척추 측만이 발생된 교정부위를 환자가 의사에 의해 자의적으로 교정 위치로 이동시켜서 척추 측만 해당 부위의 단련과 자세 교정을 통해 척추 측만을 교정 치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환자는 자신의 척추 측만 상태에 따라 자의적이고 능동적으로 척추 측만이 발생된 부위를 이동시켜 교정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종래 해당 교정부위를 강제로 가압하여 교정함에 따른 신체적인 무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베이스(1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의 양측에 승강레일(12)이 직립되게 형성되어 베이스(10)와 승강레일(12) 사이에 교정공간(S)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각 승강레일(12)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교정공간(S) 내에 내향 돌출된 협지암(23)을 통해 베이스(11)에 직립된 척추 측만환자의 골반을 좌우 지지하는 골반 협지부(20)와; 상기 교정공간(S)의 상반부에 전방 지지암(31)과 후방 지지암(32)을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시켜, 교정공간(S) 내에 직립된 척추 측만환자의 상체 전방과 후방을 각각 지지하여 척추 측만환자의 상체를 전후로 직립시키는 상체 지지부(30); 및 상기 교정공간(S)의 양측에 배치된 각 승강레일(12)의 상반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교정공간(S) 내에 교정 지지암(43)을 내향 돌출시킨 하나 이상의 교정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체 지지부(30)를 구성하는 전방 지지암(31)과 후방 지지암(32)은 절곡을 통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져, 체형에 따라 각기 다른 전후폭을 갖는 척추 측만환자의 상체의 전방과 후방을 공용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의 양측에 직립된 승강레일(12) 사이에는 연결 프레임(14)을 배치하여, 베이스(10)의 양측에 직립된 승강레일(12)의 강성이 보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승강레일(12) 내에는 위치공(13a)들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위치 고정바(13)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척추 측만환자의 골반을 지지하는 골반 협지부(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승강레일(12)에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승강 가이드(21)와, 상기 승강 가이드(21)에 고정되어 승강하는 수평 가이드(22), 및 상기 수평 가이드(22)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수평으로 진퇴하는 협지암(23)을 포함한다.
상기 골반 협지부(20)를 구성하는 승강 가이드(21)에는 위치 고정바(13)에 형성된 위치공(13a) 중 어느 하나의 위치공(13a)에 삽입되어 조절된 승강 가이드(21)의 위상을 고정시키는 고정핀(21a)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22)와 협지암(23) 사이에는 좌우 이격되게 형성된 위치공(23a)들과, 상기 위치공(23a)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공(23a)에 삽입되어 수평으로 진퇴한 협지암(23)을 고정하는 고정핀(22a)이 형성되어서, 수평 가이드(22)를 따라 수평으로 진퇴한 협지암(23)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협지암(23)의 단부에는 협지패드(23b)가 형성되어 교정공간(S) 내에 직립된 척추 측만환자의 골반의 측부를 감싸 안정되게 협지시켜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물리 치료사는 치료를 요하는 척추 측만환자의 신장과 골반의 높이, 그리고 골반의 폭을 고려하여, 골반 협지부(20)를 구성하는 승강 가이드(21)의 위상 조절과 협지암(23)의 수평 진출거리를 조절하여서, 교정공간(S) 내에 직립된 척추 측만환자의 골반을 안정되게 협지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승강레일(12)에 2개의 교정 지지부(40)를 상하 이격되게 배치하여, 이들 2개의 교정 지지부(40)을 통해 본체(10)의 교정공간(S) 내에 직립하여 자의적으로 교정부위를 각각 지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승강레일(12)에 배치되어 본체의 좌우 양측에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교정 지지부(40)는, 도 1과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레일(12)에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승강 가이드(41)와; 상기 승강 가이드(41)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수평 가이드(42)와; 상기 수평 가이드(42)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교정공간(S)의 좌우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교정 지지암(43)을 포함한다.
상기 교정 지지부(40)의 승강 가이드(41)에는 승강레일(12)의 위치 고정바(13)에 형성된 위치공(13a) 중 어느 하나의 위치공(13a)에 삽입되어 승강 가이드(41)의 위상을 고정시키는 고정핀(41a)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42)에는 좌우 진퇴한 협지암을 압착시켜 고정하는 고정볼트(42a)가 설치되어서, 수평 가이드(42)를 따라 수평으로 진퇴한 교정 지지암(43)의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와 같이 상기 척추 측만환자가 본체(10)의 베이스(11)를 딛고 서서 교정공간(S) 내에 직립된 자세를 유지하면, 물리 치료사는 골반 협지부(20)의 위상조절과 협지암(23)의 내향 돌출거리를 조절하여 골반을 좌우 협지하고 상체 지지부(30)의 전방 지지암(31)과 후방 지지암(32)을 굽힘하여 상체의 전방과 후방을 지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물리 치료사는 각 교정 지지부(40)의 승강 가이드(41)를 승강시켜 교정 지지암(43)의 위상을 조절하고, 교정 지지암(43)을 좌우로 진퇴시켜 척추 측만환자의 척추 측만부위의 최종으로 교정되는 지점에 교정 지지암(43)의 교정단(43b-b)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본체(10)의 교정공간(S) 내에 직립된 척추 측만환자는 도 2 내지 도 3 및 도 8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정 안내지점(P)에 위치된 교정 지지암(43)의 교정단(43b-b)에, 교정을 요하는 척추 측만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키게 되며, 이러한 교정 과정에 해당 척추 측만부위의 단련과 자세 교정이 이루어져 척추 측만이 교정 치료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척추 측만이 발생된 척추 측만부위를 강제적으로 가압하여 척추측만 부위를 교정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척추 측만부위를 환자가 직접 자의적이고 능동적으로 교정 안내지점(P)로 이동시켜서 해당 척추 측만부위의 단련과 자세 교정을 통해 척추 측만을 치료하므로, 종래 해당 교정부위를 강제로 가압하여 측만 부위를 교정 치료함에 따른 신체적으로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승강레일(12)의 상부에 베이스(11)를 딛고 교정공간 내에 직립한 척추 측만환자가 팔을 뻗은 상태로 잡는 거상 손잡이(15)를 각각 마련하여, 거상 손잡이(15)를 통해 교정공간(S) 내에 직립한 척추 측만환자는 신체를 곧게 전개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각 거상 손잡이(15)는 도 2와 같이 승강레일(12)의 상부에 거상 스프링(15a)에 의해 상향 탄지된 형태로 설치되어, 거상 손잡이(15)를 파지한 척추 측만환자는 거상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 탄지된 거상 손잡이(15)를 파지하는 행위를 통해 몸을 곧게 전개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교정 지지부를 구성하는 교정 지지암을 통해 척추 측만부위의 교정위치를 입체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기 다른 형태로 측만이 발생된 척추 측만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척추 측면 교정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교정 지지부(40)를 구성하는 교정 지지암(43)을 수평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진퇴하는 진퇴부재(43a)와; 단부에 교정단(43b-b)이 형성된 교정부재(43b)로 분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진퇴부재(43a)의 내측단에 교정부재(43b)를 각도 조절구조로 고정시켜, 교정부재(43b)의 각도 조절을 통해 교정단(43b-b)의 교정 지지 각도를 전환하도록 한다.
상기 각도 조절구조는, 교정부재(43b)의 후미에 형성되며, 축공(43c-a)과 상기 축공(43c-a)과 동심구조의 원호형의 각도 조절슬롯(43c-b)이 형성된 각도 조절 브라켓(43c)과; 상기 각도 조절 브라켓(43c)의 축공(43c-a)과 축공(43a-a)이 형성된 진퇴부재(43a)를 상하 관통하여, 진퇴부재(43a)의 내측단에 교정부재(43b)를 회동구조로 고정시키는 고정축(43d)과; 상기 각도 조절슬롯(43c-b)을 관통하여 진퇴부재(43a)에 형성된 체결공(43a-b)에 체결되는 각도 고정볼트(43e)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리 치료사는 각 교정 지지부(40)에 마련된 각도 조절구조를 통해 교정부재(43b)의 각도를 수평 교정 지지각도를 전환시켜 교정단(43b-b)의 위치 및 각도를 전환시켜서, 자의적으로 근접되는 척추 측만환자의 척추 측만부위를 지지 각도를 변경시켜 입체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교정부재(43b)는 각도 조절 브라켓(43c)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는 회동 지지구(43b-a)와 상기 회동 지지구(43b-a)에 진퇴구조로 고정되는 교정단(43b-b), 및 상기 교정단(43b-b)을 내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3b-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의적으로 밀착되는 환자의 척추 교정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 10에서는 상기 각도 조절구조를 통해 진퇴부재의 단부에 수평 회전구조로 설치된 교정단을 일자형으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절곡구간에 의해 "
Figure 112017091992316-pat00001
"형으로 절곡되어 교정단(43b-b')의 편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편심 회전형으로 구성하여, 교정단(43b-b')은 직교방향으로 편심 회전하여 교정 지지위치를 상하 및 좌우 변경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물리 치료사는 각 교정 지지부(40)에 마련된 각도 조절구조를 통해 교정부재(43b)의 각도를 수평 교정 지지각도를 전환하고, 또 교정단(43b-b')의 편심 회전을 통해 교정 위치를 전환시켜 교정단(43b-b')의 위치 및 각도를 입체적으로 전환시켜서, 자의적으로 근접되는 척추 측만환자의 척추 측만부위의 지지 각도를 수평뿐만 아니라 수직으로도 변경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정부재(43b)에는 자의적으로 밀착되는 환자의 척추 교정부위의 가압에 의해 진퇴하는 교정단(43b-b)의 진퇴거리를 감지하고, 교정단(43b-b)의 가압이 감지되면 알림하는 교정 알림부를 부가한다.
상기 교정 알림부는 교정단(43b-b)의 가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유닛(51)과, 상기 감지센서 유닛(51)에 의해 교정단(43b-b)의 가압이 감지되면 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하는 알림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유닛은 스피커, 스마트폰, 모니터 등이 채택되어, 척추 측만 부위의 교정 치료 상태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의적으로 밀착되는 척추 측만환자의 척추 교정부위의 가압에 의해 교정단(43b-b)이 가압되어 후퇴하면 감지센서 유닛(51)은 이를 감지하고, 알림유닛(미도시)을 통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한다.
예컨대, 설정된 교정지점(P)이 위치된 교정단(43b-b)에 척추 측만환자의 척추 측만 부위가 제대로 밀착되지 아니하면 안내유닛은 "밀착상태가 불량합니다. 더 밀착시켜 주세요."라는 안내멘트를 제공하고, 상기 교정단(43b-b)에 척추 측만환자의 척추 측만 부위가 안정되게 밀착되면 안내유닛은 "밀착상태가 양호합니다.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멘트를 제공하고, 또 상기 상기 교정단(43b-b)에 척추 측만환자의 척추 측만 부위가 과도하게 밀착되면 안내유닛은 "밀착이 과도합니다. 좀더 부드럽게 밀착 유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멘트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닛은 음성 안내 뿐 아니라,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환자의 해당 부위의 교정상태를 안내하여서, 척추 교정에 따른 정밀도를 향상하면서 흥미와 유희감을 고취시켜서 지속적인 척추 측만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교정공간(S) 내에서 직립된 자세로 서서 척추 측만부위를 교정단(43b-b)에 자의적으로 밀착시켜 교정하는 척추 측만환자는 교정 알림부를 통해 자신의 교정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척추 측만환자는 자의적으로 교정단이 위치된 교정지점에 척추 측만이 발생된 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서, 고도의 척추 측만의 교정 치료를 수행한다.
1.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10. 본체 11. 베이스
12. 승강레일 13. 위치 고정바
13a. 위치공 14. 연결 프레임
15. 거상 손잡이 15a. 거상 스프링
20. 골반 협지부 21. 승강 가이드
22. 수평 가이드 22a. 고정핀
23. 협지암 23a. 위치공
23b. 협지패드
30. 상체 지지부 31. 전방 지지암
32. 후방 지지암
40. 교정 지지부 43b-b. 교정단
41. 승강 가이드 41a. 위치 고정핀
42. 수평 가이드 42a. 고정볼트
43. 교정 지지암 43a 진퇴부재
43a-a. 축공 43a-b. 체결공
43b. 교정부재 43b-a. 회동 지지구
43b-b, 43b-b'. 교정단 43b-c. 스프링
43c. 각도 조절 브라켓 43c-a. 축공
43c-b. 각도 조절슬롯 43d. 고정축
43e. 각도 조절볼트
51. 계측센서 유닛

Claims (4)

  1. 하부에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양편에 승강 가이드가 직립되게 형성되어 베이스와 승강 가이드 사이에 교정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교정공간의 양편에 배치된 각 승강 가이드의 상반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교정공간 내에 내향 돌출되게 교정단을 형성한 교정 지지암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교정 지지부; 및
    상기 각 승강 가이드의 하반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교정공간 내에 내향 돌출된 협지암을 통해 베이스에 직립된 환자의 골반을 지지하는 골반 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교정공간 내에 직립한 척추 측만증 환자는, 골반 협지부을 통해 골반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교정공간의 측부에 내향 돌출된 교정 지지암의 교정단에 측만 교정을 요하는 척추의 교정부위를 자의적으로 밀착시켜서, 해당 교정부위의 단련을 통해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교정 지지부는,
    승강레일에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승강 가이드와; 상기 승강 가이드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수평 가이드와; 상기 수평 가이드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교정공간의 좌우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교정 지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정을 요하는 교정부위의 높이에 따라 승강 가이드를 상하 승강시켜 교정 지지암의 위상을 조절하고, 척측 측만 교정 정도에 따라 교정 지지암을 수평으로 진퇴시켜서, 환자는 교정을 요하는 척추 측만 부위를 이격된 교정 지지암의 교정단에 자의적으로 밀착시켜 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교정 지지암은,
    수평 가이드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진퇴부재와; 단부에 교정단이 형성된 교정부재와; 상기 진퇴부재와 교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교정부재의 수평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도 조절구조를 통해 교정부재를 통한 지지각도를 조절하여 입체적으로 척추 측만을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구조는,
    상기 교정부재의 후미에 형성되며, 축공과 상기 축공과 동심구조의 원호형의 각도 조절슬롯이 형성된 각도 조절 브라켓과; 상기 각도 조절 브라켓의 축공과 축공이 형성된 진퇴부재를 상하 관통하여, 진퇴부재의 내측단에 교정부재를 회동구조로 고정시키는 고정축과; 상기 각도 조절슬롯을 관통하여 진퇴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각도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각도 조절 브라켓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는 회동 지지구와 상기 회동 지지구에 진퇴구조로 고정되는 교정단, 및 상기 교정단을 내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의적으로 밀착되는 환자의 척추 교정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공간 내에는 직립된 환자의 상체 전방과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환자의 상체를 전후로 직립시키는 전방 지지암과 후방 지지암을 포함하는 상체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 지지암과 후방 지지암을 통해 상체의 전방과 후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KR1020160023908A 2016-02-29 2016-02-29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KR10184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08A KR101845961B1 (ko) 2016-02-29 2016-02-29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08A KR101845961B1 (ko) 2016-02-29 2016-02-29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17A KR20170101417A (ko) 2017-09-06
KR101845961B1 true KR101845961B1 (ko) 2018-04-05

Family

ID=5992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908A KR101845961B1 (ko) 2016-02-29 2016-02-29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633B1 (ko) * 2017-11-16 2019-08-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균형재활훈련장치
KR102173783B1 (ko) * 2018-12-07 2020-11-03 서평강 척추 측만 교정장치
KR102164598B1 (ko) * 2018-12-24 2020-10-12 정욱조 직립 자세 교정기구
KR102323853B1 (ko) * 2020-01-31 2021-11-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CN111228015B (zh) * 2020-03-12 2024-05-07 陈伟超 盆骨与脊椎组合矫正椅
CN112168452A (zh) * 2020-10-27 2021-01-05 华中科技大学 一种脊柱侧凸三维推力矫正装置及其应用
CN115998504A (zh) * 2022-12-23 2023-04-25 吉林大学 矫形辅助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12B1 (ko) * 2006-07-27 2008-01-24 원남메디칼 (주)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12B1 (ko) * 2006-07-27 2008-01-24 원남메디칼 (주)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17A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961B1 (ko)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JP2007508073A (ja) 腹臥位手術の位置決めのためのダイナミック・フレーム
EP2301489B1 (en) Spinal three-dimensional orthopaedic equipment
US9730854B2 (en)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treatment angle under tension to accommodate variations in spinal morphology
CN109310510A (zh) 医疗装置
KR101354760B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KR20190120545A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US20160354273A1 (en) Spinal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KR20170135643A (ko) 3차원 척추교정 재활운동 기구
EP3485863A1 (en) Sacroiliac joint exercise assistance device in lateral decubitus position
US9561395B2 (en)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US20240108531A1 (en) Spinal Weighting Devices
US11291603B2 (en) Spinal cord and meninges stretching frame and method to prevent and treat the root cause of scoliosis
CN106037909B (zh) 胸腰椎椎弓根进钉点以及角度定位装置
KR101809627B1 (ko) 데이터 분류를 통한 최적의 치료 환경을 제공하는 척추재활치료기
RU26128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отерапии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1222773B1 (ko) 교정 보행기
PL391612A1 (pl) Urządzenie do leczenia skolioz
KR200353892Y1 (ko) 교정벨트
KR101899939B1 (ko) 윗몸일으키기 기능을 포함하는 척추 교정기
KR20170050500A (ko) 입식형 자세교정장치
KR102323853B1 (ko)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EP4190253A1 (en) Gui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59358B1 (ko) 일자목 교정기
KR102244223B1 (ko) 척추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