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223B1 - 척추 운동기 - Google Patents

척추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223B1
KR102244223B1 KR1020200189636A KR20200189636A KR102244223B1 KR 102244223 B1 KR102244223 B1 KR 102244223B1 KR 1020200189636 A KR1020200189636 A KR 1020200189636A KR 20200189636 A KR20200189636 A KR 20200189636A KR 102244223 B1 KR102244223 B1 KR 102244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xercise
user
spinal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석
Original Assignee
김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석 filed Critical 김범석
Priority to KR102020018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지지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 중 제 2 지지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제 2 지지대가 제 1 지지대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구성이 간단하고 부피가 적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여 언제 어디서든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척추 견인 운동이 사용자의 능동적인 활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취동기를 고취하고 다른 부분의 운동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척추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 운동기{Spinal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척추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척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몸의 중심을 이루고 기둥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총 33개의 척추뼈로 구성되고, 각 척추뼈는 추간판(디스크)으로 연결되어, 몸을 움직일 때 추간판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몸을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그리고 척추 주변의 근육은 척추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척추에는 혈관과 척수 신경이 분포하고 있으며 상기 척수는 감각정보를 뇌에 전달하고 뇌로부터 받은 명령을 조직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척추는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에 이상이 생겨 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대다수는 비정상적인 생활 즉, 평소 앉는 자세나 수면자세와 같이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질환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경우 척추에 이상이 생기면 성장판에 압박을 주게 되어 그에 따라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하지 못해 성장 촉진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최근에는 척추를 운동시켜 교정하는 기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90680호에 목의 경추부를 앞으로 숙인 상태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척추 견인장치가 있으나, 이는 경추부분만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척추뼈 전체를 신장하고 교정하는 운동을 달성할 수는 없었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3949호에는 사용자의 두부와 둔부를 고정하여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경추 및 요추를 동시에 견인시키는 척추 및 요추 견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교정장치의 부피가 커서 휴대나 이동이 어려워 척추운동을 해당 교정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수행하여야 하므로 충분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가 눕거나 엎드리는 등과 같이 고정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교정장치들이 사용자의 척추뼈를 견인하여 운동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수동적으로 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성취감을 느끼기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동기부여가 어려워 지속적이고 충분한 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부피가 적어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여 언제 어디서든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척추 견인 운동이 사용자의 능동적인 활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취동기를 고취하고 다른 부분의 운동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척추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소정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지지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 중 제 2 지지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제 2 지지대가 제 1 지지대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척추 운동기에 있다.
상기 연결대는 직선 혹은 손잡이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곡선으로 성형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대와 제 2 지지대의 결합부위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운동과정에서 스프링의 텐션에 의하여 신체에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에는 각각 쿠션이 부착되어 신체와 접촉시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은 굽히고 누운 자세에서 제 1지지대를 다리 아래에 위치시키고 제 2지지대를 다리 위에 위시키켜 손잡이를 잡고 밀면 제 1지지대에 의하여 미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신체 특히 척추가 반대로 밀리면서 견인되어 운동되고 이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밀어야 하므로 팔운동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든 척추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척추 운동기를 바닥에 높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우면 척추가 휘어지면서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척추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힘을 가해야만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능동적인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성취감이 높아져서 운동효과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운동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운동기의 곡선형 연결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운동기의 연결대 스프링 설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운동기의 연결대 길이조절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운동기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운동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지지대(10)(20),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10)(20)를 연결하는 연결대(30), 상기 제 2 지지대(2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면서 제 2 지지대(20)가 제 1 지지대(10)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하는 손잡이(4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지지대(10)는 봉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측 다리폭,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릎부분의 양다리 폭과 대응되거나 다소 넓은 길이로 형성되며 외주가 쿠션(12)으로 커버된다.
그리고 제 2 지지대(20) 역시 봉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측 다리폭, 보다 구체적으로는 허벅지부분의 양다리 폭과 대응되거나 다소넓은 길이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외부가 쿠션(22)으로 커버된다.
상기 연결대(30) 역시 봉형태로 형성되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혹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곡선으로 성형되는데, 곡선으로 성형시에는 사용자가 연결대(30) 상부에 누웠을 때 척추뼈가 휘어질 수 있는 정도의 곡률로 성형된다.
한편, 상기 연결대(30)와 제 1 또는 제 2 지지대(10)(20)의 결합부위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50)을 더 구비하여 운동과정에서 스프링(50)의 텐션에 의하여 팔로 운동기를 미는 과정에서 허벅지에 급격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50)의 설치를 위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대(30)에는 제 2지지대(20)를 향해서 연결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스프링 지지바(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바(34)의 외측에는 스프링(50)이 끼워지고 그 종단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제 2지지대(20)를 관통하여 너트로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대(3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길이조절구조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대(30)를 복수개로 이분형성하여 일측 연결대(30a)가 타측 연결대(30b)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연결대(30a)(30b)에는 각각 통공(31)을 천공하여 원하는 길이에서 상기 통공(31)으로 고정을 위한 볼트(32)를 끼워넣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이외에도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길이조절구조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다른 실시 예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손잡이(40)는 제 2 지지대(20)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운동기를 사용할 때 신체를 감쌀 수 있는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척추 운동기를 이용한 운동 동작을 살펴보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늘을 보고 누운 상태로 무릎을 굽힌 후, 상기 연결대(30)를 중심으로 다리를 양측에 놓고 제 1 지지대(10)는 무릎 아래에 제 2 지지대(20)는 허벅지 상부로 위치시킨 후 손잡이(40)가 하부로 향하도록 위치시켜 손잡이를 잡고 밀면 척추뼈가 견인되어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지지대(10)는 무릎아래 다리에 걸려서 미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고 손잡이를 잡고 밀면 제 1 지지대(10)가 고정되어 있어서 반대로 상체가 미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신장되므로 척추뼈가 견인되고, 이 과정에서 팔로 밀어야 하므로 팔운동도 함께 이루어지고, 다리는 그 위치를 지탱하여야 하므로 다리에도 힘을 주게 되어 다리도 운동되어 전신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른 운동방법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지지대(10)와 손잡이(40)가 지면과 닿도록 척추 운동기를 놓은 후 척추 운동기 상으로 누워, 즉 척추가 연결대(30)와 일치되도록 누운 후 몸을 뒤로 젖히면 척추가 휘어지면서 스트레칭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연결대(30)가 곡선으로 형성될 경우 척추의 휘는 곡률과 일치되면서 운동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운동과정에서 제 1 및 제 2 지지대(10)(20)는 신체와 접하게 되는데 쿠션(12)(22)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 접촉과정에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어 운동으로 인하여 멍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10 : 제 1 지지대 20 : 제 2 지지대
30 : 연결대 40 : 손잡이
50 : 스프링

Claims (4)

  1. 사용자가 무릎을 굽힌 상태로 누웠을 때 무릎아래와 허벅지상에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대(10)(20);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10)(20)를 연결하고 곡선으로 형성되는 연결대(30);
    상기 제 2 지지대(2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무릎을 굽힌 상태로 누웠을 때 허벅지상에 위치되는 제 2 지지대(20)가 무릎아래 위치되는 제 1 지지대(10)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제 2지지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40);
    상기 연결대(30)와 제 2 지지대(20)의 결합부위에 구비되는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하늘을 보고 누운 상태로 무릎을 굽힌 후, 제 1 지지대(10)는 무릎 아래에 제 2 지지대(20)는 허벅지 상에 위치시키고 하부를 향하는 손잡이(40)를 손으로 잡고 밀어서 척추뼈가 견인되어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운동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30)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운동기.
KR1020200189636A 2020-12-31 2020-12-31 척추 운동기 KR10224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36A KR102244223B1 (ko) 2020-12-31 2020-12-31 척추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36A KR102244223B1 (ko) 2020-12-31 2020-12-31 척추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223B1 true KR102244223B1 (ko) 2021-04-23

Family

ID=7573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636A KR102244223B1 (ko) 2020-12-31 2020-12-31 척추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2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203A (ja) * 1997-07-30 1999-02-23 Naoyoshi Tatsumi 健康器具
JP3081698U (ja) * 2001-05-11 2001-11-16 稔 中澤 突起腰枕による脊椎矯正と凝り取り器具。
US10463910B1 (en) * 2017-03-08 2019-11-05 Naum Nakhimovsky Portable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203A (ja) * 1997-07-30 1999-02-23 Naoyoshi Tatsumi 健康器具
JP3081698U (ja) * 2001-05-11 2001-11-16 稔 中澤 突起腰枕による脊椎矯正と凝り取り器具。
US10463910B1 (en) * 2017-03-08 2019-11-05 Naum Nakhimovsky Portable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8218A (en) Neck exercising method
US4398713A (en) Exercising device
AU2017349489B2 (en) Neckpillow
US20140221881A1 (en)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KR101615183B1 (ko) 신체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US10966552B2 (en) Cushioning posterior fulcrum back shaper
KR102030379B1 (ko) 경추 교정기
KR20180104916A (ko)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102244223B1 (ko) 척추 운동기
KR20170130767A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KR101294556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US20200085665A1 (en) Spor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ervical vertebrae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KR102323854B1 (ko) 척추측만 재활필라테스 기구
JP4233449B2 (ja) 骨盤矯正装置
CN217908104U (zh) 一种具有下肢牵引功能的脊柱侧弯矫正椅
KR102323853B1 (ko)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KR102173783B1 (ko) 척추 측만 교정장치
KR102175758B1 (ko) 바른 앉은 자세 유도용 안장
KR102613154B1 (ko) 전신을 견인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KR102503243B1 (ko) 척추 측만 및 곡만 교정기
KR101401508B1 (ko) 경추 후관절 교정 장치
CN211068927U (zh) 应用于颈部肌力锻炼与颈椎拉伸的牵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