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853B1 -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3853B1 KR102323853B1 KR1020200012024A KR20200012024A KR102323853B1 KR 102323853 B1 KR102323853 B1 KR 102323853B1 KR 1020200012024 A KR1020200012024 A KR 1020200012024A KR 20200012024 A KR20200012024 A KR 20200012024A KR 102323853 B1 KR102323853 B1 KR 1023238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correction unit
- spine
- mov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12 cardio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875 Spinal Curvatur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307 Sp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339 Spina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567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68 bone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07 exercis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972 idiopathic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25 sku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2 spin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060 spine abnormal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흉부와 골반을 고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는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동안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 이동수단과 좌우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이동부(200); 상하 이동수단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흉부가 위치되도록 하며, 본체(100)에 일측이 귄취된 제1 밴드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흉부가 감싸진 후 고정되면, 사용자의 척추(1)가 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좌우 이동수단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제1 교정부(300); 및 상하 이동수단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골반이 위치되도록 하며, 본체(100)에 일측이 권취된 제2 밴드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골반이 감싸진 후 고정되면, 좌우 이동수단을 통해 제1 교정부(300)의 좌우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제2 교정부(40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키, 척추의 길이, 척추의 휘어진 각도 및 척추측만의 만곡이 심한지점(Apex) 등의 사용자 체형에 맞춰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흉부와 골반을 고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척추는 인체의 중심을 이루어 신체의 등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신체기관이다. 척추는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선골 및 미추로 구성되어 위쪽으로 머리를 받치고, 아래쪽은 골반과 연결되어 체중을 하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척추골 사이에는 섬유 연골성 추간판이 형성되어 두개골로부터 골반골까지 강한 인대와 근육이 결합되어 있어 신체를 지지하고 평행을 유지한다. 또한, 척추와 척추 사이에는 31쌍의 척수신경이 나와서 온몸으로 퍼진 신경가지를 형성하여 제각기 서로 다른 내장기관의 자율운동을 관장하여 신체의 모든 감각을 수용하여 운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다양한 척추의 기능이 적절히 발휘되기 위해서는 뼈, 디스크, 인대, 근육이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잘못된 자세, 과도한 운동 및 장시간의 노동으로 인하여 척추의 인대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척추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 이상 중 하나인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옆으로 굽고 휘어지는 병을 의미한다. 척추측만증이 있는 사람은 척추가 일직선인 정상적인 사람에 비하여 허리가 'S'자형으로 휘어지는 척추의 변형으로 인해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게 된다.
이러한 척추측만증은 교정하지 않으면, 점점 척추의 변형 및 휘어짐이 심해져 심폐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심폐기능의 저하에 의해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척추측만증은 선천적인 척추장애나 스포츠 및 교통사고의 부상에 의한 경우도 있으나, 척추측만증의 85 %가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척추측만증(idiopathic scoliosis)이며, 10세에서 골 성장이 멈추는 시기에 발병하는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이 전체 척추측만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중,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은 척추측만증이 발생하면, 급격하게 척추의 만곡이 진행되기 때문에 조기발견 후 증상에 따라 치료를 해야 하며, 치료 방법으로는 보조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수술에 의한 교정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척추측만증의 예방과 교정을 위한 교정기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6679호(척추 측만증 교정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4760호(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6679호는 고정 받침대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누울 공간을 제공하는 2개의 고정식 지지대, 고정식 지지대 하나에 의해 지지되며 위치 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이동식 벨트 및 이동식 벨트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위치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환자의 척추 만곡과 회전변형의 입체적인 각도에 따라 2개의 고정식 지지대에 다수개의 이동식 벨트가 각각 위치되며 사선이나 수평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기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이동식 벨트로 사용자의 몸통에 힘을 가하여 척추를 교정하는 것이나, 사용자의 몸통을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척추 교정 중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척추 교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1 밴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흉부를 고정하면서 사용자의 척추가 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하는 제1 교정부와, 제2 밴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고정하면서 제1 교정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하는 제2 교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척추 교정동안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는 원형의 본체와,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는 발판부가 구비되는 발판부를 통해 척추 교정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는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동안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 이동수단과 좌우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이동부(200); 상하 이동수단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흉부가 위치되도록 하며, 본체(100)에 일측이 권취된 제1 밴드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흉부가 감싸진 후 고정되면, 사용자의 척추(1)가 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좌우 이동수단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제1 교정부(300); 및 상하 이동수단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골반이 위치되도록 하며, 본체(100)에 일측이 권취된 제2 밴드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골반이 감싸진 후 고정되면, 좌우 이동수단을 통해 제1 교정부(300)의 좌우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제2 교정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0)는, 제2 밴드부(600)의 일측으로부터 권취되기 위한 돌출부(111)를 갖도록 하부가 절단되며, 상부가 이동부(200)와 결합되는 원형의 제1 링(110); 제1 링(110)과 수직 배치되며, 상, 하부가 이동부(200)와 결합되는 원형의 제2 링(120); 및 제1 링(110)과 제2 링(120)을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13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부(200)는,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가 상하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경로와 좌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 레일(210);과 제2 레일(220); 본체(100)의 상부와 결합되며, 제1 교정부(300) 상측과의 접촉을 통해 제1 교정부(300)의 상측 이동을 제어하는 상측 블럭(230); 및 본체(100)의 하부와 결합되며, 제2 교정부(400) 하측과의 접촉을 통해 제2 교정부(400)의 하측 이동을 제어하는 하측 블럭(2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레일(210) 및 제2 레일(220)은, 상하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마다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에 삽입되어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 상하 고정볼(211a)과 제2 상하 고정볼(221a)이 복수로 구비된 제1 상하 이동레일(211);과 제2 상하 이동레일(221); 및 좌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이 삽입된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마다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로부터 이탈되는 제1 상하 고정볼(211a)과 제2 상하 고정볼(221a) 대신에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에 삽입되어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좌우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 좌우 고정볼(212a)과 제2 좌우 고정볼(222a)이 복수로 구비된 제1 좌우 이동레일(212);과 제2 좌우 이동레일(222);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는,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 또는 제1, 2 좌우 고정볼(212a, 222a)이 삽입 가능한 제1 고정볼 삽입구(331)와 제2 고정볼 삽입구(431)가 하나 이상 형성된 제1 슬라이딩 수단(330); 과 제2 슬라이딩 수단(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정부(300)는, 상하 이동수단에 의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을 통해 사용자의 흉부가 위치되며, 제1 밴드부(500)와 좌우 이동수단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상부 지지대(310); 및 상부 지지대(3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제1 밴드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흉부가 감싸진 후 고정되도록 제1 밴드부(500)의 타측이 권취되는 제1 밴드 고정바(32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교정부(400)는, 상하 이동수단에 의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을 통해 사용자의 골반이 위치되며, 제2 밴드부(600)와 좌우 이동수단을 통해 제1 교정부(300)의 좌우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하부 지지대(410); 및 하부 지지대(4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제2 밴드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흉부가 감싸진 후 고정되도록 제2 밴드부(600)의 타측이 권취되는 제2 밴드 고정바(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는, 하측 블럭(240)과 인접하게 본체(100)의 일측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로프(7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로프(700)는, 사용자의 한쪽 발에 의해 가압되며, 한쪽 발의 가압력을 기반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비탄력 재질의 제1 로프(710); 및 제1 로프(710)를 가압하는 한쪽 발과 다른 한쪽 발에 의해 가압되며, 다른 한쪽 발의 가압력을 기반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비탄력 재질의 제2 로프(7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흉부와 골반을 고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키, 척추의 길이, 척추의 휘어진 각도 및 척추측만의 만곡이 심한지점(Apex) 등의 사용자 체형에 맞춰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교정부의 상하 및 좌우 이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교정부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추가 구성되는 발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교정부의 상하 및 좌우 이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교정부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추가 구성되는 발판부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교정부의 상하 및 좌우 이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교정부의 동작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의 추가 구성되는 발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10)는 사용자가 누워 사용하며, 누운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100), 이동부(200), 제1 교정부(300), 제2 교정부(400), 제1 밴드부(500) 및 제2 밴드부(6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00)는 사용자의 파지를 통해 척추(1) 교정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링(110), 제2 링(120) 및 연결 샤프트(130)가 구비된다.
제1 링(110)은 제2 교정부(400)와 함께 사용자의 골반을 고정하기 위한 제2 밴드부(600)의 일측이 권취되도록 돌출부(111)가 하부에 구비되며, 돌출부(111)를 구비하기 위해 하부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링(110)은 상부가 후술될 상측 블럭(230)과 결합되어 이동부(200)를 고정시킨다.
또한, 제1 링(110)은 척추(1) 교정 중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팔을 최대한으로 뻗는 경우에 파지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 링(120)은 제1 링(110)과 동일 직경으로 수직 배치되며, 제1 링(110)과 다르게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링(120)은 상부가 상측 블럭(230)과 결합되며, 하부가 하측 블럭(240)과 결합되어 이동부(200)를 고정시킨다.
또한, 제2 링(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링(110)과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최대한으로 팔을 뻗는 경우에 파지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130)는 제1 링(110)과 제2 링(120)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샤프트이다.
그리고 연결 샤프트(130)는 제1 링(110)과 제2 링(120)의 연결 뿐만 아니라, 척추(1) 교정 중에 사용자가 최대한으로 팔을 뻗어 파지하는 파지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링(110), 제2 링(120) 및 연결 샤프트(130) 중 적어도 하나를 파지되며,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의 구성을 통해 척추(1) 교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움직임을 직접 방지하게 된다.
이동부(200)는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상하 이동 또는 좌우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1 레일(210), 제2 레일(220), 상측 블럭(230) 및 하측 블럭(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레일(210)은 제1 교정부(300)의 일측 및 제2 교정부(400)의 일측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레일(220)과 함께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를 상하 이동 또는 좌우 이동 시키기 위해 제1 상하 이동레일(211) 및 제1 좌우 이동레일(212)로 이루어진다.
제2 레일(220)은 제1 교정부(300)의 타측 및 제2 교정부(400)의 타측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레일(210)과 함께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를 상하 이동 또는 좌우 이동 시키기 위해 제2 상하 이동레일(221) 및 제2 좌우 이동레일(2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는 사용자 또는 별도의 관리자를 에 의해 가압될 때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을 따라 상하 이동된다. 다만,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상하 이동 또는 좌우 이동은 가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전원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와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는 제1 밴드부(500)와 제2 밴드부(600)를 통해 힘이 가해지면서 제1, 2 좌우 이동레일(212, 222)을 따라 좌우 이동된다.
제1 상하 이동레일(211)과 제2 상하 이동레일(221)은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제1 상하 이동레일(211)은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1 상하 고정볼(211a)이 복수로 구비된다.
제2 상하 이동레일(221)은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2 상하 고정볼(221a)이 복수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상하 고정볼(211a)과 제2 상하 고정볼(221a)은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가 제1 상하 이동 레일(211)과 제2 상하 이동레일(221)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마다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어한다.
또한, 제1 상하 고정볼(211a)과 제2 상하 고정볼(221a)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사용자의 키, 척추의 길이 및 척추의 휘어진 각도 등의 사용자 체형에 따라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를 적절하게 이격 배치하여 사용자의 흉부가 제1 교정부(300), 사용자의 골반이 제2 교정부(400)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좌우 이동레일(212)과 제2 좌우 이동레일(222)은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좌우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제1 좌우 이동레일(212)은 제1 상하 고정볼(211a)이 구비된 제1 상하 이동레일(211)의 일부로부터 제1 상하 이동레일(211)의 상하 이동경로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좌우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1 좌우 고정볼(212a)이 복수로 구비된다.
제2 좌우 이동레일(222)은 제2 상하 고정볼(221a)이 구비된 제2 상하 이동레일(221)의 일부로부터 제2 상하 이동레일(221)의 상하 이동경로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좌우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2 좌우 고정볼(222a)이 복수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좌우 고정볼(212a)과 제2 좌우 고정볼(222a)은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이 이탈되면, 제1 좌우 이동레일(212)와 제2 좌우 이동레일(222)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마다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의 좌우 이동거리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1 좌우 고정볼(212a)과 제2 좌우 고정볼(222a)은 도면 상에 하나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척추의 휘어진 각도 및 척추측만의 만곡이 심한지점(Apex) 등의 사용자 체형에 따라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척추(1)를 교정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갯수가 증가할수록 척추(1) 교정의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상측 블럭(230)은 제1 링(110)의 상부와 제2 링(120)의 상부와 결합되어 제1, 2 레일(210, 220)이 제2 링(1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위치가 고정되며,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제1 교정부(300)의 상측과 접촉됨으로써, 제1 교정부(300)의 상측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를 통해 제1 교정부(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측 블럭(240)은 제2 링(120)의 하부와 결합되어 제1, 2 레일(210, 220)이 제2 링(1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위치가 고정되고,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제2 교정부(400)의 하측과 접촉됨으로써, 제2 교정부(400)의 하측 이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를 통해 제2 교정부(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교정부(300)는 제1, 2 레일(210, 220)을 통해 상하 이동 또는 좌우 이동되고, 제1 밴드부(5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흉부(상체)를 고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 지지대(310), 제1 밴드 고정바(320) 및 제1 슬라이딩 수단(3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지지대(310)는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과 제1 슬라이딩 수단(330)에 의한 상측 이동 또는 하측 이동을 통해 사용자가 누울 시 상측에 사용자의 흉부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대(310)는 좌측과 우측 중 제1 밴드부(500)의 일측이 묶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밴드부(500)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지지대(310)는 제1, 2 좌우 이동레일(212, 222), 제1 밴드 고정바(320) 및 제1 밴드부(500)에 의해 좌측과 우측 중 척추(1)가 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밴드부(500)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한다.
제1 밴드 고정바(320)는 상부 지지대(3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본체(100)에 권취된 후, 사용자의 흉부를 감싼 제1 밴드부(600)의 타측이 권취됨으로써, 사용자의 흉부가 제1 밴드부(500)를 통해 상부 지지대(3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1 슬라이딩 수단(330)은 상부 지지대(310)가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이 삽입 가능한 제1 고정볼 삽입구(331)가 형성된다.
제1 고정볼 삽입구(331)는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 뿐만 아니라, 제1, 2 좌우 고정볼(212a, 222a)이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부 지지대(310)는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을 통해 상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제1, 2 좌우 이동레일(212, 222)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더 나아가, 제1 고정볼 삽입구(331)는 도면 상에 하나로 도시되었으나, 상부 지지대(310)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으로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기 위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갯수가 증가할수록 척추(1) 교정의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제2 교정부(400)는 제1, 2 레일(210, 220)을 통해 상하 이동 또는 좌우 이동되고, 제2 밴드부(6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골반을 고정함과 동시에 제1 교정부(300)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부 지지대(410), 제2 밴드 고정바(420) 및 제2 슬라이딩 수단(4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지지대(410)는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과 제2 슬라이딩 수단(430)에 의한 상측 이동 또는 하측 이동을 통해 사용자가 누울 시 상측에 사용자의 골반이 위치된다.
또한, 하부 지지대(410)는 좌측과 우측 중 제2 밴드부(500)의 일측이 묶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 밴드부(600)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지지대(410)는 제1, 2 좌우 이동레일(212, 222), 제2 밴드 고정바(420) 및 제2 밴드부(600)에 의해 좌측과 우측 중 제1 교정부(300)의 좌우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밴드부(600)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한다.
제2 밴드 고정바(420)는 하부 지지대(410)의 양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돌출부(111)에 권취된 후, 사용자의 골반을 감싸는 제2 밴드부(600)의 타측이 권취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이 제2 밴드부(600)를 통해 하부 지지대(4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2 슬라이딩 수단(430)은 하부 지지대(410)가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이 삽입 가능한 제2 고정볼 삽입구(431)가 형성된다.
제2 고정볼 삽입구(431)는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 뿐만 아니라, 제1, 2 좌우 고정볼(212a, 222a)이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하부 지지대(410)는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을 따라 상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제1, 2 좌우 이동레일(212, 222)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더 나아가, 제2 고정볼 삽입구(431)는 도면 상에 하나로 도시되었으나, 하부 지지대(410)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으로 제1 교정부(300)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기 위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갯수가 증가할수록 척추(1) 교정의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제1 밴드부(500)는 일측이 제1 링(110), 제2 링(120) 및 연결 샤프트(130) 중 적어도 하나에 권취되며, 상부 지지대(310)에 위치된 사용자의 흉부를 감싼 후, 제1 밴드 고정바(320)에 타측이 권취됨으로써, 사용자의 흉부가 상부 지지대(310)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밴드부(500)는 일측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부 지지대(310)에 위치된 사용자의 흉부에 힘을 가하여 상부 지지대(310)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한다.
또한, 제1 밴드부(500)는 척추측만증의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벨트(예: 정형도수벨트)일 수 있다.
제2 밴드부(600)는 일측이 돌출부(111)에 권취되며, 하부 지지대(410)에 위치된 사용자의 골반을 감싼 후, 제2 밴드 고정바(420)에 타측이 권취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이 하부 지지대(410)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밴드부(600)는 일측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하부 지지대(410)에 위치된 사용자의 골반에 힘을 가하여 하부 지지대(410)와 함께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한다. 여기서, 제2 밴드부(600) 일측의 권취 방향은 척추(1) 교정을 위해 제1 밴드부(500) 일측의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2 밴드부(600)는 제1 밴드부(500)와 마찬가지로 척추측만증의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정형도수벨트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밴드부(600)는 돌출부(111)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구성인 제1 링(110), 제2 링(120) 및 연결 샤프트(130) 중 하나에 일측이 권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10)를 이용한 척추측만 재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1)의 교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엎드려 누운자세에서 척추(1) 교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먼저, 사용자 또는 별도의 관리자는 흉부가 상부 지지대(310)에 위치되면서 골반이 하부 지지대(410)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1, 2 상하 이동레일(211, 221) 및 제1, 2 슬라이딩수단(330, 430)을 이용하여 상부 지지대(310)와 하부 지지대(41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제1 슬라이딩 수단(330)과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을 통해 상부 지지대(310)의 상하 이동이 제어되도록 하며, 제2 슬라이딩 수단(430)과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을 통해 하부 지지대(410)의 상하 이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는 상부 지지대(310)에 흉부를 위치시키며, 하부 지지대(410)에 골반을 위치시키고, 제1 링(110), 제2 링(120) 및 연결 샤프트(130) 중 하나(바람직하게는, 연결 샤프트(130))를 파지한 상태로 대기한다.
그 후, 관리자는 제1 밴드부(500)의 일측을 제1 링(110), 제2 링(120) 및 연결 샤프트(130) 중 하나에 권취시키고, 제1 밴드부(500)로 상부 지지대(310)에 위치된 사용자의 흉부를 감싼 후, 제1 밴드 고정바(320)에 제1 밴드부(500)의 타측을 권취시킨다. 여기서, 제1 밴드부(500)는 척추의 일부(1A)가 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의 흉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후, 관리자는 제2 밴드부(600)의 일측을 돌출부(111), 제1 링(110), 제2 링(120) 및 연결 샤프트(130) 중 하나에 권취시키고, 제2 밴드부(600)로 하부 지지대(410)에 위치된 사용자의 골반을 감싼 후, 제2 밴드 고정바(420)에 제2 밴드부(600)의 타측을 권취시킨다. 여기서, 제2 밴드부(600)는 척추의 일부(1A)의 교정을 위해 사용자의 골반을 고정하면서 상기 척추의 일부(1A)와 다른 방향으로 휘어진 척추의 타부(1B)을 교정하기 위해 제1 밴드부(500)가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의 골반에 힘이 가해지도록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사용자의 흉부 고정 과정과 골반 고정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순서가 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밴드부(500)의 권취가 완료되면, 상부 지지대(310)는 제1 밴드부(500)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서 제1, 2 좌우 이동레일(212, 222)을 따라 좌측 및 우측 중 척추의 일부(1A)가 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척추 일부(1A)는 교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밴드부(600)의 권취가 완료되면, 하부 지지대(410)는 제2 밴드부(600)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서 제1, 2 좌우 이동레일(212, 222)을 따라 좌측 및 우측 중 척추의 일부(1B)가 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척추 타부(1B)는 교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10)는 척추(1) 교정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로프(7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의 로프(700)는 사용자의 양발에 의해 가압되기 위해 하측 블럭(240)과 인접하게 제2 링(12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로프(700)는 척추(1) 교정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로프(710) 및 제2 로프(720)로 이루어진다.
제1 로프(710)는 한쪽 발에 의해 가압되어 길이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제1 로프(710)는 사용자가 한쪽 다리를 뻗게 되면, 한쪽 발에 의해 가압되어 길이가 연장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한쪽 다리를 접게되면, 한쪽 발에 의한 가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길이가 축소된다.
제2 로프(720)는 제1 로프(710)를 가압하는 발을 제외한 다른 한쪽 발에 의해 가압되어 길이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제2 로프(720)는 사용자가 다른 한쪽의 다리를 뻗게 되면, 다른 한쪽 발에 의해 가압되어 길이가 연장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다른 한쪽 다리를 접게되면, 다른 한쪽 발에 의한 가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길이가 축소된다.
상기의 제1, 2 로프(710, 720)는 사용자의 발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에 따라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되도록 비탄력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1, 2 로프(710, 7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사용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로프만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척추(1) 교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의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1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척추(1) 교정 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척추(1)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척추,
10: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100: 본체,
110: 제1 링,
111: 돌출부,
120: 제2 링,
130: 연결 샤프트,
200: 이동부,
210: 제1 레일,
211: 제1 상하 이동레일,
211a: 제1 상하 고정볼,
212: 제1 좌우 이동레일,
212a: 제1 좌우 고정볼,
220: 제2 레일,
221: 제2 상하 이동레일,
221a: 제2 상하 고정볼,
222: 제2 좌우 이동레일,
222a: 제2 좌우 고정볼,
230: 상측 블럭,
240: 하측 블럭,
300: 제1 교정부,
310: 상부 지지대,
320: 제1 밴드 고정바,
330: 제1 슬라이딩 수단,
331: 제1 고정볼 삽입구,
400: 제2 교정부,
410: 하부 지지대,
420: 제2 밴드 고정바,
430: 제2 슬라이딩 수단,
431: 제2 고정볼 삽입구,
500: 제1 밴드,
600: 제2 밴드,
700: 로프,
720: 제1 로프,
730: 제2 로프.
10: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100: 본체,
110: 제1 링,
111: 돌출부,
120: 제2 링,
130: 연결 샤프트,
200: 이동부,
210: 제1 레일,
211: 제1 상하 이동레일,
211a: 제1 상하 고정볼,
212: 제1 좌우 이동레일,
212a: 제1 좌우 고정볼,
220: 제2 레일,
221: 제2 상하 이동레일,
221a: 제2 상하 고정볼,
222: 제2 좌우 이동레일,
222a: 제2 좌우 고정볼,
230: 상측 블럭,
240: 하측 블럭,
300: 제1 교정부,
310: 상부 지지대,
320: 제1 밴드 고정바,
330: 제1 슬라이딩 수단,
331: 제1 고정볼 삽입구,
400: 제2 교정부,
410: 하부 지지대,
420: 제2 밴드 고정바,
430: 제2 슬라이딩 수단,
431: 제2 고정볼 삽입구,
500: 제1 밴드,
600: 제2 밴드,
700: 로프,
720: 제1 로프,
730: 제2 로프.
Claims (9)
-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 이동수단과 좌우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이동부(200);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흉부가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100)에 일측이 권취된 제1 밴드부(5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흉부가 감싸진 후 고정되면, 상기 사용자의 척추(1)가 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좌우 이동수단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제1 교정부(300); 및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골반이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100)에 일측이 귄취된 제2 밴드부(6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골반이 감싸진 후 고정되면, 상기 좌우 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제1 교정부(300)의 좌우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제2 교정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제2 밴드부(600)의 일측으로부터 권취되기 위한 돌출부(111)를 갖도록 하부가 절단되며, 상부가 상기 이동부(200)와 결합되는 원형의 제1 링(110);
상기 제1 링(110)과 수직 배치되며, 상, 하부가 상기 이동부(200)와 결합되는 원형의 제2 링(120); 및
상기 제1 링(110)과 상기 제2 링(120)을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제1 교정부(300)와 상기 제2 교정부(400)가 상하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경로와 좌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 레일(210);과 제2 레일(220);
상기 본체(100)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교정부(300) 상측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제1 교정부(300)의 상측 이동을 제어하는 상측 블럭(230); 및
상기 본체(100)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교정부(400) 하측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제2 교정부(400)의 하측 이동을 제어하는 하측 블럭(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210) 및 상기 제2 레일(220)은,
상기 상하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1 교정부(300)와 상기 제2 교정부(4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1 교정부(300)와 상기 제2 교정부(40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교정부(300)와 상기 제2 교정부(4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 상하 고정볼(211a)과 제2 상하 고정볼(221a)이 복수로 구비된 제1 상하 이동레일(211);과 제2 상하 이동레일(221); 및
상기 좌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이 삽입된 제1 교정부(300)와 제2 교정부(4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1 교정부(300)와 상기 제2 교정부(400)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제1 상하 고정볼(211a)과 상기 제2 상하 고정볼(221a) 대신에 상기 제1 교정부(300)와 상기 제2 교정부(40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교정부(300)와 상기 제2 교정부(400)의 좌우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 좌우 고정볼(212a)과 제2 좌우 고정볼(222a)이 복수로 구비된 제1 좌우 이동레일(212);과 제2 좌우 이동레일(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부(300)와 상기 제2 교정부(400)는,
상기 제1, 2 상하 고정볼(211a, 221a) 또는 상기 제1, 2 좌우 고정볼(212a, 222a)이 삽입 가능한 제1 고정볼 삽입구(331)와 제2 고정볼 삽입구(431)가 하나 이상 형성된 제1 슬라이딩 수단(330);과 제2 슬라이딩 수단(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부(300)는,
상기 상하 이동수단에 의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흉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 밴드부(500)와 상기 좌우 이동수단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상부 지지대(310); 및
상기 상부 지지대(3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밴드부(5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흉부가 감싸진 후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밴드부(500)의 타측이 권취되는 제1 밴드 고정바(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정부(400)는,
상기 상하 이동수단에 의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골반이 위치되며, 상기 제2 밴드부(600)와 상기 좌우 이동수단을 통해 상기 제1 교정부(300)의 좌우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용자의 척추(1)를 교정하는 하부 지지대(410); 및
상기 하부 지지대(4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밴드부(6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흉부가 감싸진 후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밴드부(600)의 타측이 권취되는 제2 밴드 고정바(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블럭(240)과 인접하게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로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700)는,
상기 사용자의 한쪽 발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한쪽 발의 가압력을 기반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비탄력 재질의 제1 로프(710); 및
상기 제1 로프(710)를 가압하는 한쪽 발과 다른 한쪽 발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다른 한쪽 발의 가압력을 기반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비탄력 재질의 제2 로프(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2024A KR102323853B1 (ko) | 2020-01-31 | 2020-01-31 |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2024A KR102323853B1 (ko) | 2020-01-31 | 2020-01-31 |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8171A KR20210098171A (ko) | 2021-08-10 |
KR102323853B1 true KR102323853B1 (ko) | 2021-11-09 |
Family
ID=7731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2024A KR102323853B1 (ko) | 2020-01-31 | 2020-01-31 |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385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530483A (ja) | 2001-06-01 | 2004-10-07 | バックプロジェクト コーポレイション | 拘束及び運動装置 |
JP2008272449A (ja) | 2007-04-25 | 2008-11-13 | Backproject Corp |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と方法 |
KR101279503B1 (ko) | 2011-12-23 | 2013-06-28 | 김종진 | 척추 및 몸 자세 교정장치 |
US20180207048A1 (en) | 2017-01-26 | 2018-07-26 | ScoliWRx Inc. | Scoliosis Treatment Platform and Method |
KR101886679B1 (ko) | 2017-02-01 | 2018-08-09 | 이한진 | 척추 측만증 교정기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0952B1 (ko) * | 1999-10-29 | 2002-01-23 | 왕 후알란 | 삼차원 척추 교정장치 |
KR100495831B1 (ko) * | 2002-12-06 | 2005-06-20 | 유길상 | 척추측만증 교정기 |
KR20100007206U (ko) * | 2009-01-05 | 2010-07-14 | 양성태 | 바디 리프트 트랙션용 분할재킷 |
KR20130005399U (ko) * | 2012-03-06 | 2013-09-16 | 박지우 | 척추 교정기 |
KR101354760B1 (ko) | 2012-03-23 | 2014-01-2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
KR101610054B1 (ko) * | 2014-07-10 | 2016-04-07 | 임세종 | 복합 스윙 운동기구 |
KR101845961B1 (ko) * | 2016-02-29 | 2018-04-05 | 백승억 | 직립형 척추 측만증 교정 치료장치 |
KR101928174B1 (ko) * | 2017-03-27 | 2018-12-1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주행 레일의 가이드 롤러 장치 |
-
2020
- 2020-01-31 KR KR1020200012024A patent/KR1023238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530483A (ja) | 2001-06-01 | 2004-10-07 | バックプロジェクト コーポレイション | 拘束及び運動装置 |
JP2008272449A (ja) | 2007-04-25 | 2008-11-13 | Backproject Corp |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と方法 |
KR101279503B1 (ko) | 2011-12-23 | 2013-06-28 | 김종진 | 척추 및 몸 자세 교정장치 |
US20180207048A1 (en) | 2017-01-26 | 2018-07-26 | ScoliWRx Inc. | Scoliosis Treatment Platform and Method |
KR101886679B1 (ko) | 2017-02-01 | 2018-08-09 | 이한진 | 척추 측만증 교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8171A (ko) | 202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221881A1 (en) |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 |
US5176706A (en) | Spinal curvature correction device | |
KR101615183B1 (ko) | 신체 견인장치 및 견인방법 | |
CN109310510A (zh) | 医疗装置 | |
KR101272196B1 (ko) |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 |
KR101142888B1 (ko) | 허리통증 해소와 척추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강화 운동기구 | |
KR20180089385A (ko) | 목 트레이닝 장치 | |
KR20120100613A (ko) |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 |
US10966552B2 (en) | Cushioning posterior fulcrum back shaper | |
US20060116262A1 (en) | Biodynamic apparatus for performing correct SIT-UP and LEGS-UP exercises and methods | |
US20140150803A1 (en) | Massage table attachment apparatus | |
CN110433022A (zh) | 一种采用气动肌肉驱动的腰椎牵引装置 | |
KR102323854B1 (ko) | 척추측만 재활필라테스 기구 | |
US6592501B1 (en) | Back rehab exercise table | |
KR102532823B1 (ko) | 디스크 도수치료기 | |
CN105434091A (zh) | 一种脊柱减压设备 | |
US20240108531A1 (en) | Spinal Weighting Devices | |
KR102323853B1 (ko) |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
CN111000671B (zh) | 一种脊柱患者矫正锻炼装置 | |
US11259986B1 (en) | Reduced friction massage surfaces and exercise equipment | |
US20020128576A1 (en) | Back rehab exercise bench | |
KR101861040B1 (ko) | 상체 운동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교정용 상의 | |
KR101652056B1 (ko) | 척추 교정 장치 | |
PL391612A1 (pl) | Urządzenie do leczenia skolioz | |
KR20100012180A (ko) | 척추 운동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