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054B1 - 복합 스윙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스윙 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0054B1 KR101610054B1 KR1020140086572A KR20140086572A KR101610054B1 KR 101610054 B1 KR101610054 B1 KR 101610054B1 KR 1020140086572 A KR1020140086572 A KR 1020140086572A KR 20140086572 A KR20140086572 A KR 20140086572A KR 101610054 B1 KR101610054 B1 KR 1016100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ng
- sliding
- swinging
- unit
- exerci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으로서 스트레칭과 근육강화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스윙 동작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허리 또는 골반 부위가 지지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등 부위가 지지되는 스윙부포함하며, 상기 스윙부의 회전중심은 슬라이딩부와 함께 수평이동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동작으로서 스트레칭과 근육강화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스윙 동작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만 또는 성인병 예방과 같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매스컴의 영향에 따른 몸짱 열풍으로 인하여 매우 많은 인구가 운동을 즐기고 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자동차나 사무실 내에서 있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자연스러운 신체의 활동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운동을 위하여서는 별도로 헬스클럽이나 공원에 비치된 운동기구를 활용하거나 가정에 운동기구를 비치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운동방식은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으로 구별되기도 하는데, 유산소운동은 대표적으로 걷기, 달리기, 허리운동, 옆구리 운동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근력운동은 벤치프레스나 스쿼트와 같은 중량체를 드는 운동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공원에도 간단한 운동기구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허리를 비틀거나 옆구리 운동을 하는 기구는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허리나 옆구리를 운동하는 기구의 경우 스트레칭 효과와 함께 근력을 강화해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여성들이 즐겨 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93341호는 이러한 옆구리 운동기구를 공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개시된 허리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지면에 고정된 프레임(10)의 회전축(22)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암(20)이 구성되고,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손잡이(40)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사항과 같이 이용자는 스윙암 하단의 발판에 올라선 상태에서 손잡이를 통하여 지지하면서 좌우로 흔들면서 옆구리를 운동하게 된다.
옆구리 운동을 위한 대부분의 기구들이 이러한 작동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상체와 하체의 각도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좌우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하여야 하고 사실상 이러한 각도의 조절은 쉽지 않다.
또한, 큰 움직임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은 운동량의 제공만으로도 옆구리에 운동효과를 집중하여 극대화할 수 있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허리 또는 골반 부위가 지지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등 부위가 지지되는 스윙부포함하며, 상기 스윙부의 회전중심은 슬라이딩부와 함께 수평이동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스윙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수평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스윙부의 양측으로 배치되며 팔 부위를 지지하는 고정부 및 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판 형상의 슬라이딩판부와, 상기 슬라이딩판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옆구리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와,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관통배치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부는, 가진부재 또는 온열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는 동시에 두 가지의 부위가 연동하여 작동되면서, 회전중심의 수평이동으로 인하여 최소 운동 범위에서 최대한의 굽힘각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허리의 운동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윙운동으로서 스트레칭과 근력강화의 기능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과도한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인체 손상 등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옆구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복합 스윙 운동기구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의 운동과 종래기술의 운동기구의 운동의 차이를 비교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서 스윙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서 슬라이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서 슬라이딩부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4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의 운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복합 스윙 운동기구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의 운동과 종래기술의 운동기구의 운동의 차이를 비교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서 스윙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서 슬라이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서 슬라이딩부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4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의 운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인체의 허리 부위를 지지하며 양측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200)와, 상기 슬라이딩부(200)에 대해 상측으로 힌지연결되고 인체의 등 부위를 지지하여 좌우회동되는 스윙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개념은 인체를 지지하면서 주로 옆구리 부위의 스트레칭 또는 근력 강화를 위하여 운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데, 기본적으로 이용자가 입식의 상태에서 상체를 좌우로 스윙운동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게 된다. 다만, 누워있는 상태나 앉아있는 상태에서의 운동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배치되는 각도 또는 상태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스윙부(100)는 상반신의 일부를 후방측에서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운동을 하게 된다.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허리, 더욱 정확하게는 옆구리의 운동을 위하여 상체와 하체의 각도를 가변하면서 움직임을 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체측에서 스윙운동하는 차이를 가진다. 더욱 중요하게는, 스윙부(100)의 스윙운동은 회동축이 좌우로 지속적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반경이 고정되지 않는 차이를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슬라이딩부(200)는 허리 부위 또는 골반측을 지지하면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좌우로 수평이동 하는 경우를 제시하나 경우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윙부(100)의 회동 운동을 위하여 로드부(310)의 상단측이 스윙부(100)에 연결되고 하단측은 힌지부(300)에 연결되는데, 상기 힌지부(300)는 슬라이딩부(200)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즉, 힌지부(300)가 슬라이딩부(200)의 이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스윙부(100)의 회동축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윙부(100)와 슬라이딩부(200)의 운동은 소정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운동효과 및 생산성을 고려하여 인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스윙부(100)의 양측으로는 인체의 팔부위를 지지하여 좌우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고정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팔 또는 손을 스윙부(100)의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부(500)의 내측에 지탱한 상태에서 좌우로 미는 동작을 통하여 스윙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윙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은 미는 동작을 통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데, 힘을 주는 방식에 따라 슬라이딩부(200)의 좌우이동 동작에 의하여 로드부(310)가 경사를 갖게 되어 스윙부(100)가 좌우 회동할 수도 있고 스윙부(100)의 좌우 스윙동작에 따라 힌지부(300)가 양측으로 힘을 받아 슬라이딩부(200)를 좌우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후술될 바와 같이 스윙부(100)의 회동방향과 슬라이딩부(200)의 수평이동 방향이 서로 반대됨으로써 허리가 이루는 각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추가적으로, 인체를 정확하게 지탱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200)의 하측으로는 받침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도시된 사항에서는 받침부(400)가 발바닥을 저면에서 지지하는 형태를 제시하나 인체의 지지부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종래기술의 운동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가 슬라이딩 및 스윙운동한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상반신이 스윙운동만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c)는 종래기술과 같이 하반신이 스윙운동만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슬라이딩부(200)가 허리 또는 골반 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수평이동되되, 이에 힌지연결된 스윙부(100)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운동을 하게 된다.
받침부(400)를 기준으로 옆구리가 굽혀지는 각도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슬라이딩부(200)를 중심으로 받침부(400)와 스윙부(100)가 이루는 각도가 옆구리가 굽혀지는 각도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굽힘각(α)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의 (b)와 (c)의 경우 운동의 위치가 다르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게 되는데, 스윙부(100) 또는 받침부(400)에 대응되는 구성만이 슬라이딩부(200)에 대응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이동되는 경우는 스윙각(β,γ)가 굽힘각을 이루게 된다.
센터라인(c)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과 같이 회동축과 함께 움직이는 슬라이딩부(200)의 이동에 대해 (b)와 (c)의 경우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a)의 경우가 2배의 굽힘각을 가지게 된다.
이는 (b)와 (c)의 경우 본 발명의 경우와 동일한 굽힘각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 배 더 회동하여야 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회동 동작을 위한 좌우로의 공간을 더 확보해야하는 문제가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종래기술의 경우 본 발명과 동일한 굽힘각을 위하여 이용자가 더 큰 스윙각도를 만들어내야 하고, 공간적인 불리함과 인체 손상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한편, (b)와 (c)의 경우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스윙부(100)가 회동되는 방향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의 경우 회동축이 고정되기 때문에 회동중심과 반경이 고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는 회동중심이 상시적으로 이동되어 회전반경이 지속적으로 가변하는 차이를 가진다. 즉, 종래기술의 스윙동작은 소정의 회동반경을 따라 일정한 원의 일부를 따라 움직이나, 본 발명의 스윙동작은 회동중심이 이동되므로 힌지부와 스윙부 사이의 길이에 따른 반경과 회동반경이 일치하지 않은 차이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 부위를 지지하며 좌우 회동되는 스윙부(1000)와, 상기 스윙부(1000)의 스윙운동을 힌지부(3000)에 연결하는 로드부(3100)와, 힌지부(3000)와 함께 골반 부위를 지지하며 좌우 이동되는 슬라이딩부(2000)와, 인체의 하반신의 일부를 지지하는 받침부(4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체적인 구조의 지지를 위하여 프레임부(510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레임부(5100)는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부(2000)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고, 스윙부(1000)의 양측으로 고정부(5000)를 고정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5100)의 구조와 형태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2000)는 받침부(4000)에 이용자가 발 부위를 지지하고 선 상태에서 허리 또는 골반에 인접되는 부위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측으로의 이동시 걸림 동작을 위하여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측면지지부(20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부(2020)의 배치와 형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허리 부위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후방으로의 완전한 지지를 위하여 벨트부(201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후크 또는 벨크로 방식을 통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부(2010)는 후술될 바와 같이 온열기능이나 진동기능이 슬라이딩부(2000)에 부가되는 경우 허리 부위를 슬라이딩부(200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기능적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2000)의 좌우 수평이동을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후면과 프레임부(5100)의 사이에 소정의 가이드 및/또는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슬라이딩부(2000)의 후방측에는 좌우로 롤링이 가능한 롤러를 구비하여 수평이동시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중의 지지 및 슬라이딩 가이드를 위하여 하측에 프레임부(5100)와 연결되는 소정의 가이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부재로 인하여 미관을 저해할 우려가 있고, 마찰력의 저감, 가이드 및 하중의 지지를 위한 기능이 상호 분리되어 수행됨에 따라 유지보수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정의 가이드부재에서 슬라이딩이동이 가이드되면서 마찰력저감과 하중의 지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조가 요청되는바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2000)는 힌지부(3000)와 결합되고 힌지부(3000)에 연결되는 로드부(3100)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스윙부(1000)를 결합하게 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힌지부(3000)는 좌우 회동이 가능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회동중심인 힌지부(3000)가 좌우이동되기 때문에 이동 폭의 제한을 위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스토퍼부(51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부(5120)는 프레임부(5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사이의 간격은 슬라이딩부(2000)의 좌우 이동 폭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3100)는 스윙부(1000)의 스윙동작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로드부(3100)의 길이는 이용자의 신체 길이, 더욱 정확하게는 골반으로부터 등의 상부까지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양한 이용자를 고려하여 상기 로드부(3100)는 상하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스윙부(1000)는 로드부(3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가변되는 회동중심을 따라 좌우로 회동됨은 상술하였다.
스윙부(1000)의 양측에서는 프레임부(5100)에 고정되어 팔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고정부(50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부(5000) 사이의 간격도 인체의 상반신의 폭과 스윙부(1000)의 운동 폭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5000)는 파지되는 손잡이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손바닥으로 미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벽체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부(1000)는 하측으로 팔의 삼두 측을 상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스윙지지부(110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윙지지부(1100)는 선택적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이용자가 등을 스윙부(1000)의 전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팔의 상박의 삼두측을 스윙지지부(11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하박을 상박에 대해 어느 정도 굽힌 모양으로 손바닥이나 팔목 부위를 고정부(5000)에 지탱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부(5000)의 어느 한측을 밀게 되면 해당 부위의 팔꿈치가 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윙부(1000)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 스윙부(1000)의 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는 슬라이딩부(2000)가 수평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윙부(1000)의 후방측도 마찰력의 저감을 위하여 소정의 롤러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프레임부(5100)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후면판부(5110)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롤러부재는 후면판부(5110)의 전면에 밀착되어 좌우 회동운동시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면판부(5110)측에서는 스윙부(10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소정의 가이드부재가 고려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스윙동작은 힌지부(3000)로부터 스윙부(1000)에 이르는 반경의 원호를 이루지 않기 때문에 사전에 경로가 결정된 이후에 가이드부재의 형상이 결정되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 로드부(3100) 및 힌지부(3000)에 의한 스윙부(1000)의 지지가 보장될 수 있는 경우 상기 후면판부(5110)는 생략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미관적인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인체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4000)는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발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용자의 다양한 키를 고려하여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소정의 가이드를 따라 발판 부위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다만, 고정의 확실성이 담보되지 않은 경우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의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4000)는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인출되는 형태로서 회전축부(4110)에 복수의 가동부재(4100)가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부재(4100)의 단수 및 두께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자신의 키에 대응되는 단을 선택하여 해당 부위를 인출하여 발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받침부(4000)의 형태와 지지부위는 반드시 설명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으로 인출되거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4000)에 추가적 또는 선택적으로 착좌부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윙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윙부(1000)는 로드부(3100)에 연결되고 등 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윙부(1000)는 전체적인 형태와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스윙판부(1010)와, 상기 스윙판부(10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스윙지지부(1100)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윙부(1000)의 스윙 동작, 더욱 정확하게는 회전중심이 수평이동되는 스윙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5100)의 후면판부(5110)의 전면에 굴림동작되는 스윙롤러부(1300)가 스윙판부(1010)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롤러부(1300)는, 마찰력의 저감을 수행하는 동시에 소음을 감소할 수 있도록 롤러 부위가 탄성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윙부(1000)의 운동의 운동 방향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스윙롤러부(1300)의 롤러 회전중심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원활한 작동이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윙롤러부(1300)는 스윙판부(1010)의 후방측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20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힌지부(3000)의 이동과 로드부(3100)의 스윙동작이 결합된 상태의 스윙부(1000)의 운동방향에 적절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윙부(1000)가 어느 한 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복원력의 제공을 위하여 복원부(6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복원부(6100)가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복원부(6100)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프레임부(5100)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윙부(1000)와 연결을 위하여 스윙부(1000)는 스윙판부(1010)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후방브라켓부(1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방브라켓부(1200)는 후면판부(5110)의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프레임부(5100)에 구비되는 복원부(6100)의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복원부(6100)는 스윙부(10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졌을 때 중심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며, 이용자의 어느 일측으로 스윙동작시 저항력을 제공하여 운동효과를 향상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원부(6100)는 후방브라켓부(1200)에서 양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탄성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레임부(5100)는 탄성와이어의 가이드를 위하여 복수의 롤러(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는 스윙부(1000)의 동작에 따라 일측이 신장되면 타측이 수축되어 신장된 측에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와이어와 롤러의 배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원부(6100)는 경우에 따라 슬라이딩부(2000)에 추가적 또는 교환적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에서 슬라이딩부의 지지를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000)는 인체의 골반 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되기 때문에 슬라이딩가이드, 하중의 지지, 마찰력의 저감이 동시에 필요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기능을 고려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프레임부(5100)는 전방측에서 좌우로 긴 형태의 파이프 형태의 슬라이딩가이드(2200)를 구비하고, 슬라이딩판부(2100)는 후면측에 결합되되 좌우로 관통되는 부위에서 슬라이딩가이드(220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슬라이딩브라켓(2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브라켓(2210)은 선택에 따른 개수와 배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슬라이딩가이드(2200)가 슬라이딩부(2000)의 전방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함을 고려하여, 슬라이딩브라켓(2210)과 슬라이딩가이드(2200)의 양단측 사이의 거리는 슬라이딩부(2000)의 수평 가동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브라켓(2210)의 슬라이딩가이드(2200)와 마찰되는 내부에는 마찰저감을 위한 복수의 볼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가이드(2200)는 하중의 지지의 확실성을 고려하여 상하방으로 두 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2000)는 허리 또는 골반 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판 형태의 슬라이딩판부(2100)가 전체적인 형태와 구조를 지지하고, 좌우 이동과정에서 옆구리측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측면지지부(20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지지부(2020)는 허리의 형태를 고려하여 내측으로 볼록하고 완만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판부(2100)의 전방측에는 허리 부위의 밀착성을 고려하여 벨트부(201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벨트부(20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허리와 옆구리의 운동을 위한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제시하는바, 운동 과정에서 운동 효과를 더욱 향상하고 건강을 향상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2000)에 추가적인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부(2000)의 슬라이딩판부(2100)는 진동을 제공하는 가진장치(미도시)나 열기를 제공하는 온열장치(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000)의 좌우 이동과정 또는 가진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과동한 충격,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최근 층간소음이 사회저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주변 환경에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완충을 위한 구조가 요청된다.
바람직하게는, 허리를 지지하는 슬라이딩판부(2100)는 전방측에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2110)과, 상기 하우징(2110)의 내부에 배치되되 개구측으로 전면이 노출되어 허리 부위와 접촉되는 유동판부(2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0)의 내주측은 유동판부(21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유동판부(2120)는 하나 이상의 탄성지지부(2130)에 의하여 하우징(2110)과 연결된다.
하우징(2110)의 내부에서 유동판부(2120)가 소정 간격 가진하거나 운동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되고, 탄성지지부(2130)는 복원력을 통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진장치와 유동판부(2120)가 연결되는 경우 가진의 효과는 극대화되면서도 외부 구조로의 영향은 최소화될 수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온열장치와 유동판부(2120)가 연결되는 경우 하우징(2110)이나 프레임부(5100)와 같은 부위에 불필요한 온도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상기 유동판부(2120)는 하우징(2110)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이탈, 더욱 정확하게는 개구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측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차부(2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110)는 유동판부(2120)의 후면과, 테두리부위의 전방과 측방을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동판부(2120)의 후면과 하우징(2110)의 내측 전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21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14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동판부(2120)와 하우징(2110)의 대면하는 부위에 개재되어 후방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10)은 유동판부(2120)나 이에 연결되는 장치의 유지보수성을 고려하여 어느 일측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전후방 또는 양측방으로 유동판부(2120)와의 이격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복합 스윙 운동기구의 운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중립상태에서, 상기 받침부(4000), 슬라이딩부(2000) 및 스윙부(1000)는 센터라인(c)에 일치되도록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용자는 최초 받침부(4000)를 조정하여 올라선 상태에서 허리 부위를 슬라이딩부(2000)에 벨트부(2010) 등을 통하여 지지하고, 등 부위를 스윙부(1000)에 지지한 상태로 서게 된다.
도 8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손바닥을 양측의 고정부(5000)에 대면한 상태로 우측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면 우측의 팔꿈치가 펴지면서 반대쪽의 팔꿈치는 더욱 접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200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힌지부(3000)도 함께 좌측으로 이동되고 스윙부(1000)는 우측으로 틸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이에 따라 허리의 각도는 슬라이딩부(2000)를 기준으로 받침부(4000)와 스윙부(1000)의 각도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굽힘각(α)이 운동하는 폭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증가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시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좌측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면 슬라이딩부(2000)는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고 스윙부(1000)가 직립하면서 중립상태를 거쳐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옆구리의 신축과 이완이 반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우 운동과정에서 복원부(6100)에 의하여 복원력이 제공되어 더욱 효율적인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슬라이딩부(2000)가 좌우로 이동되고 스윙부(1000)의 회전중심이 가변되면서 좌우로 회동되는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부(2000)의 하측으로 착좌부(70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좌부(7000)는 슬라이딩부(2000)와 함께 좌우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입식의 상태가 어렵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의 재활과 스트레칭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즉, 착좌한 상태에서의 고정부(5000)에 대한 팔로 미는 동작만으로도 옆구리의 신축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착좌부(7000)는 받침부(도 8의 4000)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윙 운동기구는 동시에 두 가지의 부위가 연동하여 작동되면서, 회전중심의 수평이동으로 인하여 최소 운동 범위에서 최대한의 굽힘각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허리의 운동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스윙운동으로서 스트레칭과 근력강화의 기능이 향상되고 과도한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인체 손상 등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 1000...스윙부
200, 2000...슬라이딩부
300, 3000...힌지부
310, 3100...로드부
400, 4000...받침부
500, 5000...고정부
1010...스윙판부
1100...스윙지지부
1200...후방브라켓부
1300...스윙롤러부
2010...벨트부
2020...측면지지부
2100...슬라이딩판부
2110...하우징
2120...유동판부
2121...단차부
2130...탄성지지부
2140...완충부재
2200...슬라이딩가이드
2210...슬라이딩브라켓
5100...프레임부
5120...스토퍼부
7000...착좌부
200, 2000...슬라이딩부
300, 3000...힌지부
310, 3100...로드부
400, 4000...받침부
500, 5000...고정부
1010...스윙판부
1100...스윙지지부
1200...후방브라켓부
1300...스윙롤러부
2010...벨트부
2020...측면지지부
2100...슬라이딩판부
2110...하우징
2120...유동판부
2121...단차부
2130...탄성지지부
2140...완충부재
2200...슬라이딩가이드
2210...슬라이딩브라켓
5100...프레임부
5120...스토퍼부
7000...착좌부
Claims (5)
-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스윙부; 및
상기 스윙부에 연결되며 슬라이딩부에 힌지부에 의하여 회동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스윙부의 스윙 동작과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동작은 로드부에 의하여 동시에 수행되며, 상기 스윙부의 회동방향과 슬라이딩부의 수평 이동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고, 로드부의 회전중심은 슬라이딩부와 함께 지속적으로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는,
이용자의 좌우 미는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부가 좌우로 이동되면 로드부가 경사를 갖게 되면서 좌우로 회동되어 허리가 이루는 각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가 어느 한 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판 형상의 슬라이딩판부와, 상기 슬라이딩판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옆구리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와,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관통배치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부는,
가진부재 또는 온열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윙 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572A KR101610054B1 (ko) | 2014-07-10 | 2014-07-10 | 복합 스윙 운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572A KR101610054B1 (ko) | 2014-07-10 | 2014-07-10 | 복합 스윙 운동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5323A KR20140125323A (ko) | 2014-10-28 |
KR101610054B1 true KR101610054B1 (ko) | 2016-04-07 |
Family
ID=5199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6572A KR101610054B1 (ko) | 2014-07-10 | 2014-07-10 | 복합 스윙 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00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3853B1 (ko) * | 2020-01-31 | 2021-11-09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235Y1 (ko) * | 1998-10-21 | 2001-04-02 | 임기영 | 다이어트용 유산소 운동기구 |
KR200393341Y1 (ko) | 2005-06-02 | 2005-08-18 | 정길균 | 서프 보드 효과를 갖는 공용 운동기구 |
KR100696391B1 (ko) * | 2006-02-09 | 2007-03-19 | 김민성 | 척추교정 및 성장촉진기 |
-
2014
- 2014-07-10 KR KR1020140086572A patent/KR1016100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235Y1 (ko) * | 1998-10-21 | 2001-04-02 | 임기영 | 다이어트용 유산소 운동기구 |
KR200393341Y1 (ko) | 2005-06-02 | 2005-08-18 | 정길균 | 서프 보드 효과를 갖는 공용 운동기구 |
KR100696391B1 (ko) * | 2006-02-09 | 2007-03-19 | 김민성 | 척추교정 및 성장촉진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5323A (ko) | 2014-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64700B2 (en) | Waist twisting station | |
US8062190B2 (en) | Stationary exercise bicycle | |
CN101454052B (zh) | 带有轮子的健身椅 | |
MX2011010470A (es) | Un dispositivo deslizable para ejercicio abdominal. | |
TWI681799B (zh) | 攀爬訓練器 | |
CN109925671A (zh) | 一种臂力健身器 | |
US9050492B2 (en) | Machine for exercising the core muscles | |
US20060205575A1 (en) | Waist and belly stretching exerciser | |
KR20180050032A (ko) |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 |
KR101610054B1 (ko) | 복합 스윙 운동기구 | |
KR101031441B1 (ko) | 싸이클겸용 복근운동기구 | |
US20040033872A1 (en) | Multi-mode exerciser | |
CA2485140C (en) |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 |
KR200463831Y1 (ko) |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 |
KR200465649Y1 (ko) | 운동기구 | |
KR200464221Y1 (ko) | 복근 운동기 | |
CN108479007A (zh) | 一种坐式卷腹健身器械 | |
KR101540538B1 (ko) | 허리운동기구 | |
KR200451925Y1 (ko) | 로윙 운동기구 | |
KR101099244B1 (ko) | 전신 운동기구 | |
KR101552878B1 (ko) | 허리스트레칭이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 |
KR101435599B1 (ko) |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 |
KR102434911B1 (ko) | 역기 내리기 | |
KR20160003937U (ko) | 다운타입 사이클 운동기구 | |
KR102434901B1 (ko) | 노젓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