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032A -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032A
KR20180050032A KR1020160146687A KR20160146687A KR20180050032A KR 20180050032 A KR20180050032 A KR 20180050032A KR 1020160146687 A KR1020160146687 A KR 1020160146687A KR 20160146687 A KR20160146687 A KR 20160146687A KR 20180050032 A KR20180050032 A KR 2018005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nch
upper body
frame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빈
Original Assignee
최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빈 filed Critical 최수빈
Priority to KR102016014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032A/ko
Publication of KR2018005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Abstract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는, 시티드체스트프레스, 벤치프레스머신, 숄더프레스머신, 인크라인머신, 디크라인머신, 체스트햄머, 인크라인햄머, 디크라인햄머 등과 같이 운동자가 손잡이를 양 손으로 파지하여 승하강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의 측면에 끼워진 중량체의 중량에 의해 운동자의 상체근육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손잡이조절장치의 손잡이를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체조건이 서로 다른 운동자들이 각각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손잡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지지체의 길이 또한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써 편의성 및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며 들어올려진 중량체의 부하풀림이방지되는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입설되고 내측에 제1수평프레임(11)이 횡설되는 2개의 수직프레임(10) (10)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10)의 상단을 수평연결하고 양측 상단에 2개의 브라켓(21)(21)이 각각 구성되는 제2수평프레임(20)과; 상기 2개의 브라켓(21)(21)에 일단이 힌지축(31)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단 외면에는 중량체(32)가 끼워지는 중량체끼움봉(33)이 연장된 2개의 승하강프레임(30)(30)과; 상기 2개의 승하강프레임(30)의 타단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조절장치(40)와;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의 전면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2개의 승하강프레임(30)의 하단이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2개의 안착프레임(50)(50)과; 상기 2개의 안착프레임(50)의 하단에 횡설되고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프레임(61)이 구성되며 상단 중앙에 경사프레임
(62)이 구성되는 벤치고정프레임(60)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의 내측에 횡설된 제1수평프레임(11)에 전방 측이 고정되고 후단측은 상기 벤치고정프레임(60)의 경사프레임(62)에 중앙측 하면이 지지고정되며 후방측 하면에 브라켓(71)이 결합되는 벤치(70)와; 상기 벤치(70)의 하면 양측에 상단이 힌지축설되는 힌지브라켓(82)에 의해 상기 벤치(70)의 후방측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되는 발지지체(8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HEALTH EQUIPMENT FOR UPPER BODY HANDLE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티드체스트프레스, 벤치프레스머신, 숄더프레스머신, 인크라인머신, 디크라인머신, 체스트햄머, 인크라인햄머, 디크라인햄머 등과 같이 운동자가 양 팔로 손잡이를 잡고 손잡이를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운동자의 상체근육을 단련시키는 상체운동기구의 손잡이를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절성이 용이하여 운동자의 어깨 넓이나 팔길이에 따라 손잡이의 간격을 누구나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운동시에 들어올려지는 중량체의 부하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슴, 등과 어깨 및 팔을 포함한 상체 근육을 단련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구를 이용한 운
동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 덤벨을 이용한 다양한 운동 방법이 있다.
이러한 덤벨을 이용한 운동 방법 중, 디클라인 덤벨 프레스(decline dumbbell press) 또는 디클라인 덤벨 플라
이(decline dumbbell fly)등은 운동자가 벤치에 누워서 하는 운동방법으로서, 누운 상태에서 운동자가 덤벨을
양손에 쥐고 양 팔을 동시에 뻗었다 구부렸다 하거나 좌우로 펼쳤다 좁히는 동작을 반복하여 가슴근육을 단련하
는 운동방법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1844호
본 고안은 종래 상체운동기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동자가 들어올림에 따라 승강 및 하강되는 승하강프레임의 내면에 구성되는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자에 따라 달라지는 신체조건에 맞추어 손잡이를 조절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어깨의 넓이와 팔 길이등의 신체조건에관계없이 누구나 편리하게 자신의 손이 손잡이에 바르게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발지지체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 입설되고 내측에 제1수평프레임이 횡설되는 2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수평연결하고 양측 상단에 2개의 브라켓이 각각 구성되는 제2수평프레임과; 상기 2개의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타단 외면에는 중량체가 끼워지는 중량체끼움봉이 연장된 2개의 승하강프레임과; 상기 2개의 승하강프 레임의 타단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조절장치와;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2개의 승하강프레임의 하단이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2개의 안착프레임과; 상기 2개의 안착프레임의 하단에 횡설되고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프레임이 구성되며 상단 중앙에 경사프레임이 구성되는 벤치고정프레임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횡설된 제1수평프레임에 전방측이 고정되고 후단측은 상기 벤치고정프레임의 경사프레임에 중앙측 하면이 지지고정되고 후방측 하면에 브라켓이 결합되는 벤치와; 상기 벤치의 하면 양측에 상단이 힌지축설되는 힌지브라켓에 의해 상기 벤치의 후방측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되는 발지지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는, 시티드체스트프레스, 벤치프레스머신, 숄더프레스머신, 인크라인머신, 디크라인머신, 체스트햄머, 인크라인햄머, 디크라인햄머 등과 같이 운동자가 손잡이를 양 손으로 파지하여 승하강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의 측면에 끼워진 중량체의 중량에 의해 운동자의 상체근육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손잡이조절장치의 손잡이를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체조건이 서로 다른 운동자들이 각각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손잡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지지체의 길이 또한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써 편의성 및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며 들어올려진 중량체의 부하풀림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의 구성요부인 손잡이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
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의 구성요부인 손잡이조절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
도.
도 5는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의 구성요부인 손잡이조절장치의 각도가변판의 각도가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의 구성요부인 손잡이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
성도.
도 7은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의 또 다른 구성요부인 발지지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의 발지지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는, 지면에 [0012] 대하여 수직입설되고 내측에 제1 수평프레임(11)이 횡설되는 2개의 수직프레임(10)(10)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10)의 상단을 수평연결하고 양측 상단에 2개의 브라켓(21)(21)이 각각 구성되는 제2수평프레임(20)과, 상기 2개의 브라켓(21)(21)에 일단이 힌지축(31)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단 외면에는 중량체(32)가 끼워지는 중량체끼움봉(33)이 연장된 2개의 승하강프레임(30)(30)과, 상기 2개의 승하강프레임(30)의 타단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조절장치(40)와,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의 전면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2개의 승하강프레임(30)의 하단이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2개의 안착프레임(50)(50)과, 상기 2개의 안착프레임(50)의 하단에 횡설되고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프레임(61)이 구성되며 상단 중앙에 경사프레임(62)이 구성되는 벤치고정프레임(60)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의 내측에 횡설된 제1수평프레임(11)에 전방측이 고정되고 후단측은 상기 벤치고정프레임(60)의 경사프
레임(62)에 중앙측 하면이 지지고정되며 후방측 하면에 브라켓(71)이 결합되는 벤치(70)와, 상기 벤치(70)의 하면 양측에 상단이 힌지축설되는 힌지브라켓(82)에 의해 상기 벤치(70)의 후방측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되는 발지지체(80)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프레임(30)의 외면에 형성된 중량체끼움봉(33)에 끼워지는 중량체(32)는 중량별로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중량체(32)들을 여러 개 끼워 사용하면 된다. 상기 벤치(70)는, 상기 벤치(70)의 중앙측 하면이 상기 벤치고정프레임(60)에 구성되는 경사프레임(62)과 연결
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벤치(70)의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아래측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는, 운동자가 상기 벤치(70)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발지지체(80)에 양 발을 거치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승하강프레임(30)에 구성되는 손잡이조절장치(40)를 이용하여 승하강프레임(30)을 들었다 놓았다 하면서 상체근육운동을 하는 것으로, 운동자가 벤치에 누운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로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중량체(32)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기 때문에 운동 도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는 상기 손잡이조절장치(40)에 의해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조절장치(40)는, 상기 승하강프레임(30)의 내면에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고정되는 회전축커버(41)와, 상기 회전축커버(41)에 끼워지는 회전축(42)과, 상기 회전축(42)이 끼워지는 회전축커버(41)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 내면에 각도가변공(43a)이 통공된 각도가변판(43)과, 상기 회전축커버(41)에 끼워지는 상기 회전축(42)에 축설되고 일단에 상기 각도가변판(43)의 각도가변공(43a)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고정핀(44a)이 내삽되며 상기 끼움고정핀(44a)의 외면에 위치되는 스프링(44b)이 내삽되는 조절브라켓(44c)이 형성된 각도조절부(44)와, 상기 각도조절부(44)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운동자가 파지하는
손잡이(45)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운동자가 자신의 어깨넓이나 팔길이에 맞도록 상기 손잡이조절장치(40)의 손잡이(45) 위치를 가변시키면 되는 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조절장치(40)의 끼움고정핀(44a)을 상기 손잡이
(45)측으로 잡아당기면 끼움고정핀(44a)이 상기 각도가변판(43)에 통공된 각도가변공(43a)으로부터 이탈되어 각도조절부(44)가 회전축(42)에 의해 자유회전됨이 가능해지며, 이 때 상기 각도조절부(44)으로부터 연장구성되는 상기 손잡이(45)의 위치를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잡아당긴 끼움고정핀(44a)을 놓으면, 상기 끼움고정핀(44a)에 위치되는 상기 각도가변판(43)의 각도가변공(43a) 중 어느 하나의 각도가 변공(43a)에 끼움고정핀(44a)이 끼워지기 때문에 각도가 가변된 상기 각도조절부(44)의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45)의 위치가 가변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45)의 위치를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가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신체조건을 갖
는 여러 운동자들이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며,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지 않는 손잡이를 그대로 파지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동을 할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 및 근육통증 등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인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는, 상기 발지지체(8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발지지체(80)는, 상기 벤치(70)의 후방측 하면에 결합되는 브라켓(71)의 내측에 체결된 체결부(81a)가 상단에 형성되고 외면에 길이조절부(81b)가 구성된 가이드프레임(81)과, 상기 벤치(70)의 하면 양측에
상단이 힌지축설되는 힌지브라켓(82)과, 상기 가이드프레임(81)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끝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83)의 하단에 힌지체결되며 외면에 상기 가이드프레임(81)의 길이조절부(81b)가 끼워지는 길이조절공(83a)이 통공된 길이조절프레임(83)과, 상기 길이조절프레임(83)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부(84) 및 상기 길이조절프레임(83)의 선단측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부(85)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지지부(84)와 하부지지부(85)가 고정되는 상기 길이조절프레임(83)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프레임(83)의 길이조절공(83a)에 끼워진 상기 길이 조절부(81b)을 잡아 당기어 길이조절부(81b)를 길이조절공(83a)으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길이조절프레임(83)이 상기 벤치(70)의 하면 양측에 힌지축설된 힌지브라켓(82)에 의해 전/후측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으며, 운동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상기 길이조절프레임(83)의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잡아당긴 길이조절부(81b)를 놓으면, 상기 길이조절프레임(83)에 통공된 다수의 길이조절공(83a) 중 상기 길이조절부(81b)에 위치되는 길이조절공에 길이조절부(81b)가 다시 끼워짐으로써 길이가 가변된 길이조절프레임(83)이 고정되고 길이조절프레임(83)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지지부(84)와 하부지지부(85)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길이조절프레임(83)의 길이를 가변시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운동자의 다리부분이 끼워져 고정되는 상부지지부(84)와 하부지지부(85)의 길이가 가변되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조절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 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수직프레임 11 : 제1수평프레임
20 : 제2수평프레임 21 : 브라켓
30 : 승하강프레임 31 : 힌지축
32 : 중량체 33 : 중량체끼움봉
40 : 손잡이조절장치 41 : 회전축커버
42 : 회전축 43 : 각도가변판
43a : 각도가변공 44 : 각도조절부
44a : 끼움고정핀 44b : 스프링
44c : 조절브라켓 45 : 손잡이
50 : 안착프레임 60 : 벤치고정프레임
61 : 지지프레임 62 : 경사프레임
70 : 벤치 71 : 브라켓
80 : 발지지체 81 : 가이드프레임
81a : 체결부 81b : 길이조절부
82 : 힌지브라켓 83 : 길이조절프레임
83a : 길이조절공 84 : 상부지지부
85 : 하부지지부

Claims (1)

  1. 지면에 대하여 수직입설되고 내측에 제1수평프레임(11)이 횡설되는 2개의 수직프레임(10)(10)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10)의 상단을 수평연결하고 양측 상단에 2개의 브라켓(21)(21)이 각각 구성되는 제2 수평프레임(20)과;
    상기 2개의 브라켓(21)(21)에 일단이 힌지축(31)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단 외면에는 중량체(32)가 끼워지는 중량체끼움봉(33)이 연장된 2개의 승하강프레임(30)(30)과;상기 2개의 승하강프레임(30)의 타단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조절장치(40)와;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의 전면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2개의 승하강프레임(30)의 하단이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2개의 안착프레임(50)(50)과;
    상기 2개의 안착프레임(50)의 하단에 횡설되고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프레임(61)이 구성되며 상단 중앙에 경사프레임(62)이 구성되는 벤치고정프레임(60)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0)의 내측에 횡설된 제1수평프레임(11)에 전방측이 고정되고 후단측은 상기 벤치고정프레임(60)의 경사프레임(62)에 중앙측 하면이 지지고정되며 후방측 하면에 브라켓(71)이 결합되는 벤치(70)와; 상기 벤치(70)의 하면 양측에 상단이 힌지축설되는 힌지브라켓(82)에 의해 상기 벤치(70)의 후방측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되는 발지지체(8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1020160146687A 2016-11-04 2016-11-04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20180050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87A KR20180050032A (ko) 2016-11-04 2016-11-04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87A KR20180050032A (ko) 2016-11-04 2016-11-04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032A true KR20180050032A (ko) 2018-05-14

Family

ID=6218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87A KR20180050032A (ko) 2016-11-04 2016-11-04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0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777B1 (ko) * 2019-04-25 2020-03-18 황병문 다목적 근육 운동기구
KR102511110B1 (ko) * 2022-06-15 2023-03-16 (주)뉴텍웰니스 벤트 오버 로우 머신
KR102526043B1 (ko) * 2022-03-30 2023-04-25 전대성 손잡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야외용 벤치프레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777B1 (ko) * 2019-04-25 2020-03-18 황병문 다목적 근육 운동기구
KR102526043B1 (ko) * 2022-03-30 2023-04-25 전대성 손잡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야외용 벤치프레스
KR102511110B1 (ko) * 2022-06-15 2023-03-16 (주)뉴텍웰니스 벤트 오버 로우 머신
WO2023243790A1 (ko) * 2022-06-15 2023-12-21 (주)뉴텍웰니스 벤트 오버 로우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569A (en) Training apparatus
US5603678A (en)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free-weight squat repetitions
KR20090067007A (ko) 운동 기구
US7670270B2 (en) Exercising machine
KR200486552Y1 (ko) 철봉 운동기구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US5637062A (en)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KR102012192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US11890504B2 (en) Arm curl fitness apparatus
US9895574B2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KR101711208B1 (ko) 허리트위스트가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0463831Y1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200464221Y1 (ko) 복근 운동기
CN105664423A (zh) 腿挂杠铃负重器
KR102120008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개량형 의자 어셈블리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101099244B1 (ko) 전신 운동기구
KR200482430Y1 (ko) 모노리프트
KR100877083B1 (ko) 복근 운동기구
KR102472866B1 (ko)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2504476B1 (ko) 레더바렐과 콤비체어 겸용 필라테스 운동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