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866B1 - 필라테스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필라테스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866B1
KR102472866B1 KR1020220020553A KR20220020553A KR102472866B1 KR 102472866 B1 KR102472866 B1 KR 102472866B1 KR 1020220020553 A KR1020220020553 A KR 1020220020553A KR 20220020553 A KR20220020553 A KR 20220020553A KR 102472866 B1 KR102472866 B1 KR 10247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ides
support
mat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박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열 filed Critical 박정열
Priority to KR1020220020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부를 구성함에 있어 매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매트의 회전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레더 바렐용 매트로의 사용이나 콤비 체어용 매트 및 좌판으로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매트부와 레더부의 간격 조절수단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 중에도 간편하게 발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라테스 운동기구{Pilates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매트부의 간편한 이동 조절과, 매트의 가변 사용을 통해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몸의 균형 유지와, 유연성을 증가 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이러한 필라테스에 사용되는 운동기구로는 크게 리포머(Reformer), 캐딜락(Cadillac), 레더 바렐(Ladder Barrel), 콤비 체어(Combi Chair)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는 그 형태에 따른 특성에 맞게 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라테스용 운동기구는 각각이 신체 부위에 맞는 운동이 가능한 것인바, 다양한 운동을 위해서는 각각의 운동기구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레더 바렐과 콤비 체어의 경우에는 매트의 형태가 다를 뿐 구조가 대동소이한 것인데, 그 매트의 형태 차이로 각각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레더 바렐과 콤비 체어의 경우 매트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거나 조임 고정 구조 등으로 구성된 특성상 운동 중 내려와 수동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605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306345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348532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3063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매트부를 구성함에 있어 매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매트의 회전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레더 바렐용 매트로의 사용이나 콤비 체어용 매트 및 좌판으로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매트부와 레더부의 간격 조절수단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 중에도 간편하게 발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필라테스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각각의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평행한 한 쌍의 수평 지지바와, 상기 수평 지지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된 지지부;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에 롤러 결합되어 이동 가능한 수직 판체 형태를 이루는 양측 한 쌍의 매트 지지판과, 상기 양측 매트 지지판의 상부 중앙부 양측에 각각의 축으로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90°회동 작동하며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90° "호" 형태의 곡률부 및 시트가 형성된 평면부를 이루는 통체 형태의 한 쌍의 매트로 된 매트부;
상기 양측의 수평 지지바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의 이동을 단속하는 간격 조절수단; 및
상기 각각의 수평 지지바의 단부에서 상부로 수직 돌출되는 양측 한 쌍의 수직바와, 상기 양측 수직바를 연결하되 상하로 복수단을 이루는 다수의 지지봉으로 된 레더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또한, 상기 매트부의 각각의 매트 지지판 상부 양측에는,
일단이 상부로 개방되며 서로 대항측으로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90°의 원호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매트에는,
각각의 양측에 매트가 회동시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되고, 각각의 매트에 대하여 어느 한 측의 가이드돌기에는 손잡이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며,
상기 매트 지지판에는 상기 가이드공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 및 가이드돌기를 지지하여 매트의 회동을 방지하는 매트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또한,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수평 지지바의 중간부를 연결하며,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고정바 가이드홈을 갖는 양측 한 쌍의 고정바 가이더가 형성된 푸쉬 지지판;
양측이 상기 고정바 가이더의 고정바 가이드홈에 수용되고, 양측에는 상기 푸쉬 지지판에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양단에는 걸림돌기가 하방 돌출된 고정바;
상기 푸쉬 지지판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동 되며, 전방의 푸쉬부와, 고정바의 하부를 지지하는 후방의 고정바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바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는 푸쉬 스위치;
상기 양측의 매트 지지판의 대항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걸림돌기가 끼움 걸림 되도록 수평 이동방향으로 다수의 걸림공이 형성된 양측 한 쌍의 고정바 걸림대; 및
상기 푸쉬 스위치의 푸쉬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바의 상부를 마감하는 조절수단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매트가 분할된 곡률부와 평면부를 이루게 구성 및 회전 조절에 의해 레더 바렐이나 콤비 체어 및 좌판으로 다양하게 교체 사용되는 겸용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각각의 기구를 구비할 필요 없이 선택적으로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실용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매트부를 레더부로부터 간격 조절하는 구조가 발을 이용한 푸쉬 스위치를 통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운동중 내려와서 조절할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간격 조절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간격 조절수단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매트부 사용상태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매트부 사용상태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매트부 사용상태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매트부 간격 조절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간격 조절수단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는 지지부(100)와, 매트부(200)와, 간격 조절수단(300)과, 레더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지지부(100)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를 구성함에 있어 그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후술하는 매트부(200)와 레더부(400)를 지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100)는 먼저, 지면에 지지되도록 양측 평행한 한 쌍의 수평 지지바(110)(1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양측의 수평 지지바(110)(110')는 그 단부가 연결바(120)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수평 지지바(110)(110')에는 그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후술하는 매트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11)이 구성된다.
상기 매트부(200)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가 필라테스 운동 과정에서 신체를 지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매트부(200)는 먼저, 대항되는 양측 한 상의 매트 지지판(210)(210')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매트 지지판(210)(210')은 수직 판체 형태를 이루며 하부에 형성되는 롤러(211)를 통해 상기 수평 지지바(110)(110')의 가이드홈(111)에 결합 및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매트부(200)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지지가 가능한 대칭되는 한 쌍의 매트(220)(220')가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각각의 매트(220)(220')는 상기 양측 매트 지지판(210)(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체 형태를 이루되, 둘레에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90° "호" 형태를 이루는 곡률부(221)(221')와, 상기 곡률부(221)(221')의 단부에서 직각 연장되는 평면부(222)(222')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상기 각각의 평면부(222)(222')에는 쿠션재 등으로 된 시트(222a)가 형성된다.
이에, 각각의 매트(220)(220')는 양측이 상기 매트 지지판(210)(210')의 상부 중앙부에서 양측에 각각의 축(201)(201')으로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각각의 축(201)(20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90° 상하 회동 작동하게 구성된다.
이때, 매트(220)(220')는 그 회동 작동시 상부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매트 지지판(210)(210')의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되 양측의 곡률부(221)(221')가 외측으로 대층되고 평면부(222)(222')가 대항되는 형태를 이루는 측면상 반원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고, 하부로 서로 반대방향 90°회동시 매트 지지판(210)(210')의 사이로 수용 및 양측의 평면부(222)(222')가 나란한 평면을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회동 작동하는 각각의 매트(220)(220')는 그 회동 과정에서 매트 지지판(210)(210')에 가이드 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각각의 매트 지지판(210)(210')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공(212)(212')이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공(212)(212')은 일단이 상부로 개방되며 축(201)(201')을 중심으로 서로 대항측으로 90°의 원호 형태를 이루며, 매트 지지판(210)(210')을 관통하게 구성된다.
또한, 매트(220)(220')에는 각각의 양측에는 90°회동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공(212)(212')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223)(223')가 돌출 구성되며, 각각의 매트(220)(220')에 대하여 어느 한 측의 가이드돌기(223)(223')에는 매트(220)(220')의 회동시 파지 가능한 절첩 가능한 손잡이(224)(224')가 각각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돌기(223)(223')는 매트(220)(220')가 매트 지지판(210)(210')의 상부로 돌출 형성시 가이드공(212)(212')의 상부로 소정 이격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매트 지지판(210)(2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공(212)(212')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 및 가이드돌기(223)(223')를 지지하여 매트(220)(220')의 회동을 방지하는 매트 고정수단(230)이 더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매트 고정수단(230)은 출몰 또는 회동 작동되는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트 지지판(210)(210')의 상단에서 각각의 개방된 가이드공(212)(212')의 일측에서 가이드관(231)으로부터 출몰 작동되어 개방된 가이드공(212)(212')의 상부를 개폐하는 매트 지지핀(232)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매트 지지핀(232)은 스프링(도면중 미도시함) 탄설에 의해 인출력을 가지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매트(220)(220')는 매트 지지핀(232)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하 자유로운 회동 작동이 가능하고, 상부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매트 지지핀(232)이 각각의 가이드돌기(223)(223')를 지지하여 하부 회동을 방지하고, 하부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가이드공(212)(212')의 상부를 폐쇄하여 매트(220)(220')의 상부 회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간격 조절수단(300)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매트부(200)의 이동을 통해 후술하는 레더부(400)와의 간격을 조절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간격 조절수단(300)은 먼저, 푸쉬 지지판(310)이 구성된 것으로, 푸쉬 지지판(310)은 상기 수평 지지바(110)(11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며,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고정바 가이드홈(312)을 갖는 양측 한 쌍의 고정바 가이더(311)(311')가 구성된다.
또한, 간격 조절수단(300)에는 상기 매트부(200)의 이동 고정을 단속하는 고정바(320)가 구성된 것으로, 고정바(320)는 폭 방향 길이를 이루되 양측이 상기 고정바 가이더(311)(311')의 고정바 가이드홈(312)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관통되고, 수평 지지바(110)(110')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바(320)는 중심으로부터 양측이 상기 푸쉬 지지판(310)에 인장스프링(321)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바(320)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고정바 걸림대(340)(340')에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돌기(322)(322')가 하방으로 돌출 구성된다.
또한, 간격 조절수단(300)에는 상기 고정바(32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는 푸쉬 스위치(330)가 구성된다.
이때, 푸쉬 스위치(330)는 상기 푸쉬 지지판(310)의 중간부에 브라켓(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한 소정 높이에서 힌지(H) 결합되어 상하 회동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힌지(H)를 중심으로 전방에는 사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푸쉬가 가능한 푸쉬부(33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고정바(320)의 하부를 지지 및 그 고정바(320)의 상하 승강을 작동하는 고정바 지지부(332)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간격 조절수단(300)에는 매트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320)가 걸림되는 양측 한 쌍의 고정바 걸림대(340)(340')가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고정바 걸림대(340)(340')는 상기 양측의 매트 지지판(210)(210')의 대항측 하부에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수평 지지바(110)(110')의 수평 이동방향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바 걸림대(340)(340')에는 그 수평 이동방향으로 다수의 걸림공(341)(341')이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바(320)의 양측의 걸림돌기(322)(322')가 어느 한 단의 걸림공(341)(341')에 끼움 걸림되어 매트부(200)를 고정하게 구성된다.
또한, 간격 조절수단(300)에는 상기 푸쉬 스위치(330)의 푸쉬부(331)가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바(320)의 상부를 마감하는 조절수단 마감캡(350)이 구성된다.
상기 레더부(400)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가 운동 과정에서 발 또는 손을 짚어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레더부(400)는 먼저, 상기 각각의 수평 지지바(110)(110')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로 수직 돌출되는 양측 한 쌍의 수직바(410)(410')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레더부(400)에는 상기 양측의 수직바(410)(410')를 이루는 다수의 지지봉(420)(420')이 구성된 것으로, 지지봉(420)(420')은 상하로 복수단을 이루게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장 상단에 있는 지지봉(420)은 양측 수직바(410)(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손잡이(421)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참조하여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는 매트부(200)를 이루는 매트(220)(220')의 다양한 조절 사용과, 매트부(200)의 간편한 간격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먼저,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는 먼저, 상기 매트부(200)를 이루는 매트(220)(220')의 다양한 형태로의 가변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때 매트(220)(220')는 회동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에, 그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매트(220)(220')는 통상의 레더 바렐과 같이 매트(220)(220')가 상부로 돌출되는 반원 형태를 이루게 조절 사용 가능하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매트(220)(220')의 상부 회동을 통해 가능한 것으로, 매트 고정수단(230)의 매트 지지핀(232)이 인입된 상태에서 양측의 축(201)(201')을 중심으로 하여 매트(220)(220')를 상부로 회동시키게 되면 양측 매트(220)(220')의 평면부(222)(222')가 대항되는 한편, 외측에 곡률부(221)(221')를 이루는 측면상 반원 형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매트 고정수단(230)을 이용하여 매트(220)(220')를 고정하되, 매트 지지핀(232)을 인출시켜 각각의 가이드돌기(223)(223') 하부를 지지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매트(220)(220')를 상부로 회동시켜 돌출되는 반원 형태를 이루게 하면 통상의 레더 바렐 운동과 같이 사용자가 매트(220)(220')의 곡률부(221)(221')에 경사상으로 허리를 기대고 발이나 손을 레더부(400)의 어느 하나의 지지봉(420)(420')을 짚어 고정하면서 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매트(220)(220')는 통상의 콤비 체어와 같이 매트(220)(220')의 상부면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게 조절 사용 가능하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매트(220)(220')의 하부 회동을 통해 가능한 것으로, 매트 고정수단(230)의 매트 지지핀(232)이 인입된 상태에서 양측의 축(201)(201')을 중심으로 하여 매트(220)(2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하부로 회동시키게 되면 양측 매트(220)(220')는 양측의 매트 지지판(210)(210')의 사이에 수용되는 한편, 각각의 평면부(222)(222')가 상부에 위치되는 평평한 형태를 이루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하부로 회동되는 양측의 매트(220)(220')는 가이드돌기(223)(223')가 가이드공(212)(212')을 따라 회동 가이드 되는 것인바, 그 안정된 회동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매트 고정수단(230)을 이용하여 매트(220)(220')를 고정하되, 매트 지지핀(232)을 인출시켜 가이드공(212)(212')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매트(220)(220')를 하부로 회동시켜 상부가 평평한 평면을 이루게 하면 통상의 콤비 체어 운동과 같이 사용자가 매트(220)(220')의 평면부(222)(222')에 허리나 상체를 눕히거나 그 평면부에 앉거나 올라서서 운동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발이나 손을 레더부(400)의 어느 하나의 지지봉(420)(420')을 짚어 고정하면서 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매트(220)(220')는 사용자가 앉아서 등을 기댈 수 있는 좌대 형태로 조절 사용 가능하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양측의 매트(220)(220')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여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어느 하나의 매트(220)는 하부로 회동시켜 평면부(222)가 상부를 향하게 하고, 다른 하나의 매트(220')는 상부로 회동시켜 매트 지지판(210)(210')의 상부로 돌출 및 평면부(222')가 수직을 이루게 가능하되, 그 회동 작동 및 고정 상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이에, 상기와 같이 매트(220)(220')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매트(220)에는 평면부(222)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매트(220')의 평면부(222')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대어 별도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는 매트부(200)를 이루는 매트(220)(220')의 회동 조절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의 가변 사용이 가능한 것인바, 복수의 기구가 필요 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동 조건에 맞게 매트부(200)와 레더부(4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간격 조절수단(300)의 작동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푸쉬 스위치(330)의 푸쉬부(331)를 밟게 되면, 그 푸쉬 스위치(330)는 힌지(H)를 축으로 하여 후방의 고정바 지지부(332)가 상부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고정바 지지부(332)는 고정바(320)를 상부로 들어올려 걸림돌기(322)(322')를 고정바 걸림대(340)(340')의 걸림공(341)(341')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에, 매트부(200)는 밀거나 당기는 작동으로 롤러(211)의 구름력에 의해 수평 지지바(110)(110')의 가이드홈(111)에서 전후 자유로운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위치에서 푸쉬 스위치(330)의 푸쉬력을 해제하게 되면, 인장스프링(321)의 복귀력에 의해 고정바(320)가 하강 및 걸림돌기(322)(322') 어느 하나의 걸림공(341)(341')에 끼움 고정되게 된다.
즉,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1)는 매트부(200)의 이동 조절 과정에서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거나 운동 중 내려올 필요 없이 푸쉬 스위치(330) 작동만으로 간편하게 위치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필라테스 운동기구는 하나의 기구로도 매트부의 다양한 가변 조절을 통해 레더 발레이나 콤비 체어 등 다양한 필라테스 운동이 가능하게 되면 레더부와의 편리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지지부 110,110' : 수평 지지바
111 : 가이드홈 120 : 연결바
200 : 매트부 201,201' : 축
210,210' : 매트 지지판 211 : 롤러
212,212' : 가이드공 220,220' : 매트
221 : 곡률부 222 : 평면부
223,223' : 가이드돌기 224 : 손잡이
230 : 매트 고정수단 231 : 가이드관
232 : 매트 지지핀
300 : 간격 조절수단 310 : 푸쉬 지지판
311,311' : 고정바 가이더 312 : 고정바 가이드홈
320 : 고정바 321 : 인장스프링
322,322' : 걸림돌기 330 : 푸쉬 스위치
331 : 푸쉬부 332 : 고정바 지지부
340,340' : 고정바 걸림대 341,341' : 걸림공
350 : 조절수단 마감캡
400 : 레더부 410,410' : 수직바
420,420' : 지지봉

Claims (3)

  1. 각각의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홈(111)이 형성된 평행한 한 쌍의 수평 지지바(110)(110')와, 상기 수평 지지바(110)(110')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20)로 된 지지부(100);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111)에 롤러(211) 결합되어 이동 가능한 수직 판체 형태를 이루는 양측 한 쌍의 매트 지지판(210)(210')과, 상기 양측 매트 지지판(210)(210')의 상부 중앙부 양측에 각각의 축(201)(201')으로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90°회동 작동하며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90° "호" 형태의 곡률부(221)(221') 및 시트(222a)가 형성된 평면부(222)(222')를 이루는 통체 형태의 한 쌍의 매트(220)(220')로 된 매트부(200);
    상기 양측의 수평 지지바(110)(1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200)의 이동을 단속하는 간격 조절수단(300); 및
    상기 각각의 수평 지지바(110)(110')의 단부에서 상부로 수직 돌출되는 양측 한 쌍의 수직바(410)(410')와, 상기 양측 수직바(410)(410')를 연결하되 상하로 복수단을 이루는 다수의 지지봉(420)(420')으로 된 레더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200)의 각각의 매트 지지판(210)(210') 상부 양측에는,
    일단이 상부로 개방되며 서로 대항측으로 각각의 축(201)(201')을 중심으로 90°의 원호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공(212)(21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매트(220)(220')에는,
    각각의 양측에 매트(220)(220')가 회동시 상기 가이드공(212)(212')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223)(223')가 더 형성되고, 각각의 매트(220)(220')에 대하여 어느 한 측의 가이드돌기(223)(223')에는 손잡이(224)(224')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며,
    상기 매트 지지판(210)(210')에는 상기 가이드공(212)(212')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 및 매트(220)(220')를 지지하여 매트(220)(220')의 회동을 방지하는 매트 고정수단(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수단(300)은,
    상기 수평 지지바(110)(110')의 중간부를 연결하며,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고정바 가이드홈(312)을 갖는 양측 한 쌍의 고정바 가이더(311)(311')가 형성된 푸쉬 지지판(310);
    양측이 상기 고정바 가이더(311)(311')의 고정바 가이드홈(312)에 수용되고, 양측에는 상기 푸쉬 지지판(310)에 인장스프링(321)으로 연결되며, 양단에는 걸림돌기(322)(322')가 하방 돌출된 고정바(320);
    상기 푸쉬 지지판(310)에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 되며, 전방의 푸쉬부(331)와, 고정바(320)의 하부를 지지하는 후방의 고정바 지지부(332)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바(32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는 푸쉬 스위치(330);
    상기 양측의 매트 지지판(210)(210')의 대항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320)의 걸림돌기(322)(322')가 끼움 걸림 되도록 수평 이동방향으로 다수의 걸림공(341)(341')이 형성된 양측 한 쌍의 고정바 걸림대(340)(340'); 및
    상기 푸쉬 스위치(330)의 푸쉬부(331)가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바(320)의 상부를 마감하는 조절수단 마감캡(3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0220020553A 2022-02-17 2022-02-17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47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553A KR102472866B1 (ko) 2022-02-17 2022-02-17 필라테스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553A KR102472866B1 (ko) 2022-02-17 2022-02-17 필라테스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866B1 true KR102472866B1 (ko) 2022-11-30

Family

ID=8423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553A KR102472866B1 (ko) 2022-02-17 2022-02-17 필라테스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8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9038A1 (en) * 2009-01-13 2010-07-15 Hart Wood, Inc. Dba Root Manufacturing Ladder Barrel with Cam Lock
KR20110093750A (ko) * 2011-07-11 2011-08-18 박태영 허리신장운동구
KR200474605Y1 (ko) 2014-03-12 2014-09-29 장경원 레더바렐 운동기구
KR102306334B1 (ko) 2021-03-15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06345B1 (ko) 2021-02-19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48532B1 (ko) 2021-08-09 2022-01-07 최태수 접이식 바렐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9038A1 (en) * 2009-01-13 2010-07-15 Hart Wood, Inc. Dba Root Manufacturing Ladder Barrel with Cam Lock
KR20110093750A (ko) * 2011-07-11 2011-08-18 박태영 허리신장운동구
KR200474605Y1 (ko) 2014-03-12 2014-09-29 장경원 레더바렐 운동기구
KR102306345B1 (ko) 2021-02-19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06334B1 (ko) 2021-03-15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2348532B1 (ko) 2021-08-09 2022-01-07 최태수 접이식 바렐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569A (en) Training apparatus
US4286782A (en) Multi-purpose exercise enhancing device
US20050202941A1 (en) Exercise machine
US11154740B2 (en) Exercise device for squat movement
KR101627359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099453B1 (ko) 허리강화 운동기구
US8025615B1 (en) Exercise roll bar device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102012192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US11890504B2 (en) Arm curl fitness apparatus
KR102472866B1 (ko)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US9937372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11382818B2 (en) Body stretcher
KR101348317B1 (ko)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KR102504476B1 (ko) 레더바렐과 콤비체어 겸용 필라테스 운동기구
KR20100075809A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200496501Y1 (ko) 매트부 이동 구조를 갖는 필라테스용 레더 바렐
KR200464221Y1 (ko) 복근 운동기
US20180126215A1 (en) Portable foldable exercise device
KR20210060379A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필라테스 운동기구 및 관리 시스템
KR102624922B1 (ko) 필라테스용 리포머의 로프 구조
KR200451925Y1 (ko) 로윙 운동기구
KR200463831Y1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